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595B1 -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595B1
KR101745595B1 KR1020150175737A KR20150175737A KR101745595B1 KR 101745595 B1 KR101745595 B1 KR 101745595B1 KR 1020150175737 A KR1020150175737 A KR 1020150175737A KR 20150175737 A KR20150175737 A KR 20150175737A KR 101745595 B1 KR101745595 B1 KR 10174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rotrusions
flue
heat exchanger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형
전성희
유연한
최기태
양현준
이가은
이원석
황명진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6/00Halogenated polymers
    • B05D2506/10Fluorinated polymers
    • B05D2506/15Polytetrafluoroethylene [PTF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버너가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배기연도 를 마련하여 배기연도를 배기구에 끼운 상태에서 회전시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배기연도에 테프론 코팅 또는 아노다이징을 함으로써 온도 차이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으며, 배기연도를 회전시켜 배기구에 연결 설치하므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Boiler Vent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연도와의 연결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배기연도에 외부와의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결로현상으로 인한 응축수가 보일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난방 및 온수를 제공받을 수단의 일환으로 여러 형태의 보일러가 설치되고, 상기 보일러는 운전 중에 발생하는 소음이나 위험요소 등과 같은 보일러가 가지는 특성상 별도의 보일러실이나 또는 사용자와의 간섭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는 베란다 등의 일측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보일러는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통이 연소실 하우징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결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도 1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배기구(110)는 보일러의 본체(100)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102)을 통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배기구(110)는 본체(100)와 브래킷(120)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100)로부터 돌출된 배기구(110)의 상단에는 결합수단 에 의해 연통(200)이 연결되어 짐으로써, 일련의 배기구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보일러의 배기구에 있어서는 별도의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배기구를 본체에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배기구에는 외부공기와의 온도 편차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발생되는 응축수가 생성되었고, 그 응축수는 배기구가 삽입된 본체의 삽입공을 통하여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에 의해 연소실의 하우징 및 여러 부품 등이 부식 등과 같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보일러의 배기구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구 연결장치는 보일러의 본체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 상에서 연소실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연통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삽입공의 주연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차단리이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를 삽입공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배기구와 연통을 상기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는 보일러의 본체에 고정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도와 상기 연도와 상기 연도에 삽입되어 배출된 연소가스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결합되는 연통으로서, 상기 연통의 하측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도에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61544호(2004년 8월 31일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11805호(2011년 12월 22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구 연결장치는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가 실외의 낮은 온동의 공기와 만나게 되면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응축수로 인해 표면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배기구의 부식에 의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로 재유입되어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수가 생성되는 배기연도의 표면에 코팅 처리로 배기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연도와 열교환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는 일측에 버너가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배기연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기연도가 정위치에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의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돌기부; 상기 배기연도의 고정홈부에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3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돌기부와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돌기부는 단면상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연도는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테프론 코팅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에 의하면, 배기연도를 배기구에 끼운 상태에서 회전시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배기연도에 테프론 코팅 또는 아노다이징을 함으로써 온도 차이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으며, 배기연도를 회전시켜 배기구에 연결 설치하므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 배기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보안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를 보안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는 일측에 버너(11)가 설치되는 열교환기(10), 상기 열교환기(10)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기구(20), 상기 배기구(2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21), 상기 고정돌기(21)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홈부(31)가 형성된 배기연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는 열교환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구(20)와 배기연도(30)를 간편하게 결합시킴은 물론 배기연도(30) 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기(10)는 일측에 버너(11)가 설치되고, 열교환기(10)는 공급된 가스 등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교환기(10)에는 가스 등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20)가 마련된다. 상기 배기구(20)는 열교환기(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배기구(20)는 열교환기(10)의 배면에서부터 상면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열교환기(10) 내부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는 열교환기(10)에 설치된 배기구(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배기구(2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배기연도(30)가 결합된다. 상기 배기구(20)에는 배기연도(30)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고정돌기(2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1)는 배기구(20)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22), 상기 제1 돌기부(2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23) 및 상기 제2 돌기부(23)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3 돌기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기부(22)는 배기구(20)의 최상단에 형성되는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기부(22)는 배기구(20)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부(22)의 아래쪽에는 제2 돌기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부(23)는 제1 돌기부(22)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부(2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돌기부(22)와 서로 교호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는 배기구(20)에 배기연도(30)의 결합 시 배기연도(30)가 정위치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들 제1 돌기부(22)와 제2 돌기부(23) 사이에는 배기구(20)와 배기연도(3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부재(미도시)가 결합됨은 물론이다. 상기 밀폐부재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부(23)의 아래쪽에는 배기연도(30)가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기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돌기부(24)는 배기연도(30)의 고정홈부(31)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3 돌기부(24)는 단면상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연도(3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배기연도(30)의 중간에는 연통(미도시)이 결합되도록 플랜지(32)가 형성되며, 플랜지(32)의 아래쪽에는 배기구(20)의 제3 돌기부(24)에 결합되도록 고정홈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부(31)는 제3 돌기부(24)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고정홈부(31)는 배기구(20)의 제3 돌기부(24)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는 버너(11)가 구비된 열교환기(10)의 상면에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2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배기구(20)는 열교환기(10)의 상면에 연소가스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배기구(2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기구(20)에는 배기연도(30)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고정돌기(21)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21)는 배기구(20)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기부(22)를 형성하며, 제1 돌기부(22)의 아래쪽에는 제1 돌기부(22)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다수의 제2 돌기부(23)를 형성한다.
이들 제1 돌기부(22)와 제2 돌기부(23)는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며, 이들 제1 돌기부(22)와 제2 돌기부(23) 사이에는 패킹부재(미도시)를 결합한다. 상기 패킹부재는 배기구(20)의 내면과 배기연도(30)의 외면 사이에 결합되어 연소가스가 배기구(20)와 배기연도(30) 사이로 새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 돌기부(23)의 아래쪽에는 배기연도(30)와 결합되는 제3 돌기부(24)를 결합한다. 상기 제3 돌기부(24)는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단면상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연도(3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배기연도(30)의 하단에는 제3 돌기부(24)와 결합되는 고정홈부(31)를 형성한다.
한편 배기연도(30)는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테프론 코팅 또는 아노다이징으로 처리한다. 아노다이징은 배기연도(30)를 양극에 걸고 희석-산의 액에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서 소지금속과 대단한 밀착렬을 갖는 산화피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아노다이징 처리된 배기연도(30)는 대기 조건하에서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테프론 코팅은 볼소수지를 도료화하여 페인트처럼 표면에 적당량 스프레이한 후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 소성을 거치면 비활성의 단단한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테프론 코팅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PFA(PerFluoro Alkoxy), ETFE (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코팅 방법으로 코팅한다.
이러한 코팅 중에서도 290℃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PTFE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TFE는 마찰계수가 극히 작고, 내마모성 및 내화학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는 배기구(20)의 제1 돌기부(22)와 제2 돌기부(23) 사이에 밀폐부재를 끼워 결합한다.
이어서 배기연도(30)의 고정홈부(31)를 배기구(20)의 내측으로 끼운 다음 배기연도(30)의 고정홈부(31)를 제3 돌기부(24)에 일치시킨다. 상기 배기연도(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홈부(31)는 제3 돌기부(24)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배기구(20)에 배기연도(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연도(30)에는 연소가스를 보일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미도시)이 결합된다.
상기 배기연도(30)는 테프론 코팅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열교환기(10) 내부에서 연소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배기구(20)를 통해 배기연도(30)로 이동되며, 배기연도(30)에서는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배기연도(30)는 배기구(20)에 끼운 다음 고정홈부(31)가 제3 돌기부(24)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결합되므로, 배기연도(30)의 연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열교환기 11: 버너
20: 배기구 21: 고정돌기
22: 제1 돌기부 23: 제2 돌기부
24: 제3 돌기부 30: 배기연도
31: 고정홈부 32: 플랜지

