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50B1 - 복합 지휘 통제 장비 - Google Patents

복합 지휘 통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50B1
KR102331150B1 KR1020210032405A KR20210032405A KR102331150B1 KR 102331150 B1 KR102331150 B1 KR 102331150B1 KR 1020210032405 A KR1020210032405 A KR 1020210032405A KR 20210032405 A KR20210032405 A KR 20210032405A KR 102331150 B1 KR102331150 B1 KR 102331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control equipment
serv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천
류종현
류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Priority to KR102021003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150B1/ko
Priority to KR1020210161192A priority patent/KR102337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로 C4I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복합 지휘 통제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서버로부터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서버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출력 신호가 서버로 전송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사용자와 상기 저장부에 기 등록된 사용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외부의 일면에 출력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지휘 통제 장비 {complex command and control equipment}
실시예들은 복합 지휘 통제 장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육해공군의 단위 전술 부대 또는 함정/항공기/차량에 탑재하여 운용되는 전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장에서는 지휘관이 정확한 시간과 지점, 정보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파 또는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 수단을 이용한다.
최근에는, 전장 관리 시스템으로서, C4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Intelligence) 시스템이 대두되면서, 지휘관은 군사들에게 빠르게 데이터를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C4I 시스템의 경우, 다수의 장비를 포함하고 있어, 함정, 차량, 항공기 등에 탑재하여 이동 또는 운영 시 장비를 탑재할 공간이 부족하고, 운용할 장비의 중량이 증가되며, 부대의 기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19280호 (공개일자 2005년03월03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전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야전성 및 전장 환경 등에 부합하기 위하여,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고,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화가 이루어지며, 정비성, 신뢰성, 이동성, 생존성, 통합성을 갖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가 요구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서버로부터 입력 신호를 송신하고, 서버로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출력 신호가 서버로 전송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의 사용자와 저장부에 기 등록된 사용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외부의 일면에 출력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일치 여부 판단에 대응하여, 통신부는 사용자와 기 등록된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서버로 일치 신호를 전송하고, 통신부는 사용자와 기 등록된 사용자가 불일치하는 경우 서버로 불일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의 일치 여부 판단은 센서부가 수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는 온도, 습도, 진동,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의 변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감지된 외부 환경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출력부는 환경 변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부로부터 출력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통신부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로 긴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제 1 케이스부 및 제 1 케이스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중 케이스 형태이고, 제 1 케이스부는 탄소(C), 철(Fe)을 함유하는 탄소강이고, 제 2 케이스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을 함유할 수 있다.
케이스부는 제 1 케이스부 및 제 1 케이스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중 케이스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의 표면은 프랙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쉐어드 스토리지 방식을 이용하여 이중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감시/정찰 시스템 연동 기능, 타격 시스템 연동 기능, 전투 체계 연동 기능, 웹 서비스 기능, 대용량 자료 처리 기능, 공통 상황도 제공 기능,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구성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단일 장비를 이용하여 운용 환경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통합된 장비를 이용하여 정비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제조 및 유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사용자가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결과를 외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권한 있는 사용자가 복합 지휘 통제 장비를 사용한 경우, 현재 상황이 얼마나 긴급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외관(케이스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외관(케이스부)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제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지휘관이 실시간으로 지휘를 통제함으로써 작전을 수행하는 통합 전장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지상전술 C4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 시스템에서의 운용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함정, 차량, 항공기 등에 탑재하여 운영하는 전장 관리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으나,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 형태라도 복합 지휘 통제 장비를 탑재 또는 설치 가능한 제품에는 적용될 수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MFCS(Multi Function C4I System)로도 호칭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100)는 컴퓨팅 모듈(1, 2, 3, 4), 컴퓨팅 모듈(1, 2, 3, 4)을 돕는 확장 모듈(6) 및 컴퓨팅 모듈(1, 