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11B1 -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311B1
KR101745311B1 KR1020150122971A KR20150122971A KR101745311B1 KR 101745311 B1 KR101745311 B1 KR 101745311B1 KR 1020150122971 A KR1020150122971 A KR 1020150122971A KR 20150122971 A KR20150122971 A KR 20150122971A KR 101745311 B1 KR101745311 B1 KR 10174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rol
information
control logic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885A (ko
Inventor
박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기술
Priority to KR102015012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3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7Network analysis or design for predicting network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Abstract

본 발명은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IoT 연동 플랫폼을 통해 이질적인 IoT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며, 개별 사물 단위로 센싱한 사물 정보, 상태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향과 환경에 따라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IoT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사물 각각의 센싱 정보에 대한 분석과 상기 분석 결과를 통한 제어 로직의 예측을 통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IoT CONTROL LOGIC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 사물 단위로 센싱한 사물 정보, 상태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향과 환경에 따라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IoT 제어 로직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사물 각각의 센싱 정보에 대한 분석과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로직의 합리적인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산업 기술의 고도화와 무선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나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시대가 도래 했다.
또한 디지털 컨버전스라 불리는 IT의 환경의 변화로 하나의 기기나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 방송 통신망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통신망들이 하나로 연결되고 있으며, 칩과 센서들이 내장 된 많은 종류의 사물과 끊임없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아닌 다양한 사물도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해 대중의 관심이 증대하면서 각종 무선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센서, 카메라, 전자 제품 또는 자동차 등과 같이 일명 사물로 일컬어지는 각종 장치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장치 간의 다양한 협업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기술들과 접목되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하여, 상기 사물을 각각 제어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있다.
한편 원격에서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존의 기술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있으며,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USN)을 이용하여, 각종 센서가 포함된 전자 제품 및 가정 설비 등의 다양한 사물을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하나의 통일된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홈 서버를 통해 댁내의 다양한 사물들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의 개념이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물은 센서와 같은 보조 장치들을 통해 스스로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다른 사물 및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구축되는 홈 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상기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서버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댁내에 위치하는 사물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요를 파악하여 일정 수준의 자동화 결정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내부의 모든 장치(사물)는 로컬 랜에서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모든 사물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사물의 정보를 공유하는 홈 서버만이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된다. 이는 업체나 사물 간의 비호환성으로 인해 단일 홈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홈에 새롭게 추가되는 사물의 제어를 위해 새로운 홈 서버를 구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사물 간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예를 들어, uPnP, DLNA, LonWorks 또는 LnC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홈 서버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물에 대한 홈 서버를 따로 구축해야 되며 사용자는 호환이 되지 않는 사물을 댁내에 추가할 때마다 이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ICT 기반 모니터링과 제어 기술을 토대로,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에너지 측정기(예를 들어 전력량계) 또는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여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개별 사물 단위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에너지 측정기 또는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사물들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단순한 제어에 국한되어 사용자의 상황이나 성향에 따른 세밀한 제어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IoT 연동 플랫폼을 제공하여 업체 또는 사물 간의 이질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상호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홈 내외에 다양한 IoT 사물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물 인터넷을 통해 사물 단위별로 각각 검침(에너지 사용량)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 생활 패턴 및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3013호(2015.07.16.)는 사물 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구입한 사물기기를 QR코드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고,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에 따라 사물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물의 제어로직에 따라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일부분 유사한 점은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사물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물에 내장되거나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사물 정보, 상태 정보, 사용자활동 정보 및 환경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황에 대한 분석, 예측 또는 추론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481536호(2015.01.06.)호는 디바이스 동적 연결을 위한 제어/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시나리오에 맞춰서 손쉽게 구성 및 연결하고, 필요시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에서 디바이스들의 동작 설정을 쉽게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편리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구현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동작에 대해 사용자 원하는 시나리오에 맞춰 제어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한 점이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단순히 하나의 조건으로 상기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복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상황정보, 상태정보, 환경정보, 사용자활동 정보, 각 디바이스들의 에너지 사용량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분석, 예측 또는 추론하여 상황인지 및 사용자 반응형 사물 제어가 가능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9329호(2014.06.26.)