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612B1 -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612B1
KR101742612B1 KR1020150165628A KR20150165628A KR101742612B1 KR 101742612 B1 KR101742612 B1 KR 101742612B1 KR 1020150165628 A KR1020150165628 A KR 1020150165628A KR 20150165628 A KR20150165628 A KR 20150165628A KR 101742612 B1 KR101742612 B1 KR 10174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motion
acceler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김윤중
마효일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와,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계산하는 시간 영역 계산부와, 및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고, 시간 영역 계산부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여 손의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는 움직임 평가부를 포함함으로써, 피험자의 파킨슨병의 유무뿐만 아니라 초기 분석도 쉽게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Motion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ccelerator sensor}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 각각 분석하여 환자의 파킨슨병의 초기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substantia nigra)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 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는데 안정시 진전, 운동 완서(동작이 느림), 강직, 자세 불안정, 보행 장애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대부분의 파킨슨병 환자들은 60대에 이르러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 징후 중 운동 완서는 운동장애의 대표적인 징후로서 파킨슨병 환자의 일상생활 장애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 중 하나이며, 약물 반응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이에, 파킨슨병을 검사함에 있어 의사가 환자의 동작을 보고 평가하는 임상척도 평가 방법이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방법은 의사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자 개인 간 그리고 숙련도 등의 차이로 인한 객관성 저하와 미세한 변화가 반영이 안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291379호에는 이러한 파킨슨병의 평가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 일본공개특허 제2009-291379호는 상당한 기간의 연속적인 생체 정보를 검출해 파킨슨병의 중증도나 상태 변화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분석용 등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제2009-291379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 각각 분석하여 환자의 파킨슨병의 초기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계산하는 시간 영역 계산부와,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고, 상기 시간 영역 계산부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여 손의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는 움직임 평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평가는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웨이블렛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일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손의 정지 상태에서의 가속도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영역 계산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평균 주파수를 계산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평가부는 상기 시간 영역 계산부에서 계산한 평균 주파수를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부와, 상기 사운드부의 사운드 신호와 관련하여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지연 시간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평가부는 상기 지연 시간 계산부에서 계산된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방법은 가속도 센서부에서 피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단계와, 상기 신호 출력 단계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 단계와, 상기 신호 출력 단계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계산하는 시간 영역 계산 단계와,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고, 상기 시간 영역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여 손의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는 움직임 평가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피험자의 파킨슨병의 유무뿐만 아니라 초기 분석도 쉽게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손의 진전을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속도 신호뿐만 아니라 가속도 신호로부터 변환된 다양한 신호들을 이용함으로써 움직임 관련 증상을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부의 3축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연속으로 회내와 회외를 반복하는 20대 남자의 가속도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연속으로 회내와 회외를 반복하는 70대 남자의 가속도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부의 3축을 표현한 도면이고, 도 3은 연속으로 회내와 회외를 반복하는 20대 남자의 가속도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연속으로 회내와 회외를 반복하는 70대 남자의 가속도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킨슨병의 주요 움직임 증상은 안정시 진전(resting tremor), 운동 완서(bradykinesia), 강직(rigidity), 자세 불안정이 있다. 이들 주요 움직임 증상은 평가 지표로 크게 안정시 진전 지표와, 움직임과 관련된 운동 완서, 강직, 자세 불안정 지표로 구분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평가 장치는 가속도 센서부(110), 저주파 통과 필터부(12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 신호 저장부(140),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 시간 영역 계산부(160) 및 움직임 평가부(170)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부(110)는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X축(lateral), Y축(longitudinal) 및 Z축(Vertical) 방향에 대한 스마트폰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손의 회내(pronation) 및/또는 회외(supination)에 따른 가속도 신호일 수 있다.