2, 3, 4)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자 회로 인터페이스 소켓을 제공하는 회로 모듈(9)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 및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 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는 각 모듈(1, 2, 3, 4, 9)을 탑재할 수 있는 하나의 물리적인 케이스(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각 컴퓨팅 모듈(1, 2, 3, 4, 9)은 싱글 보드 컴퓨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싱글 보드 컴퓨터는 하나의 회로 기판 내에 컴퓨팅을 위한 중앙 처리 장치, 주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 비휘발성 보조 기억 장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모두 갖는 하드웨어 형태로 제작 또는 판매되는 장치를 말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는 모듈별 특성에 따라 기억 장치들 중 일부만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각 컴퓨팅 모듈(1, 2, 3, 4)은 데이터 링크 처리 모듈(1), 웹 서비스 처리 모듈(2),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3), 네트워크 구성 모듈(4)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링크 처리 모듈(1)은 감시/정찰/타격 시스템으로의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명령 정보를 감시/정찰/타격 시스템으로 전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링크 처리 모듈(1)은 센서/무기 시스템 계통의 데이터를 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링크 처리 모듈(1)은 자료 처리의 안정성, 신뢰성,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간 운영체제가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어 운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링크 처리 모듈(1)은, 예를 들어, Ethernet, Fast Ethernet, Gigabit Ethernet, RS-232, RS-422, RS-485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웹 서비스 처리 모듈(2)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에 접속한 운용자들에게 전장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지휘, 통제, 상황도, 전력 현황 정보를 웹 서비스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 서비스 방식으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웹 서비스 처리 모듈(2)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엔진, 상황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엔진이 핵심 엔진을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해당 시스템이 운용되는 환경에 맞게 다양한 소프트웨어 엔진을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3)은 전장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 자료들의 수정, 입력,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3)은 핵심 엔진으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엔진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웹 서비스 처리 모듈(2) 및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3)은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로서 하드웨어적인 안정성을 위해 메모리 형태의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조 기억 장치는 하드 디스크로 구성하는 일반 컴퓨팅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싱글 보드 컴퓨터는 웹 서비스 처리 모듈(2)과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3)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를 운용하는 부대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모듈(4)은 내부 컴퓨팅 모듈 간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모듈(4)은 해당 부대의 전장 관리 시스템 단말기 및 외부의 감시/정찰/타격 시스템이나 타 부대의 전장 관리 시스템과의 통신 인터페이스(10, 1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 모듈(4)은, 예를 들어, Ethernet, Fast Ethernet, Gigabit Ethernet 등 다양한 방식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연결 대상 호스트의 인터페이스 종류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모듈(6)은 각 컴퓨팅 모듈(1, 2, 3, 4)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방향 변경, 개수 확장, 처리 용량 확장, 보조 기능 추가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모듈(6)은 회로 모듈(9)의 각 소켓 인터페이스(8)에 장착되어 회로 모듈(9)이 제공하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각 컴퓨팅 모듈(1, 2, 3, 4)과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부(7)는 시스템의 안정성 요구 수준에 따라 1개 또는 복수 개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 모듈(9)은 각 컴퓨팅 모듈(1, 2, 3, 4)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 컴퓨팅 모듈 간(1, 2, 3, 4) 간의 데이터 버스 통신을 위한 회로 역할, 장착된 컴퓨팅 모듈(1, 2, 3, 4)을 고정하는 소켓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 모듈(9)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00)의 성능 및 기능 확장을 위하여 일정 개수 이상의 여유 소켓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각 컴퓨팅 모듈(1, 2, 3, 4)은 동일한 소켓 인터페이스(8)를 가지므로, 특정 모듈의 처리 용량을 확장할 때는 전체 부품을 교환할 필요없이 회로 모듈(9)에 포함되는 여유 소켓에 해당 모듈을 추가 장착함으로써 쉽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특정 모듈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해당 모듈을 교체하여 소켓 인터페이스(8)에 장착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모듈(6)들도 모두 동일한 소켓 인터페이스를 가지므로,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모듈(6)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컴퓨팅 모듈(1, 2, 3, 4)과 같이 소켓에 모듈을 교체/장착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 확장 모듈(6)용 인터페이스와 컴퓨팅 모듈(1, 2, 3, 4)용 인터페이스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 모듈(9)은 기존 싱글 보드 컴퓨터 제품들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VMEBus, CompactPCI, AdvancedMC, AdvancedTCAm, VP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 싱글 보드 컴퓨터 제품들과의 호환 가능한 인터페이스 표준이라면 어느 것이어도 채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100)는 서버랙, 통신랙과 이에 탑재된 여러 장비로 이루어진 백화점식 C4I 시스템을 단 한 대의 장비로 모두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100)는 한 대의 장비로 모든 기능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100)는 C2OTM(Command & Control On the Move)을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1100)는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지상 전술 C4I 시스템에서 언제 또는 어디서든지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C4ISROTM(C4ISR On The Move)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외관(케이스부)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본체부(211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각 모듈 포함한다) 및 본체부(2110)를 수납하는 케이스부(212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본체부(2110)는 통신부(2111)(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링크 처리 모듈), 저장부(2112)(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웹 서비스 처리 모듈 또는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 및 제어부(2113)(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네트워킹 구성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10)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14)(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 또는 회로 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본체부(2110)는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2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2111)는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 신호를 송신하거나 외부 서버로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11)는 외부의 부대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가 포함된 부대로의 입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11)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를 사용하는 지휘관이 외부의 부대로 전달하는 명령 또는 지시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2111)는 별도의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장비 없이 자체 LAN 구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부(2112)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부(2112)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목록은 일괄적으로 접근 권한이 있는 대상의 목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목록은 정권한자, 부권한자와 같이 계급 또는 우선 순위를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목록은 일부 기능에 대하여만 접근 가능한 대상과 모든 기능에 대하여 접근 가능한 대상을 나누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부(2112)는 상용 데이터베이스를 탑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부(2112)는 128GB 이상의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출력 신호가 서버에 전송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를 출력한 사용자가 저장부(2112)에 저장된 사용자 목록에 포함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명령을 서버로 빠르게 전송하기 위하여,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통신부(2111)는 출력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명령권자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출력 신호가 서버로 전송된 뒤, 제어부(2113)는 출력 신호를 출력한 사용자의 권한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운영체제를 탑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Unix, Linux 등의 운영체제가 탑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서버를 탑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WEB, WAS 서버가 탑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2111)는, 제어부(2113)가 사용자와 기 저장된 사용자 목록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것에 대응하여, 서버로 일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2111)는, 제어부(2113)가 사용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 목록과 불일치한다고 판단한 것에 대응하여, 서버로 불일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2111)는 서버뿐만 아니라, 기 저장된 사용자 목록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불일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부(2114)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14)는 전원 공급부(2114)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를 전원 공급부(2114)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부(2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114)가 케이스부(2120)에 설치되는 경우, 케이스부(2120)의 상면, 하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원 공급부(2114)는 케이스부(2120)와 배선으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14)는, 예를 들어, 600W를 갖는 하나의 전원과 250VA를 갖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부(2114)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redundant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14)는, 예를 들어, 600W를 갖는 3 개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부(2114)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부(2111)를 통해 출력 신호가 전송되거나 또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2111)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로 긴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외부 서버는 중앙 부대 또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 부대와 연결된 서버일 수 있다. 긴급 신호는 메시지의 형태일 수도 있고, 모스 부호의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 전달 가능한 신호는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인 1h동안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2111)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인 가장 가까운 군부대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부대가 위험에 처했음을 다른 부대에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감지부(2115)는, 열, 습도, 진동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의 변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부(2122, 후술함)는 외부 환경이 변화되는 정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환경 변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h, 기 설정된 온도 변화 범위가 1℃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 주변의 온도가 1h 동안 25℃에서 30℃로 변화한 것에 대응하여, 출력부(2122)는 온도 상승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감지부(2115)가 본체부(2110)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부(2115)는 케이스부(2120)에 설치되어도 된다. 