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057B1 - 결합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결합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057B1
KR101744057B1 KR1020150051648A KR20150051648A KR101744057B1 KR 101744057 B1 KR101744057 B1 KR 101744057B1 KR 1020150051648 A KR1020150051648 A KR 1020150051648A KR 20150051648 A KR20150051648 A KR 20150051648A KR 101744057 B1 KR101744057 B1 KR 10174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s
disposed
body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875A (ko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이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호 filed Critical 이선호
Priority to KR1020150051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0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결합용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용 구조체는, 제1 홀을 갖는 제1 판과 제2 홀을 갖는 제2 판을 결합하는 결합용 구조체로서,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판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판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위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하부면의 면적이 상기 제1 부재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결합용 구조체에 의해 분전반 등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빠르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전반 등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용 구조체{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 등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은 공장, 건물, 아파트와 같은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동시에 과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고 부하 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분전반은 메인 차단기, 분기 차단기, 메인 부스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는 구성부품들이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구성부품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구성부품들을 덮는 상부판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을 볼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분전반을 제조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전반 등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는, 제1 홀을 갖는 제1 판과 제2 홀을 갖는 제2 판을 결합하는 결합용 구조체로서,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판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판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위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하부면의 면적이 상기 제1 부재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반원통형이고, 상기 제2 부재는 반원뿔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 또는 스터드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은 상기 제1 판과 접촉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 단부면은 상기 제2 판과 접촉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에 의해 분전반 등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빠르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전반 등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결합용 구조체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의 결합용 구조체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전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는 상부판과 하부판을 포함하는 배전반, 저압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전반(1)은 하부판(10)과 상부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판(10)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홀(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판(20)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판(20)에는 메인 차단기(100), 분기 차단기(200), 메인 부스바(300), 분기 부스바(400), 및 메인 부스바 지지대(500)를 포함하는 분전반(1)의 구성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판(20)은 하부판(10) 위에 배치된 상기 구성부품들을 덮을 수 있다.
메인 차단기(100)는 주 배선용 차단기로 하나의 분전반(1)에 한 개가 배치될 수 있고, 분기 차단기(200)는 분기 배선용 차단기로 하나의 분전반(1)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00)에 복수 개의 메인 부스바(300)가 연결되고, 분기 차단기(200)에 복수 개의 분기 부스바(400)가 메인 부스바(300)와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메인 부스바 지지대(500)는 메인 부스바(100) 중 메인 차단기(100) 측에 접속되는 단부의 반대 측 단부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용 구조체(600)는 하부판(10)과 상부판(20)을 서로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결합용 구조체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용 구조체(600)는 몸체부(610), 제1 결합부(620), 및 제2 결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10)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양 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결합부(620)는 몸체부(610)의 일 단부면 위에 배치되고, 제1 고정부(621)와 제2 고정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21)와 제2 고정부(6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고정부(621)와 제2 고정부(622)는 제1 부재(621a, 622a)와 제2 부재(621b, 6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621a, 622a)는 몸체부(610)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배치되고, 제2 부재(621b, 622b)는 제1 부재(621a, 622a) 위에 배치된다. 제1 부재(621a, 622a)는 반원통형일 수 있고, 제2 부재(621b, 622b)는 반원뿔형일 수 있다. 제1 부재(621a, 622a)의 상부면과 제2 부재(621b, 622b)의 하부면이 서로 접촉하며, 제2 부재(621b, 622b)의 하부면의 면적이 제1 부재(621a, 622a)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크다. 즉, 제1 부재(621a, 622a)에 연결되는 제2 부재(621b, 622b)의 부분은 제1 부재(621a, 622a)의 폭보다 크다.
제1 고정부(621)와 제2 고정부(622)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부재(621a, 622a)와 제2 부재(621b, 622b)의 일 측면은 상기 대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부재(621b, 622b)의 상기 대향면의 반대쪽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몸체부(610)의 상기 일 단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취한 제2 부재(621b, 622b)의 단면은 제1 부재(621a, 622a)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 제1 고정부(621)와 제2 고정부(622)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고, 상기 외부의 힘의 제거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제1 결합부(620)는 상부판(20)의 제2 홀(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2 부재(621b, 622b)가 반원통형으로 그 측면이 경사져있기 때문에 제2 홀(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610)의 일 단부면은 상부판(20)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제1 부재(621a, 622a)의 측면은 제2 홀(21)의 측면과 접촉하며, 제2 부재(621b, 622b)의 하부면은 상부판(20)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부(620)가 제2 홀(2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 결합부(620)는 상부판(20)에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40)는 하부판(10)의 제1 홀(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2 결합부(640)는 예를 들어, 스터드 볼트일 수 있다. 제2 결합부(640)가 제1 홀(11)에 삽입된 후 너트(64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제2 결합부(640)는 하부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610)의 타 단부면은 하부판(10)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몸체부(610)의 양 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하부판(10) 및 상부판(20)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하부판(10)과 상부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하부판(10) 및 상부판(20)과 결합하는 결합용 구조체(600)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결합용 구조체(600)의 제1 결합부(620)가 하부판(10)의 제1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결합부(640)가 상부판(20)의 제2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용 구조체(600)의 결합 방향은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형상과 크기, 제1 홀(11)과 제2 홀(21)의 형상과 크기, 작업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결합용 구조체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2 결합부(630)가 제1 결합부(6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부(630)는 몸체부(610)의 타 단부면 위에 배치되고, 제1 고정부(631)와 제2 고정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31)와 제2 고정부(63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고정부(631)와 제2 고정부(632)는 제1 부재(631a, 632a)와 제2 부재(631b, 6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631a, 632a)는 몸체부(610)의 상기 타 단부면 위에 배치되고, 제2 부재(631b, 632b)는 제1 부재(631a, 632a) 위에 배치된다. 제1 부재(631a, 632a)는 반원통형일 수 있고, 제2 부재(631b, 632b)는 반원뿔형일 수 있다. 제1 부재(631a, 632a)의 상부면과 제2 부재(631b, 632b)의 하부면이 서로 접촉하며, 제2 부재(631b, 632b)의 하부면의 면적이 제1 부재(631a, 632a)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크다. 즉, 제1 부재(631a, 632a)에 연결되는 제2 부재(631b, 632b)의 부분은 제1 부재(631a, 632a)의 폭보다 크다.
제1 고정부(631)와 제2 고정부(632)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부재(631a, 632a)와 제2 부재(631b, 632b)의 일 측면은 상기 대향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부재(631b, 632b)의 상기 대향면의 반대쪽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몸체부(610)의 상기 타 단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취한 제2 부재(631b, 632b)의 단면은 제1 부재(631a, 632a)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 제1 고정부(631)와 제2 고정부(632)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고, 상기 외부의 힘의 제거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제2 결합부(630)는 하부판(10)의 제1 홀(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2 부재(631b, 632b)가 반원통형으로 그 측면이 경사져있기 때문에 제1 홀(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610)의 타 단부면은 하부판(10)의 상부면과 접촉하고, 제1 부재(631a, 632a)의 측면은 제1 홀(11)의 측면과 접촉하며, 제2 부재(631b, 632b)의 하부면은 하부판(10)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2 결합부(630)가 제1 홀(1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2 결합부(630)는 하부판(10)에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용 구조체(600)는 제1 결합부(620)와 제2 결합부(630)에 의해 하부판(10)과 상부판(20)과 더욱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용 구조체(600)의 제1 결합부(620)는 제1 고정부(621), 제2 고정부(622), 제3 고정부(623), 및 제4 고정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21), 제2 고정부(622), 제3 고정부(623), 및 제4 고정부(624)는 몸체부(610)의 일 단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부(620)가 네 개의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더욱 탄력적일 수 있고, 하부판(10)의 제1 홀(11) 또는 상부판(20)의 제2 홀(21)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용 구조체(600)의 타 단부면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도 제1 결합부(6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분전반 10 : 하부판
11 : 제1 홀 20 : 상부판
21 : 제2 홀 100 : 메인 차단기
200 : 분기 차단기 300 : 메인 부스바
400 : 분기 부스바 500 : 메인 부스바 지지대
600 : 결합용 구조체 610 : 몸체부
620 : 제1 결합부 630, 640 : 제2 결합부
621, 631 : 제1 고정부 622, 632 : 제2 고정부

