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377B1 -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377B1
KR101743377B1 KR1020157012552A KR20157012552A KR101743377B1 KR 101743377 B1 KR101743377 B1 KR 101743377B1 KR 1020157012552 A KR1020157012552 A KR 1020157012552A KR 20157012552 A KR20157012552 A KR 20157012552A KR 101743377 B1 KR101743377 B1 KR 10174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tether
opening
base surfac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312A (ko
Inventor
데이비드 엘 클라크
Original Assignee
노스롭 그루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스롭 그루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스롭 그루먼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8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2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63Threaded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침입형 체결구가,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에 의해서 이격된, 체결구 헤드 및 체결구 선단부를 가진다. 테더링가능한 와셔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의 기초부 표면을 가진다.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이 적어도 기초부 표면의 일부로부터 위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체결구 공동을 형성한다. 2개의 테더 개구가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양 테더 개구 모두가 회전 비대칭적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테더 개구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고, 테더 개구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된다. 테더 개구들은, 양 테더 개구 모두를 통해서 연장하는 테더를 동시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TETHERED FASTENING DEVICE}
관련 출원
본원은 2012년 10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653142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특허출원의 청구 대상은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정부 계약
미합중국 정부는 미국 정부 계약에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해서 권리를 가진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의 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고정부(ahchor) 구조물에 침입형 체결구(penetrating fastener)를 테더링하기 위한 체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주 정거장과 같은 대형 기초부(base) 구조물의 조립체, 드릴링 플랫폼(drilling flatform), 및 정밀 간극(clearance) 기계류는, 이탈(stray) 하드웨어가 망실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기초부 구조물에 대한 발생가능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조립체 하드웨어의 엄격한 계수(accounting)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우주 정거장으로부터 표류(drifting)하는 너트 또는 볼트는, 우주 정거장의 인접부 내의 후속 우주선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발사체(projectile) 위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감속 기어 내로 낙하된 볼트가 기어에 대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손상은 기계류의 걸림(jamming)을 유도하여, 동작 불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고층 건물(skyscraper) 건축과 같은 높은 적용예에서, 낙하되는 체결구가 아래쪽의 사람 또는 장비에 대한 위험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실의 경우에 여분의 체결구를 반송(carry)하여야 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선의 일부 부분 내로 낙하된 체결구는 궤도 상에서 안테나 또는 태양열 어레이가 전개(solar array deployment)되는 것에 대한 실패를 유발할 수 있고, 수백만 달러의 우주선을 무용하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제트 엔진, 항공기 착륙 기어 격납 시스템, 또는 비행 제어 기구 내로 낙하된 체결구가 수명을 위협하는 고장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흉곽 분리 고정물(ribcage separation fixture)로부터 망실된 체결구가 개복 심장 수술 환자 내부에 남겨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체결구에 더하여, 민감한 또는 거의 민감한 장비와 함께 일시적으로 및/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체결구의 계수가능성(accountability) 또는 제어 필요성이 존재한다. 체결구 또는 유사한 하드웨어를 떨어뜨리거나 달리 망실한 후에 체결구 또는 유사 하드웨어를 회수(retrieve)하는 것이 종종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망실된 또는 잘못 위치된 체결구의 문제는, 수중, 우주 공간, 및 다른 격리된 또는 비일상적 위치에서 기초부 구조물에 대한 상당한 불편함 및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가 기초부 구조물로부터 자유롭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임의 분위기에서 테더링형 체결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대부분의 테더링 방법은, 나사산(thread)의 기초부에 또는 헤드 내에 홈을 생성하는 것과 같이, 체결구에 대해서 일부 변경을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경은 제조에 있어서의 지연 및 비용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고, 부식 방지 코팅/처리를 손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체결구를 약화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변경은 변경된 각각의 체결구에 대한 엔지니어링 도면에서 반드시 문서화되어야 하고 - 부가적인 시간 및 노력의 비용이 든다 -,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을 수도 있는 이러한 특수한 체결구가 적절한 테더링을 위해서 이용될 것을 요구한다.
