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905B1 - 원심분리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원심분리 보관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3905B1 KR101743905B1 KR1020170016895A KR20170016895A KR101743905B1 KR 101743905 B1 KR101743905 B1 KR 101743905B1 KR 1020170016895 A KR1020170016895 A KR 1020170016895A KR 20170016895 A KR20170016895 A KR 20170016895A KR 101743905 B1 KR101743905 B1 KR 1017439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groove
- fixing table
- fixing
- front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2007/005—Retaining arms for gripping the stationary part of a centrifuge bowl or hold the bowl itself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누 등의 대상물에 묻은 물기를 원심력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물기가 용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고, 나아가, 미끄러운 비누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누 등의 대상물에 묻은 물기를 원심력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물기가 용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고, 나아가, 미끄러운 비누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원심분리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그 용도에 따라 크게, 세면용 비누와 세탁용 비누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비누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비누 케이스는 그 대부분이 일정한 용기 형태로 사출성형되어 제공되는 것으로서, 비누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물기가 잘 빠지도록 밑면에 배수구가 형성된다.
최근에는 비누와 비누케이스, 그리고 비누와 물기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비누의 착탈이 매끄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비누 케이스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2125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21256호의 경우, 상기 비누에 묻은 물기가 비누 케이스의 배수공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흘러내려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비누 케이스내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상기 비누에 묻은 물기가 상기 배수공으로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상기 비누에 묻은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비누 등의 대상물에 묻은 물기를 원심력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물기가 용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고, 나아가, 미끄러운 비누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원심분리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보관되고, 상기 대상물에 포함된 물기를 원심력에 의해 제거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의 내면에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상기 용기부 내의 물기를 상기 용기부의 하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내경 크기는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받침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부 방향에 구비되는 하부받침부재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받침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축이 형성되며,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부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의 홈의 내면에 상기 홈과 연통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축의 외면에 상기 고정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용기부의 홈의 내면과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축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홈에 상기 용기부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각도유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대가 수평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의 전측 내부에 다각형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상기 고정대의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끼움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전측이 고정되는 전측고정대와; 상기 전측고정대의 전측이 상기 전측고정대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되도록 상기 전측고정대의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후측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벽면에 상기 고정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벽면에 상기 고정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벽면에 상기 고정대의 좌우이동과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상하이동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누 등의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보관되는 용기부를 회전시켜 비누 등의 대상물에 묻은 물기를 원심력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용기부의 내면에 묻은 물기가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된 비누 등의 대상물이 사용자의 손바닥 위로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어 미끄러운 비누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기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심분리 보관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용기부가 뒤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용기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된 대상물이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로 이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받침부의 하부에 부착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받침부가 세면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생도기에 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받침부의 하부에 수평구비된 고정대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고정대로부터 받침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용기부가 벽면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고정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안내부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고정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고정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안내부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4는 고정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5는 고정대의 좌우이동과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상하이동안내부의 일부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E - E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27은 좌우상하이동안내부에 의해 고정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8은 좌우상하이동안내부에 의해 고정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용기부가 뒤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용기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된 대상물이 사용자의 손바닥 부위로 이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받침부의 하부에 부착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받침부가 세면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생도기에 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받침부의 하부에 수평구비된 고정대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고정대로부터 받침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용기부가 벽면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고정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안내부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고정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고정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안내부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4는 고정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5는 고정대의 좌우이동과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상하이동안내부의 일부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E - E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27은 좌우상하이동안내부에 의해 고정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8은 좌우상하이동안내부에 의해 고정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심분리 보관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용기부가 뒤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심분리 보관용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용기부(10)와 받침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용기부(10)의 내부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비누 등의 대상물이 보관된다.