저주파 통과 필터부(120)는 가속도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에 포함된 불필요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는 저주파 통과 필터부(120)를 통과한 저주파 가속도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어 100Hz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저장부(140)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디지털 가속도 신호가 저장된다. 따라서 신호 저장부(140)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일련의 가속도 파형이 하나의 디지털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저장부(140)는 D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도 3에는 이러한 디지털 파일로 저장된 연속으로 회내와 회외를 반복하는 20대 남자의 가속도 신호 파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연속으로 회내와 회외를 반복하는 70대 남자의 가속도 신호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의 비교를 통해서 가속도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들은 피험자마다 다른 생체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들임을 알 수 있다.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는 신호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는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기 위해 웨이블렛 변환을 사용하고, 변환된 주파수 함수로부터 실효치(rsm)를 구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신호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속도의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신호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손의 회내 및 회외에 따른 평균 주파수, 즉 단위시간당 카운트 수를 계산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신호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속도 신호로 변환하고 이 속도 신호로부터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으며, 신호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미분하여 저크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저크 신호로부터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변위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변위 신호로부터 평균 수직 변위 및 평균 수평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움직임 평가부(170)는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에서 웨이블렛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움직임 평가부(170)는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기 위해, 시간 영역 계산부(160)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시간 영역 계산부(160)에서 계산한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평균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현된 움직임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파킨슨병의 유무뿐만 아니라 초기 분석도 가능해진다.
도 1에서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 및 시간 영역 계산부(160)가 신호 저장부(140)에 저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속도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움직임 평가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하나의 장치일 수 있지만, 구현에 따라서는 가속도 센서부(110)와 나머지 구성들이 유무선으로 연결된 장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평가 장치는 가속도 센서부(110), 사운드부(510), 저주파 통과 필터부(12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 시간 영역 계산부(160), 지연 시간 계산부(530) 및 제어 평가부(540)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부(110)는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손의 회내(pronation) 및/또는 회외(supination)에 따른 가속도 신호일 수 있다.
사운드부(510)는 피험자의 인지 능력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움직임을 유발하기 위해 삐 등의 사운드를 출력한다. 사운드부(510)는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0초 간격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피험자의 반응에 초점을 맞춰 랜덤하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 통과 필터부(120)는 가속도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에 포함된 불필요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는 저주파 통과 필터부(120)를 통과한 저주파 가속도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어 100Hz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디지털 가속도 신호가 사운드 신호와 관련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일련의 가속도 파형이 하나의 디지털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는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는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기 위해 웨이블렛 변환을 사용하고, 변환된 주파수 함수로부터 실효치(rsm)를 구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속도의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손의 회내 및 회외에 따른 평균 주파수, 즉 단위시간당 카운트 수를 계산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속도 신호로 변환하고 이 속도 신호로부터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미분하여 저크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저크 신호로부터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변위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변위 신호로부터 평균 수직 변위 및 평균 수평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지연 시간 계산부(530)는 사운드 신호와 관련하여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이들로부터 또한 회내 및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 평가부(540)는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에서 웨이블렛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평가부(540)는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기 위해, 시간 영역 계산부(160)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시간 영역 계산부(160)에서 계산한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평균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 평가부(540)는 지연 시간 계산부(530)에서 계산된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더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현된 움직임 평가 장치는 피험자의 파킨슨병의 유무뿐만 아니라 초기 분석도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험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움직임 평가 앱을 구동한다(S602). 움직임 평가 앱은 디스플레이부에 고지서를 표시하고 피험자가 고지서를 읽고 동의하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피험자는 이후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S604). 이 경우 피험자는 스마트폰을 파지한 손을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다.
움직임 평가 앱에서 움직임 데이터 수집 모드가 시작되면, 먼저 피험자는 스마트폰을 파지한 채로 소정시간, 예를 들어 30초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도 가속도 센서부(110)는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므로, 정지 상태의 가속도 신호가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다(S606).
피험자는 예를 들어 삐 소리와 함께 이후 소정시간, 예를 들어 30초 동안 손의 회내 및 회외 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10)는 운동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고, 운동 상태의 가속도 신호가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다(S608).
또한, 피험자는 예를 들어 삐 소리가 울리면 처음에는 손을 회내로 움직이고 다음 삐 소리에서 손을 회외로 움직이는 과정을 소정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부(110)는 운동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고, 운동 상태의 가속도 신호는 사운드 신호와 함께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다(S610).
움직임 평가 앱에서 움직임 데이터 수집 모드가 완료되면,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는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S612).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는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기 위해 웨이블렛 변환을 사용하고, 변환된 주파수 함수로부터 실효치(rsm)를 계산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 값들을 계산한다(S614).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속도의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하고, 또한, 손의 회내 및 회외에 따른 평균 주파수, 즉 단위시간당 카운트 수를 계산한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속도 신호로 변환하고 이 속도 신호로부터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하나의 디지털 파일의 디지털 가속도 신호를 미분하여 저크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저크 신호로부터 실효치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시간 영역 계산부(160)는 또한, 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변위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변위 신호로부터 평균 수직 변위 및 평균 수평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지연 시간 계산부(530)는 사운드 신호 저장부(520)에 저장된 사운드 신호와 관련 움직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S616), 이들로부터 또한 회내 및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 평가부(540)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150)에서 웨이블렛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한다(S618). 제어 평가부(540)는 시간 영역 계산부(160)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시간 영역 계산부(160)에서 계산한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평균 주파수를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한다(S620). 제어 평가부(540)는 지연 시간 계산부(530)에서 계산된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더 분석할 수 있다.