체결구 변경을 요구하지 않는 기존의 테터링 방법은, 체결구를 큰 장방형 시트 금속 "와셔(washer)"의 일 단부를 향해서 홀 내로 배치하는 것 및 이어서 이러한 임시변통적(makeshift) "와셔"의 타 단부를, 이탈 방지를 위해서, 체결구 헤드의 상단 위로 절곡하는(bend) 것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체결구 헤드 위로 돌출하는 큰 "C-형상의" 브래킷이 초래된다.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리고 브래킷이 (일반적으로 손에 의해서) 체결구 헤드 위로 절곡될 수 있도록, 디자인에 의해서, 이러한 브래킷이 용이하게 절곡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가단성(malleability)은 브래킷을 취약하게 만들어서, 일반적인 접촉에 의해서도 우발적으로 절곡되게 하거나 심지어는 파괴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C-형상의" 브래킷은 또한 의류, 케이블, 가는 끈(lanyard), 밧줄(tether), 및 이동 중에 브래킷에 대해서 문질러지는 다른 근처의 구조물을 찢는 불편한 경향을 또한 가지고, 그에 따라 브래킷 및/또는 접촉 구조물에 대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브래킷의 임의의 "테더링" 기능을 무효화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C-형상의 절곡된-와셔 브래킷은, 체결구가 제거되고 대체되어야 하는 경우에 다시 펴고 재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그에 따라 일회-사용 물품이 되며, 이는 그 자체가 (예를 들어, 해저 또는 우주 공간 사용 분위 내에서) 원치 않는 여분의 파편 또는 자유-부유 물체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 시스템이 설명된다. 침입형 체결구가, 세장형의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에 의해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체결구 헤드 및 체결구 선단부를 가진다. 테더링가능한 공동(cavitiy) 와셔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의 기초부 표면을 가진다. 체결구 개구는 체결구 헤드의 상응하는 측방향 치수 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치수를 가진다.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이 적어도 기초부 표면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까지 위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기초부 표면의 체결구 개구를 통해서 연장하는 적어도 체결구 샤프트의 일부와 동시에,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체결구 공동을 형성한다. 2개의 테더 개구가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테더 개구가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양 테더 개구 모두가 회전 비대칭적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테더 개구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고, 테더 개구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된다.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 모두가 체결구 헤드의 길이방향 두께 보다 크다. 세장형의 테더가 테더 본체에 의해서 분리된 제1 및 제 2 테더 단부를 가진다. 테더 개구는, 양 테더 개구 모두를 통해서 연장하는 테더 본체를 동시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가 설명된다.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기초부 표면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진다. 기초부 표면이 기초부 표면 둘레를 가진다. 체결구 개구의 전체가 기초부 표면 둘레와 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된다.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이 적어도 기초부 표면 둘레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까지 위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2개의 테더 개구가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테더 개구가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2개의 테더 개구 모두가 회전방향으로 비대칭적인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침입형 체결구를 테더링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체결구가, 세장형의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에 의해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체결구 헤드 및 체결구 선단부를 가진다. 테더링가능한 공동 와셔가 제공되고, 그러한 공동 와셔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의 기초부 표면을 가진다. 체결구 개구는 체결구 헤드의 상응하는 측방향 치수 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치수를 가진다.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이 적어도 기초부 표면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까지 위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오목한 체결구 공동을 형성한다. 2개의 테더 개구가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테더 개구가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양 테더 개구 모두가 회전 비대칭적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테더 개구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고, 테더 개구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된다.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 모두가 체결구 헤드의 길이방향 두께 보다 크다. 적어도 체결구 샤프트의 일부가 체결구 개구를 통해서 삽입된다.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일부가 체결구 공동 내에 수용된다. 테더 본체에 의해서 분리된 제1 및 제2 테더 단부를 가지는, 세장형 테더가 제공된다. 테더 본체가 2개의 테더 개구 모두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된다. 체결구 헤드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운동을 통해서 체결구 공동을 빠져나가는 것이, 2개의 테더 개구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더 본체의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근적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성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개략적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선 6-6을 따라서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성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8-8을 따라서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부분적 원근적 측면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이용 분위기에서의 도 1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서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성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성의 부분적인 개략적 상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도 1은 체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침입형 체결구(102)가, 세장형의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108)에 의해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체결구 헤드(104) 및 체결구 선단부(106)를 가진다. 본원에서, 도면에서 길이방향 화살표(110)에 의해서 도시된 "길이방향"은 조립된 체결 시스템(100) 내의 체결구(102)의 배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유도된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측방향"은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방향 평면(112) 내에 또는 측방향 평면(112)을 따라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체결구(102)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일 수 있으나, 하부의 구조물 내로 침입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침입된 또는 삽입된 위치에서 장기간 유지되도록 구성된 체결구 샤프트(108)를 가지고, 체결구 헤드(104)는 해당되는 하부의 구조물의 삽입 측면 상에서 주변 공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 샤프트(108)가 나사산, 홈, 미늘(barb), 또는 체결구(102)를 희망 삽입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희망 특징부(feature)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 시스템(100)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적합한 체결구(102)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나사, 볼트, 리벳, 고정구, 못, 스테이플, 또는 임의의 다른 희망 체결구 유형이 포함된다.
테더링이 가능한 공동 와셔(114)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102)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공동 와셔"라는 용어는, 밀폐성(tightness), 누설 방지, 하중 분산, 절연, 마찰 완화(relieve), 또는 접합부나 마감된 체결구 조립체 내에서의 임의의 다른 희망 목적을 보장하기 위해서, 체결구(102)와 체결구-수용 구조물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재되는, 컵-형상의 또는 다른 "3-차원적인"(즉, 전체적으로 편평하지 않은) 물품을 나타낸다. 통상적인 하드웨어 "와셔"가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얇은 링 또는 디스크, 천공된 플레이트, 또는 다른 평면형의, 대략적으로 2-차원적인 구조물이나,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공동 와셔"는, "통상적인" 와셔의 평면 외부로 연장하나 체결구(102)와 체결구-수용 구조물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한 개재되는 3-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는 물품(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다)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공동 와셔가, 체결구 헤드(104)와 하부의 표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와셔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 시스템은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116)를 포함한다. 테더(116)는, 테더 본체(122)에 의해서 분리된,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 각각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가 접합 슬리브(124)의 이용을 통해서 함께 연결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가, 본 발명의 특별한 사용 분위기를 위해서 요구되는 바에 따라, 서로에 대해서 또는 다른 구조물(미도시)에 각각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매달려서/부착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 모두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테더 본체(122)가 공동 와셔(114) 내의 2개의 테더 개구(126)를 동시적으로 통과하여 연장하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 본체(122)는, 체결구 헤드(104)가 공동 와셔(114)의 외부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 또는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 시스템(100)의 상면도가, 공동 와셔(114)와 조립된 소켓-헤드 체결구(102)를 도시한다. 도 3-4에 도시된 소켓-헤드 체결구 헤드(104)는, 체결구 샤프트(108)에 반대되는 체결구 헤드(104)의 측면 상에 위치되는 공구-결합 특징부(여기에서, 공구 공동(32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공동(328)은, 체결 시스템(100)의 이용 중에 체결구를 조작하기 위해서(예를 들어, 체결구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앨런(Allen) 렌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도 4는 체결 시스템(100)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체결구 헤드(104)는, 체결구 샤프트(108)와 반대되는 체결구 헤드의 측면 상의 공구-결합 특징부(여기에서, 체결구 헤드(104)의 복수의 편평한 측면에 의해서 형성된 육각형 면(430))를 포함한다. 육각형 면(430)은, 체결 시스템(100)의 이용 중에 체결구(102)를 조작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육각형 소켓과 정합(mate)되도록 구성된다. 비제한적으로, 앨런 렌치, 필립스(Philips) 스크류드라이버, 슬롯형 스크류드라이버, TORXTM 렌치, 로버슨(Robertson) 렌치, 내부 헥스(hex) 렌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조작 공구 또는 그 조합인 조작 공구와 같은, 임의의 희망하는 유형의 공구-결합 특징부 및 상응하는 조작 공구가 본 발명과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사용 분위기에서, 테더 본체(122)가 양 테더 개구(126) 모두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할 때, 조작 공구가 공구-결합 특징부에 길이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사용 분위기에서, 양 테더 개구(126) 모두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할 때, 테더 본체(122)가 조작 공구에 의한 공구-결합 특징부의 길이방향 접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적합한 공구-결합 특징부 및/또는 조작 공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체결구의 조작(풀림 또는 조임) 메커니즘 및 연관된 조작 공구(들) 및/또는 공구-결합 특징부의 디자인으로 구속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다(agnostic and apathetic).