상기 용기부(10)의 내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10)가 등간격으로 방사형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10)는 상기 용기부(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10)로 인해 비누 등의 대상물이 상기 용기부(10)의 내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용기부(10)의 내면에 묻은 물기가 막힘현상없이 상기 용기부(10)의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용기부(10)내의 물기를 상기 용기부(10)의 하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부(10)의 내면에 묻은 물기가 상기 배출구(120) 방향으로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기부(10)의 내경크기는 상기 용기부(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부(10)는 상기 용기부(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20)의 상부에 상기 용기부(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용기부(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받침부재(210)와 상부받침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부재(210)는 상기 용기부(10)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재(2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은 각각 상기 용기부(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재(220)의 하부는 상기 하부받침부재(2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부받침부재(2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재(220)는 상기 용기부(10)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기 용기부(10)의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물기가 포함된 비누 등의 대상물(3)이 수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도 7은 용기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부위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부(10)와 함께 상기 상부받침부재(22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부(10)를 회전시켜 비누 등의 대상물에 묻은 물기를 원심력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용기부(10)의 내면에 묻은 물기는 상기 용기부(10)의 배출구(120) 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상기 용기부(10)의 하부 외부로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용기부(10)가 회전하는 과정 중에 물기가 상기 용기부(10)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튀는 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용기부(10)의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부(10)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용기부(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수평함몰되는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재(2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상기 홈(130) 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홈(130)에 각각 삽입되는 축(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0)의 내경크기는 상기 축(221)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용기부의 내부에 보관된 대상물이 사용자의 손바닥부위로 이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221)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부(10)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바닥부위가 상기 용기부(10)의 하부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용기부(10)의 전측 상부 또는 후측 상부를 상기 용기부(10)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하부를 상기 용기부(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부(10)의 하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바닥부위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상기 용기부(10)의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뒤집혀질 수 있고, 이때 뒤집혀진 상기 용기부(10)의 내부에 보관된 물기가 제거된 비누 등의 대상물(3)은 사용자의 손바닥위로 용이하게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어 미끄러운 비누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부(1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용기부(10)가 상기 용기부(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홈(130)의 내면 하부에는 상기 홈(130)과 연통되는 고정홈(140)이 상기 홈(13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받침부재(220)의 축(221)의 하부 외면에는 상기 고정홈(14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14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재(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22)는 상기 축(221)의 하부 외면에 일체형성되는 돌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축(221)의 하부외면에 구비되는 볼스프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용기부(10)의 하부가 전후회전이동되는 과정 중에는 상기 고정홈(140)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재(222)가 이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용기부(10)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각도유지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유지부재(13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의 홈(130)의 내면과 상기 상부받침부재(220)의 축(221)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부(10)의 홈(130)에 구비되어 상기 축(221)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무, 실리콘, 실리콘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받침부의 하부에 부착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의 하부받침부재(210)의 하부에는 흡착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받침부가 세면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위생도기에 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흡착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부착부재(23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면대 등의 위생도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대상물(5)의 상부에 부착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면대 등의 위생도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대상물(5)에 상기 받침부(20)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받침부의 하부에 수평구비된 고정대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의 하부받침부재(210)의 외면에는 건축물 등의 실내공간의 벽면(7)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대(24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40)의 전측은 상기 하부받침부재(210)의 외면에 일체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은 벽면(7)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거나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7)에 부착고정되는 흡착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부재(250)에 의해 안정적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고정대로부터 받침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대(240)로부터 상기 받침부(20)를 분리하여 분리된 상기 받침부(20)와 함께 상기 용기부(10)를 세면대 등의 위생도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대상물(5)에 부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240)의 전측 내부에는 끼움홈(24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부(20)의 하부받침부재(21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대(240)의 끼움홈(241)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축(211)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40)의 끼움홈(241)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고정대(24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축(211)은 상기 고정대(240)의 끼움홈(24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끼움홈(241)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41)과 상기 끼움축(211)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대(240)에 고정된 상기 받침부(20)가 상기 고정대(240)의 원주를 따라 회전이동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용기부가 벽면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용기부(10)가 사용자에 의해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면(7)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240)는 전측고정대(242)와 후측고정대(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대(242)의 전측은 상기 받침부(20)의 하부받침부재(210)의 외면에 일체형으로 고정 또는 상기 전측고정대(242)의 전측이 상기 받침부(20)의 하부받침부재(210)의 끼움축(211)에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측고정대(242)의 전측에 상기 끼움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대(242)의 전측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측고정대(242)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되도록 상기 전측고정대(242)의 후측에 상기 후측고정대(243)의 전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고정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안내부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고정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일예로, 벽면(7)에는 상기 고정대(24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안내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안내부(30)는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안내프레임(310), 좌우이동몸체(320) 및 수평리드스크류(330)를 포함하여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은 벽면(7)에 수평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일측과 타측은 폐쇄될 수 있고,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평가이드슬릿(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320)는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내측에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이 상기 수평가이드슬릿(3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은 상기 좌우이동몸체(320)의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리드스크류(330)가 상기 좌우이동몸체(32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리드스크류(33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일측과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리드스크류(3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헤드부(33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평리드스크류(33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몸체(320)와 함께 상기 용기부(10), 상기 받침부(20) 및 상기 고정대(240)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22는 고정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안내부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4는 고정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 벽면(7)에는 상기 고정대(24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안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안내부(40)는 도 22 및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안내프레임(410), 상하이동몸체(420) 및 수직리드스크류(430)를 포함하여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은 벽면(7)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상측과 하측은 폐쇄될 수 있고,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직가이드슬릿(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몸체(420)는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내측에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이 상기 수직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은 상기 상하이동몸체(420)의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드스크류(430)가 상기 상하이동몸체(42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직리드스크류(430)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상측과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드스크류(4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헤드부(43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직리드스크류(43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몸체(420)와 함께 상기 용기부(10), 상기 받침부(20) 및 상기 고정대(240)가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25는 고정대의 좌우이동과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상하이동안내부의 일부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E - E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27은 좌우상하이동안내부에 의해 고정대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 벽면(7)에는 상기 고정대(240)의 좌우이동과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상하이동안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상하이동안내부(50)는 도 25 및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좌우이동안내부(30)와 상기 상하이동안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안내부(30)의 수평안내프레임(310)이 상기 상하이동안내부(40)의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안내부(30)의 수평안내프레임(310)의 후측과 상기 상하이동안내부(40)의 상하이동몸체(420)의 전측 사이에는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과 상기 상하이동몸체(420)를 연결하는 연결대(6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60)는 상기 수직안내프레임(410)의 수직가이드슬릿(41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40)의 후측은 상기 수평안내프레임(310)의 수평가이드슬릿(3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몸체(320)의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리드스크류(330)의 정역회전에 따라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0), 상기 받침부(20) 및 상기 고정대(240)가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28은 좌우상하이동안내부에 의해 고정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수직리드스크류(430)의 정역회전에 따라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안내부(30), 상기 용기부(10), 상기 받침부(20) 및 상기 고정대(240)가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10; 용기부, 20; 받침부.
