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19B1 -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 Google Patents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19B1
KR101743419B1 KR1020150167010A KR20150167010A KR101743419B1 KR 101743419 B1 KR101743419 B1 KR 101743419B1 KR 1020150167010 A KR1020150167010 A KR 1020150167010A KR 20150167010 A KR20150167010 A KR 20150167010A KR 101743419 B1 KR101743419 B1 KR 10174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ip
shaft rod
anchor bolt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879A (ko
Inventor
임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16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앙카볼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벽면에 구멍을 뚫어줄 때 구멍 내부에 쐐기관의 선단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축봉의 선단부에 앙카볼트를 삽입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벽면에 구멍을 뚫어주는 제1절삭팁과;
상기 제1절삭팁의 직 후방이 되는 축봉에 갖추어진 요입홈부내에 위치하여 구멍의 내측에 형성되어 앙카볼트를 형성하게 되는 쐐기관의 확장편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확장구멍을 뚤어줄 수 있도록 축핀에 의해 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절삭팁과;
상기 축봉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2절삭팁을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상단부분이 외측으로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부 외주연에 갖추어져 승강봉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anchor bolt reamer}
본 발명은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앙카볼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벽면에 구멍을 뚫어줄 때 구멍 내부에 쐐기관의 선단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건축물에서 벽면에 시설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앙카볼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앙카볼트의 사용예로서는 공공장소나,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천정에는 닥트와 배선 등이 매설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설치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천정에 앙카볼트를 설치한 다음, 상기 앙카볼트에 행거를 설치한 이후, 상기 행거에 천정패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앙카볼트(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된 상태에서 상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절취된 절결구(31)에 의해 확장편(32)을 갖춘 쐐기관(30)과, 상기 쐐기관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에 끼워지는 삽입관(41)을 갖고, 상기 삽입관의 상부로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42)을 갖춘 확장구(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앙카볼트를 벽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는 우선,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벽면(1)에 구멍(1a)을 뚫어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앙카볼트 즉, 확장구(40)의 삽입관(41)이 쐐기관(30)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구와 쐐기관을 벽면(1)에 뚫려있는 구멍(1a)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쐐기관(30)의 확장편(32)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구멍(1a)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벽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쐐기관(30) 하단부분을 타격시켜 주게 되면 상기 타격 압력에 의해 쐐기관이 밀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확장구(40)의 삽입관(41)이 끼워져 있는 확장편(32)이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2)에 밀려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하여 쐐기관(30)이 구멍(1a)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쐐기관의 타격에 의해 경사면(42)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던 확장편(32) 선단부분은 구멍(1a)의 내측면에 접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로 하여 계속해서 쐐기관을 삽입시켜 주게 되면, 경사면(42)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확장편(32)이 구멍(1a)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멍(1a)내에 쐐기관(30)의 삽입 고정이 완료되면,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관(30)의 하부를 통해 볼트(20)를 나선 체결시켜준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하부에 행거를 설치하고, 상기 행거에 천정패널이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앙카볼트를 벽면내부에 삽입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는 우선 드릴을 사용하여 앙카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뚫어준 다음에 앙카볼트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 고정시켜 주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멍내에 삽입된 앙카볼트가 고정되는 고정상태를 보면, 벽면에 뚫리는 구멍은 드릴을 사용하여 뚫어주기 때문에 구멍이 일직선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쐐기관의 선단부분인 확장편이 확장구의 경사면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외측으로 벌어진 확장편의 외측면이 구멍의 내측면에 긴밀히 밀착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쐐기관의 박힘이 약할 경우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행거 등의 무게에 의해 구멍의 내주면에 면접지되어 있는 쐐기관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면에 앙카볼트를 삽입 고정시켜 주기 위한 구멍을 뚫어줄 때 구멍내에 쐐기관의 선단부 외주면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공공간을 동시에 뚫어줄 수 있도록 하여 앙카볼트가 구멍내에서 임의로 빠지는 일이 견고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봉의 선단부에 앙카볼트를 삽입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벽면에 구멍을 뚫어주는 제1절삭팁과;
