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72B1 -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 Google Patents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72B1
KR101743472B1 KR1020160024386A KR20160024386A KR101743472B1 KR 101743472 B1 KR101743472 B1 KR 101743472B1 KR 1020160024386 A KR1020160024386 A KR 1020160024386A KR 20160024386 A KR20160024386 A KR 20160024386A KR 101743472 B1 KR101743472 B1 KR 10174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nipple
outer diameter
tubular body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철
Original Assignee
남양유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유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유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Aesthetic properties for imitating a nip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 A61J9/085Lids for closing the bott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제 1소정 외경의 투입구를 가진 젖병에 연결가능한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소정 외경의 제 1관체, 상기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상기 제 1관체의 외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1스크류, 상기 제 1소정 외경 보다 작은 제 2소정 외경의 대체용기의 투입구가 삽입되는 제 2관체,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상기 제 2관체의 내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스크류와 같은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2스크류, 및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대체용기와 상기 니플 안착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중심축을 따라 중앙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A connector of nipple-receiving part for a replacement vessel}
본 발명은, 니플이 안착되고 젖병과 연결가능한 니플 안착부를 대체용기에 연결시켜주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분유는 분말 상태의 고체 유제품으로서, 뜨거운 물에 섞어 영아가 섭취하는 음식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통상적인 젖병(7)은 영아가 분유를 탄 물을 섭취하기 위한 액체를 담는 통으로서, 통상적으로 뜨거운 물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소재로 된 통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젖병(7)은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제 1소정 외경(d1)의 투입구(7a)를 가진다. 젖병의 투입구(7a)의 외경면에는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스크류(7b)가 형성된다.
도 5의 니플(4) 및 니플 안착부(3)의 단면을 참고하여, 니플(nipple, 4)은 영아가 모유를 먹듯이 입에 물수 있도록 제작된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된 여성의 젖꼭지 형상을 본뜬 부재이다. 니플(4)은, 최상측에 영아의 입속에 들어가는 돌출부분(4a)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분(4a)의 하측으로 돌출부분(4a)에 비해 지름이 큰 주변부분(4b)을 구비한다. 니플(4)은 상기 주변부분(4b)의 하단에서 중심축(X)을 기준으로 외경측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형의 리브 구조(4c)를 구비한다. 상기 니플의 고리형의 리브 구조(4c)를 이하 '니플 리브(4c)'라 지칭한다.
니플(4)이 안착되는 니플 안착부(3)는, 젖병(7)의 투입구(7a)가 삽입되는 관체(3a)를 하측에 구비한다. 상기 관체(3a)의 내경면에는 상기 투입구(7a)의 스크류(7b)와 치합되는 형상의 스크류(3b)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니플 안착부(3)와 상기 투입구(7a)를 서로 회전시켜 스크류 연결가능하다. 니플 안착부(3)는 니플 안착부의 관체(3a)의 상단에서 내경측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고리형의 리브 구조(3c)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형의 리브 구조(3c)를 이하 '안착 리브(3c)'라 지칭한다.
니플 안착부(3)에는, 상기 관체(3a)의 상측으로 상기 관체(3a)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의 홀(3f)이 형성된다. 니플 리브(4c)는 니플 안착부(3)의 홀(3f)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니플(4)이 니플 안착부의 상기 관체(3a)의 하측에서 삽입되면, 니플 리브(4c)가 안착 리브(3c)에 걸린다. 안착 리브(3c)가 니플 리브(4c)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니플(4)이 니플 안착부(3)에 안착된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상측 홀이 형성된 상기 니플 안착부(3)에 안착되는 니플(4)을 '와이드형 니플(4)'이라 정의한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다른 형태의 분유는 액체인 분유로서 젖병의 대체용기(8)에 담긴 상태로 유통된다. 대체용기(8)는 해당 대체용기(8) 내의 액상 분유를 비우고 나면 버려지게 될 용도로 구성된 1회용 용기일 수 있다. 종래의 대체용기(8)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소정 외경(d2)의 투입구(8a)를 가진다. 젖병의 투입구(8a)의 외경면에는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스크류(8b)가 형성된다.
