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03B1 - 함체 - Google Patents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903B1
KR101663903B1 KR1020150095415A KR20150095415A KR101663903B1 KR 101663903 B1 KR101663903 B1 KR 101663903B1 KR 1020150095415 A KR1020150095415 A KR 1020150095415A KR 20150095415 A KR20150095415 A KR 20150095415A KR 101663903 B1 KR101663903 B1 KR 10166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nclosure
information
serv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김도완
이황기
Original Assignee
김진성
김도완
이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김도완, 이황기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15009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함체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의해 식별가능한 표지가 일면에 부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며,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관리정보를 근거로 도어록 해제키가 설정되는 도어록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인증키를 구비한 스마트 키가 상기 도어록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연결되면, 상기 해제키와 상기 인증키를 비교하여 상기 도어록부에 잠김 또는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함체{Enclosure Box}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원격으로 도어를 개폐하면서 관리할 수 있는 함체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함체(Enclosure Box)는,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및 보안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제어장치들이 수용되는 함체는, 교통 및 보안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교통 및 보안 장치들을 그룹으로 편성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자가 손쉽게 닿을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 및 고정된다.
이 경우, 사고에 의한 훼손 또는 고의적 파손에 의해 함체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고의적인 함체의 개폐는 함체 내에 수용된 제어장치 등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고의적인 함체의 개방에 따라 제어장치의 작동을 임의로 조작함으로써,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원활한 운용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권한이 있는 운용자만이 함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비정상적인 함체의 개폐를 방지하고, 함체의 파손에 따라 조속히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8897호(2011.09.30.공고)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시스템으로 개폐되는 함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보안체계를 갖는 함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함체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의해 식별가능한 표지가 일면에 부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며,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관리정보를 근거로 도어록 해제키가 설정되는 도어록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인증키를 구비한 스마트 키가 상기 도어록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연결되면, 상기 해제키와 상기 인증키를 비교하여 상기 도어록부에 잠김 또는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표지를 인식하면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함체에 각각 인증정보와 관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인증정보를 근거로 인증키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함체에 대한 이력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키와 상기 휴대 단말기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인증키의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록부는 상기 해제키의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키 모듈과 상기 도어록부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가변 소자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전력망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비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예비 전원공급부가 상기 함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해제키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는 보다 뛰어난 보안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함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체의 고장과 같은 정보 뿐만 아니라 함체를 개폐하는 사용자의 정보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보다 엄격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함체 시스템을 보다 구체화시킨 도면.
도 4는 도 3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함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시스템은 함체(10), 휴대 단말기(20) 및 서버(30)를 포함한다.
함체(Enclosure Box, 10) 내부에는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관리장치 또는 보안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들이 수용된다.
휴대 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는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관리장치 또는 보안 장치들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관제센터에 위치할 수 있다. 서버(30)는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관리장치 또는 보안 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함체(10)와 휴대 단말기(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함체(10)와 서버(30)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다만, 서버(30)와 휴대 단말기(20)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함체(10), 휴대 단말기(20) 및 서버(30)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각각은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3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2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함체(10)에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는 함체(10)에 발생하는 고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센서는 열을 감지하거나, 함체(10) 내부의 각 구성들을 서로 연결하는 도선의 단락을 감지하거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함체(10)에 발생하는 충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고장이 발생하면 이를 함체(10)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함체(1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서버(30)로 고장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30)가 설치된 관제센터에서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20)에 고장과 관련하여 수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리정보에는 고장이 발생한 함체(10)의 위치, 고장의 내용, 함체(10)를 수리한 사용자의 정보, 수리를 완료할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함체(10)를 수리할 작업지시를 받은 사용자가 해당 함체(10)에 도착하면, 함체(10)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버(30)로 전송한다. 서버(3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와 함체(10)에 각각 인증정보와 관리정보를 전송한다.
관리정보에 따라 함체(10)는 도어록부의 해제키를 설정하고, 휴대 단말기(20)에는 해제키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전송된다. 사용자는 인증키를 통해 함체(10)를 개폐하여 수리를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이 철저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실제로 작업을 하지 않고, 인증키를 제3자에게 전달하고, 제3자가 사용자 대신에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인증키가 제3자에게 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함체 시스템을 보다 구체화시킨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함체시스템은 함체(100), 휴대 단말기(200), 서버(300) 및 스마트 키(40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함체(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본체(110)에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관리장치 또는 보안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들이 수용된다. 이 밖에 함체(100)는 제어부(150), 통신부(160), 도어록부(130), 센서(180), 예비전원 공급부(170) 및 표지부(140)를 구비한다.