움직임 평가 앱은 이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평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622).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가속도 센서부 120: 저주파 통과 필터부
13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40: 신호 저장부
150: 주파수 영역 변환부 160: 시간 영역 계산부
170: 움직임 평가부 510: 사운드부
520: 사운드 신호 저장부 530: 지연 시간 계산부
540: 제어 평가부

Claims (8)

  1. 피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계산하는 시간 영역 계산부와,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고, 상기 시간 영역 계산부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여 손의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는 움직임 평가부와,
    피험자의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부와,
    상기 사운드부의 사운드 신호와 관련하여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지연 시간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평가부는 상기 지연 시간 계산부에서 계산된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움직임 평가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웨이블렛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손의 정지 상태에서의 가속도 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 계산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손의 회내 및 회외 움직임에 따른 평균 주파수를 계산하고,
    상기 움직임 평가부는 상기 시간 영역 계산부에서 계산한 평균 주파수를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장치.
  6. 삭제
  7. 가속도 센서부에서 피험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단계와,
    상기 신호 출력 단계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 단계와,
    상기 신호 출력 단계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계산하는 시간 영역 계산 단계와,
    피험자의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와 관련하여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지연 시간 계산 단계와,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고, 상기 시간 영역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시간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분석하여 손의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는 움직임 평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평가 단계는 상기 지연 시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회내의 평균 지연 시간과 회외의 평균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움직임 관련 증상을 더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 단계는 상기 신호 출력 단계로부터 출력된 가속도 신호를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움직임 평가 단계는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 단계에서 웨이블렛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손의 진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평가 방법.
KR1020150165628A 2015-11-25 2015-11-25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74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28A KR101742612B1 (ko) 2015-11-25 2015-11-25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28A KR101742612B1 (ko) 2015-11-25 2015-11-25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612B1 true KR101742612B1 (ko) 2017-06-01

Family

ID=5922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628A KR101742612B1 (ko) 2015-11-25 2015-11-25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497A (ko) * 2019-11-29 2021-06-08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상운동증상 진단을 위한 정량화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상훈 외 9명,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 동결 검출 위한 가속도의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의 분석. 한국 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정밀공학회. 2013.5, pp85-8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497A (ko) * 2019-11-29 2021-06-08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상운동증상 진단을 위한 정량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403752B1 (ko) * 2019-11-29 2022-05-27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상운동증상 진단을 위한 정량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0115B2 (ja) 運動解析表示装置
JP6190466B2 (ja) 生体信号測定器及び接触状態推定方法
WO2013132844A1 (ja) 脈拍計及びプログラム
JP5417970B2 (ja) 歩数計及び歩数計数方法
JP2014526913A (ja) 座位から立位への移行検出
JP2010263953A (ja) 運動分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並びに、運動分析システム
Bermeo et al. A system to monitor tremor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P5509153B2 (ja) 歩容解析方法、歩容解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747866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파킨슨병 지표 평가 장치 및 방법
US10803335B2 (en) Emotion estimating apparatus
CN110292372B (zh) 检测装置
US201703118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movement in a patient
KR101742612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평가 장치 및 방법
JP5488135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
JP6300026B2 (ja) 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JP2013106837A (ja) 心拍検知方法、心拍検知装置および精神ストレス計測装置
WO2016143489A1 (ja) 脈拍測定装置
JP6464004B2 (ja) 測定装置、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229030A (ja) 心拍状態解析装置
JP5800776B2 (ja) 生体動情報検出装置
JP2013183845A (ja) 拍動検出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Okuyama et al. Measurement of human scratch behavior using compact microphone
Poli et al. ADLs Monitoring by accelerometer-based wearable sensors: effect of measurement device and data uncertainty on classification accuracy
JP5812265B2 (ja) 自律神経の状態評価システム
Castaño-Pino et al. An Integrated System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Diagnosis, Using Affordable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