상기 대체용기(8)에 직접 연결가능한 니플 안착부(5)는 대체용기(8)의 투입구(8a)가 삽입되는 하측의 관체를 포함한다. 니플 안착부(5)의 상기 관체의 내경면에는, 상기 투입구(8a)의 스크류(8b)와 치합되는 형상의 스크류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니플 안착부(5)와 상기 투입구(8a)를 서로 회전시켜 연결가능하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상측 홀이 형성된 상기 니플 안착부(5)에 안착되는 니플(6)을 '네로우형 니플(6)'이라 정의한다. 네로우형 니플(6)은 최상측에 영아의 입 속에 들어가는 돌출부분(6a)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분(6a)의 하측으로 돌출부분(6a)에 비해 지름이 큰 주변부분(6b)을 구비한다. 네로우형 니플의 주변부분(6b)은 와이드형 니플의 주변부분(4b)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게 구현된다.
종래에 액상 분유를 영아에게 먹이기 위해 상기 네로우형 니플(6)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네로우형 니플(6)은 주변부분(6b)의 지름을 충분히 크게 할수 없어, 상기 와이드형 니플(4)에 비해 여성의 젖꼭지 주변 부분과의 유사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아에게 분말형의 분유를 먹이되 액상 분유는 외출시의 간편함을 위해서나 특식을 위해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분말형의 분유를 먹이기 위해 영아에게 자주 물리던 상기 와이드형 니플(4) 대신, 영아에게 액상 분유를 먹이기 위해 상기 네로우형 니플(6)을 물리면, 민감한 영아는 평소와 다른 이질감으로 상기 네로우형 니플(6)을 잘 물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는 소비자 조사 결과 발견되었다.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에 연결가능한 하측 관체(3a)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드형 니플이 안착되는 상측 홀(3f)을 구비한 니플 안착부(3)를 구현한다면, 상측 홀(3f)의 지름이 상기 하측 관체(3a) 내경보다 커져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와이드형 니플(4)을 상기 관체(3a)의 하측으로부터 삽입시킬 수 없어, 와이드형 니플(4) 및 상기 니플 안착부(3)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만약 상기 제 2소정 외경(d2)의 투입구(8a)에 연결가능한 하측 관체(3a)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드형 니플(4)이 안착되는 상측 홀(3f)을 구비한 니플 안착부(3)를 구현한다면, 니플 리브(4c) 내경이 상기 제 2소정 외경(d2) 보다 커, 대체용기의 투입구(8a)의 상단(8c)이 니플 리브(4c)의 하측을 눌러주지 못하게 되고 액체가 새는 문제가 있다.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8a)가 상기 제 1소정 외경(d1)을 가지도록 대체용기(8)를 제작한다면, 대체용기(8)를 위한 새로운 생산 설비 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소정 외경(d2)의 투입구를 가진 대체용기(8)에 비해 생산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고 더 큰 뚜컹이 필요하다는 등의 이유로 대체용기(8)의 제조단가가 현저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대체용기(8)는 일회용이므로 제조단가의 차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대체용기(8) 내의 액상 분유를 젖병(7)에 넣어 와이드형 니플(4)을 이용한다면, 젖병(7)을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액상분유를 이용할 때에도 젖병을 챙겨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젖병은 영아에게 줄 분유가 담기는 통으로서 철저한 청결관리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젖병(7)을 세척하거나 챙길때의 청결도를 위한 노력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제 6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제 1소정 외경의 투입구를 가진 젖병에 연결가능한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소정 외경의 제 1관체, 상기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상기 제 1관체의 외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1스크류, 상기 제 1소정 외경 보다 작은 제 2소정 외경의 대체용기의 투입구가 삽입되는 제 2관체,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상기 제 2관체의 내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스크류와 같은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2스크류,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제 1관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소정 외경 보다 큰 제 3소정 외경의 제 3관체를 포함한다. 상기 대체용기와 상기 니플 안착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중심축을 따라 중앙 홀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관체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내측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3관체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 중 상기 제 3관체의 상기 하단의 높이 이하의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3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하측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과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과 상기 제 3관체의 내경면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상기 니플 안착부의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제 1관체의 하단에서 외경측으로 돌출된 니플 안착부 걸림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의 상단이 걸리도록 제 2관체의 상단에서 내경측으로 돌출된 대체용기 걸림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상기 대체용기 걸림단의 하측을 따라 배치된 고리형의 부재이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패킹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관체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내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상기 제 1관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소정 외경 보다 큰 제 3소정 외경의 제 3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는, 상기 제 3관체의 외경면에서 외경측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1관체 (또는 상기 제 3관체)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 중 상기 제 1관체 (또는 상기 제 3관체)의 상기 하단의 높이 이하의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관체 (또는 상기 제 3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하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에서 라운드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에 라운드지게 연결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서, 액상 분유를 영아에게 먹이면서도, 여성의 젖꼭지 주변 부분과 상대적으로 유사한 와이드형 니플(4)을 이용할 수 있어, 영아에게 주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 1효과가 있다.
