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264B1 - 생산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264B1
KR101743264B1 KR1020150149825A KR20150149825A KR101743264B1 KR 101743264 B1 KR101743264 B1 KR 101743264B1 KR 1020150149825 A KR1020150149825 A KR 1020150149825A KR 20150149825 A KR20150149825 A KR 20150149825A KR 101743264 B1 KR101743264 B1 KR 10174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or
relay
unit
produ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011A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주)지트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트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지트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149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2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생산라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제어부는, 제1센서, 제2센서 및 출력부로부터 제1 또는 제2감지신호와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제1 또는 제2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이때, 제1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제어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생산라인 시스템{PRODUCTION LINE SYSTEM}
본 발명은 생산라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공장의 생산라인에서는 복수의 작업자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복수의 작업자가 사용하는 자재(부품 및 소모품)의 공급은 생산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작업자의 뒤쪽에는 자재공급부가 마련되고, 자재공급부에는 자재박스가 제공된다. 자재공급부에 제공되는 자재박스는 항상 여유분을 유지하게 되는데, 여유분의 자재박스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생산라인이 중단되게 되므로, 여유분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재공급부에 자재박스가 배치되는 소정 위치에 센서를 배치하여, 해당 위치에 자재박스가 없는 것을 감지하면, 여유분이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무선송신장치를 통해 상위 제어부에 알리게 된다.
보통, 자재공급부는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작업자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므로, 가장 가까운 자재박스를 작업자가 가져오게 되면, 자재박스들은 모두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자재박스의 무게에 따라 이동이 늦어지게 되는 경우에도 센서를 통해 여유분이 없는 것으로 상위에 통보되게 되므로, 상위 제어부의 통보를 받은 자재 담당자에게 불편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생산라인에는 다양한 센서가 배치되고, 생산라인의 장비에는 알람발생 포트가 구비되는데, 알람발생 포트 또는 센서와 연결된 무선송신장치는, 알람발생신호 또는 센서감지신호를 상위 제어반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알람발생신호 또는 센서감지신호가 순간적으로 불규칙하게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무선송신장치의 단자에 온-오프가 순간적으로 반복되므로, 이를 무선송신장치가 여러 번의 알람발생신호 또는 센서감지신호로 인식하고 계속하여 상위 제어반으로 무선전송하게 되므로, 자재 담당자 등의 불필요한 행동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라인에서 불필요한 신호의 전송을 방지하는 동시에, 복수의 알람발생신호 또는 센서감지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무선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생산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생산라인의 자재공급부에서 자재박스의 여유분을 정확하게 검지하는 생산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은, 자재공급부의 소정 제1위치에 자재박스가 없는 경우,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상기 자재공급부에서, 상기 제1위치의 다음에 해당하는 제2위치에 자재박스가 없는 경우,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 생산라인에 배치되는 소정의 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 상기 제1센서, 제2센서 및 출력부로부터 제1 또는 제2감지신호와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 지연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최초의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소정 감지시간 동안 입력되는 알람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최초의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제2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 및 출력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는,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장비에 연결할 수 있고, 탈착가능한 릴레이를 교환하는 방식에 의해 장비와의 연결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한가지 전압이 아닌 다양한 전압의 출력신호에 적용할 수 있어, 시스템의 낭비를 막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신호가 여러번 입력되는 경우에도 최초 알람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만을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여러 번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지연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지연시간 동안 자재부족이 해소되는 경우에 제어신호가 송신되어 불필요하게 인력이 낭비되는 것을 막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에서의 작업자와 자재공급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2는 작업공급부에서 최하부 자재박스의 유출에 의해 자재박스가 이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신호발생부와 릴레이부의 연결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의 전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의 배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에서의 작업자와 자재공급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라인(1)의 일측에는 작업자(2)가 위치하여, 생산라인(1) 상에서 제품(3)을 생산하게 된다. 