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86B1 - 봉합 장치 - Google Patents

봉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86B1
KR101743486B1 KR1020160181291A KR20160181291A KR101743486B1 KR 101743486 B1 KR101743486 B1 KR 101743486B1 KR 1020160181291 A KR1020160181291 A KR 1020160181291A KR 20160181291 A KR20160181291 A KR 20160181291A KR 101743486 B1 KR101743486 B1 KR 10174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ok
tissue
case
m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안지훈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16018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을 봉합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는 봉합사가 꿰어지는 니들과, 상기 봉합사에 의해 봉합할 조직에 복수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니들을 봉합할 조직을 관통하여 왕복 운동시키는 니들 구동부와, 봉합할 조직에 대하여 상기 니들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에 의해 봉합할 조직을 관통하여 이송된 상기 봉합사를 걸어주는 후크와, 상기 니들의 왕복 운동에 종속되어 상기 후크를 운동시키는 후크 구동부와, 복수의 스티치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니들이 봉합할 조직으로부터 이탈하였을 때 상기 니들, 상기 니들 구동부,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 구동부를 스티치 형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봉합 장치{A suturing device}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을 봉합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병 또는 질환으로 인한 복강 내 수술 시 절단 혹은 절개된 장기에 대하여 봉합 수술이 필요하며, 조직을 결찰(Ligature), 절단(Transect), 절제(Resect)할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의료용 봉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기의 일 예로써 의료용 스테플러(Surgical Stapler)는 쉽고 빠르게 환부를 봉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 공개 특허 US2016/0174985호(2016.06.23일 공개, 출원인 - Ethicon Endo-Surgery)는 이러한 의료용 스테플러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액추에이터(204)를 움직일 때 스테플 슬레드 어셈블리(160)가 이동하면서 스테플 카트리지(150)의 스테플을 반대편에 위치하는 엔빌(130)을 향해 밀어 주고 스테플들은 엔빌(130)에 눌려져 변형되면서 환부를 봉합하게 된다. 이러한 의료용 스테플러는 주로 티타늄(titanium) 소재의 스테플(staple)을 이용한다. 티타늄은 인체 내 면역체계와 반응하지 않아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내부식성이 우수해 스테플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료용 스테플러를 이용한 봉합 수술은 복강 내에 금속 스테플을 영구적으로 남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복강 내의 남아 있는 스테플은 X-ray나 MRI를 촬영할 때 이미지 결함(image artifact)을 유발할 수 있고 이러한 결함은 의사의 오진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또한 복강 내에 남게 되는 스테플은 환자에게 지속적인 이물감을 일으켜 수술 후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의료용 스테플러 이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봉합 장치는 의료용 봉합사(suture)를 이용한 봉합 장치이다. 미국 등록 특허 US8,968,339호(2015.03.03일 등록, 특허권자 - Covidien LP)는 이러한 봉합 장치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를 참조하면, 두 개의 조(Jaw, 110, 120) 사이를 교대로 왕복 운동하는 니들(400)에 봉합사가 걸려 있어 니들(400)의 왕복에 의해 환부를 봉합하게 된다. 또 다른 일 예로써 미국 등록 특허 US9,277,916(2016.03.08일 등록, 특허권자 - Ethicon Endo-Surgery)은 봉합사가 결합된 고리 형태의 니들(50)이 암(arm, 210)과 암(arm, 250) 사이를 오가면서 환부를 봉합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를 이용하는 봉합 장치는 전술한 의료용 스테플러에서 금속성 스테플 사용에 수반되던 문제는 없으나, 니들을 이용하여 한 땀 한 땀씩 봉합해야 하기 때문에 봉합 수술에 시간이 매우 길어지고, 봉합 작업을 하는 의사의 숙련도가 크게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용 봉합사를 이용하여 환부를 봉합하는 봉합 장치에 있어서 환부를 봉합하는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봉합사를 이용하는 봉합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봉합 장치에 비하여 봉합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를 이용하는 봉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의료용 스테플러가 가지던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는 봉합사가 꿰어지는 니들과, 상기 봉합사에 의해 봉합할 조직에 복수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니들을 봉합할 조직을 관통하여 왕복 운동시키는 니들 구동부와, 봉합할 조직에 대하여 상기 니들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에 의해 봉합할 조직을 관통하여 이송된 상기 봉합사를 걸어주는 후크와, 상기 니들의 왕복 운동에 종속되어 상기 후크를 운동시키는 후크 구동부와, 복수의 스티치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니들이 봉합할 조직으로부터 이탈하였을 때 상기 니들, 상기 니들 구동부,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 구동부를 스티치 형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구동부는 상기 니들을 봉합할 조직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동되며, 상기 후크 구동부는 상기 후크를 상기 니들의 왕복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킨다.