상기 제1절삭팁의 직 후방이 되는 축봉에 갖추어진 요입홈부내에 위치하여 구멍의 내측에 형성되어 앙카볼트를 형성하게 되는 쐐기관의 확장편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확장구멍을 뚤어줄 수 있도록 축핀에 의해 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절삭팁과;
상기 축봉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2절삭팁을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상단부분이 외측으로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부 외주연에 갖추어져 승강봉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핀의 반대편이 되는 제2절삭팁의 저면에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봉의 선단면에 밀려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제2절삭팁의 선단부가 축봉의 외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봉의 선단부에 원형볼을 형성하고, 제2절삭팁의 경사면 내측으로 원형볼이 끼워져 제2절삭팁의 회동 각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2절삭팁을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원형볼삽입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축봉의 하단부 외주연에 씌워지는 이동관체와;
상기 이동관체와 승강봉을 관통시켜 이들을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과;
상기 이동관체와 승강봉을 결합시켜 주기 위하여 축봉을 관통한 고정핀이 이동하여 승강봉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고정핀이 위치하고 있는 축봉 내측에 승하강 방향으로 갖추어진 관통부와;
상기 축봉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단부는 이동관체에 탄지되고, 상단부는 멈춤링에 탄지되는 탄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관체의 외주연에 베어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갖추어 상기 손잡이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도 이동관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절삭팁의 직 하부에 위치하는 축봉에 갖추어진 요입홈부를 축봉 양측으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요입홈부내에 각각의 축핀으로 인해 외측방향을 향하여 회동하되,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한쌍의 제2절삭팁을 형성하며, 상기 축봉을 관통하는 승강봉이 한쌍의 제2절삭팁 사이를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2절삭팁의 경사면에 얹혀져 제2절삭팁이 외측을 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벌림부를 갖추어 승강봉의 하향에 의해 제2절삭팁이 외측으로 벌어져 확장구멍을 뚫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축봉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제1절삭팁을 사용하여 벽면에 앙카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을 뚫어 주고, 상기 제1절삭팁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축봉에 제2절삭팁을 작동시켜 구멍내에 확장구멍을 함께 뚫어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앙카볼트 즉, 확장구가 끼워진 쐐기관을 구멍내에 삽입시켜 쐐기관을 강제로 삽입시켜 주게 되면 상기 쐐기관의 상단부에 절결구에 의해 갖추어진 확장편이 확장구멍내에 밀려들어가 걸쳐지는 상태로 하여 삽입 고정이 이루어져 종래와 같이 단순히 구멍만을 뚫어준 상태에서 앙카볼트 즉, 쐐기관의 확장편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구멍이 긴밀한 밀착력에 의한 면지지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강한 힘이 가해졌을 경우 확장편이 구멍에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상태로 하여 빠지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앙카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 앙카볼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구성도로서,
도2a는 벽면에 구멍이 뚫린 상태도.
도2b는 구멍내에 앙카볼트를 삽입시켜준 상태도.
도2c는 구멍내에 앙카볼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쐐기관이 구멍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도.
도2d는 쐐기관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인 확공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중 제2절삭팁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로서,
도4a는 제2절삭팁이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도.
도4b는 제2절삭팁이 작동된 상태도.
도 5 는 도4a의 A-A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중 제2절삭팁과 승강봉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도6의 B-B선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중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도8a는 작동부가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도.
도8b는 작동부가 작동된 상태도.
도 9 은 도8a의 B-B선 평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인 확공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10a는 벽면에 구멍이 뚫리기 전의 상태도.
도10b는 벽면에 구멍이 뚫린 상태도.
도10c는 뚫린 구멍 내측에 확장구멍을 뚫어주는 상태도.
도10d는 벽면에 구멍이 뚫린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인 확공기에 의해 뚫린 구멍에 앙카볼트를 고정시켜 주는 상태도로서,
도11a는 구멍내에 앙카볼트인 확장구와 쐐기관이 삽입된 상태도.
도11b는 쐐기관을 타격시켜 확장구멍에 확장편이 걸쳐진 상태도.
도11c는 쐐기관에 볼트를 체결시켜 준 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공기의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로서,
도13a는 제2절삭팁이 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도.
도13b는 제2절삭팁이 작동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인 확공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인 확공기(100)는 축봉(200)의 선단부에 벽면(10)에 구멍(11)을 뚫어줄 수 있도록 하는 제1절삭팁(300)과; 상기 제1절삭팁 후단측에 위치하는 축봉의 일측면에 갖추어져 구멍의 내측으로 확장구멍(12)을 뚫어주는 제2절삭팁(400)과; 상기 축봉(20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시켜 제2절삭팁을 회동시켜 주는 승강봉(500) 및 상기 승강봉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600)로 구분된다.