작업자(2)의 주위에는 장비(4)가 배치되어,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2)의 뒤쪽에는 자재공급부(6)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자재공급부(6)는 작업자(2)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부로 향하도록 바닥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업자(2)의 주위에는 무선송신장치(5)가 배치되어, 작업자(2)의 주위에 놓인 장비(4)로부터 알람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자재공급부(6)에 배치되는 센서(추후 설명)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위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하나의 장비(4)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간단을 위한 것으로서, 작업을 위해 필요한 복수의 장비(4)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장비(4)는 무선송신장치(5)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 역시 무선송신장치(5)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작업자(2)는 생산라인(1)에 놓인 자재박스(7a)의 자재를 다 사용한 경우, 자재공급부(6)에 배치된 자재박스 중 가장 가까운 아래쪽 자재박스(7b)를 생산라인(1)으로 옮겨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가장 가까운 자재박스(7b)를 가져온 경우, 그 다음에 위치하는 자재박스들(7c, 7d)이 경사에 의해 하부로 밀려 내려올 수 있다. 보다 쉬운 이동을 위해, 자재공급부(6)는, 롤러가 배치될 수도 있고, 컨베이어 벨트 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작업공급부(6)에서 최하부 자재박스의 유출에 의해 자재박스가 이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일예시도로서, 4개의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유지되어야 하는 생산라인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와 같이 최하부의 자재박스(7b)를 작업자(2)가 옮겨가는 경우, (b)와 같이 상부의 자재박스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자재박스의 무게 등에 의해 어떤 자재박스(7f)는 이동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종래와 같이, 4번째 자재박스(7e)가 배치되는 위치에 센서를 배치하는 경우, (b)와 같은 상황에서 센서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송신장치에 제공하게 되므로, 정상의 여유분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도 에러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에서는, 자재공급부(6)에서 4번째 자재박스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제1센서(81)를 배치하고, 그 다음 자재박스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제2센서(82)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센서(81)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송신장치(5)로 제공하고, 제2센서(82)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무선송신장치(5)는 제2센서(8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자재박스(7f)가 제1센서(81)에 대응하는 위치로 위치하게 되는 것임을 파악하고 상위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자재공급부(6) 상에 4번째 자재박스가 없는 (c)와 같은 경우, 제1 및 제2센서(81, 82)는 모두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송신장치(5)에 제공하게 되며, 무선송신장치(5)는 제1 및 제2센서(81, 82) 모두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았으므로,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해 상위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센서(81, 82)가 모두 자재공급부(6)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자재박스가 위치하는 곳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자재박스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배치의 상태나 위치는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제1 및 제2센서(81, 82)는 모두 감지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생산라인 시스템은, 신호발생부(8) 및 무선송신장치(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8)는, 제1센서(81), 제2센서(82), 제1출력부(83), 제2출력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송신장치(5)는, 제어부(51), 릴레이부(52), 설정 스위치(53), 프로토콜 처리부(54) 및 송수신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8)에서, 제1 및 제2센서(81, 82)는, 별도로 자재공급부(6)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고, 제1 및 제2출력부(83, 84)는, 각각 별도의 장비(4)에서, 장비(4)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압신호에 해당하는 알람을 발생하는 단자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신호발생부(8)는 동일한 장치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각각 신호를 발생하는 디바이스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출력부(83)는 제1장비('4a'라 함)로부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고, 제2출력부(84)는 제2장비('4b'라 함)로부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신호발생부(8)에서는, 제1 및 제2센서(81, 82)와, 제1 및 제2출력부(83, 84)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지만, 그 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5)는, 두 개 이상의 장비의 전압신호 출력부로부터 알람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두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신호발생부(8)의 제1 및 제2센서(81, 82)와, 제1알람단자(83) 및 제2알람단자(84)와, 무선송신장치(5)의 릴레이부(52)는, 각각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신호발생부(8)와 릴레이부(52)의 연결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릴레이부(52)는, 제1 내지 제4릴레이(5a, 52c, 52e, 52g)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센서(81)의 단자는, 제1릴레이(52a)와 제1포트(52b)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센서(82)의 단자는, 제2릴레이(52c)와 제2포트(52d)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출력부(83)의 단자는 제3릴레이(52e)와 제3포트(52f)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출력부(84)의 단자는 제4릴레이(52g)와 제4포트(52h)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센서(81, 82)와 제1 및 제2출력부(83, 84)의 각각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은 각각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내지 제4릴레이(5a, 52c, 52e, 52g)의 정격전압도 각각 입력전압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5)의 전면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릴레이(5a, 52c, 52e, 52g)는 무선송신장치(5)의 전면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및 제2센서(81, 82)와 제1 및 제2출력부(83, 84)의 출력전압에 따라 제1 내지 제4릴레이(5a, 52c, 52e, 52g)를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장비(4a, 4b)의 교체에 의해 장비(4a, 4b)의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교체되는 경우, 무선송신장치(5)를 교체할 필요 없이, 하나의 릴레이만 변경하면 되어, 시스템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센서(81, 82)와 제1 및 제2출력부(83, 84)의 출력전압은, 12V, 24V, 48V와 같은 직류(DC)전압일 수도 있고, 110V, 220V와 같은 교류(AC)전압일 수도 있으며, 도 4의 예에서 제2출력부(84)와 같이 무전압 접점신호일 수도 있다. 