또한, 상기 니들 구동부는 회전 운동하는 슬라이더 드라이버와, 상기 슬라이더 드라이버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일체로 운동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슬라이더 드라이버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네바 드라이버와, 상기 제네바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는 제네바 기어와, 상기 제네바 기어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고정랙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네바 기어 회전시에 상기 니들, 상기 니들 구동부, 상기 후크, 상기 후크 구동부를 스티치 형성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후크 구동부는 회전 운동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캠의 회전 위치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상기 니들은 봉합하는 조직을 관통하여 이동할 때, 상기 니들의 끝단부가 상기 후크에 걸려있던 봉합사의 고리 모양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거동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니들이 봉합 조직을 관통해 있는 동안, 상기 니들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동하여 상기 니들에 걸려 있는 봉합사의 부분을 다시 걸어주도록 거동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봉합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에 형성되며 봉합할 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삽입홈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삽입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봉합할 조직에 일정한 간격으로 봉합사에 의한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스티치 형성 기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티치 형성 기구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작동 손잡이에 기구적으로 연동되어 작동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봉합 장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며 봉합할 조직이 놓이게 되는 삽입홈과,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제1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봉합할 조직에 봉합사에 의한 스티치를 형성하는 니들과,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2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니들과 상호 동작에 의해 스티치를 형성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제2메인 플레이트는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거동한다.
또한, 상기 봉합 장치는 상기 니들과 연동되며, 상기 니들이 봉합할 조직으로부터 위로 들어올려 졌을 때에만 상기 제1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메인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제네바 기어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봉합할 대상 조직 상에 일정 간격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장치에 비하여 봉합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마취 시간을 줄이고 출혈을 최소화하여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술하는 의사의 숙련도에 관계 없이 봉합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A - A' 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의 B - B' 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에 있어서 제1바디의 상부 제1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에 있어서 제1바디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의 제1바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에 있어서 제2바디의 하부 제2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2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13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에 있어서 제2바디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의 제2바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6 내지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를 이용하여 조직을 봉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복강 내 위, 소장, 대장 등의 장기나 혈관을 봉합하기 위한 내과적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조직 봉합을 위한 외과적 수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봉합 장치를 이용하여 봉합하는 대상 신체 기관을 통칭하여 “조직”(tissue) 이라 한다.
본 발명의 봉합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봉합사로는 생체 흡수성 봉합사가 사용될 수 있다. 생체 흡수성 봉합사는 폴리 글리콜산 고분자 및 그 공중합체, 폴리 락트산 고분자 및 그 공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봉합사로는 비흡수성 봉합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비흡수성 봉합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는 일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니들(1)과, 니들(1)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하는 후크(2)를 포함한다. 니들(1)과 후크(2)는 봉합하는 대상 조직(T)에 대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니들(1)에는 조직(T)을 봉합하는 스티치를 형성할 봉합사(S)가 꿰어지고, 니들(1)은 조직(T)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봉합사(S)를 후크(2) 쪽으로 넘겨준다. 후크(2)는 니들(1)로부터 넘겨받은 봉합사(S)를 걸고 있다가 니들(1)이 위치를 변경하여 다시 조직(T)을 관통하여 들어올 때, 걸고 있던 봉합사(S)의 부분과 니들(1)을 따라 새로 들어온 부분을 교차시켜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직(T)에 연속적인 스티치가 형성되어 환부를 봉합한다. 이러한 동작을 일으키기 위해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니들(1)이 조직(T)을 관통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일으키는 니들 구동부(3)와, 왕복 운동하는 니들(1)의 위치에 종속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후크(2)를 작동시키는 후크 구동부(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스티치가 조직(T) 상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니들(1), 후크(2), 니들 구동부(3), 후크 구동부(4)를 조직(T)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5)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부(5)에 의해 니들(1)과 후크(2)는 조직(T) 상에서 이동하면서 연속적인 스티치를 형성한다.
한편, 도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1(a)와 달리 두 개의 봉합사(S, S')에 의해 스티치를 형성하는 봉합 장치를 개시한다. 이에 따르면, 봉합 장치는 추가적인 봉합사(S')를 제공하는 보빈(6)을 더 포함한다. 후크(2')는 니들(1)이 조직(T)을 관통하여 들어왔을 때, 니들(1)에 걸려 있던 봉합사(S)와 보빈(6)으로부터 제공되는 봉합사(S')가 서로 교차되어 얽히도록 함으로써 스티치를 형성한다. 후크(2')는 보빈(6) 둘레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왕복운동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봉합 장치는 니들(1)의 왕복 운동을 일으키는 니들 구동부(3)와, 왕복 운동하는 니들(1)의 위치에 종속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후크(2')를 작동시키는 후크 구동부(4)를 포함한다. 또한, 봉합 장치는 니들(1), 후크(2'), 니들 구동부(3), 후크 구동부(4), 보빈(6)을 스티치 형성 방향을 따라 이송 시키는 이송부(5)를 포함한다.