이제, 특히 도 3 및 도 5-6을 참조하여, 공동 와셔(114)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5(체결구(102)가 이러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의 저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동 와셔(114)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534)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기초부 표면(532)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 표면(532)이 기초부 표면 둘레(536)(여기에서, 원형 기초부 표면의 외측 원주)를 가질 수 있고, 체결구 개구(534)의 전체가 기초부 표면 둘레와 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개구(534)가, 측방향 평면(112) 내에서, 기초부 표면 둘레(536)의 전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체결구 개구(534)의 일부가 적어도 기초부 표면 둘레의 일부와 인접할 수 있고 - 예를 들어, 원형 기초부 표면이 측방향 평면(112)에서 볼 때 초승달 또는 "C-형상"의 외관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체결구 개구가 기초부 표면(532)의 일 측면 외부의 "물림부(bite)"일 수 있다.
체결구 개구(534)가, 체결구 헤드(104)의 상응하는 측방향 치수 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리고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비록 직경(da 및 dh)이 취해지는 각각의 측방향 평면들이 일치하지는 않더라도(즉,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더라도), 측방향 평면(112)(즉, 길이방향(1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취한, 체결구 개구(534)의 직경(da)이 측방향 평면(112)(즉, 길이방향(1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취한, 체결구 헤드(104)의 직경(dh)보다 작을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 개구(534)와 체결구 헤드(104) 사이의 측방향 치수들의 이러한 불합치는, 존재하는 경우에, 체결구 헤드(104)가 체결구 개구(534)를 통과하는 것을, 공지된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적어도 체결구 샤프트(108)의 일부를 통한 도 6에 도시된 구성으로의 길이방향 삽입을 허용하면서도 체결구 헤드(104)의 길이방향 통과를 방지하도록, 체결구 개구(534)가 치수결정되고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 개구(534)에 더하여, 공동 와셔(114)가 또한 적어도 기초부 표면(532)의 일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위쪽으로(예를 들어, 도 6의 배향에서 도면 지면의 상단을 향해서) 연장하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338)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벽(338)은, 기초부 표면(532)으로부터, 예를 들어 적어도 기초부 표면 둘레(536)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α)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선택적으로 기초부 표면(532)과 함께, 벽(338)은, 기초부 표면의 체결구 개구(534)를 통해서 연장하는 적어도 체결구 샤프트(108)의 일부와 동시적으로 적어도 체결구 헤드(104)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체결구 공동(64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벽(338)이 공동 와셔(114)의 엣지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벽(338)은, 기초부 표면(532)이 기초부 표면 둘레(536)의 2개의 작은 둘레 부분 상의 슬롯과만 접촉하는, 슬롯형 홀 적용예에서 이용되는 체결 시스템(100)의 안정성을 보강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338)은 기초부 표면 둘레(536)의 전체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쪽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벽(338) 및 기초부 표면(532)은 함께,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체결구 공동(640)을 가지는 컵-형상의 공동 와셔(114)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338)이 기초부 표면 둘레(536)의 일부로부터 바로 길이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하여, 개방-측면형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체결구 공동(640)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벽(338)이, 도시된 실질적으로 편평한(even) 제1 길이방향 거리(α)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기초부 표면(532) 위로 불규칙적인 "높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벽(338)의 일부가, 기초부 표면 둘레(536)가 아닌 기초부 표면(532)의 부분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9-10을 참조하면, 테더 개구(126)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테더 개구(126)가 벽(338)을 통해서 측방향으로(즉, 길이방향(100)으로부터 측방인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테더 개구를 가정할 것이나, 임의의 적합한 수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테더 개구(126)는 회전적으로 비대칭적인 구성으로 벽(338)을 따라서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여기에서, "회전적으로 비대칭적인 구성"이라는 문구는, 도 9의 배향에서와 같은 측방향 평면 내에서 관찰할 때, 양 테더 개구(126)가 벽(338)의 하나의 측면을 향해서 위치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된 것이다.
달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의 측방향으로 배향된 "슬라이스(slice)"가 그 자체의 축 상에서 360°를 통해서 회전될 때, 테더 개구들(126)이 회전의 시작 및 종료 시에 그들의 위치들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회전 각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테더 개구(126)가 상이한 "높이들"에 (즉, 서로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벽(338)이 원형일 필요가 없다는 것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 측방향 평면 내의 벽의 형상 및 벽을 따른 테더 개구의 길이방향 배치 모두가 측방향을 따른 테더 개구의 회전방향 비대칭성의 결정과 관련 없다.