또한, 한가지 종류의 니플 만을 물고싶어 하는 민감한 영아에게, 젖병이나 대체 용기의 투입구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의 니플을 이용하여 분유를 섭취케 함으로써, 영아가 항상 친밀감을 가지고 니플을 물 수 있게 하고, 영아가 평소와 다른 니플을 잘 물지 않아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만족을 제거할 수 있는 제 2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효과를 발현시키면서도, 와이드형 니플(4)을 교체 또는 세척하기 위해 니플(4)과 니플 안착부(3)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는 제 3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상기 니플 안착부(3)와 결합시 상기 제 1관체의 상단이 상기 니플 리브(4c)의 하측을 눌러줌으로써, 본 발명이 니플 안착부(3)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니플(4)과 니플 안착부(3)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고, 본 발명이 니플 안착부(3)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액체가 니플(4), 니플 안착부(3) 및 상기 제 1관체 사이의 틈으로 새지 않게 하는 제 4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효과를 발현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투입구를 가진 대체용기(8)를 생산할 수 있어, 액상분유의 생산 및 유통을 위한 설비 비용 및 생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제 5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효과를 발현시키면서도, 액상 분유를 영아에게 먹일 때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투입구를 가진 젖병(7)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젖병(7)을 세척하거나 외출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제 6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스크류 및 상기 제 2스크류가 같은 방향으로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을 니플 안착부 및 대체용기에 연결할 때 사용자가 니플 안착부와 대체용기를 각각 한손으로 잡고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본 발명과 니플 안착부 사이의 스크류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본 발명과 대체용기 사이의 스크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7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니플 안착부 및 대체용기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니플 안착부와 대체용기를 각각 한손으로 잡고 상기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 발명과 니플 안착부 사이의 스크류 결합이 풀어지는 동시에, 본 발명과 대체용기 사이의 스크류 결합이 풀어지는 제 8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이드형 니플(4), 니플 안착부(3) 및 젖병(7)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네로우형 니플(6), 니플 안착부(5) 및 대체용기(8)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니플 안착부(3) 및 대체용기(8)와 본 발명(1)이 서로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니플 안착부(3) 및 대체용기(8)와 본 발명(1)이 서로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가 니플 안착부(3) 및 대체용기(8)와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00)를 중심축(X)이 포함된 평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20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200)를 중심축(X)이 포함된 평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30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300)를 중심축(X)이 포함된 평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3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3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1, 100, 200, 300)는 이하 '커넥터'라 지칭한다. '외경'이란 바깥 지름을 의미하고, '내경'이란 내측 지름을 의미한다.
도 5, 6, 10 및 12을 참고하여, 중심축(X)은 상기 커넥터(1, 100, 200, 300)의 중앙 홀(9)을 따라 연장된 축을 의미한다.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경측'으로 정의하고,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내경측'으로 정의한다. '상측' 및 '하측'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6, 10 및 12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설명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커넥터(1)이다. 본 설명 전체에 걸쳐, 니플 안착부(3), 니플(4), 젖병(7) 및 대체용기(8)는 본 발명인 커넥터(1)의 규격 및 기능/용도 등을 특정하기 위한 주변 부품이다. 주변 부품인 니플 안착부(3), 니플(4), 젖병(7) 및 대체용기(8)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젖병(7)은, 제 1소정 외경(d1)의 투입구(7a)를 가진다. 대체용기(8)는, 제 2소정 외경(d2)의 투입구(8a)를 가진다. 제 2소정 외경(d2)은 제 1소정 외경(d1) 보다 작다. 제 2소정 외경(d2)은 안착 리브(3c)의 내경 보다 작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없이 니플 안착부의 관체(3a) 내부로 상기 투입구(8a)를 삽입하면 니플 리브(4c)를 안착 리브(3c)와 투입구의 상단(8c) 사이에 끼이게 할 수 없다.
니플 안착부(3)는, 제 1소정 외경(d1)의 투입구(7a)를 가진 젖병(7)에 연결가능한 하측의 연결부(3a,3b)를 구비한다.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3a,3b)는 젖병의 투입구(7a)를 둘러쌀 수 있는 관체(3a)를 구비한다. 상기 투입구(7a)의 외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스크류(7b)와 치합되도록,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3a,3b)는 상기 관체(3a)의 내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스크류(3b)가 구비된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3a,3b)에 연결 가능한 제 1연결부(10), 및 대체용기의 투입구(8a)에 연결 가능한 제 2연결부(20)를 포함한다. 커넥터(1)에는 중심축(X)을 따라 상하 연통되는 중앙 홀(90)이 형성된다 중앙 홀(90)을 따라 도 5의 A 화살표를 따라 액체가 유동할 수 있다.