이상의 두 실시예에 있어서, 니들 구동부(3), 후크 구동부(4), 이송부(5)를 구성하는 기구부는 전기적인 에너지원에 의해 작동되거나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도면상에 표시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을 전방, -X축 방향을 후방, +Y축 방향을 상방, -Y축 방향을 하방, +Z축 방향을 왼쪽, -Z축 방향을 오른쪽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1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에는 봉합할 인체 조직이 삽입되는 삽입홈(11)이 형성된다. 봉합할 인체 조직은 복강내 장기의 일부일 수 있다. 봉합 장치(10)의 가운데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 두께가 얇아 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봉합 장치(10)의 후방은 전방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진다. 봉합 장치(10)의 오른쪽으로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손잡이(12)가 구성된다. 작동 손잡이(1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봉합 장치(10) 내의 기구 구성이 연동되어 운동하면서 봉합 작업이 수행된다. 사용자는 봉합 장치(10)의 후방 부분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작동 손잡이(12)를 잡고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봉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홈(11)은 높이 약3~5㎜(밀리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봉합하려는 대상 조직의 부위나 수술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봉합 장치(10)는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에서 상하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부 부분을 이루는 제1바디(100)와 하부 부분을 이루는 제2바디(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6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우선 제1바디(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바디(100)는 그 외관을 이루는 제1케이스(101)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01)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제1케이스(101a) 및 하부 제1케이스(101b)로 구성된다. 제1케이스(101)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판 형태를 가지며 후술할 기계 요소들을 지지하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가 구성된다. 제1메인 플레이트(102)는 제1케이스(101) 내부 공간을 좌우로 분할한다. 제1메인 플레이트(102)는 제1케이스(101)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오른편에는 전술한 작동 손잡이(102)에 연결되어 작동 손잡이(102)와 함께 일체로 거동하는 제1이동랙(103)이 설치된다. 제1이동랙(103)은 제1케이스(101)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이동랙(103)의 상부에는 톱니(103a)가 형성된다. 제1이동랙(103)의 후방 단부에는 제1케이스(101)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작동 손잡이(102)에 결합되는 제1커넥팅 플레이트(104)가 결합된다. 제1커넥팅 플레이트(104)는 하부 제1케이스(101b)의 우측면상에 길게 형성된 측면장홀(101e)을 통해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손잡이(12)에 결합된다. 또한,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오른편으로는 제1이동랙(103)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스텝피니언(stepped pinion, 105)이 설치된다. 제1스텝피니언(105)은 제1이동랙(103)에 맞물리는 제1기어부(105a)와, 제1기어부(105a)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제2기어부(105b)를 갖는다. 제2기어부(105b)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기어부(105a)는 제2기어부(105b)의 오른편에 배치된다. 제1스텝피니언(105)은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우측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스텝피니언(105)의 전방으로는 전술한 제2기어부(105b)에 의해 구동되는 아이들러(108, 도7 참조), 아이들러(108)에 의해 구동되는 제네바 드라이버(Geneva Driver, 106), 제네바 드라이버(106)에 맞물려 구동되는 제네바 기어(107)가 순차로 구성된다. 제네바 드라이버(106)는 아이들러(108)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된 기어부(106a)와, 기어부(106a)의 오른편 바깥쪽에 배치되며 기어부(106a) 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디스크부(106b)와, 디스크부(106b)의 오른편 바깥 표면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드라이빙 핀(106c) 및 로킹 링(locking ring, 106d)을 포함한다. 로킹 링(106d)은 원판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제네바 드라이버(106)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네바 기어(107)는 수 개의 슬롯(107b)이 형성된 디스크부(107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107b)은 6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부(107a)의 둘레에는 인접한 슬롯(107b) 사이에서 디스크부(107a)의 중앙 쪽으로 만입되는 리세스부(107c)가 형성된다. 제네바 기어(107)는 전술한 제네바 드라이버(106)에 의해 구동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회전하면서 드라이빙 핀(106c)이 제네바 기어(107)의 어느 한 슬롯(107b)에 맞물리고, 이렇게 맞물린 상태에서 드라이빙 핀(106c)의 움직임에 따라 제네바 기어(107)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소정의 각도 이상 더 회전하게 되면 드라이빙 핀(106c)은 슬롯(107b)으로부터 이탈하여 제네바 기어(107)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드라이빙 핀(106c)이 슬롯(107b)에서 이탈하여 제네바 드라이버(106)만 회전하는 상태에서는 로킹 링(106d)의 외주면이 리세스부(107c)에 맞물려 미끄럼 운동하게 된다.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추가적으로 계속 회전하면 드라이빙 핀(106c)은 그 다음 슬롯(107b)에 맞물리면서 제네바 기어(107)를 다시 회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네바 기어(107)는 회전 운동과 정지 상태가 반복되면서 구동된다. 