제어부(150)는 마이크로칩 형태로 구현되며, 함체(100) 내부의 각종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근거로 설정된 인증키를 구비한 스마트 키(400)가 도어록부(130)에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연결되면, 해제키와 인증키를 비교하여 도어록부(130)에 잠김 또는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16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180)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180)는 함체(100)에 발생하는 고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센서(180)는 열을 감지하거나, 함체(100) 내부의 각 구성들을 서로 연결하는 도선의 단락을 감지하거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함체(100)에 발생하는 충격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80)는 근접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스마트 키(40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80)는 정전식 또는 정압식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스마트 키(400)의 접촉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어록부(130)는 본체(110)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형성된다. 도어록부(130)는 전자 또는 기계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관리정보를 근거로 도어록 해제키가 설정된다. 즉, 수신된 관리정보에 따라 해제키가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도어록부(130)는 전기, 자기 또는 기계식 방법으로 해제키를 변경할 수 있다. 도어록부(130)는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해제키를 변경하도록 코일 또는 자석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해제키를 변경하도록 도어록부(130)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가변 소자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자석이 구비된 부재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기계적 방법으로 자력의 크기나 자력이 발생하는 위치를 변경하여 해제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제키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1분)만 유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해제키를 설정하게 되면, 실시간 이력 관리가 어렵고, 해제키가 복수로 사용되는 등 보안 체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체(11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60)를 통해 서버(300)에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 인증키와 해제키의 정보, 함체정보, 함체(100)의 고장 발생 내역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센서(180)는 도어(120)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표지부(140)는 해당 함체(100)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QR 코드나 바코드 또는 그 밖에 휴대 단말기(200)에 의해 인식가능한 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표지부(140)는 단순히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비전원 공급부(170)는 전력망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비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즉, 평소에 함체(100)는 전력망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도록 형성되는데, 비상시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예비전원 공급부(170)가 전력망을 대신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예비전원 공급부(170)는 탈착가능하게 함체(100)의 본체(110)에 결합된다.
휴대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부(230), 제어부(210) 및 센서(220)를 포함한다.
센서(220)는 함체(100)의 표지부(14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센서는 카메라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는 표지부(140)를 인식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로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2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는 서버(300)와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며, 스마트폰과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마이크로칩 형태로 구현되며, 휴대 단말기(200) 내부의 각종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를 통해 표지부(140)를 인식한 후 관련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정보 중 일부를 스마트키에 전송하도록 각 장치들을 제어한다.
서버(300)는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관리장치 또는 보안 장치들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관제센터에 위치할 수 있다. 서버(300)는 CCTV, 가로등 및 교통신호제어기 등의 교통 관리장치 또는 보안 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버(300)는 통신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통신부(3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3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에 고장과 관련한 다양한 메뉴얼들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연락처, 함체(100) 정보, 고장과 관련한 업무 수행 리스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본체(11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서버(300)는 통신부를 통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 인증키와 해제키의 정보, 함체(100)정보, 함체(100)의 고장 발생 내역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부는 기존의 정보에 수신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함체(100)에 대한 이력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마이크로칩 형태로 구현되며, 서버(300) 내부의 각종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200)와 함체(100)에 각각 인증정보와 관리정보를 전송한다. 인증정보와 관리정보에는 각각 사용자의 정보, 인증키와 해제키의 정보, 함체(100)정보, 함체(100)의 고장 발생 내역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키(40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능하게 형성되며, 통신부(430), 키 모듈(450), 전원공급부(460) 및 제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술에 의해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키 모듈(450)은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정보를 근거로 해제키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설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키 모듈은 전기, 자기 또는 기계식 방법으로 인증키를 변경할 수 있다. 키 모듈은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인증키를 변경하도록 코일 또는 자석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인증키를 변경하도록 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가변 소자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또는 자석이 구비된 부재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기계적 방법으로 자력의 크기나 자력이 발생하는 위치를 변경하여 인증키를 설정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스마트 키(40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410)는 마이크로칩 형태로 구현되며, 스마크 키 내부의 각종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함체(100)와 휴대 단말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함체(100)와 서버(300)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다만,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와 스마트 키(400)는 서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함체(100), 휴대 단말기(200), 스마트 키(400) 및 서버(300)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각각은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각 장치들의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함체(100)의 고장에 대한 수리 절차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들을 적어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고장이 발생하면 이를 함체(100)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함체(1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서버(300)로 고장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300)가 설치된 관제센터에서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200)에 고장과 관련하여 수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리정보에는 고장이 발생한 함체(100)의 위치, 고장의 내용, 함체(100)를 수리한 사용자의 정보, 수리를 완료할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함체(100)를 수리할 작업지시를 받은 사용자가 해당 함체(100)에 도착하면, 함체(100)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는 함체(100)의 표지를 휴대 단말기(200)를 통해 인식시키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정보(위치, 시각,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가 서버(30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200)와 함체(100)에 각각 인증정보와 관리정보를 전송한다.