감지부(2115)가 케이스부(2120)에 설치되는 경우, 감지부(2115)는 케이스부(2120)의 상면, 하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감지부(2115)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의 현재 위치 및 복합 지휘 통제 장비가 이동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11)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입력된 거리와 상이한 거리를 이동했거나, 현재 위치가 기 입력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탈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탈된 정도에 따라 이탈 신호는 달리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스부(2120)는 출력부(2122) 및 센싱부(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스부(2120)는 스위칭부(2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121), 출력부(2122) 및 센싱부(2123)는 케이스부의 외면의 상면, 측면,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스위칭부(2121)는 전원 공급부(2114)가 전력을 공급하게 하거나 차단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부(2122)는 스피커부(2122s) 또는 디스플레이부(2122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부(2122)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로부터 사용자에게 보내는 메시지, 서버로부터 송신한 입력 신호, 현재 위치, 온도, 습도와 같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22d)는 현재 위치와 온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부(2123)는 사용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123)는 사용자의 지문, 목소리, 홍채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통해, 제어부(2113)는 사용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 목록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외부인이나 권한이 없는 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부대 내의 명령 체계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부(2123)는 소리를 센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부(2123)는 사용자의 목소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2113)는 수집된 사용자의 목소리 데이터와, 저장부(2112)에 저장된 등록 사용자의 목소리 데이터를 비교 및/또는 판단하여, 사용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에 접근 가능한 등록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부(2123)는, 제어부(2113)가 사용자가 등록 사용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주변 소음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사용자가 등록 사용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주변 소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 상황의 긴급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 긴급 레벨은 주변 소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한 정도를 수치화한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1
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현 상황이 얼마나 긴급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2
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3
이때,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4
은 수집한 주변 소음 데이터 중 기계음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값이고,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5
는 수집한 사용자의 목소리 데이터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값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6
를 통해 긴급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현재 사용자인, 예를 들어 지휘관이 얼마나 긴급한 상황에서 명령을 내리는지 여부를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7
와 평소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8
를 통해 등급을 나눌 수 있다. 평소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09
은 전시 상황이 아닌 경우에 [수학식 1]을 통해 측정한 긴급도일 수 있다. 평소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0
은 최소 10회 이상 평소 긴급도를 측정한 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평소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1
및 긴급도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2
를 이용하여 긴급 레벨을 [수학식 2]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3
이때,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4
가 0<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5
≤0.2인경우 긴급 레벨은 5등급에 해당할 수 있고, 0.2<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6
≤0.4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레벨은 4등급에 해당할 수 있고, 0.4<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7
≤0.6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레벨은 3등급에 해당할 수 있고, 0.6<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8
≤0.8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레벨은 2등급에 해당할 수 있고, 0.8<
Figure 112021029183189-pat00019