디스크부(107a)의 오른편으로는 기어부(107d)가 형성된다. 제네바 기어(107)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기어부(107d)와 디스크부(107a)는 일체로 회전 운동 한다. 제1케이스(101) 내부에는 또한 제네바 기어(107)의 기어부(107d)에 맞물리는 고정랙(151)이 구성된다. 고정랙(151)은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기어부(107d)에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고정랙(151)은 그 하단부가 하부 제1케이스(101b)상에 고정된다. 고정랙(151)은 제1케이스(101)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어부(107d)가 회전함에 따라 제네바 기어(107)는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제네바 기어(107) 뿐만 아니라 제네바 기어(107)가 결합되어 있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 및 제1메인 플레이트(102)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요소들(예, 제네바 드라이버(106), 제1스텝피니언(105) 등)이 함께 이동된다.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왼편으로는 봉합사가 감겨 있는 보빈(111)이 제1메인 플레이트(1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빈(111)의 전방에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 상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니들(112)이 구성된다. 니들(112)의 하단부에는 봉합사가 꿰지는 바늘구멍(needle eye)(112a)이 형성된다. 보빈(111)에 감겨져 있던 봉합사는 니들(112)에 꿰어져 조직의 봉합에 사용되고, 봉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보빈(111)에서 풀려져 소모된다. 니들(112)의 상단부는 상하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113)에 고정된다. 슬라이더(11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더(113)의 전후 양단부에는 이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2 슬라이딩 가이드(114, 115)가 결합된다. 제1,2 슬라이딩 가이드(114, 115)는 상하로 길게 세워져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좌측면상에 고정된다. 제1슬라이딩 가이드(114)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115)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이 둘은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더(113)의 전후 양단부에는 제1,2 돌출부(113a, 113b)가 각각 형성되고, 제1,2 돌출부(113a, 113b)는 제1,2 슬라이딩 가이드(114, 115)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2 슬라이딩 가이드(114, 115)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1,2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1,2 돌출부(113a, 113b)를 각각 수용한다. 또한, 제1메인 플레이트(102) 상에는 슬라이더(113)의 상하 운동을 일으키는 슬라이더 드라이버(116)가 설치된다. 슬라이더 드라이버(116)는 원판 형태의 디스크부(116a)와 디스크부(116a) 상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핀부(116b)를 포함한다(도11 참조). 슬라이더 드라이버(116)는 제1메인 플레이트(102) 상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 드라이버(116)는 전술한 제네바 드라이버(106)와 회전 축을 공유하며, 제네바 드라이버(106)와 함께 일체로 회전 한다. 슬라이더(113)의 우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홈(113c)이 구성된다(도10 참조). 슬라이더(113)는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의 왼편으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때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의 핀부(116b)는 슬라이더(113)의 장홈(113c)에 삽입된다. 슬라이더 드라이버(116)가 회전하면 핀부(116b)가 장홈(113c)에 삽입된 상태에서 미끄럼 운동하면서 슬라이더(113)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가 작동 손잡이(12)를 움직여 제1이동랙(103)을 이동시키면, 이 구동력은 제1스텝피니언(105) 및 아이들러(108)를 통해 제네바 드라이버(106)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에 전달된다.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의 회전 운동은 슬라이더(113)의 상하 왕복 운동을 일으킨다. 슬라이더(113)에 고정되어 있는 니들(112)도 슬라이더(113)와 함께 일체로 상하 운동한다. 니들(112)은 제1메인 플레이트(102) 상에서 상하 왕복 운동할 뿐만 아니라, 제1메인 플레이트(10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니들(112)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부 제1케이스(101)에는 니들(112)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긴 제1장홀(101c)이 형성된다. 니들(112)은 제1장홀(101c)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로 왕복 운동 한다. 제1장홀(101c)의 아래에는 전술한 삽입홈(11)이 위치한다. 니들(112)은 삽입홈(11)에 놓인 조직을 관통하여 스티치를 형성하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티치 형성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슬라이더(113)의 왼편으로는 수 개의 서포터(123)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121)가 구성된다.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121)는 서포터(123)를 매개로 하여 제1메인 플레이트(102)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오른편으로도 수 개의 서포터(123)에 의해 지지되는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122)가 구성된다.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122)도 서포터(123)를 매개로 하여 제1메인 플레이트(102)에 결합된다.