제 1연결부(10)는, 제 1소정 외경(d1)의 제 1관체(11), 및 제 1관체(11)의 외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1스크류(15)를 포함한다.
제 1관체(11)는 상기 투입구(7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소정 외경(d1)을 가지고 있어,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3a,3b)에 삽입되어 연결가능하다.
상기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3a,3b)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제 1스크류(15)는 제 1관체(11)의 외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된다. 제 1스크류(15)는 니플 안착부의 스크류(3b)와 치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스크류(15)는 시계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된다. 제 1스크류(15)는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스크류(15)는 제 1관체(11)의 원주상에서 중심축(X)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3a,3b)의 하측으로 제 1관체(11)를 삽입하면서, 중심축(X)을 기준으로 니플 안착부(3) 및 커넥터(1)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다른 하나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니플 안착부(3) 및 커넥터(1)는 서로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제 2연결부(20)는, 대체용기의 투입구(8a)가 삽입 가능한 제 2관체(21), 및 제 2관체(21)의 내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2스크류(25)를 포함한다.
대체용기의 투입구(8a)는 제 1소정 외경(d1) 보다 작은 제 2소정 외경(d2)을 가진다. 제 2관체(21)는 상기 제 2소정 외경(d2)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고,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8a)는 제 2관체(21)에 삽입 가능하다.
제 2스크류(25)는, 대체용기의 투입구(8a)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제 2관체(21)의 내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제 1스크류(15)와 같은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된다. 제 2스크류(25)는 대체용기의 스크류(8b)와 치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스크류(25)는 제 1스크류(15)처럼 시계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관체(21)의 하측으로 대체용기의 투입구(8a)를 삽입하면서, 중심축(X)을 기준으로 대체용기(8) 및 커넥터(1)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다른 하나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대체용기(8) 및 커넥터(1)는 서로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 부재(30)를 포함한다. 차단 부재(30)는, A 화살표를 따라 흐르는 액체가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제 1관체(11)의 중심축(X) 및 제 2관체(21)의 중심축(X)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가 배치된다. 후술할 제 1실시예와 같이 제 1관체(11)의 내부에 제 2관체(21)가 배치될 수도 있고, 후술할 제 2실시예와 같이 제 1관체(11)의 외부에 제 2관체(21)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후술할 제 3실시예와 같이 제 1관체(11)의 내부에 제 2관체(2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차단 부재(30)는 제 2관체(21)의 외경면과 제 1관체(11)의 내경면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커넥터(1)에는, 대체용기(8)와 니플 안착부(3)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중심축(X)을 따라 중앙 홀(90)이 형성된다. 제 2관체(21)의 내부 및 제 1관체(11)의 내부는 연결되어 중앙 홀(90)을 구성한다. 중심축(X)을 따라 중앙 홀(90)을 제외한 부분은 차단 부재(30)에 의해 막힌다.
도 6 내지 9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제 1연결부(110)의 내부에 제 2연결부(120)가 배치된다. 제 2관체(21)는 하단부터 후술할 대체 용기 걸림단(50)까지 연장된 부분으로 정의된다. 제 1관체(11)의 상하방향 길이가 제 2관체(21)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 1관체(11)의 하단부와 제 2관체(21)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관체(11)의 상단은 제 2관체(2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00)는, 니플 안착부의 관체의 하단(3d)이 걸리도록 제 1관체(11)의 하단에서 외경측으로 돌출된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을 포함한다.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은 제 1관체(11)의 하단에서 원주를 따라 연장된 리브 부재일 수 있다.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외경측 면은 상기 리브 부재의 두께의 단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관체(11)가 니플 안착부(3)에 스크류 결합될 시, 니플 안착부의 관체의 하단(3d)이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상측면과 접촉되면 제 1관체(11)는 니플 안착부(3)에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제 1관체의 상단(11a)이 니플 리브(4c)의 하측을 압착할 수 있는 높이(H)만큼, 제 1관체(11)가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제 1관체(11)의 상기 높이(H)는, 니플 안착부의 관체(3a)의 상하방향 길이에서 니플 리브(4c)가 끼워지는 틈을 뺀 길이에 대응된다.
