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04B1 -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 Google Patents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04B1
KR101742204B1 KR1020150141854A KR20150141854A KR101742204B1 KR 101742204 B1 KR101742204 B1 KR 101742204B1 KR 1020150141854 A KR1020150141854 A KR 1020150141854A KR 20150141854 A KR20150141854 A KR 20150141854A KR 101742204 B1 KR101742204 B1 KR 101742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pecific person
unit
information
read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188A (ko
Inventor
강명수
박병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준 filed Critical (주)아이준
Priority to KR102015014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지여부를 비교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의 해지 또는 유지 여부를 명령하는 리더박스; 상기 리더박스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외부의 인증서버로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단말;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며, 보안확인 요청 시 상기 보안정보를 상기 리더박스로 전송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SECURITY SYSTEM AND SECURITY SETTINGS CANCEL METHOD USING THE READER BOX}
본 발명은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비교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의 해지 또는 유지 여부를 명령하는 리더박스와, 리더박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외부의 인증서버로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함으로, 스마트 폰의 앱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리더박스와 스마트 폰 간의 간단한 블루투스 통신 및 자력 특성값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를 유지 또는 해지할 수 있는,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스마트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것이 잠금장치 이다.
이와 같이, 잠금장치는 주로 비밀번호와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하고 있는데,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열쇠를 분실할 경우, 잠금장치를 절단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와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은 불편함과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을 탈피한 스마트 도어 록이 최근 많이 제안되고 있으며, 원격으로 스마트 도어 록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스마트 도어 록에 대한 제어는 원격 제어일 뿐 열쇠와 같은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즉, 원격에서 스마트 도어록을 제어하여 잠금 해제하였는데, 이동단말을 분실한다거나 통신문제가 발생한다면, 사용자가 집에 도착할 때까지 스마트 도어 록은 잠금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스마트 폰의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 시 보안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지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 앱을 통해서 보안모드를 변경하는 것은 앱을 열어야하고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분실이나 배터리 방전 등의 경우에는 보안 해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460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비교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의 해지 또는 유지 여부를 명령하는 리더박스와, 리더박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외부의 인증서버로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함으로, 스마트 폰의 앱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리더박스와 스마트 폰 간의 간단한 블루투스 통신 및 자력 특성값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를 유지 또는 해지할 수 있는,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비교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의 해지 또는 유지 여부를 명령하는 리더박스; 상기 리더박스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외부의 인증서버로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단말;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며, 보안확인 요청 시 상기 보안정보를 상기 리더박스로 전송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설정 해지 방법은, 리더박스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이동단말을 소지한 특정인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과정; 상기 리더박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는 제2 과정; 상기 이동단말은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수신하고 독출하여, 상기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3 과정;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제3 과정에서 독출된 자기장 정보가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보안설정 모드 변경 요청신호를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제4 과정;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제4 과정에서 요청된 보안설정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 상태를 보안설정에서 보안해지로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보안해지 신호를 상기 리더박스로 전송하는 제5 과정; 및 상기 리더박스는 상기 보안해지 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앱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리더박스와 스마트 폰 간의 간단한 블루투스 통신 및 자력 특성값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를 유지 또는 해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 특정인이 이동단말을 소지한 경우 리더박스를 통한 보안 해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 특정인이 이동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리더박스를 통한 보안 해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은 리더박스(100), 이동단말(200) 및 인증서버(300)를 포함한다.
리더박스(1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특정인에 대한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일종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확인 장치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이동단말(200)은 BLE(Bluetooth Low Energy)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리더박스(100)에서 전송한 자기장 정보들 독출하고, 독출결과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자력값과 일치되는 경우,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인증서버(300)로 송출하여 리더박스(100)로 하여금 특정인에 대한 보안설정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에서 후술한다.