상기 제1절삭팁(300)은 축봉(200)의 선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축봉의 끝단부분에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드릴 등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드릴의 회전작동으로 인해 축봉(200)이 고속 회전하게 되면 이의 선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제1절삭팁(300)이 벽면(10)을 파고 들어가면서 구멍(11)을 뚫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절삭팁(400)은 상기 제1절삭팁(300)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축봉(200)의 일측면에 갖추어진 요입홈부(210)내에 삽입되도록 하여 축핀(410)에 의해 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제1절삭팁(300)에 의해 벽면(10)에 뚫린 구멍(11) 내측에 확장구멍(12)을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봉(500)은 축봉(200)의 후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요입홈부(210)와 연통되도록 하는 통공(220)을 관통시켜 제2절삭팁을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축핀(410)의 반대편 하단부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봉(500)의 승강에 의해 제2절삭팁(400)이 축핀(410)을 기점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핀(410)의 반대편이 되는 제2절삭팁(400)의 후면 하단부측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봉(500)의 선단부분이 삽입되어 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부(420)를 갖추게 되는데, 상기 삽입홈부는 경사면(420a)으로 형성시켜 승강봉(500)을 상승시켜 축핀(410)을 기점으로 하여 제2절삭팁(400)을 회동시켜 주고자 할 때, 상기 제2절삭팁이 축핀(410)을 기점으로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승강봉(500)이 수직으로 상승하더라도, 상기 경사면(420a)에 의해 제2절삭팁(400)의 하단부분을 밀어 올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봉(500)의 선단부에 원형볼(510)을 갖추고, 상기 제2절삭팁(400)에 갖추어진 삽입홈부(410)중 상단부분에 원형 볼(5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원형볼삽입홈부(420b)를 갖추어 주무로서, 상기 원형볼삽입홈부내에 삽입된 원형볼(510)에 의해 승강봉(500)이 하강시 제2절삭팁(400)도 축핀(410)을 기점으로 하여 함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600)는 승강봉(500)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200)의 하단부 외주연에 씌워져 자유롭게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관체(610)를 갖추어주되, 상기 이동관체는 축봉(200)의 하단부에 갖추어진 관통부(230)를 통해 노출된 승강봉(500)의 끝단부분과 고정핀(620)에 의해 결합 되도록 하여 이동관체(610)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승강봉(500)이 승,하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축봉(200)의 외주연에 씌워진 상태로 하여 이동관체(610)의 상면에 얹혀지고, 상단부분은 축봉에 갖추어진 멈춤링(240)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관체(610)가 항상 하향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지스프링(630)을 갖추어준다.
이때, 상기 이동관체(610)는 축봉(200)과 고정핀(620)에 의해 고정 결합된 상태에 있으므로서, 상기 축봉이 회전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작동부(600)를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이동시켜 줌에 따라 이동관체(610) 외주연에 베어링(640)에 의해 결합된 손잡이부(650)를 갖추어 축봉이 회전되더라도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손잡이부(650)가 회전되지 않아 작동부(600)를 손으로 잡고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확공기(100)는 전동드릴(도시되지 않음)에 축봉(510)의 끝단부를 삽입시켜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전동드릴에 고정된 확공기(500) 즉, 축봉(200)의 선단부분에 갖추어진 제1절삭팁(300)을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볼트(10)가 삽입될 수 있는 지점 즉, 벽면(1)에 구멍(1a)을 뚫어주고자 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동드릴을 작동시켜 주게 되면 전동드릴의 작동으로 인해 축봉(200)이 일측 방향으로 고속회전 하게 되고, 상기 축봉의 회전으로 인해 축봉(200) 선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제1절삭팁(300)에 의해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에 구멍(1a)이 뚫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600)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지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관체(610)가 하향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서, 제2절삭팁(400)은 요입홈부(210)내에 위치하고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절삭팁(300)을 사용하여 원하는 깊이의 구멍(1a)이 뚫어지게 되면, 도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부(600)의 손잡이부(65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를 상부로 밀어 올려주게 되면 이동관체(61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고정핀(6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승강봉(500)이 상승을 하게 되어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홈부(210)내에 위치하고 있는 제2절삭팁()의 하단면에 갖추어져 있는 삽입홈부(420)의 경사면(420a)을 밀어주게 됨에 따라 축핀(410)을 기점으로 하여 제2절삭팁(400)의 상단부가 축봉(20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구멍(1a)의 내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축봉(200)이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확장구멍(1b)을 뚫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650)는 이동관체(610)와 베어링(640)으로 연결되어 있어 축봉(200)이 회전시 이동관체(61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관체(610)의 외주연에 위치하고 있는 