통상적으로 니플 리브(4c)에는 미세한 공기 구멍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 구멍은 니플의 돌출부분(4a)에 형성된 미세한 액체 구멍으로 액체가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관체(11)의 상기 높이(H)가 너무 높으면, 니플 안착부의 관체의 하단(3d)이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상측면에 닿기전에 제 1관체의 상단(11a)이 니플 리브(4c)의 하측면에 닿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니플 리브(4c)가 비틀리면서 니플 리브(4c)에 형성된 상기 공기 구멍이 막힐 수 있다. 반대로 제 1관체(11)의 상기 높이(H)가 너무 낮으면, 니플 안착부의 관체의 하단(3d)이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상측면에 닿은 상태에서도 제 1관체의 상단(11a)이 니플 리브(4c)의 하측면에 닿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 경우 내부의 액체가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관체(11)의 상기 높이(H)는, 니플 안착부의 관체의 하단(3d)이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상측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 구멍이 막히지 않을 정도로 제 1관체의 상단(11a)이 니플 리브(4c)의 하측면을 소정 압력으로 눌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배치 및 배치 위치를 통해서, 상기 높이(H)를 바람직한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의 상단(8c)이 걸리도록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내경측으로 돌출된 대체용기 걸림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용기 걸림단(50)은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원주를 따라 연장된 리브 부재일 수 있다. 대체용기 걸림단(50)의 내경측 면은 상기 리브 부재의 두께의 단면에 해당할 수 있다. 대체용기(8)의 투입구(8a)가 제 2관체(21)에 스크류 결합될 시,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의 상단(8c)이 대체용기 걸림단(50))에 의해 걸리면 대체용기(8)의 투입구(8a)는 니플 안착부(3)에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니플 안착부(3)와 대체용기(8)를 각각 한손으로 잡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넥터(100)와 연결시킬 때, 제 1관체(11)와 니플 안착부(3)의 사이에 전달되는 토크(torque)는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와 제 2관체(21) 사이에 전달되는 토크와 같게된다. 그런데, 제 2소정 외경(d2)은 제 1소정 외경(d1)에 비해 작으므로,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와 제 2관체(21) 사이에 전달되는 힘(force)은 제 1관체(11)와 니플 안착부(3) 사이에 전달되는 힘에 비해 커지게 되고, 커넥터(100)와 대체용기(8)의 삽입이 커넥터(100)와 니플 안착부(3)의 삽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계속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니플 안착부 걸림단(40) 및 대체용기 걸림단(50)을 구비시킴으로써, 커넥터(100)와 대체용기(8)의 삽입이 대체용기 걸림단(50)에 의해 완료되면, 커넥터(100)와 니플 안착부(3) 사이의 삽입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대체용기 걸림단(50)의 하측을 따라 배치된 고리형의 부재인 패킹재(55)를 포함한다. 패킹재(55)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패킹재(55)는 대체용기 걸림단(50)의 하측면을 도포하면서 배치된다. 대체용기(8)의 투입구(8a)가 제 2관체(21)에 스크류 결합될 시,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의 상단(8c)이 패킹재(55)의 하측면에 접촉하면 대체용기(8)의 투입구(8a)는 니플 안착부(3)에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대체용기(8)의 투입구(8a)의 상단(8c)이 패킹재(55)에 압착하면서, 패킹재(55)와 대체용기의 투입구의 상단(8c) 사이로 액체가 누출되지 않게 한다.
커넥터(100)에는 중심축(X)을 따라 중앙 홀(90)이 형성된다. 제 1관체(11)의 내부에는 차단 부재(130)를 제외한 부분에 제 1중공부(91)가 형성된다. 제 2관체(21)의 내부에는 제 2관체(21)의 내경면이 구획하는 제 2중공부(95)가 형성된다. 제 1중공부(91)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고, 제 2중공부(95)의 하측은 개방되어 있다. 제 1중공부(91)의 하측과 제 2중공부(95)의 상측을 연결시켜주는 연통부(93)가 형성된다. 연통부(93)는 대체용기 걸림단(50)의 중앙에 형성된다. 연통부93)의 지름은 제 1중공부(91)의 지름보다 작고 제 2중공부(95)의 지름보다 작다. 제 1중공부(91), 연통부(93) 및 제 2중공부(95)는 연결되어 상기 중앙 홀(90)을 구성한다.
차단 부재(130)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제 1관체(11)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는 내측 커버(131)를 포함한다. 내측 커버(131)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내측 커버(131)는 커넥터(100)가 니플 안착부(3)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00) 및 니플 안착부(3)의 내부에 배치된다.