Claims (15)
-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보관되고, 상기 대상물에 포함된 물기를 원심력에 의해 제거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하부받침부재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받침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받침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보관되고, 상기 대상물에 포함된 물기를 원심력에 의해 제거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고, 하부에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대가 수평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면에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상기 용기부 내의 물기를 상기 용기부의 하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경크기는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축이 형성되며, 상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부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홈의 내면에 상기 홈과 연통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축의 외면에 상기 고정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홈의 내면과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축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홈에 상기 용기부의 하부가 상기 용기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각도유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전측 내부에 다각형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상기 고정대의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끼움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전측이 고정되는 전측고정대와;
상기 전측고정대의 전측이 상기 전측고정대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되도록 상기 전측고정대의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후측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벽면에 상기 고정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벽면에 상기 고정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하이동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벽면에 상기 고정대의 좌우이동과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상하이동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 보관용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895A KR101743905B1 (ko) | 2017-02-07 | 2017-02-07 | 원심분리 보관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895A KR101743905B1 (ko) | 2017-02-07 | 2017-02-07 | 원심분리 보관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3905B1 true KR101743905B1 (ko) | 2017-06-07 |
Family
ID=5922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6895A KR101743905B1 (ko) | 2017-02-07 | 2017-02-07 | 원심분리 보관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390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4187B2 (ja) * | 1993-02-17 | 2001-06-11 |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 ガス識別装置 |
KR200262181Y1 (ko) * | 2001-09-21 | 2002-03-18 | 조원대 |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
KR200297676Y1 (ko) | 2002-07-25 | 2002-12-12 |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 벽 부착용 회전식 거울 |
-
2017
- 2017-02-07 KR KR1020170016895A patent/KR1017439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4187B2 (ja) * | 1993-02-17 | 2001-06-11 |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 ガス識別装置 |
KR200262181Y1 (ko) * | 2001-09-21 | 2002-03-18 | 조원대 |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
KR200297676Y1 (ko) | 2002-07-25 | 2002-12-12 |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 벽 부착용 회전식 거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56983B2 (en) | Salad spinner | |
US6152294A (en) | Travel soap dish assembly | |
US20040149608A1 (en) | Storage device for bathroom implements | |
US20130043360A1 (en) |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 |
ES2340050T3 (es) | Cesto de tamiz para un centrifuga de zumo domestica. | |
KR101743905B1 (ko) | 원심분리 보관용기 | |
US5647082A (en) | Golf ball washing device with internal overflow | |
CN110055718B (zh) | 一种台式清洗机 | |
KR200460003Y1 (ko) | 회전탈수장치 뚜껑 | |
KR200471944Y1 (ko) | 식기건조대 | |
KR102108008B1 (ko) | 물때제거 및 항균 기능이 개선된 식기 건조대 와 식기 건조대 제조 방법 | |
KR101426326B1 (ko) | 수도꼭지 연장탭 | |
KR20220001401U (ko) | 거름망이 구비된 세면대 밸브 구조 | |
JP6749580B2 (ja) |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 | |
KR200481661Y1 (ko) | 개수구 개폐구조를 가지는 개수대용 물빠짐 장치 | |
KR200320402Y1 (ko) | 변기 청소구 | |
CN213787130U (zh) | 一种带有自动配合合盖开盖功能的清洁刷收纳盒 | |
KR101249065B1 (ko) | 컵 보관장치 | |
KR200474776Y1 (ko) | 식기 건조대 | |
KR102464564B1 (ko) | 비누 지지 장치 | |
JP4351139B2 (ja) | 清掃具収納器 | |
JP3721465B2 (ja) | ロータンク | |
JPS5857175B2 (ja) | ジユ−サ− | |
JP2024015561A (ja) | キッチン用の排水栓装置 | |
JP2017170187A (ja) | 食器洗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