도 10을 참조하면, 테더 개구(126)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532)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β)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테더 개구(126)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532)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γ)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β 및 γ)가 벽(338)(그 자체가 기초부 표면(532) 위로 제1 길이방향 거리(α)로 연장한다) 상에서의 테더 개구들(126)의 길이방향 높이들을 나타낸다.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β 및 γ)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이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β 및 γ) 각각이, 벽(338)의 제1 길이방향 거리(α), 또는 길이방향 높이 보다 짧을 것이고, 그에 따라 테더 개구(126)가 모두 벽 상에 또는 벽을 통해서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 시스템(100)에서, 체결구(102)가 공동 와셔(114)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도록 미리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체결구 헤드(104)의 두께(즉, 길이방향 높이)를 알 수 있다(is known). 이어서, 체결구 헤드(104)의 길이방향 두께 보다 크도록,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β 및 γ)가 선택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체결구(102)의 체결구 샤프트(108)가 공동 와셔(114)의 체결구 개구(531) 내로 삽입될 때, 도 10에서 점선으로 그리고 도 6 및 도 8에서 횡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헤드(104)가 적어도 체결구 공동(640)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될 것이고, 적어도 체결구 헤드(104)의 일부가 벽(338)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그러나 길이방향으로는 테더 개구(126)의 아래에 위치된다. 벽(338)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체결구 공동(640)을 생성할 때,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구 헤드가 체결구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때, 체결구 헤드(104)가 벽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둘러싸일 것이다.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 헤드(104)가 벽(338)에 대한 측방향 배치 및 테더 개구(126)에 대한 길이방향 배치를 성취하였을 때, 테더(116)가, 도 9-10에 도시된 구성에서, 양 테더 개구(126)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2의 사시도에서 또한 도시된 이러한 구성에서, 양 테더 개구(126)를 통한 동시적인 테더 본체(122)의 배치/위치결정은, 체결구 공동(64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즉, 도 10의 배향에서, 위쪽으로) 체결구 헤드(104)가 이동하는 것을 테더 본체가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초래하여, 체결구(102)를 공동 와셔(114)와의 미리 결정된 배열로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체결구 공동(640) 내의 및/또는 위의 테더 본체(122)의 존재는, 기초부 표면(532)으로부터 멀어지는 길이방향을 따른 체결구(102)의 이동에 의해서, 체결구 헤드(104)(그리고, 잠재적으로, 전체 체결구(102))가 체결구 공동(640) 또는 공동 와셔(114)의 다른 구조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더 개구(126)가 회전적으로 비대칭적인 방식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이러한 배열을 다른 방식으로 고려하면, 기초부 표면 둘레(536)가 곡선을 형성할 때, 테더 개구(126)가 벽(338) 상에 배열되고, 그러한 벽은 곡선형 기초부 표면 둘레를 따르고, 그에 따라 2개의 테더 개구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기초부 표면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선형 테더(116)가, 기초부 표면 둘레의 곡선의 직경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코드(chord)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 개구(126)의 회전적 비대칭성으로 인한 테더 본체(122)의 이러한 중심을 벗어난 배치는, 체결 시스템(100)이 조립되었을 때에도, 조작 공구(미도시)가 도시된 소켓-헤드 체결구(102)의 공구 공동(328)과 같은 공구-결합 특징부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만약 테더 개구가 원통형 벽을 따라서 서로 지름방향으로 반대로 위치되어, 테더 본체가 체결구 공동(미도시)을 양분한다면, 조작 공구가 공구-결합 특징부에 접근하는 것을 테더 본체가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체결구(102)가 희망에 따라서 배치된 후에 체결 시스템(100)이 조립되는 사용 분위기에 대해서는 용인될 수 있을 것이나, 조작 공구가 공구-결합 특징부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은, 체결구가 하부의 구조물과 연관되기 전의 체결 시스템(100)의 조립과 치명적으로 간섭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12는 체결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이용을 도시한다. 도 11-12에서, 체결구(102)가 고정구 구조물(1142) 내로 침입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러한 고정구 구조물은 구조물 개구(1144)를 가지는 본체 구조물일 수 있을 것이다. 본체 구조물이, 우주 공간, 수중, 원격 위치, 또는 임의의 다른 희망 사용 분위기를 위해서 의도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일 수 있을 것이다. 적합한 사용 분위기의 예를 들면, 우주선 기계적 지상 지원 장비(A.K.A., "MGSE") 분야가 있다. MGSE 장비는, 우주선에 밀접하게 근접하여 이용되거나, 일부 경우에, 우주선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비제한적으로, 슬링(sling), 승강 고정물, 우주선 지지 구조물, 작업자용 작업 플랫폼 및 접근 플랫폼, 우주선 회전 고정물, 돌리(dolly), 카트, 전개 메커니즘, 제로-G(제로-중력) 메커니즘, 보증 하중(proof load) 고정물, 등을 포함한다. MGSE 장비는, 비행전 파편이 남아서 발사 중에/발사 후에 우주선에 위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된 이물질 파편("FOD") 분위기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우주선 이용 분위기는, 망실된 하드웨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종, 일반적으로 강도가 낮지만(less intense), 유사한 FOD-제어형 분위기를 가진다.