≤1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 레벨은 1등급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사용자의 성격 상수 s에 해당하는 값으로 긴급 레벨의 등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성격 상수 s은 목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의 성격을 수치화한 값으로, 예를 들어, 흥분 시 목소리가 높아지는 사람인지 낮아지는 사람인지, 흥분을 쉽게 하는 사람인지 아닌지 및 성별, 나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여한 개인별 상수값이다. 성격 상수 m은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부(2112)에 등록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기 저장된 값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2113)는 성격 상수 s에 따라서 긴급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2111)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가장 가까이 위치한 부대)로 일치 신호를 전송한 후, 긴급 레벨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부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한 외부 서버는 상황이 얼마나 긴급한지 여부에 대해 별도의 무선 또는 연락을 받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예를 들어, 20k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예를 들어, 19”(w) x 400mm(h) x 180mm(d)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예를 들어, 316W의 소모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예를 들어, 60dB의 소음과 878BTU/HB의 발열량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내부에 C4I 내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단일 장비로 형섬됨으로써 운용 환경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통합된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정비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검증된 규격 기반의 야전 적응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2100)는 시스템 획득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외관(케이스부)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4100)는 본체부(케이스부 내에 위치,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각 모듈 및 도 2, 도 3에서 설명한 본체부)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부(412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케이스 및 도 2, 도 3에서 설명한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케이스부(4120)를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기둥형 등 본체부를 보호할 수 있는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스부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스부(4120)는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부(4120)는 본체부를 감싸는 제 1 케이스부(4124)와, 제 1 케이스부와 일정 간격(4126) 이격 되어 배치되고, 제 1 케이스부(4124)를 감싸는 제 2 케이스부(4125)를 포함하는 이중 케이스 형태일 수 있다. 제 1 케이스부(4124)는 철(Fe) 및 탄소(C)를 일정 비율 함유하는 탄소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소 함량이 1.7% 이하 함유된 탄소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소 함량이 3% 이상 함유된 주철이어도 된다. 또한, 케이스부(4124)는 니켈(Ni), 크롬(Cr), 텅스텐(W), 등 금속 원소를 더 포함하는 합금강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부(4124)는 본체부를 더 강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부(4125)는 폴리 에스터(Polyes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케이스(4125)는 우수한 내화학성과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케이스부(4125)는 충격 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보강제는 예를 들어, MBS계 충격 보강제, CPE계 충격 보강제,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충격 보강제를 추가함으로써, 제 2 케이스부(4125)의 압축, 휨 및 충격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제 1 케이스부(4124)는 제 2 케이스부(4125)보다 중량비가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케이스부(4120)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제 2 케이스부(4125)가 충격을 흡수하고, 강도가 높은 제 1 케이스부(4124)가 본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스부(4120)의 표면은 프랙탈(fracta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프랙탈(fractal) 구조의 기본이 되는 구조는,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도 4(B)에서는 프랙탈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부(4120)의 표면은 나노 거품 구조, 미세 격자 구조, 오늬 무늬 구조 등 충격 흡수가 가능한 어떤 구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스부(4120)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면서도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의 제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복합 지휘 통제 장비(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복합 지휘 통제 장비) 내에 설치되는 제어부(5113)(예를 들어, 도 1 에서 설명한 네트워킹 구성 모듈,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제어부)는 운용 개념에 따라 모듈 단위 또는 장비 단위로 이중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5113)는 쉐어드 스토리지(Shared Storage) 방식의 HA(High Availability)를 적용하여 이중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113)는 상용 이중화 구성이 요구하는 OS 및 HW Spec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13)는 서버(Serv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 내에서 또는 서버 간에서 Active-Standby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서버 간(Server #1, Server #2)은 Heart-beat 회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버 간(Server #1, Server #2)은 저장부(5112)(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웹 서비스 모듈, 대용량 자료 관리 모듈, 도 2에서 설명한 저장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5112)는 DAS, NAS 등 다양한 저장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5113)는 상용 서버 이중화 시와 동일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Server #1, Server #2)가 탑재된 회로 모듈(5109)은, Fabric Interface를 통한 고속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5113)는 NAS 기반의 고속 스토리지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지휘 통제 장비는 Failover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모듈간 별도로 네트워크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실시예들을 제한하기 위해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 상 명확하게 지칭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및/또는 표현은 용어 간의 모든 가능한 결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포함한다 표현은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이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고, 추가적인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 경우, ~ 때 등의 조건 표현은 선택적인 경우로만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때, 특정 조건에 대응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련 정의가 해석되도록 의도되었다.