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댁내에서 홈 디바이스 별 또는 각 룸별 전력 소비량을 모니터링하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으로 전력을 과소비하는 해당 홈 디바이스 또는 해당 룸의 전력 소비량을 제한하거나 또는 제어하는 에너지 절약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댁내에 위치하는 각 디바이스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제어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한 점이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IoT를 기반으로 개별 사물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검침하고, 기 저장한 각 사물별 에너지 소비량과 비교/분석하여, 해당 기기의 에너지 소비량의 추이를 예측하고, 사용자 생활 패턴 및 에너지 사용 패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 에너지 제어를 예측하고 적용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업체나 사물 간의 이질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상호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IoT 연동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변환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지 않고도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사물단위로 센싱이 가능하고, 환경과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어 로직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개별 에너지 사용 정보의 분석과 예측을 통하여 합리적인 에너지 소비를 유도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센싱부,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제어 로직 실행부 및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에 따른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이벤트 센싱부를 통해서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는 상황인지 및 추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이벤트 센싱부를 통해서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거나 기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의 변화를 예측하는 정보 예측부 및 상기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나 관련 기관으로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수요반응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사물 기기제어, 웹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그 및 다이어리 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벤트 센싱부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센싱 단계,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수행하는 제어 로직 실행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는 상황인지 및 추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거나 기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정보 분석 단계,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의 변화를 예측하는 정보 예측 단계 및 상기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나 관련 기관으로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경고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요반응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사물 기기제어, 웹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그 및 다이어리 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질적인 IoT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물 간에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제어 로직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제어 로직을 제공함으로써,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사용자 개인의 취향이나 환경에 맞게 사물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IoT 분석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IoT 제어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분석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제어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IT 분야의 큰 변화에 따라 사물 인터넷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사물에 센스 또는 태그 등을 부착하고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개념에서 사물 자체가 스마트 디바이스화 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기존의 인터넷을 통해 사물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공급자들의 시각에서만 정의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급자와 사물 간의 이질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을 소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IoT 연동 플랫폼(200)을 제공함으로써, 이질적인 IoT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물 간에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로직을 사용자가 직접 저작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공급자가 아닌 사용자의 성향과 환경에 관련하여 세밀하게 사물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개별 사물 단위별로 에너지 사용 정보의 분석과 예측을 통해 각 사물 별로 동적으로 에너지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서비스 플랫폼(100)는 수용가(예를 들어, 가정집, 사무실, 빌딩, 공공기관 또는 산업현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IoT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정보는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이며, 상기 사물 정보는, 센서가 내장되거나 장착된 사물의 식별번호, 사물의 이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물 자체의 정보를 말하며, 이는 사물뿐만 아니라 센서 자체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물 정보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을 구별할 유일한 식별자를 말하며, 이는 식별번호, IP, 특정이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는, 환경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사물의 상태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연기, 일산화탄소의 농도(CO 농도), VOC의 농도(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농도), 조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통한 사용자 위치정보(Location Based Service, LBS) 또는 지오펜스 정보(Geo Fence)를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지칭하며, 상기 사물의 상태 정보는 사물이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 과전력, 누전, 온도,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이미지로 수집되는 연기, 불꽃, 이상 징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IoT 연동 플랫폼(200)은 상기 복수의 IoT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IoT 연동 플랫폼(200)은 서로 다른 IoT 프로토콜(예를 들어, CoAP와 MQTT)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사물들을 상호 연동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IoT 연동 플랫폼(200)은, 웹 서비스 계층에 작동하는 IoT 프로토콜/메시지를 번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종 IoT 프로토콜의 상호 연동 및 응용 계층의 App-To-App의 상호 연동을 지원한다. 이는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이 다양한 프로토콜이나 서비스 망에 관계없이 상기 사물들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IoT 연동 플랫폼(200)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나 서비스 망을 사용하는 IoT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로써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상기 IoT 연동 플랫폼(200)을 통해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제공 받아, 상기 센싱 정보를 조건으로 하여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상기 수신한 센싱 정보를 사물 또는 센서별로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센싱 정보 중에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으로써,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서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조건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IoT 조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도가 일정 룩스(LUX)이상 또는 일정 룩스 이하 일 경우에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할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상기 사물의 제어 방향 또는 제어 방식을 도출해 내는 일종의 알고리즘이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제어 로직일 수 있으며,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Open API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공급자 중심으로 그 제어 기능이 설계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즉 제어 장치가 단순히 공급자가 설정한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그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사물을 제어하게 된다. 