다음은 도6, 도7, 도12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제2바디(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바디(201)도 그 외관을 이루는 제2케이스(201)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201)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제2케이스(201a) 및 하부 제2케이스(201b)로 구성된다. 제2케이스(201)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판 형태를 갖는 제2메인 플레이트(202)가 구성된다. 제2메인 플레이트(202)는 제2케이스(201)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바디(100)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200)의 제2메인 플레이트(202) 오른편에도 작동 손잡이(102)에 연결되어 작동 손잡이(102)와 함께 일체로 거동하는 제2이동랙(203)이 설치된다. 제2이동랙(203)은 제2케이스(201)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이동랙(203)의 하부에는 다수의 톱니(203a)가 형성된다. 제2이동랙(203)의 후방 단부에는 제2케이스(201)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작동 손잡이(102)에 결합되는 제2커넥팅 플레이트(204)가 결합된다. 제2커넥팅 플레이트(204)는 상부 제2케이스(201a)의 우측면상에 길게 형성된 측면장홀(201e)을 통해 케이스(201)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손잡이(12)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작동 손잡이(102)를 이동시키면 제1이동랙(103) 및 제2이동랙(203)이 일체로 거동한다. 또한, 제2메인 플레이트(202)의 오른편으로는 제2이동랙(203)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스텝피니언(205)이 설치된다. 제2스텝피니언(205)은 제2이동랙(203)에 맞물리는 제1기어부(205a)와 제1기어부(205a)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제2기어부(205b)를 갖는다. 제2기어부(205b)는 제2메인 플레이트(20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기어부(205a)는 제2기어부(205b)의 오른편에 배치된다. 제2스텝피니언(205)은 제2메인 플레이트(202)의 우측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스텝피니언(205)의 후방으로는 캠축(206)이 설치된다. 캠축(206)은 제2메인 플레이트(20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캠축(206)에는 제2스텝피니언(205)의 제2기어부(205b)에 맞물리는 기어부(206a)가 형성된다. 제2스텝피니언(205)의 회전은 기어부(206a)에 전달되어 캠축(206)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2메인 플레이트(202)를 관통하고 있는 캠축(206)의 반대편, 즉 제2메인 플레이트(202)의 왼편의 캠축(206)에는 캠축(206)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캠(207)이 설치된다. 캠(207)은 그 외곽 프로파일 상에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된 볼록부(207a)와, 볼록부(207a)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부분인 베이스부(207b)를 포함한다(도6 참조). 캠(207)의 전방에는 제2메인 플레이트(202)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211)가 구성된다. 후크(211)는 그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이부(211a)를 갖는다. 후크(211)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니들(112)에 꿰어져 있는 봉합사를 낚아 채면서, 즉 니들(112)에 꿰어져 있는 봉합사를 후크(221)에 옮겨 거는 동작을 반복하여 스티치를 형성한다. 상부 제2케이스(201a)의 상면에는 니들(112)이 제2케이스(201)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제1장홀(201c)이 형성된다(스티치의 형성 과정은 도16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후크(211)는 그 하단부에서 후크 슬라이더(212)에 고정된다. 후크 슬라이더(212)는 그 후단부가 전술한 캠(207)에 접촉된 상태로 거동한다. 즉 캠(207)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후크 슬라이더(212)의 위치도 제2메인 플레이트(202) 상에서 가변된다. 볼록부(207a)가 후크 슬라이더(212)에 접촉하고 있을 때 후크 슬라이더(212)는 전진한 상태가 되고, 베이스부(207b)가 후크 슬라이더(212)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후크 슬라이더(212)가 후진한 상태가 된다. 제2메인 플레이트(202)의 외쪽 측면 상에는 후크 슬라이더(212)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크 슬라이더 홀더(213)가 설치된다. 후크 슬라이더 홀더(213)에는 후크 슬라이더(2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사각형태의 돌출판부(213a)가 형성되고, 돌출판부(213a)의 안쪽 공간에는 후크 슬라이더(212)를 밀어주는 스프링(214)이 내장된다(도6 참조). 스프링(214)은 후크 슬라이더(212)를 후방으로 밀어주어, 후크 슬라이더(212)가 캠(207)에 밀착되도록 한다. 후크 슬라이더(212)의 우측면에는 돌출판부(213a)의 상하단부를 감싸도록 측면홈(212a)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 슬라이더(212)는 그 측면홈(212a)을 통해 돌출판부(213a)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후크 슬라이더(212)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홀(212b)이 형성되고, 돌출판부(213a)의 표면에는 가이드홀(212b)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핀(213b)이 형성된다. 또한, 후크 슬라이더(212)의 측면홈(212a)상에는 후크 슬라이더 홀더(213)를 향해 돌출되는 서포트핀(212c)이 형성되고, 후크 슬라이더 홀더(213)에는 이 서포트핀(212c)이 삽입되는 관통홀(213c)이 형성된다. 후크 슬라이더(212)가 후크 슬라이더 홀더(2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포트핀(212c)은 관통홀(213c)을 통과하여 안쪽으로 걸쳐지고, 전술한 스프링(21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후크 슬라이더(212)는 스프링(214)에 의해 캠(207) 쪽으로 밀려지는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제2메인 플레이트(202)의 왼쪽 바깥으로는 수 개의 서포터(222)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221)가 구성된다.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221)는 서포터(222)를 매개로 하여 제2메인 플레이트(202)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메인 플레이트(202)의 오른편으로도 수 개의 서포터(222)에 의해 지지되는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222)가 구성된다.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222)도 서포터(223)를 매개로 하여 제1메인 플레이트(102)에 결합된다.