이 경우 특정인이 소지하는 이동단말(200)은, 이를테면 스마트 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서버(300)는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데, 이를테면, 리더박스(100)의 요청에 따른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리더박스(100)로 전송하며, 이동단말(200)로부터 일치되는 자력값에 따른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에 상응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를 변경하고, 변경된 보안해지 신호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리더박스(1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더박스(100)는 전원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마그네틱 소자부(130), 저장부(140), 보안 판단부(150), 보안설정 및 해지부(160), 경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리더박스(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 기기에 필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배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이동단말(200) 또는 인증서버(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를테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RF), UWB(Ultra-wideband)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네틱 소자부(130)는 낮은 자기성을 띠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함으로, 특정인의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사용되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의 종류,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인해 식별 가능한 고유한 특성 값(이를테면, 히스테리 루프, 보자력 등)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 제공된 특성 값과 미리 측정되고 저장된 특성 값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인에 대한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마그네틱(magnetic) 재료들은 이를테면, 니켈, 철, 코발트, 니켈-철 합금, 코발트-철 합금, 철-규소 합금 또는 코발트-규소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magnetic) 재료들을 이용한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은 이를테면, 마그네틱 와이어, 평탄화된 와이어, 바(bars), 도트(dots), 랜덤 스팟(random spots), 랜덤 블럽(random blobs) 등의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보안과 관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밀키 및 제어부(190)를 통해 처리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 경우 저장매체로 이를테면,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안 판단부(150)는 제1 보안 판단부(151) 및 제2 보안 판단부(152)를 포함한다.
제1 보안 판단부(151)는 특정인이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200)을 소지한 경우, 특정인의 보안설정 해지를 위한 보안 판단 과정을 실행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 도 3a에서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 특정인이 이동단말을 소지한 경우 리더박스를 통한 보안 해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우선 리더박스(100)에서는 특정인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과정(a10)을 갖는다.
이 경우 이동단말(200)을 소지한 특정인이 리더박스(100)로부터 소정의 근접 거리에 도달한 경우, 리더박스(100)는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Bluetooth Low Energy, BLE)를 활용하여 이동단말(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특정인이 접근하였음을 감지한다.
다음으로, 리더박스(100)는 이동단말(200)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는 제2 과정(a20)을 갖는다.
다음으로, 이동단말(200)은 블루투스 신호에 포함된, 마그네틱 소자부(130)에서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 결과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3 과정(a30)을 갖는다.
다음으로, 이동단말(200)은 상기 제3 과정(a30)에서 독출된 자기장 정보가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보안설정 모드 변경 요청신호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하는 제4 과정(a40)을 갖는다.
다음으로, 인증서버(300)는 제4 과정(a40)에서 요청된 보안설정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 상태를 보안설정에서 보안해지로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보안해지 신호를 리더박스(100)로 전송하는 제5 과정(a50)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리더박스(100)는 제5 과정(a50)에서 전송한 보안해지 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제6 과정(a60)을 갖는다.
제2 보안 판단부(152)는 특정인이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200)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특정인의 생체정보 등을 이용하여 보안설정 해지를 위한 보안 판단 과정을 실행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 도 3b에서 설명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 특정인이 이동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리더박스를 통한 보안 해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우선 리더박스(100)에서는 특정인이 입력한 보안정보를 체크하는 제1 과정(b10)을 갖는다.
여기서, 특정인의 보안정보는 리더박스(100)에서 제공하는 키패드(미도시)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전에 부여받은 임시 비밀번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또한 리더박스(100)에서 제공하는 생체정보 인지수단(미도시) 등을 통해 특정인의 생체정보 이를테면, 홍채, 지문, 얼굴 등이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더박스(100)는 주변에 설치된 블루투스 AP(Access Point)(미도시)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고, 블루투스 AP(Access Point)는 인터넷 등을 통해 입력된 특정인의 보안정보의 확인을 인증서버(300)로 요청하는 제2 과정(b20)을 갖는다.
다음으로, 인증서버(300)는 제2 과정(b20)을 통해 전송된 특정인의 보안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보안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제3 과정(b30)을 갖는다.
다음으로, 인증서버(300)는 제3 과정(b30)에서 특정인의 보안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보안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인터넷 등을 통해 블루투스 AP(Access Point)로 특정인의 비밀키를 전송하면, 블루투스 AP(Access Point)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받은 비밀키를 다시 리더박스(100)로 전송하는 제4 과정(b40)을 갖는다.
다음으로, 리더박스(100)는 제4 과정(b40)을 통해 전송받은 특정인의 비밀키와 특정인이 입력한 비밀번호 등의 보안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5 과정(b50)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리더박스(100)는 제5 과정(b50)에서 특정인의 비밀키와 입력된 보안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특정인의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제6 과정(b60)을 갖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보안설정 및 해지부(160)는 제1 보안 판단부(151) 또는 제2 보안 판단부(152)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한다.