구조물 개구(1144)가 (예를 들어, 파일롯 홀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리 제공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체결구가 자체-탭핑(tapping) 나사일 때) 체결구(102) 자체의 재료-제거 작용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구조물 개구(1144)가, 고정구 구조물(1142)의 표면 아래에서, 적어도 공동 와셔(114)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대응 개구형(counterbored) 부분(1146)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조물 개구(1144)가 단일 본체 구조물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본체 구조물이 체결구(102)에 의해서 함께 체결되는 경우의 상황에서와 같이, 둘 이상의 본체 구조물에 걸쳐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동 와셔(114) 자체(또는 그 기능)가 고정구 구조물(1142)의 일부(예를 들어, 보스(boss), 미도시됨)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동 와셔 및 고정구 구조물이, 체결구(102)와 분리된, 일체형 방식으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공동 와셔(114) 및 체결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요소가, 사용시에, 고정구 구조물(1142)로부터 분리된 구조물인 것으로 가정한다.
체결 시스템(100)이 미리 조립되거나 수시로(on-the-fly) 조립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체결구 샤프트(108)가 동시적으로 체결구 개구(53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구조물 개구(114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체결 시스템(100)의 구성요소가 고정구 구조물(1142)에 대해서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체결구(102)가 임의의 희망하는 방식으로 고정구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유형 체결구(102)가 공동 와셔(114)를 통해서, 준비된 구조물 개구(1144)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결합되는 관계로 조여질 수 있다. (체결구(102)가 고정구 구조물(1142)과 결합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테더 본체(122)가 2개의 테더 개구(126) 모두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될 때,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본체 구조물에 대해서 테더링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의 적어도 하나의 본체 구조물에 대한 부착은, 예를 들어, 고정부 구조물에 부착된 테더 고정구(1148)에 대한 테더 단부(들)의 부착(영구적이거나 가역적일 수 있다)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의해서, 체결 시스템(100)은, 도시된 배열을 통해서, 체결구(102)가 고정구 구조물(1142)로부터 망실되거나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구(102)가 구조물 개구(1144)로부터 제거되기 시작하는 경우에도, 체결구 헤드(104)가 제1 길이방향을 따라서 공동 와셔(114)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테더 본체(122)가 차단할 것이고, 기초부 표면(532)은 체결구 헤드가, 제1 길이방향에 반대되는, 제2 길이방향을 따라서 공동 와셔를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것이다. 테더(116)의 적어도 하나의 테더 고정구(1148)와의 결합에 의해서 공동 와셔(114)가 고정구 구조물(1142)에 테더링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체결구(102)는 또한, 공동 와셔와의 결합을 통해서, 고정구 구조물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구 구조물이, 고정구 구조물로서의 역할을 위한 명백한 목적을 위해서 설치된, 또는, 자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체결구 및 공동 와셔 쌍을 위한 고정구 기능의 역할에 더하여/대신하여 주로 체결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 체결 시스템의 일부인, 다른 체결구 및 공동 와셔 쌍(미도시)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102)가 공동 와셔(114)를 빠져나가도록 요구될 때, 기초부 표면(532)으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의 이동을 통해서 체결구 헤드가 체결구 공동(640)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테더 본체(122)가 체결구 헤드(104)에 대해서 재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테더 본체(122)가 테더 개구(126)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로부터 제거되어, 체결구 헤드(104)의 길이방향 통과를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테더 본체가 여전히 테더 개구(126)를 통해서 연장하나 테더 헤드(104)가 공동 와셔(114)의 외부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더 이상 차단되지 않도록, 테더 본체(122)가 차단 위치로부터 멀리 당겨지게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테더(116)가 충분히 느슨해질 수 있다.
체결 시스템(100)을 고정구 구조물(1142)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다른 선택사항으로서,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 중 적어도 하나가 고정구 구조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 모두가 해제될 때, 체결구(102)가 구조물 개구(1144)로부터 회수될 수 있고 조립된 체결 시스템(100) 전체가 제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의 하나가 해제되고 다른 하나가 유지되는 경우에, 공동 와셔(114)와 함께 또는 공동 와셔(114) 없이, 테더(116)가 테더 개구(12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회수될 수 있고 체결구(102)가 제거될 수 있다.
