KR101745912B1 -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 Google Patents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912B1
KR101745912B1 KR1020150150027A KR20150150027A KR101745912B1 KR 101745912 B1 KR101745912 B1 KR 101745912B1 KR 1020150150027 A KR1020150150027 A KR 1020150150027A KR 20150150027 A KR20150150027 A KR 20150150027A KR 101745912 B1 KR101745912 B1 KR 101745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machine
drill
machine
processed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090A (ko
Inventor
김용경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9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7/00Details of drilling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7/00Details of drilling jigs
    • B23B2247/12Drilling jigs with means to affix the jig to the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100)는, 가공대상물(10)의 홀 주위에 인접하여 드릴머신(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드릴머신(20)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로서, 가공대상물(10)의 홀과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되고, 링 구조의 상부에는 판상형 구조의 안착부(111)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1)에는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관통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가공대상 결속부(110);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에 결속되고, 일측면에 드릴머신(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20)을 안착시키는 드릴머신 받침부(120); 및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내부 측면에 장착되어 드릴머신(20) 받침부에 탑재되는 드릴머신(20)의 방향을 고정하는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따르면,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주위 구조물로 인해 드릴링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도,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드릴머신의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 해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Guide Jig for Drill Machine}
본 발명은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주위 구조물로 인해 드릴링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도,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드릴머신의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해줄 수 있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구조의 구조물에 대해 드릴링 작업이 수행될 경우, 주변 구조물의 간섭에 의해 드릴링 작업이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없어, 대형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대형 가공장비를 이용할 경우, 드릴 머신을 이용할 경우에 비해 가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주위 구조물로 인해 드릴링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도,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드릴머신의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해줄 수 있는 지그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09080호 (1999년 04월 20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주위 구조물로 인해 드릴링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도,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드릴머신의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해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는: 가공대상물의 홀 주위에 인접하여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드릴머신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로서, 가공대상물의 홀과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되고, 링 구조의 상부에는 판상형 구조의 안착부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공대상 결속부;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의 안착부에 결속되고, 일측면에 드릴머신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을 안착시키는 드릴머신 받침부; 및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의 내부 측면에 장착되어 드릴머신 받침부에 탑재되는 드릴머신의 방향을 고정하는 드릴머신 방향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의 측단면 형상은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의 내부 측면에는 드릴머신 방향고정부를 장착할 수 있는 결속홈 또는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홈 및 결속돌기는 안착부에 형성된 관통구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의 안착부에는 아이볼트가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셋 이상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릴머신 받침부는: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의 안착부와 결속되는 판상형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일측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측단면상 직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측면에 드릴머신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을 안착시키는 판상형 받침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판에는 가공대상 결속부의 안착부에 형성된 관통구의 크기 및 배열과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과 안착부는 서로 대응되는 관통구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최외주면은 링 구조의 가공대상 결속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받침판에는 드릴머신의 바닥면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전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릴머신 방향고정부는: 볼트형 구조로서 가공대상 결속부의 내부 측면에 볼팅체결되어 고정되고, 볼트 머리에는 드릴머신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릴머신 방향고정부의 볼트 머리에는,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가공대상 결속부, 드릴머신 받침부 및 드릴머신 방향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주위 구조물로 인해 드릴링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도, 드릴머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드릴머신의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 해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따르면, 가공대상 결속부의 안착부에 아이볼트가 장착되어 있어, 가공작업 후 손쉽게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따르면, 판상형 받침판에 드릴머신의 바닥면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전자석이 장착되어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드릴머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따르면,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관통구가 형성된 가공대상 결속부 및 드릴머신의 방향을 고정하는 드릴머신 방향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어, 가공대상물에 드릴머신을 더욱 정확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가공대상물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드릴머신을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드릴머신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100)는, 가공대상물(10)의 홀 주위에 인접하여 드릴머신(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드릴머신(20)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로서, 가옥대상 결속부(110), 드릴머신 받침부(120) 및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대상 결속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10)의 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가공대상물(10)의 홀과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링 구조의 상부에는 판상형 구조의 안착부(111)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안착부(111)에는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관통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1)에 형성된 관통구(112)는 드릴머신 받침부(120)와의 결속을 위한 하나의 체결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언급한 관통구(112)에 아이볼트가 장착될 수 있다. 아이볼트가 안착부(111)에 장착될 경우,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손수비게 가공대상 결속부(110)를 들어올리거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아이볼트는 안착부(111)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셋 이상 체결되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내부 측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를 장착할 수 있는 결속홈(113) 또는 결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속홈(113) 및 결속돌기는 안착부(111)에 형성된 관통구(112)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를 가공대상물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드릴머신을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에 드릴머신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측단면 형상은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측단면 형상은 가공대상물(10)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머신 받침부(120)는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에 결속되고, 일측면에 드릴머신(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20)을 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릴머신 받침부(120)는 판상형 고정판(121) 및 판상형 받침판(12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판상형 고정판(121)은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와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판상형 받침판(122)은 고정판(121)의 일측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측단면상 직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측면에 드릴머신(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2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판(121)에는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에 형성된 관통구(112)의 크기 및 배열과 대응되는 관통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1)과 안착부(111)는 서로 대응되는 관통구(112, 123)에 체결되는 볼트(124)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1)의 최외주면은 링 구조의 가공대상 결속부(110)와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받침판(122)에는 드릴머신(20)의 바닥면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전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릴머신(20)을 받침판(122)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보다 더 안정적인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내부 측면에 장착되어 드릴머신(20) 받침부에 탑재되는 드릴머신(20)의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는 볼트형 구조로서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내부 측면에 볼팅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머리(131)에는 드릴머신(20)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입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100)에 따르면,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관통구(112)가 형성된 가공대상 결속부(110) 및 드릴머신의 방향을 고정하는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를 구비하고 있어, 가공대상물(10)에 드릴머신(20)을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의 볼트 머리(131)에는,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가공대상물
20: 드릴머신
100: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110: 가공대상 결속부
111: 안착부
112: 관통구
113: 결속홈
120: 드릴머신 받침부
121: 고정판
122: 받침판
123: 관통구
124: 볼트
130: 드릴머신 방향고정부
131: 볼트 머리
132: 만입홈