이는 상기 사물의 제어를 개인의 취향에 맞게 제어할 수 없으며 더 나아가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소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를 통해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겨울철 방의 온도가 20도 이하로 떨어지면(이벤트) 보일러를 작동(제어 방향 또는 제어 방식)하는 경우, 상기 방의 온도가 20도 이하로 떨어지면 무조건적으로 보일러를 작동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댁내에 없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조건과 제어 방향 또는 제어 방식에 따라 보일러는 작동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개인의 취향에 맞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단순히 상기 센싱 정보에 의해서만 사물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을 통해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고 분석하여 사물의 제어 방식이나 제어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이벤트(겨울철 방 온도가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사용자의 경험(업무 시간에는 사용자는 댁내에 없거나, 사용자의 귀가 시간)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상기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귀가 시간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어 로직을 저작함에 있어, 사용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의 지오팬스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 이내에 사용자가 인접하는 경우를 더 포함시켜, 특정 시간 후에 현관의 등을 온/오프 시키거나 보일러를 작동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온전히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 의한 사물의 제어보다는 인간의 경험을 개입시켜 신뢰성과 안전성이 보장되고 개인의 취향에 맞게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로직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거나 저작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에 의해 개인별 최적의 알고리즘으로 수렴할 수 있다. 이는 여러 가지 상황 인지형 알고리즘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사물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제어 로직은 생활 패턴 또는 에너지 소비 경향 등이 비슷한 다른 사용자에게 벤치마킹되어 공유 및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한 센싱 정보에 대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센싱 정보와 기 저장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센싱 정보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댁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 측정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점점 빠른 속도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해당 댁내에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이상 징후가 발생했다는 것을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 및 관련 기관(소방서, 병원 또는 119)에게 알림 및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상기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을 인지한 경우에는, 복수의 사물들을 상기 제어 로직을 거치지 않고 곧 바로 상기 사물들에 대하여 긴급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프링쿨러의 온 또는 기타 사물들의 오프).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물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제어 명령과 사물의 컨트롤러를 각각 매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 외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인지한 경우, 스프링쿨러를 온/오프 시키는 제어 명령과 매핑된 스프링쿨러의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스프링쿨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어 명령의 어떠한 변환이나 해석 없이 특정 사물들을 곧 바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수용가에서 상기 IoT 연동 플랫폼(200)이 내장된 월 패드(Wall Pad)를 구비하여,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 제공하거나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으로부터 상기 사물의 제어 명령을 수신 받아 상기 사물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월 패드는 상기 센싱 정보 및 사물의 제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월 패드 자체가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용가 내외의 모든 센싱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고,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 의한 사물의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IoT 연동 플랫폼의 설치 장소를 수용가 내외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할지 아니면 클라우드 상에 공통으로 설치하여 운영할지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DR(수요반응, Demand Response)서비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댁 내외 설치된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사용자가 원격에서 상기 사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로그 및 다이어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IoT 협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사물 인터넷에 연결된 다양한 서비스와 협업하여 매쉬업(Mash-up)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각 사물별 에너지 소비량(검침)을 분석하여 DR서비스 및 각 사물별 전력 사용량에 따른 요금 정보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R서비스는 최소의 비용으로 소비자의 전기 에너지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소비자의 전기 사용 패턴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서비스로써,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전력 소비자의 평소 전력 사용 패턴의 변화를 유도하여 에너지 소비 및 낭비를 줄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Open API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만의 제어 로직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매쉬업 서비스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소스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들고 개발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IoT 분석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은, IoT 분석 플랫폼(110) 및 IoT 제어 플랫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 사물 정보와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111),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추론하는 상황인지/추론부(112),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거나 기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113), 상기 분석한 상황을 예측하는 정보 예측부(114), 상기 예측한 상황을 알림 및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알림/경고 출력부(115) 및 상기 예측한 결과에 상황에 따라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IoT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IoT 센서로부터 직접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정보는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말한다.