Claims (5)

  1. 제1 홀을 갖는 제1 판과 제2 홀을 갖는 제2 판을 결합하는 결합용 구조체로서,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판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판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 위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위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하부면의 면적이 상기 제1 부재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반원통형이고, 상기 제2 부재는 반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 또는 스터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 단부면은 상기 제1 판과 접촉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 단부면은 상기 제2 판과 접촉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구조체.

KR1020150051648A 2015-04-13 2015-04-13 결합용 구조체 KR10174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48A KR101744057B1 (ko) 2015-04-13 2015-04-13 결합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48A KR101744057B1 (ko) 2015-04-13 2015-04-13 결합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75A KR20160121875A (ko) 2016-10-21
KR101744057B1 true KR101744057B1 (ko) 2017-06-09

Family

ID=5725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48A KR101744057B1 (ko) 2015-04-13 2015-04-13 결합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0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37Y1 (ko) * 2002-04-29 2002-07-22 김양진 분전반 누전차단기 보호커버 고정용 스테이볼트
KR200431580Y1 (ko) 2006-09-11 2006-11-23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통합형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37Y1 (ko) * 2002-04-29 2002-07-22 김양진 분전반 누전차단기 보호커버 고정용 스테이볼트
KR200431580Y1 (ko) 2006-09-11 2006-11-23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통합형 고정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75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8550830B1 (en)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hree busway at its three ends
KR102217479B1 (ko) 모듈식 스위치기어 캐비닛 시스템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US8829346B2 (en) Bus bar retention snaps for a base pan assembly
CA2829913A1 (en) Bolt free electrical bus connector
KR101744057B1 (ko) 결합용 구조체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1909406B1 (ko) 플러그 커넥터용 벽 부싱
KR101617201B1 (ko)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US7121868B2 (en) Electrical splice connector
KR200485887Y1 (ko) 조립식 트레이용 가로대
CA2850144C (en) Connection apparatus connectable with neutral bus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JP2016079622A (ja) ソーラーパネル固定装置
KR101270117B1 (ko) 전기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용 전기 컨트롤러
US8063732B2 (en) Electrical resistor structure
JP5760240B2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1791875B1 (ko) 분전반용 접지장치
KR20080090901A (ko) 절연 샤프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스 덕트 연결용조인트 키트
KR101578293B1 (ko) 절개부가 형성된 부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바 결합 어셈블리
JP5236091B2 (ja) 電線と電気機器との接続端子
KR100518791B1 (ko) 분배전반
DE19724089A1 (de)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nebeneinander aufgereihter elektrischer Schalter
KR101447117B1 (ko) 클립타입의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