이는 장비(4a, 4b) 또는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릴레이(5a, 52c, 52e, 52g)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각의 릴레이(5a, 52c, 52e, 52g)는 전면에 동작확인 램프(A, B, C, D)를 배치하여, 릴레이(5a, 52c, 52e, 52g)의 동작이 있는 경우 램프(A, B, C, D)가 온되거나 또는 온오프를 반복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로 하면, 릴레이부(52)는 신호발생부(8)로부터 알람신호 또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5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설정스위치(53)를 이용하여 무선송신장치(5)의 설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5)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5)의 하우징의 배면에는, 다양한 설정스위치(53)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설정스위치(53)를 이용하여, 운영자는, 장치의 ID를 설정하거나, 입력신호의 타입(type)을 설정하거나, 지연시간(추후 설명하기로 함)을 설정하거나, 감지시간(추후 설명하기로 함)을 설정하거나, 송수신 주파수를 설정하거나, 무선 신호방식(단방향 또는 양방향)을 설정하거나, 또는 얼라이브 신호(alive signal)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설정스위치(53)에 의해 다양한 설정값을 스위칭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이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연결하여 설정값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그 외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설정값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예에서는, 설정스위치(53)가 무선송신장치(5)의 하우징 배면에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 배면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캡(cap)을 열고 스위치 조작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그 외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설정스위치(53)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제어부(51)는, 릴레이부(52)를 통해 입력된 제1 및 제2센서(81, 82)의 감지신호와, 제1 및 제2출력부(83, 84)의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센서(81, 82)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제어신호를 송수신부(55)를 통해 상위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출력부(83, 84)의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장비(4a, 4b)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상위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1)는, 제1장비(4a)의 제1출력부(83)로부터, 순간적으로 알람신호가 여러번 입력되는 경우, 최초로 입력된 알람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부(55)를 통해 상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51)는, 일정 감지시간 동안 제1출력부(83)로부터 입력되는 알람신호를 무시하고, 감지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1출력부(83)로부터 입력되는 알람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감지시간은 예를 들어 3초 내지 5초 이내로 결정될 수 있으며, 운영자는 설정스위치(53)를 이용하여 감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장비(4a)의 출력부(83)에서 신호가 불규칙하게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감지시간 이내의 반복되는 알람신호는 무시하고 감지시간 경과 후 다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연속적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센서(8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제2센서(82)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위 제어부에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제1센서(81) 및 제2센서(82)로부터 모두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51)는, 제1센서 및 제2센서(81) 모두로부터 릴레이부(52)를 통해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수신 즉시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소정 지연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한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2의 (c)의 경우에도, 제1 및 제2센서(81, 8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재박스가 위치되지 않고 상부에 적체되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어부(51)는 지연시간을 기다려서, 제1 및 제2센서(81, 82)가 지연시간 내에 자재박스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센서(81, 82)가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되면,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지연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제1 및 제2센서(81, 82)로부터 계속하여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51)는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상위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센서 및 제2센서(81, 82)는 지연시간보다 짧은 주기로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센서(81, 82)의 감지신호 출력주기는 1초이고, 지연시간은 5초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3초 후 제2센서(82)가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자재박스가 제2센서(8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제어부(51)는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51)는,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어신호와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수신부(55)를 통해 상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송수신부(55)는 제어부(51)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소정 프로토콜에 따라 상위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무선송신장치(5)는 프로토콜 처리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토콜 처리부(54)는 제어부(51)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송수신부(55)가 송신할 수 있도록 포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송수신부(55)는 상위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5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프로토콜 