커넥터(100) 및 니플 안착부(3)의 내부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간이다. 차단부재가 제 1관체(11)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됨으로써, 내부에 액체가 정체되는 홈을 최소화하여 커넥터의 위생적인 관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내측 커버(131)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131a)는 제 2관체(21)가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수직부(131a)는 관형의 부재이다. 수직부(131a)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부터 제 1관체(11)의 상단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131a)의 내경측으로 제 1중공부(91)가 형성된다. 수직부(131a)의 하단과 제 2관체(21)의 상단이 접하는 부분에 대체용기 걸림단(50)이 배치된다.
내측 커버(131)는 수직부(131a)의 상단에서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131b)는 고리형의 판형 부재이다. 수평부(131b)는 수직부(131a)의 상단에서부터 제 1관체(11)의 상단부에까지 연결된 부재이다.
차단 부재(130)는, 제 1관체(11)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제 2관체(21)의 외경면 중 제 1관체(11)의 하단의 높이 이하의 지점에 연결되는 하측 커버(135)를 포함한다. 하측 커버(135)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하측 커버(135)는 커넥터(100)가 대체용기(8)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00) 및 대체용기(8)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 커버(131)의 구조에 의해서, 커넥터(100)의 하측에서 볼 때 제 1관체(11)와 제 2관체(21) 사이에 하측 커버(135) 없이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홈에 외부의 이물질 등이 축적되기 쉽고, 홈에 축적된 이물질이 제거는 곤란하다. 하측 커버(135)는 상기 홈을 가려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커넥터(100)의 위생적인 관리 및 사용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1관체(11)와 제 2관체(21) 사이에 상하로 각각 내측 커버(131)와 하측 커버(135)를 구비시킴으로써,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가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 하측 커버(135)는 제 2관체(21)의 하단에서 외경측으로 연장된다. 하측 커버(135)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판형 부재일 수 있다. 하측 커버(135)는 제 2관체(21)의 하단에서부터 제 1관체의 하단부에까지 연결된 부재이다. 하측 커버(135)는 별도로 사출되어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 사이에 결합된 부재일 수 있다. 하측 커버(135)의 외경측으로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이 배치된다.
도 10 및 11을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상기 제 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2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같은 도면 부호로 도시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제 1연결부(210)의 외부에 제 2연결부(220)가 배치된다. 제 1관체(11)의 상단부와 제 2관체(21)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부재(230)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제 1관체(11)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는 내측 커버(231)를 포함한다. 내측 커버(231)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내측 커버(231)는 커넥터(100)가 니플 안착부(3)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200) 및 니플 안착부(3)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대한 효과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다.
내측 커버(231)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231a)는 제 2관체(21)가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수직부(231a)는 관형의 부재이다. 수직부(231a)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부터 제 1관체(11)의 상단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231a)의 내경측으로 제 1중공부(91)가 형성된다. 수직부(231a)의 하단과 제 2관체(21)의 상단이 접하는 부분에 대체용기 걸림단(50)이 배치된다.
내측 커버(231)는 수직부(231a)의 상단에서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31b)는 고리형의 판형 부재이다. 수평부(231b)는 수직부(231a)의 상단에서부터 제 1관체(11)의 상단부에까지 연결된 부재이다.
차단 부재(230)는, 제 1관체(11)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제 2관체(21)의 외경면 중 제 1관체(11)의 하단의 높이 이하의 지점에 연결되는 하측 커버(235)를 포함한다. 하측 커버(235)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하측 커버(235)는 커넥터(200)가 대체용기(8)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00) 및 대체용기(8)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에 대한 효과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다.
제 2실시예에서, 하측 커버(235)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외경측으로 연장된다. 하측 커버(235)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판형 부재일 수 있다. 하측 커버(235)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부터 제 1관체의 하단부에까지 연결된 부재이다. 하측 커버(235)는 별도로 사출되어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 사이에 결합된 부재일 수 있다. 하측 커버(235)의 외경측으로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이 배치된다.
도 12 내지 15를 참고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3실시예에서, 상기 제 1실시예 및 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3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같은 도면 부호로 도시된다.