관리정보에 따라 함체(100)는 도어록부(130)의 해제키를 설정하고, 휴대 단말기(200)는 인증정보에 따라 해제키를 생성하거나 해제키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해제키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스마트 키(400)에 전송되면 해제키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스마트 키(400)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인증키를 통해 함체(100)를 개폐하여 수리를 하게 된다. 함체(100)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함체(1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서버(300)에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 인증키와 해제키의 정보, 함체(100)정보, 함체(100)의 고장 발생 내역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저장부를 통해 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 함으로써, 함체(100)에 대한 이력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함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휴대 단말기가 함체 본체에 부착된 식별가능한 표지를 인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함체의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는 이를 근거로 인증정보와 관리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함체에 각각 전송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관리정보를 근거로 도어록 해제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스마트 키에 전송하면, 상기 스마트 키는 전송받은 인증정보를 근거로 상기 해제키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함체의 도어록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연결되면, 상기 함체의 제어부는 상기 해제키와 상기 인증키를 비교하여 상기 도어록부에 잠김 또는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의 도어록 운용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함체에 대한 이력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의 도어록 운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와 상기 휴대 단말기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의 도어록 운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인증키의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록부는 상기 해제키의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키 모듈과 상기 도어록부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가변 소자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의 도어록 운용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전력망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비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예비 전원공급부가 상기 함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의 도어록 운용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키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의 도어록 운용방법.






KR1020150095415A 2015-07-03 2015-07-03 함체 KR10166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15A KR101663903B1 (ko) 2015-07-03 2015-07-03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15A KR101663903B1 (ko) 2015-07-03 2015-07-03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903B1 true KR101663903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415A KR101663903B1 (ko) 2015-07-03 2015-07-03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25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플랫폼베이스 외부 단말기기를 이용한 사용자인증 기반의 전자키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553A (ja) * 1995-09-26 1997-04-04 Hochiki Corp 防災設備用機器の扉開閉機構
JP2009293317A (ja) * 2008-06-06 2009-12-17 Ntt Docomo Inc 認証装置、移動端末、電気鍵システムおよび認証制御方法
KR101068897B1 (ko) 2011-04-04 2011-09-30 박형모 원격제어를 통한 보관함 관리시스템
KR20120035442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ⅱ)
KR101375353B1 (ko) * 2013-08-26 2014-03-20 김명삼 함체 도어 개폐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553A (ja) * 1995-09-26 1997-04-04 Hochiki Corp 防災設備用機器の扉開閉機構
JP2009293317A (ja) * 2008-06-06 2009-12-17 Ntt Docomo Inc 認証装置、移動端末、電気鍵システムおよび認証制御方法
KR20120035442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ⅱ)
KR101068897B1 (ko) 2011-04-04 2011-09-30 박형모 원격제어를 통한 보관함 관리시스템
KR101375353B1 (ko) * 2013-08-26 2014-03-20 김명삼 함체 도어 개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25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플랫폼베이스 외부 단말기기를 이용한 사용자인증 기반의 전자키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4153B1 (en) Electronic lock,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KR101492087B1 (ko) 휴대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보안 가방
US86354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ccess control
EP22297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 rfid reader
KR102149300B1 (ko) 근거리 통신 태그
US11423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electronic lockers
US9106271B2 (en) System for programming a lock comprising contactless NFC communication means
US20120108168A1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US9355512B2 (en) Closing unit,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nd/or locking a lock
US20200166904A1 (en) Identification of industrial equipment using micro-location services
KR101931951B1 (ko)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12349B1 (ko) 출입구 종합 통제시스템
US2021018319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CN105530476A (zh) 智能安防系统配置方法及装置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468690A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分布式系统的装置
KR101861057B1 (ko)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20140063987A (ko) 엔에프씨 태그, 엔에프씨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복수 작동 명령어 데이터 저장방법 및 실행방법
KR101663903B1 (ko) 함체
US11347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wireless reader action as a result of an output data received from a wireless identification device
KR102040779B1 (ko)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EP3101579A1 (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742204B1 (ko) 리더박스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보안설정 해지 방법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