경보부(170)는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보안정보와 다른 루트를 통해 보안설정이 해지된 경우(이를테면, 무단 침입자 발생 등), 경보(alarm)를 발생시키는데, 이 경우 경보수단은, 이를테면 청각수단(부저, 음성경고 등), 시각(문자 메시지 등), 촉각(진동 등)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특정인이 입력한 보안정보 결과 및 제어부(190)를 통해 처리된 각종 결과를 화면으로 표시하는데, 이 경우 표시장치로 이를테면, 엘시디(LCD), 엘이디(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원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마그네틱 소자부(130), 저장부(140), 보안 판단부(150), 보안설정 및 해지부(160), 경보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리더박스
110 : 전원부
120 : 근거리 통신부
130 : 마그네틱 소자부
140 : 저장부
150 : 보안 판단부
151 : 제1 보안 판단부 152 : 제2 보안 판단부
160 : 보안설정 및 해지부
170 : 경보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제어부

Claims (5)

  1.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비교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의 해지 또는 유지 여부를 명령하는 리더박스;
    상기 리더박스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외부의 인증서버로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단말;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며, 보안확인 요청 시 상기 보안정보를 상기 리더박스로 전송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더박스는,
    상기 이동단말 또는 상기 인증서버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부;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마그네틱 소자부;
    특정인의 비밀키 및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단말을 소지한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확인하여 보안설정 유지 또는 해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 판단부;
    상기 보안 판단부의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하는 보안설정 및 해지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 상기 마그네틱 소자부, 상기 저장부, 상기 보안 판단부 및 상기 보안설정 및 해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4. 리더박스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이동단말을 소지한 특정인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과정;
    상기 리더박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는 제2 과정;
    상기 이동단말은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수신하고 독출하여, 상기 자기장 정보가 사전에 부여된 자력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3 과정;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제3 과정에서 독출된 자기장 정보가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보안설정 모드 변경 요청신호를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제4 과정;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제4 과정에서 요청된 보안설정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 상태를 보안설정에서 보안해지로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보안해지 신호를 상기 리더박스로 전송하는 제5 과정; 및
    상기 리더박스는 상기 보안해지 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리더박스는,
    상기 이동단말 또는 상기 인증서버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부;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마그네틱 소자부;
    특정인의 비밀키 및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단말을 소지한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확인하여 보안설정 유지 또는 해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 판단부;
    상기 보안 판단부의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하는 보안설정 및 해지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 상기 마그네틱 소자부, 상기 저장부, 상기 보안 판단부 및 상기 보안설정 및 해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설정 해지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박스를 이용한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설정 해지 방법.
KR1020150141854A 2015-10-08 2015-10-08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KR10174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854A KR101742204B1 (ko) 2015-10-08 2015-10-08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854A KR101742204B1 (ko) 2015-10-08 2015-10-08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188A KR20170042188A (ko) 2017-04-18
KR101742204B1 true KR101742204B1 (ko) 2017-05-31

Family

ID=5870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854A KR101742204B1 (ko) 2015-10-08 2015-10-08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3179B1 (en) * 2017-04-26 2018-11-26 Jensen Joern System for identification
KR102331150B1 (ko) * 2021-03-12 2021-12-01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복합 지휘 통제 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79B1 (ko) *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79B1 (ko) *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188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5392B2 (en) Gateway-based anti-theft security system and method
EP22297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 rfid reader
JP5241062B2 (ja) 双方向対象物の間で情報を転送する方法
EP2672655B1 (en) Electronic key registration system
JP7343740B2 (ja) 一方向のキーフォブ及び車両ペアリング認証、保持、及び無効化
KR102498326B1 (ko) 고유의 마스터 키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조작 방법
WO2013114972A1 (ja) 電子キー登録方法及び電子キー登録システム
JP2011511350A (ja) アクセス制御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
CN103580853A (zh) 移动电子设备
CN103310518A (zh) 一种开启车辆车门的方法和系统
CN109410405A (zh) 门禁管理方法、门禁解锁方法及门禁管理解锁系统
KR101992708B1 (ko) 차량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의 차량 제어 방법
KR101742204B1 (ko)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JP6898139B2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ユーザ認証方法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WO2015064431A1 (ja) 認証デバイスを利用した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664888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제어기와 단말기의 인증 방법
US103544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uthentication for access control, home control, and alarm systems
KR20190060370A (ko)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14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범 방법
KR101450135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잠금장치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63903B1 (ko) 함체
JP6212437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5031072A (ja) キー使用可否切替システム
KR101610091B1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