상기 제 3실시예에서, 제 1연결부(310)의 내부에 제 2연결부(320)의 상측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제 1관체(11)의 하단부는 제 2관체(21)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3관체(360)의 중심축(X)은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중심축(X)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00)는, 제 1관체(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소정 외경(d1) 보다 큰 제 3소정 외경(d3)의 제 3관체(360)를 더 포함한다. 제 3관체(360)의 상단과 제 1관체(11)의 하단은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에 의해서 연결된다. 즉,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내경측단은 제 1관체(11)의 하단과 결합되고, 니플 안착부 걸림단(40)의 외경측단은 제 3관체(36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 3관체(360)의 하단부와 제 2관체(21)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관체(360)의 하단과 제 2관체(21)의 하단은 하측 커버(335)에 의해서 연결된다. 즉, 하측 커버(335)의 내경측단은 제 2관체(21)의 하단과 결합되고, 하측 커버(335)의 외경측단은 제 1관체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 3관체(360)는 상대적으로 큰 외경(d3)을 가지고 있으므로, 커넥터(300)와 니플 안착부(3) 및 대체용기(8) 사이의 결합 또는 분리시, 사용자가 제 3관체(360)의 외경면을 손으로 잡고 돌리면 더 적은 힘으로도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 3관체(360)의 외경면은 외경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의 외경을 더 크게 할 수 있어, 토크 발생에 더욱 유리하다.
커넥터(300)는, 제 3관체(360)의 외경면에서 외경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36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65)는 원주방향을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65)는 서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65)는 약 8 내지 20개 정도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기(365)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돌기(365)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돌기(365)는 반구형의 형상일 수 있다. 돌기(365)의 돌출 말단은 라운드지게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각진 모서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돌기(365)를 구체화할 수 있다.
돌기(365)를 통해서, 사용자는 제 3관체(360)를 잡을 때 사용자의 손과 제 3관체(36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돌기(365)의 돌출 말단은 가상의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가상의 원주의 지름은 상기 제 3소정 외경(d3) 보다 크므로, 토크 발생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차단 부재(330)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제 1관체(11)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21)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는 내측 커버(331)를 포함한다. 내측 커버(331)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내측 커버(331)는 커넥터(100)가 니플 안착부(3)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200) 및 니플 안착부(3)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대한 효과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다.
내측 커버(331)는, 제 2관체(21)의 상단에서 라운드지게 상향 연장되어 제 1관체(11)의 내경면에 라운드지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내측 커버(331)는 내경측에서 외경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경사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곡면을 형성한다. 내측 커버(331)는 전체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이다.
위와 같은 내측 커버(331)의 형상을 통해서, 대체용기(8) 내부에서 니플 안착부(3) 및 니플(4)의 내부로 액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한다. 니플 안착부(3) 내부에 충분한 양의 액체가 유도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니플 리브(4c) 상의 상기 공기 구멍으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함몰된 각진 공간을 없앰으로써 커넥터(300)의 사용 및 관리 상에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차단 부재(330)는, 제 3관체(360)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제 2관체(21)의 외경면 중 제 3관체(360)의 하단의 높이 이하의 지점에 연결되는 하측 커버(335)를 포함한다. 하측 커버(335)는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준다. 하측 커버(335)는 커넥터(300)가 대체용기(8)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00) 및 대체용기(8)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에 대한 효과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다.
제 3실시예에서, 하측 커버(335)는 제 2관체(21)의 하단에서 외경측으로 연장된다. 하측 커버(335)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판형 부재일 수 있다. 하측 커버(335)는 제 2관체(21)의 하단에서부터 제 3관체의 하단부에까지 연결된 부재이다. 하측 커버(335)는 별도로 사출되어 제 1관체(11) 및 제 2관체(21) 사이에 결합된 부재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3, 5 : 니플 안착부
4 : 와이드형 니플 6 : 네로우형 니플
7 : 젖병 8 : 대체용기
10, 110, 210, 310 : 제 1연결부
11 : 제 1관체 15 : 제 1스크류
20, 120, 220, 320 : 제 2연결부
21 : 제 2관체 25 : 제 2스크류
30, 130, 230, 330 : 차단 부재 31, 131, 231, 331 : 내측 커버
35, 135, 235, 335 : 하측 커버
40 : 니플 안착부 걸림단
50 : 대체용기 걸림단 55 : 패킹재
360 : 제 3관체 365 : 돌기
90 : 중앙 홀 91 : 제 1중공부
93 : 연통부 95 : 제 2중공부
d1 : 제 1소정 외경 d2 : 제 2소정 외경
d3 : 제 3소정 외경 A : 액체 흐름 방향
H : 제 1관체의 높이

Claims (10)

  1. 제 1소정 외경의 투입구를 가진 젖병에 연결가능한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 1소정 외경의 제 1관체;