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는 상기 정보 분석부(113) 및 상황인지/추론부(112)로 전송되어 사물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수집한 센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상황인지/추론부(112)는, 상기 수집한 센싱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리빙 패턴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상황을 인지하고 추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생활패턴, 에너지 사용 패턴, 각 사물별 사용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 활동에 대한 정보로써, 사용자가 댁내에 귀가하는 시간, 잠자는 시간, 사물의 사용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 활동 정보이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센싱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지오펜스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황인지/추론부(112)는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와 사물의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추론하고, 추론한 결과를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환경에 맞게 각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분석부(113)는, 상기 수집한 센싱 정보와 기 저장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댁내외의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집한 센싱 정보와 기 저장된 센싱 정보를 지속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댁내외의 온도, 습도, 조도, 일산화탄소의 농도, 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의 변화, 사용자 활동의 변화, 상태 정보의 변화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정보 예측부(114)는, 상기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환경 정보, 사물 정보, 상태 정보,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센싱 정보의 변화에 대한 추이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측한 결과, 댁내의 특정 사물의 에너지 사용량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경우와 같은 예외 상황이 예측되는 경우, 해당 사물의 온/오프를 원격 제어부(116)를 통해 긴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경고 출력부(115)는, 상기 예측한 결과를 사용자에 알림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정보 분석부(113) 및 정보 예측부(114)를 통해 화재 등과 같은 예외 상황이 인지되는 경우에는, 알림/경고 출력부(115)를 통해 사용자 및 해당 관공서로 알림 메시지 및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부(116)는, 상기 정보 예측부(114)에서 예측한 결과를 기반으로, 예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화재, 방범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복수의 사물을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지 않고, 곧 바로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을 통해 복수의 사물을 긴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은, 상기 상황인지/추론부(112)에서 추론한 결과를 이벤트로 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는 일반 제어 또는 예외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지 않고 원격 제어부(116)를 통해 사물을 긴급하게 제어하는 긴급 제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은, 상기 정보 분석부(113)를 통해 각 사물별로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에너지 사용량과 기 저장된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에너지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정보 예측부(114)를 통해 상기 분석한 에너지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각 사물별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한다. 또한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은, 상기 예측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분석한 에너지 소비 패턴 분석을 상기 알림/경고 출력부(115)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은 상기 복수의 사물들에 대한 제어를 일반 제어와 긴급 제어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 분석부(113)와 상기 정보 예측부(114)를 통한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IoT 제어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센싱부(121),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수행하는 제어 로직 실행부(122) 및 상기 제어 로직 실행부(122)에서 수행한 제어 로직의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제공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센싱부(1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수신된 센싱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로직 실행부(122)의 제어 로직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은, 상기 이벤트 센싱부(121)로부터 센싱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센싱부(121)는, IoT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고성능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IoT 네트워크의 환경에 맞게 상기 복수의 IoT 센서와 각각 채널별로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센싱부(121)는 상기 복수의 센서만큼 채널을 할당하거나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 실행부(122)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제어를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로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어 로직의 수행 결과는 상기 복수의 사물에 대한 제어 방향이나 제어 방식으로 도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제어 로직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서 제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작한 제어 로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은 하나의 이벤트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향이나 제어 방식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기계에 의한 추론이나 제어 결정이 아닌 수용가가 사용자 개인의 취향이나 환경에 따라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결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함에 있어, 인간의 경험을 개입시켜 신뢰성과 안정성이 보장되고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맞게 사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로직은 다수의 경험적 축적에 의해 사용자 개인별 최적의 제어 로직으로 수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개인에 의해 저작된 제어 로직은 상기 사용자가 비슷한 생활 패턴 또는 에너지 소비 패턴과 같이 사용자 성향이 비슷한 사람에게 벤치마킹되거나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부(123)는,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여 도출된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상기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사물을 제어하거나, 관련 기관에 call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부(123)는, 상기 이벤트 센싱부(121)와 같이 상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컨트롤러와 채널별로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제공부(123)는,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만큼 채널을 할당하거나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분석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한편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은, 상기 사물 정보,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을 일반 제어와 긴급 제어를 나누어 제어할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우선 일반 제어의 경우에는, 상기 정보 수집부(111)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100). 한편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황인지/추론부(112)를 통해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활동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추론하여(S110), 상기 추론한 결과를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으로 전송한다(S111). 이는 상기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경험을 개입시켜 사용자의 성향이나 취향에 따라 상기 사물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은 상기 추론 결과를 제어 로직의 실행 조건(이벤트)로 하여 제어 로직을 실행하며(S112), 상기 제어 로직의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IoT 서비스 제공부(123)를 통해 사물을 제어한다(S113).