도 13-14는 체결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대안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에서, 공동 와셔(114)는 제1 공동 와셔(114A)이고, 체결구(102)는 제1 체결구(102A)이다. (테더(116)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서) 제1 공동 와셔(114A) 및 제1 체결구(102A) 각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 제2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114B) 및 제2 체결구(102B)가 제공된다. 제2 체결구(102B) 및 제2 공동 와셔(114B)가, 제2 체결구 샤프트(108B)를 제2 체결구 개구(534B) 내로 삽입하는 것을 통해서 함께 결합된다. 이어서, 테더 본체(122)가 제2 공동 와셔(114B)의 2개의 테더 개구(126B) 모두를 통해서 그리고 제1 공동 와셔(114A)의 2개의 테더 개구(126A) 모두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한다. 도 13의 배열에서, 복수의 실질적으로 유사한 공동 와셔(114) 및 그들의 상응하는 체결구(102)가 단일 테더(116)로 함께 체인 연결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14에서, 단일의 세장형 공동 와셔(114)가 제공된다. 공동 와셔(114)는 복수의 체결구 개구(534)(도 14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가지고, 그러한 복수의 체결구 개구를 통해서 복수의 체결구(104A, 104B, 104C, 및 104D)가 결합된다. 테더 개구(126)의 쌍을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하는 단일 테더(116)는, 복수의 체결구(104A, 104B, 104C, 및 104D) 모두가 공동 와셔(114)의 외부로 그리고 길이방향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그리고 동시적으로 차단한다. 도 14에 도시된 단일-공동 와셔/다중-체결구 배열이 선형적으로 배열되었지만, 당업자는, 임의의 적합한, 규칙적, 불규칙적, 대칭적, 비대칭적, 또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를 위한 임의의 다른 희망 구성을 가지는 단일-공동 와셔/다중-체결구 배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의 테더 홀더(예를 들어, 벽(338)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아이볼트(eyebolt))가 체결구 공동(640) 내에 제공되어, 특히 테더 개구들(126) 사이에서 테더 본체(122)에 의해서 "가교 연결된(bridged)" 상대적으로 긴 측방향 길이가 존재할 때, 희망하는 차단 위치에서 테더 본체(122)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테더(116)가, 도 1-2에 도시된 배열에서와 같이, 고정구 구조물(1142)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체결구 헤드(104) 위의 길이방향을 따른 테더 본체(122)의 존재에 의해서 제공되는 차단 기능이, 공동 와셔(114)와 체결구(102) 사이의 희망하는 백아웃-방지(anti-backout) 관계를 제공하기에 충분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 샤프트(108)의 상대적으로 타이트한(tight) 통과를 돕기 위한 또는 허용하기 위한 나사산 또는 다른 특징부(미도시)를 체결구 개구(534)가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체결구 개구(534)가 나사산형이 될(threaded) 때, 공동 와셔(114)가 너트-유형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고 체결구(102)와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탄성중합체(elastomeric) 또는 다른 탄성적 재료가 체결구 개구(534) 내에 및/또는 인접하여 위치되어, 체결구(102)와 공동 와셔(114) 사이에서 밀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수의 테더 개구(126)가 당업자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테더(116)가 체결구 공동(640)으로 진입 및 진출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짝수의 테더 개구가 제공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벽(338)의 개방된 상단이, 벽 내에 형성된 단일 진입 테더 개구와 함께, 체결구 공동(640)으로부터의 테더(116)의 진출을 허용하기 위한 테더 개구(126)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의 적어도 하나가 벽(338)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더 단부(118 및/또는 120)가 공동 와셔(114)와 결합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테더 개구(126)가 구성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4, 도 7, 도 9-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 개구들(126)이 서로 동축적인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동축적인 테더 개구들(126)이, 측방향 평면 내에 있으나 체결구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중심을 벗어난(off-center)" 드릴에 의해서, 동시에 및/또는 동일한 드릴 설정으로 드릴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축적인 테더 개구들(126)을 드릴 가공하는 것은, 테더 케이블이 나사의 헤드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테더 케이블이 직선 "코드" 루트 연결(routing)에 보다 밀접하게 근접하도록 허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동일한 테더(116)가 복수의 공동 와셔(114) 내에서 이용되는 실시예에서 특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일 드릴 설정과 함께, 양 테더 개구(126)를 동시적으로 드릴 가공하는 것은, 제조에 있어서 시간 및/또는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신에, 단일 공동 와셔(114)의 테더 개구(126)가 벽(338)을 통해서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테더 개구의 축이 "스포크"-유형의(spoke-type), 비-동축적 방식으로 나사의 길이방향 축과 교차할 수 있다. 이러한 테더 개구(126)의 비-동축적 배열은, 예를 들어, 공간 제약 또는 임의의 다른 고려 사항에 의해서, 테더(116)가 공동 와셔(114)로부터 멀리 연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및 제2 테더 단부(118 및 120)를 함께 적절히 근접하여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희망하는 이용 적용예를 위해서, 임의의 희망하는 합치되는 또는 합치되지 않는 구성, 배향, 또는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임의의 희망하는 수의 테더 개구(들)(126)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앞서서 특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부가적인 실시예를 안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접착제, 땜납, 록(lock) 와셔, 또는 다른 결합 향상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체결 시스템(100)의 구조물들 사이의 희망 결합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록 와셔가 체결구 헤드(104) 아래의 체결구 공동(640) 내에서 이용될 때, 여분의 높이를 허용하도록 그리고 체결구 공동 내에서 체결구 헤드 위에 테더 본체(122)의 통과를 여전히 허용하도록 공동 와셔(114)의 치수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된 체결 시스템(100)의 이용에 대한 전술한 구체적인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당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체결구를 테더링하기 위한 임의 수의 디바이스, 단계의 순서, 또는 다른 수단/선택사항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조물 및 구성요소 중 임의의 것이 단일 피스(piece)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분리된 하위-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형성 모두가 임의의 적합한 기성품(stock) 또는 주문형 구성요소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 구성요소가 구체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구조물이, 본 발명의 특별한 적용예에 대해서 요구되는 바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형상, 크기, 구성, 상대적인 관계, 횡단면적, 또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 모두에 대해서 설명된 모든 선택사항을 가지는 것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 및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 비실용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 또는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된 임의의 구조물 또는 특징부가, 단독으로 또는 다른 구조물이나 특징부와 조합되어, 임의의 다른 실시예 또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방법이, 이하의 청구항 및 그 임의의 균등물을 기초로 결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목적, 및 장점이 도면, 개시 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Claims (22)

  1. 체결 시스템으로서:
    세장형의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에 의해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체결구 헤드 및 체결구 선단부를 가지는 침입형 체결구;
    테더링가능한 공동 와셔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지는 평면형의 기초부 표면으로서, 상기 체결구 개구가 체결구 헤드의 상응하는 측방향 치수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치수를 가지는, 기초부 표면,
    상기 기초부 표면의 체결구 개구를 통해서 연장하는 적어도 체결구 샤프트의 일부와 동시에,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체결구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기초부 표면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까지 위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 및
    상기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테더 개구로서, 상기 테더 개구가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양 테더 개구 모두가 회전 비대칭적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테더 개구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테더 개구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 모두가 체결구 헤드의 길이방향 두께 보다 큰, 2개의 테더 개구를 구비하는, 테더링가능한 공동 와셔; 및
    테더 본체에 의해서 분리된 제1 및 제 2 테더 단부를 가지는 세장형의 테더로서, 상기 테더 개구는, 양 테더 개구 모두를 통해서 연장하는 테더 본체를 동시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세장형의 테더를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일부를 체결구 공동 내로 가져가기 위해서 체결구 샤프트를 체결구 개구 내로 삽입하는 것, 그리고 공동 와셔와 미리 결정된 배열로 체결구를 유지하기 위해서 체결구 공동의 길이방향 외부로 체결구 헤드가 이동하는 것을 테더 본체가 방지하는 길이방향 위치에서 양 테더 개구 모두를 통해서 테더 본체를 동시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조립되는, 체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표면이 기초부 표면 둘레를 가지고, 상기 벽이 적어도 상기 기초부 표면 둘레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까지 길이방향으로 위쪽으로 연장하는, 체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표면 둘레가 원형이고, 상기 벽이 기초부 표면 둘레의 전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위쪽으로 연장하여, 원통형의 체결구 공동을 가지는 컵-형상의 공동 와셔를 제공하는, 체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헤드가 체결구 샤프트에 반대로 위치되는 공구-결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 본체가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할 때, 공구-결합 특징부가 조작 공구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접근될 수 있는, 체결 시스템.