손잡이부(650)는 베어링(640)에 의해 회전을 하지 않게 되어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부로 밀어올려 주어 제2절삭팁(400)을 이용하여 확장구멍(1b)을 뚫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구멍(1a)과 확장구멍(1b)이 뚫어지게 되면 상부로 밀어주고 있던 손잡이부(650)를 놓아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지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관체(610)가 하부로 내려와 이와 고정핀(620)으로 연결되어 있는 승강봉(500)이 하향되어 제2절삭팁(400)의 하부를 밀어주던 힘이 없어짐에 따라 축봉(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제2절삭팁(400)이 축핀(410)을 기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요입홈부(210)내로 들어가게 되므로서, 축봉(200)이 수월하게 빠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2절삭팁(400)의 회동수단은 승강봉(500)의 선단면이 제2절삭팁(400)의 하면 내측으로 요입되는 상태로 갖추어진 삽입홈부(420)내에 단순히 위치한 상태에서 경사면(420a)을 따라 이동하면서 밀어주는 상태가 되어 제2절삭팁을 회동시켜 주는 수단이고,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봉(500)의 선단부에 원형볼(510)을 갖추고, 상기 원형볼이 제2절삭팁(400)의 삽입홈부(420)에 갖추여져 있는 원형볼삽입홈부(420b)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일 경우에는 승강봉(500)이 하향될 경우 제2절삭팁(400)도 함께 회동을 하여 요입홈부(210)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인해 벽면(1)내에 구멍(1a)과 확장구멍(1b)이 뚫어지게 되면 앙카볼트(10)를 상기 구멍내에 삽입 고정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관(30)의 확장편(32) 내측에 확장구(40)의 삽입관(41)이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이를 구멍(1a)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관(41)은 쐐기관(30)과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확장편(32)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서, 구멍(1a)내에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멍(1a)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쐐기관(30)을 공구를 사용하여 타격시켜 주게 되면 타격이 이루어지는 힘에 의해 쐐기관(30)이 구멍(1a)의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쐐기관의 선단부에 절결구(31)에 의해 갖추어져 있는 확장편(32)이 확장구(40)의 경사면(4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확장편(32)의 선단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가 되어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구멍(1b)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42)에 밀려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구멍(1a)보다 큰 내경을 갖고 있는 확장구멍(1b)내에 긴밀하게 삽입고정된 확장편(32)에 의해 쐐기관(30)이 임의로 빠지지 않는 상태로 하여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관(30)의 하부로부터 내측에 볼트(20)를 나선 체결시켜 준 다음 상기 볼트에 행거와 천정패널을 체결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본발명인 확공기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삭팁(400)을 축봉의 양측에 갖추어진 것으로서, 이는 요입홈부(210)를 축봉(200)의 양측으로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요입홈부내에 한 쌍의 제2절삭팁(400)을 각각의 축핀(41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절삭팁(400) 상단부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하고, 축봉(200)의 외측으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축봉(200)을 관통하는 통공(220)을 축봉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통공(220)을 통해 승강봉(500)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승강봉(500)은 요입홈부(210)내에 갖추어져 있는 한쌍의 제2절삭팁(400) 사이를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선단부에 제2절삭팁(400)의 상면에 갖추어진 경사면에 접한 상태에서 승강봉(500)이 하부로 이동할 때 제2절삭팁의 상단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벌림부(510)를 갖추어준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600)의 탄지스프링(630)은 이동관체(6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동부(600)를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탄지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관체(610)를 항상 상부로 밀어올려 줌에 따라 승강봉(500) 상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벌림부(510)가 한쌍의 제2절삭팁(400) 상부에 갖추어져 있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어 제2절삭팁(400)이 요입홈부(210)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절삭팁(300)에 의해 벽면(1)에 구멍(1a)이 뚫어진 다음, 작동부(600)의 손잡이부(65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를 하부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이동관체(610)가 하향되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봉(500)도 함께 하향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봉(500)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한쌍의 제2절삭팁(400) 상면에 갖추어진 경사면에 접하고 있는 벌림구(510)가 하향됨에 따라 제2절삭팁(400)이 축핀(410)을 기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제2절삭팁의 선단부가 축봉(2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어 확장구멍(1b)을 뚫어주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2절삭팁이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확장구멍을 빠른 시간내에 뚫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벽면 1a:구멍
1b:확장구멍 10:앙카볼트
20:볼트 30:쐐기관