    상기 니플 안착부의 연결부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상기 제 1관체의 외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1스크류;
    상기 제 1소정 외경 보다 작은 제 2소정 외경의 대체용기의 투입구가 삽입되는 제 2관체;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와 스크류 결합되도록, 상기 제 2관체의 내경면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스크류와 같은 방향의 상향 나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제 2스크류;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제 1관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소정 외경 보다 큰 제 3소정 외경의 제 3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용기와 상기 니플 안착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중심축을 따라 중앙 홀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관체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 중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의 높이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내측 커버; 및
    상기 제 3관체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 중 상기 제 3관체의 상기 하단의 높이 이하의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 3관체 및 상기 제 2관체의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하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과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2관체의 외경면과 상기 제 3관체의 내경면은 서로 이격되는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 안착부의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제 1관체의 하단에서 외경측으로 돌출된 니플 안착부 걸림단을 더 포함하는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용기의 투입구의 상단이 걸리도록 제 2관체의 상단에서 내경측으로 돌출된 대체용기 걸림단을 더 포함하는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용기 걸림단의 하측을 따라 배치된 고리형의 부재이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패킹재를 포함하는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관체의 외경면에서 외경측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제 2관체의 상기 상단에서 라운드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제 1관체의 내경면에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KR1020160024386A 2016-02-29 2016-02-29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KR10174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386A KR101743472B1 (ko) 2016-02-29 2016-02-29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386A KR101743472B1 (ko) 2016-02-29 2016-02-29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72B1 true KR101743472B1 (ko) 2017-06-05

Family

ID=5922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386A KR101743472B1 (ko) 2016-02-29 2016-02-29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63U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342A (ja) 1998-09-01 2000-03-07 Norihiko Agari 小型(500ml等)ペットボトルに用いる哺乳瓶乳首用キャップ並びにストロー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4268A (ja) 1999-06-07 2000-12-12 Taiichi Tsutsui Petボトル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312456Y1 (ko) * 2003-02-06 2003-05-12 김연배 포유젖꼭지 연결용 어댑터의 구조
JP2012245185A (ja) * 2011-05-30 2012-12-13 Yutaka Mizushima 哺乳瓶の乳首と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を連結する連結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342A (ja) 1998-09-01 2000-03-07 Norihiko Agari 小型(500ml等)ペットボトルに用いる哺乳瓶乳首用キャップ並びにストロー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4268A (ja) 1999-06-07 2000-12-12 Taiichi Tsutsui Petボトル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312456Y1 (ko) * 2003-02-06 2003-05-12 김연배 포유젖꼭지 연결용 어댑터의 구조
JP2012245185A (ja) * 2011-05-30 2012-12-13 Yutaka Mizushima 哺乳瓶の乳首と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を連結する連結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363U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KR200488879Y1 (ko) * 2017-07-31 2019-04-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니플 어댑터 및 파우치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5931C2 (ru) Узел соски
JP5379306B2 (ja) こぼれ防止機能付き乳児用哺乳瓶の閉止システム
KR101787506B1 (ko) 액체 회로를 위한 쉽게 세정가능한 커넥터들의 세트
CN103442743B (zh) 吸乳器
JP6010604B2 (ja) 乳首ユニット
IL190257A (en) Leakproof bottle for feeding a child
CN105813685A (zh) 阳型连接器
US20040256345A1 (en) Single use recyclable infant feeding bottle
CN107720675A (zh) 具有减压阀的容器
KR101328519B1 (ko) 안정된 결합력과 사용의 편의성이 구비된 실리콘 젖병
CN105078767B (zh) 用于婴幼儿喂食器皿的嘴部件
CN108778084B (zh) 用于在医疗过程中使用的盖和管组
KR101743472B1 (ko) 대체용기용 니플 안착부 커넥터.
BR112015027263B1 (pt) Cartucho e teteira
CN107007475A (zh) 用于饮水瓶的饮用吸嘴和瓶盖
CN107106410A (zh) 带有至少两个取出口的连接器系统
JP2015514477A (ja) 乳幼児飲用装置
CN111432777B (zh) 硅胶管结合型幼儿用奶瓶
CN103271828B (zh) 一种具有回气功能的奶瓶
US20200222285A1 (en) Breast pump
KR101213196B1 (ko) 기능성 젖병
US20190175453A1 (en) A lid for a drinking bottle
CN209712435U (zh) 杯盖组件和饮水杯
CN101686900A (zh) 分离式奶瓶
US3432059A (en) Teats for infants' feeding bot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