제1메인 플레이트(102)와 제2메인 플레이트(202)는 그 후방 단부에서 서로 형합된다. 제1메인 플레이트(102)의 후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2a)가 형성되고, 제2메인 플레이트(202) 후단부에도 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02a)가 형성된다. 이들 돌출부(102a, 202a)는 서로 형합되어 제1메인 플레이트(102)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때 제2메인 플레이트(202)도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제1바디(100)의 하부 제1케이스(101b)의 저면에는 이 돌출부(102a)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2장홀(101d)이 형성되고, 제2바디(200)의 상부 제2케이스(201a) 상면에도 돌출부(202a)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2장홀(201d)이 형성된다. 이들 돌출부(102a, 202a)는 각각의 제2장홀(101d, 201d)을 통해 노출되어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장치를 이루는 구성 부분들 중에서, 작동 손잡이(12), 제1이동랙(103), 제1커넥팅 플레이트(104), 제1스텝피니언(105), 제네바 드라이버(106), 슬라이더(113), 제1,2 슬라이딩 가이드(114,115), 슬라이더 드라이버(116) 등은 니들(112)의 상하 운동을 유발하는 요소로써, 전술한 도1의 실시예의 니들 구동부(3)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손잡이(12), 제2이동랙(203), 제2커넥팅 플레이트(204), 제2스텝피니언(205), 캠축(206), 캠(207), 후크 슬라이더(212), 후크 슬라이더 홀더(213), 스프링(214) 등은 후크(211)가 제2메인 플레이트(202) 상에서 수평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요소로써, 전술한 도1의 실시예의 후크 구동부(4)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손잡이(12), 제1이동랙(103), 제1커넥팅 플레이트(104), 제1스텝피니언(105), 제네바 드라이버(106), 제네바 기어(107), 고정랙(151), 제1,2 메인 플레이트(102, 202) 등은 니들(112) 및 후크(211)의 전후 방향 이동 운동을 유발하는 요소로써, 전술한 도1의 실시예의 이송부(5)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케이스(101, 201) 내에서 작동 손잡이(12)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모든 구성요소, 즉, 제1 및 제2케이스(101, 201)를 제외하고 그 내부에서 작동되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봉합할 조직에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인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티치 형성 기구부를 구성한다.
다음은 이러한 본 발명의 봉합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봉합장치(10)는 수술을 하는 의사가 예를 들어 왼손으로 봉합장치의 후단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작동 손잡이(12)를 밀거나 당기면서 조직을 봉합하게 된다. 봉합할 조직을 삽입홈(11)에 끼워 넣어 조직을 고정한다. 조직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 손잡이(12)를 밀어주면 제1케이스(101, 201) 내부의 기구물이 이동하면서 봉합사에 의한 스티치를 형성하여 조직을 봉합하게 된다.
봉합장치(10)에 있어서 작동 손잡이(12)를 움직이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이동랙(103, 203)이 일체로 움직인다. 제1이동랙(103)의 구동력은 제1스텝피니언(105)과 아이들러(108)를 거쳐 제네바 드라이버(106) 및 이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에 전달된다.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의 회전 운동은 슬라이더(113)의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고 슬라이더(113)에 고정되어 있는 니들도 함께 상하로 왕복 운동하면서 스티치를 형성한다. 또한, 제2이동랙(203)의 구동력은 제2스텝피니언(205)를 거쳐 캠축(206)에 전달된다. 캠축(206)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캠(207)은 그 회전 위치에 따라 후크 슬라이더(212)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키게 된다. 한편, 제네바 드라이버(106)의 회전은 제네바 기어(107)에 전달되면서 제네바 기어(107)가 회전할 때, 기어부(107d)가 고정랙(151) 상에서 회전하면서, 제1메인 플레이트(102) 및 제2메인 플레이트(202)를 전후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은 도16 내지 도23를 참조하여 니들(112)이 1회 왕복 운동하는 동안 각각 요소들의 거동과 스티치가 형성되는 원리를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16(a)는 니들(112)이 상사점에 있을 때, 각 요소들간의 위치 관계를 좌측에서 보고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니들(112)이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의 핀부(116b)는 12시 지점에 위치하고, 제네바 드라이버(106)의 드라이빙 핀(106c)은 대략 10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슬라이더 드라이버(116)의 핀부(116b)와 제네바 드라이버(106)의 드라이빙 핀(106c)이 그 회전 중심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 D는 대략 60°(도) 이다. 제2바디(200) 내의 캠(207)은 볼록부(207a)가 후크 슬라이더(212)에 접촉하고 이를 앞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므로 후크(211)는 전방으로 전진한 상태에 있다. 이 때 니들(112), 후크(211)의 위치 관계와 봉합사에 의한 스티치 모양은 도16(b)와 같다. 니들(112)은 봉합할 조직(T)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할 위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크(211)는 그 하부에서 봉합사(S)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고리 부분 S1을 걸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16(a)와 같이 니들(112)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최초 위치라고 한다.)
사용자가 작동 손잡이(12)를 움직여 제1 및 제2 이동랙(103, 203)을 전진시키면, 제1이동랙(103)에 맞물려 있는 제1스텝피니언(10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스텝피니언(105)에 맞물려 있는 아이들러(10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이들러(108)는 그에 맞물려 있는 기어부(106a)를 통해 제네바 드라이버(106) 및 슬라이더 드라이버(11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이동랙(203)도 그에 맞물려 있는 제2스텝피니언(20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스텝피니언(205)는 다시 그에 맞물려 있는 기어부(206a)를 통해 캠(207)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의 운동 방향이 도16(a)에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도17(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6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니들(112)은 상사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며, 드라이빙 핀(106c)은 제네바 기어(107)의 슬롯(107b)에서 이탈하여 약12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캠(207)도 약 6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지만, 여전히 볼록부(207a)가 후크 슬라이더(212)에 접촉하여 밀어주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후크(211)의 위치는 전진한 상태 그대로 이다. 이 때 니들(112), 후크(211) 및 봉합사(S)의 위치 관계는 도17(b)와 같다.