처리부(54)가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제어부(51)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상위 제어부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 알람부(56)를 제어하여, 알람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알람부(56)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부이거나 또는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일 수도 있고, 위험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시각적으로 알리거나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어부(51)는 상위 제어부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장비에 연결할 수 있고, 탈착가능한 릴레이를 교환하는 방식에 의해 장비와의 연결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한가지 전압이 아닌 다양한 전압의 출력신호에 적용할 수 있어, 시스템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알람신호가 여러번 입력되는 경우에도 최초 알람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만을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여러번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지연시간 동안 감지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지연시간동안 자재부족이 해소되는 경우에 제어신호가 송신되어 불필요하게 인력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무선송신장치 8: 신호발생부

Claims (7)

  1. 자재공급부의 소정 제1위치에 자재박스가 없는 경우,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상기 자재공급부에서, 상기 제1위치의 근처의 제2위치에 자재박스가 없는 경우,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
    생산라인에 배치되는 소정의 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1감지신호, 상기 제2감지신호 및 상기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제1센서, 제2센서 및 출력부로부터 제1 또는 제2감지신호와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자재박스의 여유분이 부족함을 알리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장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제1센서,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릴레이, 제2릴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제3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신호, 상기 제2감지신호 및 상기 알람신호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릴레이, 상기 제2릴레이 및 상기 제3릴레이의 정격전압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릴레이, 상기 제2릴레이 및 상기 제3릴레이는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생산라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생산라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 지연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생산라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생산라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최초의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소정 감지시간 동안 입력되는 알람신호를 무시하는 생산라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최초의 알람신호에 대응하여 제2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생산라인 시스템.
  7. 삭제
KR1020150149825A 2015-10-28 2015-10-28 생산라인 시스템 KR10174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25A KR101743264B1 (ko) 2015-10-28 2015-10-28 생산라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25A KR101743264B1 (ko) 2015-10-28 2015-10-28 생산라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11A KR20170049011A (ko) 2017-05-10
KR101743264B1 true KR101743264B1 (ko) 2017-06-02

Family

ID=5874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825A KR101743264B1 (ko) 2015-10-28 2015-10-28 생산라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866A (ja) * 2003-10-20 2005-05-12 Kawashima Packaging Mach Ltd 製品供給装置
JP2009102173A (ja) * 2009-02-16 2009-05-14 Kobe Steel Ltd 単一コンベアによるワーク一時貯蔵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866A (ja) * 2003-10-20 2005-05-12 Kawashima Packaging Mach Ltd 製品供給装置
JP2009102173A (ja) * 2009-02-16 2009-05-14 Kobe Steel Ltd 単一コンベアによるワーク一時貯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11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4195A1 (en) Material logistics system
US87637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ontainers including wireless condition detection
JP6398237B2 (ja) 無線制御端末、制御対象物の無線制御装置、非常停止制御プログラム
US7006792B2 (en) Wireless ando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80091216A1 (en) Controller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peration panel, wireless module, and wireless repeater
CN201667113U (zh) 输变电作业吊臂安全测距及声光报警装置
CN203929664U (zh) 一种全自动视觉检测机
KR101743264B1 (ko) 생산라인 시스템
JP2013199359A (ja) コンベア装置、並びに、ゾーンコントローラ
CN108120496B (zh) 移动式操作板
KR20100134195A (ko) 공장설비 안전사고 방지 장치
WO2016174935A1 (ja) プレスシステムおよびプレス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663810B1 (ko) 공동주택의 분전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치
JP6706016B2 (ja) 製造ラインの稼働状況に関する情報を管理するための生産管理システム
CN108275430B (zh) 生产辅助设备及输送系统
KR20110117521A (ko)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KR100637848B1 (ko)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경광등 시스템및 휴대형 무선 경광등
KR20200054909A (ko) 이동 로봇의 도난 방지 시스템
JP2009282571A (ja) 接点信号伝送システム
JP2017078922A (ja) 警報システム
CN207537345U (zh) 一种盖板玻璃横切切刀分段式压力控制装置
JP2017084059A (ja) 注意喚起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91559B1 (ko) Cnc 기기의 좌표 설정을 위한 영상전송장치
JP7314579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KR101428581B1 (ko) 센서를 이용한 컨트롤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