Claims (10)

  1. 가공대상물(10)의 홀 주위에 인접하여 드릴머신(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드릴머신(20)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로서,
    가공대상물(10)의 홀과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되고, 링 구조의 상부에는 판상형 구조의 안착부(111)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111)에는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관통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가공대상 결속부(110);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에 결속되고, 일측면에 드릴머신(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20)을 안착시키는 드릴머신 받침부(120);
    볼트형 구조로서,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내부 측면에 볼팅체결되어 고정되고, 드릴머신(20) 받침부에 탑재되는 드릴머신(20)의 방향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 머리(131)에는 드릴머신(20)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입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 및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내부 측면에 둘 이상 형성되고, 안착부(111)에 형성된 관통구(112)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며,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의 결속홈(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측단면 형상은 'ㄱ'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에는 아이볼트가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셋 이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머신 받침부(120)는:
    상기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와 결속되는 판상형 고정판(121); 및
    상기 고정판(121)의 일측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측단면상 직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측면에 드릴머신(2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드릴머신(20)을 안착시키는 판상형 받침판(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21)에는 가공대상 결속부(110)의 안착부(111)에 형성된 관통구(112)의 크기 및 배열과 대응되는 관통구(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121)과 안착부(111)는 서로 대응되는 관통구(112, 123)에 체결되는 볼트(124)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21)의 최외주면은 링 구조의 가공대상 결속부(110)와 대응되는 구조의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22)에는 드릴머신(20)의 바닥면을 자력에 의해 부착시키는 전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머신 방향고정부(130)의 볼트 머리(131)에는,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KR1020150150027A 2015-10-28 2015-10-28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KR101745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27A KR101745912B1 (ko) 2015-10-28 2015-10-28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27A KR101745912B1 (ko) 2015-10-28 2015-10-28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90A KR20170049090A (ko) 2017-05-10
KR101745912B1 true KR101745912B1 (ko) 2017-06-12

Family

ID=5874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027A KR101745912B1 (ko) 2015-10-28 2015-10-28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4674B (zh) * 2019-01-02 2020-10-09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周向群孔的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722A (ja) * 2005-05-24 2006-12-07 Namitei Kk 穿孔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722A (ja) * 2005-05-24 2006-12-07 Namitei Kk 穿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90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322B1 (ko) 공작물 클램핑 고정구
TW201507805A (zh) 夾持治具
TW201524668A (zh) 夾持治具
KR20130041755A (ko) 공작물 팔레트 위치결정 고정장치
JP6246706B2 (ja) 加工治具の弾性位置決め可能な位置決めブロック構造
TWI642855B (zh) Fixing device for lower member and fluid control device for fixing device having the lower member
KR101745912B1 (ko) 드릴머신 가이드 지그
KR200470580Y1 (ko) 핀 타설 장치
KR20150120676A (ko) 열변형 방지용 조립장치
TWI658225B (zh) 下段構件的固定裝置及具備該下段構件的固定裝置之流體控制裝置
EP3012063B1 (en) Tool positioning and holding mechanism
JP5503405B2 (ja) 位置決め治具
KR101679150B1 (ko) 유압브레이커 해머의 지지핀용 멈춤부재
KR101745459B1 (ko) 드릴머신 지그
KR20140032105A (ko) 드릴링 가공 지그
CN105345545A (zh) 夹具
KR101707075B1 (ko)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JP2016016495A (ja) 被装着部材の装着装置および装着方法
TW201431658A (zh) 傳動輪及傳動輪系統
KR101064857B1 (ko) 중량 구조물 위치결정 툴
KR101429340B1 (ko) Dfde 엔진 탑재 방법
US10483743B2 (en) Cable holding device
MX2017013936A (es) Plantilla de instalacion de aditamento y metodo de instalacion de aditamento.
JP2015174195A (ja) 振動防止装置及び工作機械
JP2005241432A (ja) 押込み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