도18(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9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12)은 아래로 더 이동하여 봉합할 조직(T)을 관통하기 직전의 위치에 있으며, 후크(211)는 도16(b)와 마찬가지로 전진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이다. 도17(a)에서 도18(a) 위치로 작동되는 동안 제네바 드라이버(106)의 드라이빙 핀(106c)은 슬롯에서 이탈되어 있고, 로킹 핀(106d)이 제네바 기어(107)의 리세스부(107c)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네바 기어(107)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에 있다.
도19(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12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12)은 조직(T)를 관통하여 제2바디(200) 내로 진입한 상태이고, 후크(211)는 도18(b)에서보다 약간 후진한 상태가 된다. 제네바 기어(107)는 여전히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에 있다. 이 때 도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12)은 후크(211)에 걸려져 있는 봉합사(S) 에 의한 고리 부분 S1 안쪽으로 진입하여 고리 부분 S1이 니들(112)에 걸리게 된다.
도20(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18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니들(112)은 그 하사점까지 내려온 상태이고, 캠(207)의 베이스부(207b)가 후크 슬라이더(212)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후크(211)는 최후방으로 후진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20(b)에서와 같이 후크(211)에 걸려져 있던 봉합사 고리 부분 S1은 후크(211)에서 빠져 니들(112) 몸체로 완전히 옮겨져 걸린 상태가 된다.
도21(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22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니들(112)은 다시 하사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위로 올라간 상태이고, 후크(211)는 다시 소정 거리 앞으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21(b)에서와 같이 후크(211)는 니들(112)에 걸려 있던 봉합사의 부분 S2를 새로 낚아 채어 걸게 된다.
도22(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280°(도) 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니들(112)은 다시 상사점에 가깝게 올려진 상태이고, 도22(b)와 같이 후크(211)는 새로 낚아 챈 봉합사의 부분 S2가 걸려진 상태에서 전진한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제네바 드라이버(106)의 드라이빙 핀(106c)은 제네바 기어(107)의 4시 방향 슬롯(107b)에 진입하기 시작한 상태가 된다.
도23(a)는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최초 위치에서 약 36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1회전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니들(112)은 다시 상사점에 위치하고, 후크(211)는 최전방으로 전진한 상태에 있다. 도22(a) 상태에서 제네바 드라이버(106)의 드라이빙 핀(106c)은 제네바 기어(107)의 슬롯(107b)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23(a) 위치까지 변경되는 동안 제네바 드라이버(106)가 회전함에 따라 제네바 기어(107)도 회전한다. 이에 의해 기어부(107d)는 고정랙(151) 위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1,2 메인 플레이트(102, 202)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구성 요소가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도23(b)와 같이 니들(112)과 후크(211)는 봉합 하는 조직(T)에 대하여 그 다음 스티치를 형성할 위치로 이동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할 준비를 한다. 한편, 도22(a) 에서 도23(b)로 상태가 변경되는 동안 니들(112)은 소정의 거리 L만큼 이동하게 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L만큼의 간격을 갖는 스티치를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스티치 형성 간격 L은 수술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제1바디(100) 내에서 공급되는 하나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스티치의 모양은 체인 스티치(Chain stitch)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써 제2바디(200)에 봉합사가 감긴 보빈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두 개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스티치를 형성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의 모양은 록 스티치(Lock stitch)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작동손잡이의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함으로써 연속된 복수의 스티치에 형성되는 스티치열을 2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봉합 부위 끝단에서 스티치열을 2~3회 반복적으로 형성하면 종래 봉합 부위 끝단에 만들던 매듭을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봉합할 대상 조직 상에 일정 간격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장치에 비하여 봉합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마취 시간을 줄이고 출혈을 최소화하여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술하는 의사의 숙련도에 관계 없이 봉합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10 : 봉합장치
11 : 삽입홈
12 : 작동 손잡이
100 : 제1바디
101 : 제1케이스
102 : 제1메인 플레이트
103 : 제1이동랙
104 : 제1커넥팅 플레이트
105 : 제1스텝피니언
106 : 제네바 드라이버
107 : 제네바 기어
108 : 아이들러
111 : 보빈
112 : 니들
113 : 슬라이더
114, 115 : 제1,2 슬라이딩 가이드
116 : 슬라이더 드라이버
121 :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
122 :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
123 : 서포터
151 : 고정랙
200 : 제2바디
201 : 제2케이스
202 : 제2메인 플레이트
203 : 제2이동랙
204 : 제2커넥팅 플레이트
205 : 제2스텝피니언
206 : 캠축
207 : 캠
211 : 후크
212 : 후크 슬라이더
213 : 후크 슬라이더 홀더
214 : 스프링
221 :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
222 :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
223 : 서포터

Claims (10)

  1. 봉합사가 꿰어지는 니들과,
    상기 봉합사에 의해 봉합할 조직에 복수의 스티치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니들을 봉합할 조직을 관통하여 왕복 운동시키는 니들 구동부와,
    봉합할 조직에 대하여 상기 니들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에 의해 봉합할 조직을 관통하여 이송된 상기 봉합사를 걸어주는 후크와,
    상기 니들의 왕복 운동에 종속되어 상기 후크를 운동시키는 후크 구동부와,
    복수의 스티치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니들이 봉합할 조직으로부터 이탈하였을 때 상기 니들, 상기 니들 구동부,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 구동부를 스티치 형성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봉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구동부는 상기 니들을 봉합할 조직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동되며,