Claims (4)

  1. 일측에 버너가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배기연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배기연도가 정위치에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의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돌기부; 및
    상기 배기연도의 고정홈부에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3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의 사이에 밀폐부재가 더 배치되며,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돌기부와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돌기부는 단면상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도는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테프론 코팅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KR1020150175737A 2015-12-10 2015-12-10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KR10174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737A KR101745595B1 (ko) 2015-12-10 2015-12-10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737A KR101745595B1 (ko) 2015-12-10 2015-12-10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595B1 true KR101745595B1 (ko) 2017-06-09

Family

ID=5922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737A KR101745595B1 (ko) 2015-12-10 2015-12-10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5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24Y1 (ko) * 2000-07-29 2001-01-15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배기 연도 접속구
KR100570289B1 (ko) * 2004-10-13 2006-04-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JP2013124827A (ja) * 2011-12-15 2013-06-24 Takagi Kogyosho:Kk 煙突の筒体構造
KR101320553B1 (ko) * 2013-01-22 2013-10-28 (주)다리온 가스 배관용 댐퍼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24Y1 (ko) * 2000-07-29 2001-01-15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배기 연도 접속구
KR100570289B1 (ko) * 2004-10-13 2006-04-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JP2013124827A (ja) * 2011-12-15 2013-06-24 Takagi Kogyosho:Kk 煙突の筒体構造
KR101320553B1 (ko) * 2013-01-22 2013-10-28 (주)다리온 가스 배관용 댐퍼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5581B2 (en) Condensate pan with condensate trap
KR102371863B1 (ko) 급탕기
US20140373794A1 (en) Hot water storage tank-type condensing boiler having multi-stage structure
US20160334137A1 (en) Condensing boiler
KR100691029B1 (ko) 이중관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US10088156B2 (en) Water heater venting assembly
RU2711236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бойлера
US20170299274A1 (en) Heat exchanger
KR101745595B1 (ko) 보일러의 배기연도 연결장치
KR101668726B1 (ko) 보일러의 배기구 장착장치
KR101679679B1 (ko) 이중관 연도의 응축수배출장치
KR100570286B1 (ko) 열교환장치
KR20150113481A (ko) 보일러의 이중 연도
KR100856860B1 (ko) 보일러의 역풍방지용 급배기관
CN109114815A (zh) 一种换热器
KR100568779B1 (ko) 콘덴싱 기름보일러
ITRM980350A1 (it) Tubo corrugato bimetallic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KR100747000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응축잠열회수보일러
KR102359334B1 (ko) 관체형의 열교환기
KR101208132B1 (ko) 보일러용 급기부 조립구조
CN212362438U (zh) 冷凝换热结构及燃气热水器
CN217900195U (zh) 一种烟气限流装置及燃气采暖热水炉
US11333398B2 (en) Baffles for thermal transfer devices
CN217236105U (zh) 一种带烟气温度感应的排烟座及燃气采暖热水炉
KR100570287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