한편 상기 제어 로직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제어 로직이 있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여 상기 사물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에서 제공한 기본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하여 상기 사물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이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실행되는 제어 로직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긴급 제어의 경우에는, 상기 정보 분석부(113)를 통해 상기 정보 수집부(111)가 수집한(S110)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300)에 기 저장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S120). 한편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량, 변화 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 예측부(114)를 통해 상기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를 예측한다(S121). 예를 들어, 상기 분석한 결과가 사물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의 변화량 또는 변화에 대한 속도인 경우, 상기 변화량과 변화 속도를 바탕으로 상기 사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알림/경고 출력부(115)를 통해 상기 예측한 결과를 사용자 및 해당 기관에게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송신하거나 출력한다(S122).
다음으로 상기 원격 제어부(115)를 통해 상기 예측한 결과에 따라 사물을 원격으로 제어한다(S123). 이는 상기 제어 로직을 통한 제어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제어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한편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을 구성하는 IoT 분석 플랫폼(110)과 IoT 제어 플랫폼(120)에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 4와 도 5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과 상기 IoT 제어 플랫폼(120)이 서로 따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동하여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제어 플랫폼(120)을 통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에 있어서, 우선 상기 이벤트 센싱부(121)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로부터 제어 로직을 실행할 이벤트를 감지한다(S210).
한편 상기 이벤트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로직 실행부(122)를 통해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제어 로직을 실행한다(S220).
다음으로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새롭게 저작한 제어 로직이 있는 경우(230),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으로부터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추론한 결과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S240), 상기 추론한 결과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추론한 결과를 이벤트(제어 로직 실행의 조건)로 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고(S250), 상기 실행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을 제어한다(S260).
한편 상기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이 없는 경우(S230)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하여(S231), 상기 수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을 제어한다(S260). 또한 상기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이 있으나(S230)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으로부터 추론한 결과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S240)에는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조건으로 상기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S241).
한편 상기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은, 상기 IoT 로직 제어 플랫폼(1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제어 로직을 저작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기존의 제어 로직을 변경하여 설정한 제어 로직을 말한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인 IoT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제어 방법은 단순히 특정 조건(이벤트)을 만족하면 사물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제어 로직을 제공함으로써,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사용자 개인의 취향이나 환경에 맞게 사물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써, IoT 서비스 플랫폼(100)을 활용하여, 개별 사물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검침하고 상기 제어 로직에 의해 자동으로 각 사물별 에너지 소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을 통해 댁 내외의 다양한 생활정보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활동 정보(행동양식, 거주패턴, 에너지 소비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를 상기 IoT 분석 플랫폼(110)을 통해 분석 및 예측하여 에너지 수요반응 서비스를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100)을 통해 댁내의 에너지를 다량으로 소비하는 사물별로 소비량을 측정, 분석 및 예측하여 사물별 에너지 소비패턴과 단기 예측 사용량을 분석한 정보 및 사물별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요금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IoT 서비스 플랫폼 110 : IoT 분석 플랫폼
111 : 정보 수집부 112 : 상황인지/추론부
113 : 정보 분석부 114 : 정보 예측부
115 : 알림/경고 출력부 116 : 원격 제어부
120 : IoT 제어 플랫폼 121 : 이벤트 센싱부
122 : 제어 로직 실행부 123 : IoT 서비스 제공부
200 : IoT 연동 플랫폼 3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센싱부;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제어 로직 실행부; 및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에 따른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센싱부는, 복수의 센서에 대해서 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센싱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IoT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여 도출된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사물을 제어하거나 관련 기관에 call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컨트롤러와 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고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이벤트 센싱부를 통해서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는 상황인지 및 추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상기 이벤트 센싱부를 통해서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거나 기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의 변화를 예측하는 정보 예측부;
    상기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및
    상기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나 관련 기관으로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경고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을 통해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고 분석하여 사물의 제어 방식이나 제어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로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어 로직의 수행 결과는 사물에 대한 제어 방향이나 제어 방식으로 도출되며, 상기 제어 방향이나 제어 방식은 사용자 개인의 취향이나 환경에 따라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결정하고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함에 있어서 인간의 경험을 개입시켜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물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경험적 축적에 의해 사용자 개인별 최적의 제어 로직으로 수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사용자 개인에 의해 저작된 제어 로직은 상기 사용자가 비슷한 생활 패턴 또는 에너지 소비 패턴과 같이 사용자 성향이 비슷한 사람에게 벤치마킹되거나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