    상기 후크 구동부는 상기 후크를 상기 니들의 왕복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키는 봉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구동부는 회전 운동하는 슬라이더 드라이버와,
    상기 슬라이더 드라이버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일체로 운동하는 봉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슬라이더 드라이버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네바 드라이버와,
    상기 제네바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는 제네바 기어와,
    상기 제네바 기어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고정랙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네바 기어 회전시에 상기 니들, 상기 니들 구동부, 상기 후크, 상기 후크 구동부를 스티치 형성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봉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구동부는 회전 운동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캠의 회전 위치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되는 봉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봉합하는 조직을 관통하여 이동할 때, 상기 니들의 끝단부가 상기 후크에 걸려있던 봉합사의 고리 모양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거동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니들이 봉합 조직을 관통해 있는 동안, 상기 니들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동하여 상기 니들에 걸려 있는 봉합사의 부분을 다시 걸어주도록 거동하는 봉합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의 간극에 의해 형성되며 봉합할 조직이 놓이게 되는 삽입홈과,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제1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봉합할 조직에 봉합사에 의한 스티치를 형성하는 니들과,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2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니들과 상호 동작에 의해 스티치를 형성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제2메인 플레이트는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거동하는 봉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장치는 상기 니들과 연동되며, 상기 니들이 봉합할 조직으로부터 위로 들어올려 졌을 때에만 상기 제1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메인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제네바 기어를 더 포함하는 봉합 장치.
KR1020160181291A 2016-12-28 2016-12-28 봉합 장치 KR10174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91A KR101743486B1 (ko) 2016-12-28 2016-12-28 봉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91A KR101743486B1 (ko) 2016-12-28 2016-12-28 봉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86B1 true KR101743486B1 (ko) 2017-06-05

Family

ID=5922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91A KR101743486B1 (ko) 2016-12-28 2016-12-28 봉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19493A (zh) * 2023-07-25 2023-10-24 重庆生物智能制造研究院 一种软组织缝合机构及软组织连续缝合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9299A (ja) 2001-03-26 2004-07-02 カール シュトル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外科縫合機
US20120053601A1 (en) * 2009-04-28 2012-03-01 Rimscience Co. Ltd Surgical suture apparatus having sewing function
US20150342599A1 (en) 2014-06-03 2015-12-03 Covidien Lp Stitching End Effector
JP2016073620A (ja) 2001-06-14 2016-05-12 エンドエボリュ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糸処理を含む外科的縫合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9299A (ja) 2001-03-26 2004-07-02 カール シュトル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外科縫合機
JP2016073620A (ja) 2001-06-14 2016-05-12 エンドエボリュ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糸処理を含む外科的縫合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20053601A1 (en) * 2009-04-28 2012-03-01 Rimscience Co. Ltd Surgical suture apparatus having sewing function
US20150342599A1 (en) 2014-06-03 2015-12-03 Covidien Lp Stitching End Eff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19493A (zh) * 2023-07-25 2023-10-24 重庆生物智能制造研究院 一种软组织缝合机构及软组织连续缝合器
CN116919493B (zh) * 2023-07-25 2024-04-26 重庆生物智能制造研究院 一种软组织缝合机构及软组织连续缝合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0907B2 (ja) 内視鏡用縫合器
US9901337B1 (en) Suture stitches for continuous surgical suturing
CN101677817B (zh) 用于不同针的可替换尖端缝合装置和系统
RU2436530C2 (ru) Эндоскопический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CN104822330B (zh) 具有沿着不同周边的变化的钉宽度的外科缝合器
CN109381233A (zh) 用于手术缝合设备的手术支撑件保持系统
US7909039B2 (en) Operating staple and intraluminal stapler for operation having the operating staple
AU782229B2 (en) A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fastener delivery mechanism
JP3944243B2 (ja) 縫合システム
US8480689B2 (en) Suturing device
US8790356B2 (en) Instruments for delivering transfascial sutures, transfascial suture assemblies, and methods of transfascial suturing
CN105559841B (zh) 内窥镜缝合系统
JP4756943B2 (ja) 内視鏡用縫合装置
US20160206315A1 (en) Surgical apparatus including surgical buttress
CN110520066B (zh) 外科附属物保持机构
US20050277957A1 (en) Devices and methods of locking and cutting a suture in a medical procedure
KR20060048961A (ko) 내시경식 조직 병치 기구 및 관련 용도에 사용하는 방법
CN102813540A (zh) 三明治订书机式消化道吻合切割闭合器
JP2008521571A (ja) 弁交換の間にファスナー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8100090A (ja) 内視鏡による縫合システム
JP2003210470A (ja) ヘルニアメッシュの装着方法
CN110461250A (zh) 具有用于与附属物配合的延伸特征部的端部执行器
JP2015530192A (ja) ハーフループクリップを有する吻合クリップツール
US201800004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Surgical Suturing
KR101743486B1 (ko) 봉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