  6. 구조물 개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구조물을 가지고, 제1항의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체결구 샤프트가 체결구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구조물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적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테더 본체가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될 때, 제1 및 제2 테더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 구조물에 테더링식으로 부착되는, 장치.
  7.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지는 평면형인 기초부 표면으로서, 기초부 표면이 기초부 표면 둘레를 가지고, 체결구 개구의 전체가 기초부 표면 둘레와 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되는, 기초부 표면;
    적어도 기초부 표면 둘레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까지 위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 및
    상기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테더 개구로서, 테더 개구가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양 테더 개구가 회전방향으로 비대칭적인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테더 개구를 포함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이 기초부 표면 둘레의 전체로부터 위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벽 및 기초부 표면이 오목한 체결구 공동을 함께 형성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표면 둘레가 곡선을 형성하고, 2개의 테더 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선형 테더가 곡선의 직경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코드를 형성하도록 테더 개구가 배열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개구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테더 개구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 모두가 제1 길이방향 거리 보다 짧은,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가 동일한,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와의 결합을 위해서 미리 선택된 체결구의 체결구 헤드의 높이보다 크도록 선택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4. 제9항에 있어서,
    체결구가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와 함께 이용하기 위해서 미리 선택되고, 체결구는 세장형의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에 의해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체결구 헤드 및 체결구 선단부를 가지고,
    상기 체결구 공동은, 상기 벽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부분과 동시적으로 체결구 샤프트를 관통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개구가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연장하는 세장형 테더를 동시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16. 세장형의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체결구 샤프트에 의해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체결구 헤드 및 체결구 선단부를 가지는, 침입형 체결구를 테더링하는 방법으로서:
    테더링가능한 공동 와셔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테더링가능한 공동 와셔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체결구 개구를 가지는 평면형의 기초부 표면으로서, 상기 체결구 개구는 체결구 헤드의 상응하는 측방향 치수 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치수를 가지는, 기초부 표면,
    적어도 기초부 표면의 일부로부터 적어도 제1 길이방향 거리까지 위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오목한 체결구 공동을 형성하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벽, 및
    상기 벽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테더 개구로서, 테더 개구가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양 테더 개구가 회전 비대칭적 구성으로 벽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테더 개구 중 제1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고, 테더 개구 중 제2 테더 개구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제3 길이방향 거리에 위치되며, 제2 및 제3 길이방향 거리 모두가 체결구 헤드의 길이방향 두께 보다 큰, 2개의 테더 개구를 구비하는, 테더링가능한 공동 와셔를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체결구 샤프트의 일부를 체결구 개구를 통해서 삽입하는 단계;
    적어도 체결구 헤드의 일부를 체결구 공동 내로 수용하는 단계;
    테더 본체에 의해서 분리된 제1 및 제2 테더 단부를 가지는, 세장형 테더를 제공하는 단계;
    테더 본체를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시키는 단계; 및
    체결구 헤드가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운동을 통해서 체결구 공동을 빠져나가는 것을, 2개의 테더 개구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더 본체의 부분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체결구 헤드가 2개의 테더 개구를 통해서 연장하는 테더 본체의 부분으로 차단되는 한편, 제1 및 제2 테더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체결구로부터 분리된, 고정구 구조물에 테더링식으로 부착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기초부 표면 둘레가 원형이고, 상기 벽이 기초부 표면 둘레의 전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위쪽으로 연장하여, 원통형인 체결구 공동을 가지는 컵-형상의 공동 와셔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체결구 헤드가 체결구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때, 벽으로 체결구 헤드를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와셔가 제1 공동 와셔이고, 체결구가 제1 체결구이며,
    상기 제1 공동 와셔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 및 상기 제1 체결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체결구를 제공하는 단계;
    제2 체결구 샤프트를 제2 체결구 개구 내로 삽입하는 것을 통해서 제2 체결구 및 제2 테더링가능 공동 와셔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2 공동 와셔의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그리고 제1 공동 와셔의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테더 본체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체결구 샤프트에 반대로 위치되는 공구-결합 특징부를 가지는 체결구 헤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테더 본체가 양 테더 개구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연장할 때, 조작 공구가 공구-결합 특징부에 길이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기초부 표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리 배향된 이동을 통해서 체결구 헤드가 체결구 공동을 빠져나갈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해서, 테더 본체를 체결구 헤드에 대해서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고정구 구조물로부터 제1 및 제2 테더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12552A 2012-10-16 2013-10-01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 KR101743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53,142 US8784028B2 (en) 2012-10-16 2012-10-16 Tethered fastening device