31:절결구 32:확장편
40:확장구 41:삽입관
42:경사면 100:확공기
200:축봉 210:요입홈부
220:통공 300:제1절삭팁
400:제2절삭팁 500:승강봉
600:작동부 610:이동관체
620:고정핀 630:탄지스프링
640:베어링 650:손잡이부

Claims (6)

  1. 축봉의 선단부에 앙카볼트를 삽입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벽면에 구멍을 뚫어주는 제1절삭팁과;
    상기 제1절삭팁의 직 후방이 되는 축봉에 갖추어진 요입홈부내에 위치하여 구멍의 내측에 형성되어 앙카볼트를 형성하게 되는 쐐기관의 확장편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확장구멍을 뚤어줄 수 있도록 축핀에 의해 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절삭팁과;
    상기 축봉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2절삭팁을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상단부분이 외측으로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강봉과;
    상기 축봉의 하단부 외주연에 갖추어져 승강봉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축봉의 하단부 외주연에 씌워지는 이동관체와;
    상기 이동관체와 승강봉을 관통시켜 이들을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과;
    상기 이동관체와 승강봉을 결합시켜 주기 위하여 축봉을 관통한 고정핀이 이동하여 승강봉을 승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고정핀이 위치하고 있는 축봉 내측에 승하강 방향으로 갖추어진 관통부와;
    상기 축봉의 외주연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단부는 이동관체에 탄지되고, 상단부는 멈춤링에 탄지되는 탄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의 선단부에 원형볼을 형성하고, 제2절삭팁에 갖추어진 경사면으로 원형볼이 끼워져 제2절삭팁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2절삭팁을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원형볼삽입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체의 외주연에 베어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갖추어 상기 손잡이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도 이동관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6. 삭제
KR1020150167010A 2015-11-27 2015-11-27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KR101743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010A KR101743419B1 (ko) 2015-11-27 2015-11-27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010A KR101743419B1 (ko) 2015-11-27 2015-11-27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79A KR20170061879A (ko) 2017-06-07
KR101743419B1 true KR101743419B1 (ko) 2017-07-11

Family

ID=5922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010A KR101743419B1 (ko) 2015-11-27 2015-11-27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100Y2 (ja) * 1989-07-29 1998-03-04 株式会社 ミヤナガ アンカーボルト植設用孔の拡径部削成装置
WO2001006070A1 (fr) * 1999-07-21 2001-01-25 Kabushiki Kaisha Zen Kenchiku Sekkei Jimusho Element de fixation, gabarit d'entrainement pour la realisation de l'element de fixation et trepan pour usinage de trou degage
JP2005105677A (ja) 2003-09-30 2005-04-21 Techno Eco:Kk あと施行アンカー工法
JP2006150501A (ja) 2004-11-29 2006-06-15 Isamu Yahara 孔拡張部の形成方法及び孔拡張部切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4100Y2 (ja) * 1989-07-29 1998-03-04 株式会社 ミヤナガ アンカーボルト植設用孔の拡径部削成装置
WO2001006070A1 (fr) * 1999-07-21 2001-01-25 Kabushiki Kaisha Zen Kenchiku Sekkei Jimusho Element de fixation, gabarit d'entrainement pour la realisation de l'element de fixation et trepan pour usinage de trou degage
JP2005105677A (ja) 2003-09-30 2005-04-21 Techno Eco:Kk あと施行アンカー工法
JP2006150501A (ja) 2004-11-29 2006-06-15 Isamu Yahara 孔拡張部の形成方法及び孔拡張部切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79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427B2 (en) Expansion anchor setting apparatus
US6311793B1 (en) Rock bit nozzle and retainer assembly
US8881847B2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roof tool
JP2008510526A5 (ko)
CN106639877B (zh) 变轨迹钻进方法及装置
JPWO2015025492A1 (ja) 拡径孔部付き孔の穿孔装置
CN100422488C (zh) 锚栓施工方法、锚栓埋设孔钻挖方法、锚栓及钻挖装置
US9422780B1 (en) Drill members for mine roofs
KR101743419B1 (ko) 앙카볼트 고정용 확공기
KR101244782B1 (ko) 지반 굴착 해머용 확경 비트
JP5574351B1 (ja) 電柱穴掘削用管挿入工具および管挿入工法
US20220389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lling while driving foundation components
JP2000314291A (ja) フレキシブルパイプ及びトンネル地山の補強方法
KR200468487Y1 (ko) 하수구 소통 장치
KR102214739B1 (ko) 드릴을 구비한 앵커지지대 및 그 시공방법
US2729437A (en) Apparatus for making cavities for pipes, electric wiring and switches in the masonry of houses and the like
JP7079475B2 (ja) 拡径孔部の穿孔装置
JP4263054B2 (ja) 注入パイプ
GB2172315A (en) Expandable-contractable drilling device
JP2017089136A (ja) 地盤改良工法及び地盤改良装置
JP2005105776A (ja) 中掘工法に於ける拡大掘削ビット
EP3219875A1 (en) Method for removing insulation from the cavity of a cavity wall
CN218347330U (zh) 一种扩径钻头
KR10260960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EP1570966A1 (en) Mortis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