이상의 설명은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복합 지휘 통제 장비 110: 본체부
111: 통신부 112: 저장부
113: 제어부 114: 전원 공급부
120: 케이스부 121: 스위칭부
122: 출력부

Claims (5)

  1. 복합 지휘 통제 장비에 있어서,
    ① 제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신호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②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저장부,
    ③ 상기 출력 신호가 서버에게 전송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저장부에 기 등록된 제2 사용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④ 제1 사용자의 목소리, 지문, 및 홍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⑤ 상기 복합 지휘 통제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외부의 일면에 출력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일치 신호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고, ⓑ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 신호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
    ① 상기 센서부는 주변 소음 데이터를 더 수집하고,
    ②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목소리 및 상기 주변 소음 데이터를 아래의 수학식에 적용하여 긴급도(ve)를 산출하되,
    [수학식]
    Figure 112021083672520-pat00025

    vm은 상기 주변 소음 데이터 중 기계음의 평균값에 상응하고, vu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목소리의 평균값에 상응하고, s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성격 상수에 상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도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1등급 내지 5등급의 긴급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일치 신호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한 후에 상기 긴급 레벨을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배치되어 온도, 습도, 및 진동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의 변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외부 환경의 변화 정도가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환경 변화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에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출력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에게 메시지 형태의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복합 지휘 통제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2405A 2021-03-12 2021-03-12 복합 지휘 통제 장비 KR10233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05A KR102331150B1 (ko) 2021-03-12 2021-03-12 복합 지휘 통제 장비
KR1020210161192A KR102337151B1 (ko) 2021-03-12 2021-11-22 외부 서버에 대한 복합 지휘 통제를 수행하는 통합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05A KR102331150B1 (ko) 2021-03-12 2021-03-12 복합 지휘 통제 장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192A Division KR102337151B1 (ko) 2021-03-12 2021-11-22 외부 서버에 대한 복합 지휘 통제를 수행하는 통합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150B1 true KR102331150B1 (ko) 2021-12-01

Family

ID=788662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05A KR102331150B1 (ko) 2021-03-12 2021-03-12 복합 지휘 통제 장비
KR1020210161192A KR102337151B1 (ko) 2021-03-12 2021-11-22 외부 서버에 대한 복합 지휘 통제를 수행하는 통합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192A KR102337151B1 (ko) 2021-03-12 2021-11-22 외부 서버에 대한 복합 지휘 통제를 수행하는 통합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11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80A (ko) 2003-08-18 2005-03-03 유영아이티 주식회사 전장 정보 제공방법 및 관제방법
KR20100027936A (ko) *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복합 지휘통제 플랫폼
KR20120038876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셈앤텍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2188A (ko) * 2015-10-08 2017-04-18 (주)아이준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JP2018520395A (ja) * 2015-04-10 2018-07-26 シクパ ホルディ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Sicpa Holding Sa セキュリティ物品を認証するための携帯可搬装置および可搬認証装置の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057A (ja) * 1999-07-01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80A (ko) 2003-08-18 2005-03-03 유영아이티 주식회사 전장 정보 제공방법 및 관제방법
KR20100027936A (ko) *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위즈브레인 복합 지휘통제 플랫폼
KR20120038876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셈앤텍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520395A (ja) * 2015-04-10 2018-07-26 シクパ ホルディ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Sicpa Holding Sa セキュリティ物品を認証するための携帯可搬装置および可搬認証装置の操作方法
KR20170042188A (ko) * 2015-10-08 2017-04-18 (주)아이준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151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713B2 (en) Firearm monitoring and energy harvesting from a local energy source
US11408700B2 (en) Firearm monitoring, inertial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0077254A1 (en) Firearm monitoring and remote support system
US11650021B2 (en) Weapon usage monitoring system with geolocation-bas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KR102331150B1 (ko) 복합 지휘 통제 장비
CN109398716B (zh) 外置式机载控制系统
WO2018163375A1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
CN110543515B (zh) 一种基于lora通信技术实现的区块链系统及工作方法
Fraga‐Lamas et al. Tactical edge iot in defense and national security
JP6713918B2 (ja) 電子戦装置及びマルチセンサシステム
KR102613931B1 (ko) 위성 통신을 이용한 함정 전투관리체계 통제 시스템및 그 방법
US20240027157A1 (en) Real-time streaming of weapon usage information on disconnected networks
US11971230B2 (en) Weapon usage monitoring system having discharge event monitoring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US20240102760A1 (en) A Weapon Usage Monitoring System Having Shot Correlation Monitoring Based on User Fatigue
L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ault Diagnosis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Special Vehicles
EP3190284B1 (en) Engine control system, vehicle system, and engin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