US13/653,142 2012-10-16
PCT/US2013/062873 WO2014062370A1 (en) 2012-10-16 2013-10-01 Tethered faste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312A KR20150082312A (ko) 2015-07-15
KR101743377B1 true KR101743377B1 (ko) 2017-06-02

Family

ID=4938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552A KR101743377B1 (ko) 2012-10-16 2013-10-01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84028B2 (ko)
EP (1) EP2909489B1 (ko)
KR (1) KR101743377B1 (ko)
DK (1) DK2909489T3 (ko)
WO (1) WO2014062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9351B1 (fr) 2013-08-01 2015-08-07 Airbus Operations Sas Outillage pour le maintien simultane de plusieurs clips de fixation contre un element de cadre de fuselage d'aeronef
FR3009274A1 (fr) 2013-08-01 2015-02-06 Airbus Operations Sas Element de cadre de fuselage d'aeronef integrant des languettes pour la fixation de raidisseurs
FR3009352B1 (fr) * 2013-08-01 2016-01-01 Airbus Operations Sas Outillage pour le maintien simultane de plusieurs clips de fixation contre un element de cadre de fuselage d'aeronef
EP2993363A1 (en) * 2014-09-02 2016-03-09 Caterpillar Energy Solutions GmbH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screws
US9783393B2 (en) * 2015-11-24 2017-10-10 Safety Products Engineering Group, Inc. Lifting apparatus
SE540728C2 (en) 2016-12-01 2018-10-23 Husqvarna Ab A screw-retaining device and screw-retaining kit
FR3067767B1 (fr) * 2017-06-15 2019-07-19 Lisi Aerospace Fixation a verrouillage positif
US10773817B1 (en) 2018-03-08 2020-09-1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Bi-directional flow ram air system for an aircraft
US11174891B2 (en) * 2019-06-20 2021-11-1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Bolts and bolt capture systems
US11912221B2 (en) * 2019-12-05 2024-02-27 Autoliv Asp, Inc. Actuator devices and assemblies for automotive safety devices
FR3111342B1 (fr) * 2020-06-12 2022-08-12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Dispositif de sécurité antichute pour retenir et éviter la chute d’un axe de liais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0230A (en) 1920-03-25 1920-08-17 Jr Samuel H Mccain Nut-lock
US2948317A (en) 1957-07-01 1960-08-09 Gen Electric Threaded fastener retaining device with resilient holding means
US3289521A (en) 1964-10-12 1966-12-06 Honeywell Inc Securing apparatus
US3648749A (en) 1970-02-05 1972-03-14 Central Screw Co Fastener assembly with locking capabilities
GB2159447A (en) 1984-05-02 1985-12-04 Rodger Malcolm Morris Tamper-proof fastening tool & fastening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4743A (en) * 1929-11-05 Nut lock
US1320095A (en) * 1919-10-28 Nut-lock
JP4079304B2 (ja) 2001-10-01 2008-04-23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エアロスペース ボルト飛散防止装置
WO2005121570A1 (ja) * 2004-06-07 2005-12-22 Sit Co., Ltd. 脱落防止具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US8142124B2 (en) 2006-12-13 2012-03-27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captive fasten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0230A (en) 1920-03-25 1920-08-17 Jr Samuel H Mccain Nut-lock
US2948317A (en) 1957-07-01 1960-08-09 Gen Electric Threaded fastener retaining device with resilient holding means
US3289521A (en) 1964-10-12 1966-12-06 Honeywell Inc Securing apparatus
US3648749A (en) 1970-02-05 1972-03-14 Central Screw Co Fastener assembly with locking capabilities
GB2159447A (en) 1984-05-02 1985-12-04 Rodger Malcolm Morris Tamper-proof fastening tool & fast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9489A1 (en) 2015-08-26
US20140101923A1 (en) 2014-04-17
US8784028B2 (en) 2014-07-22
WO2014062370A1 (en) 2014-04-24
KR20150082312A (ko) 2015-07-15
DK2909489T3 (en) 2017-10-02
EP2909489B1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377B1 (ko) 테더링형 체결 디바이스
ES2469015T5 (es) Método para utilizar un sistema de anclaje de collar expandible
CN101622410B (zh) 混凝土壁模板的锚定系统
CA2686447C (en) Method and system of affixing a plaque to a solid surface
EP3171040B1 (en) Anchor bolt
US10112078B1 (en) Step assembly with fall arrest capability including removable step
US8166624B2 (en) Linearly extendible impact anchor driving pole and anchor system
US8756877B2 (en) Ground anchor
TW201632740A (zh) 旋轉吊件
ES2767695T3 (es) Sujetador ciego
JP5426751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
BR112013027097B1 (pt) cavilha sem porca
US7523895B1 (en) Sway brace and method for securing a pipe or conduit against sway
US20150143671A1 (en) Securement apparatus
KR200446452Y1 (ko) 배관 고정용 행거
EP3469220B1 (en) Bolt with safety device for a bolt head and a method for releasing the bolt
JP3955511B2 (ja) ケーブル架設装置
JP2009027823A (ja) 配線・配管材支持具
KR200478392Y1 (ko) 케이블 지지 구조체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ES2537394T3 (es) Dispositivo y método de separación
ES2301267B1 (es) Dispositivo de union interna de estructuras.
JP2004141992A (ja) 埋込ボルト用ソケット
KR20240015260A (ko) 스터드 앵커 볼트용 설치구
JP2003074532A (ja) ボルト脱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