  6. IoT 서비스 플랫폼 장치를 통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센싱부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센싱 단계;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로직을 수행하는 제어 로직 실행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센싱 단계는, 복수의 센서에 대해서 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센싱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제어 로직을 수행하여 도출된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어 로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사물을 제어하거나 관련 기관에 call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컨트롤러와 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고 매핑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는 상황인지 및 추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사물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수집한 사물 정보 및 상태 정보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거나 기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정보 분석 단계;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의 변화를 예측하는 정보 예측 단계;
    상기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단계; 및
    상기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나 관련 기관으로 알림이나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경고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저작한 제어 로직을 통해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고 분석하여 사물의 제어 방식이나 제어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로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조건으로 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어 로직의 수행 결과는 사물에 대한 제어 방향이나 제어 방식으로 도출되며, 상기 제어 방향이나 제어 방식은 사용자 개인의 취향이나 환경에 따라 사물의 제어 방식 또는 제어 방향을 결정하고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사물을 자동으로 제어함에 있어서 인간의 경험을 개입시켜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물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경험적 축적에 의해 사용자 개인별 최적의 제어 로직으로 수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사용자 개인에 의해 저작된 제어 로직은 상기 사용자가 비슷한 생활 패턴 또는 에너지 소비 패턴과 같이 사용자 성향이 비슷한 사람에게 벤치마킹되거나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22971A 2015-08-31 2015-08-31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71A KR101745311B1 (ko) 2015-08-31 2015-08-31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71A KR101745311B1 (ko) 2015-08-31 2015-08-31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85A KR20170025885A (ko) 2017-03-08
KR101745311B1 true KR101745311B1 (ko) 2017-06-09

Family

ID=5840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71A KR101745311B1 (ko) 2015-08-31 2015-08-31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088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LoRa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2305B2 (en) 2017-03-17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outine disruption handling and routine management in a smart environment
KR101874351B1 (ko) 2017-09-06 2018-08-02 주식회사 그렉터 사물 인터넷 기반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40233B1 (ko) * 2017-12-20 2022-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석 기반 자동화 시스템 운영을 위한 IoT 기기 자동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317654B1 (ko) * 2019-12-30 2021-10-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088A (ko) *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LoRa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
KR102112730B1 (ko) 2017-11-27 2020-05-19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LoRa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85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311B1 (ko) IoT 제어 로직 및 그 제어 방법
US105583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Lee et al. An integrated cloud-based smart home management system with community hierarchy
US10416205B2 (en) Monitoring of resource consumption patterns in an automated environment including detecting variance in resource consumption
Byun et al. An intelligent self-adjusting sensor for smart home services based on ZigBee communications
US7865252B2 (en) Upgradeable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KR101662507B1 (ko)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US9767249B1 (en) Energy consumption via VPN configuration management
US8429435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ergy management and other applications
EP2506232B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ystem
Joshi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and IoT based monitoring for smart home
US9588506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ergy management and other applications
JP2004342081A (ja) 制御装置、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581439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including controllable transfer switches
US20120299728A1 (en) Occupancy Sensor with Stored Occupancy Schedule
de Farias et al. A control and decision system for smart buildings using wireless sensor and actuator networks
KR101363115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6855B1 (ko)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
CA3108929C (en) Cloud-based autom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JP200921269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e et al.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device with middleware based living pattern learning for power reduction
Omran et al. A survey of various intelligent home applications using IoT and intelligent controllers
AU2020102301A4 (en) FNUI-Real Time-Alert: FLOOD NOTIFICATION AND REAL TIME-ALERT USING IOT
KR20180129260A (ko) 시리얼-로라 통신 변환 장치
JP2013200727A (ja) 警報連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