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22B1 -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22B1
KR101742122B1 KR1020150111875A KR20150111875A KR101742122B1 KR 101742122 B1 KR101742122 B1 KR 101742122B1 KR 1020150111875 A KR1020150111875 A KR 1020150111875A KR 20150111875 A KR20150111875 A KR 20150111875A KR 101742122 B1 KR101742122 B1 KR 10174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flame
sett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645A (ko
Inventor
이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들테크
Priority to KR102015011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5/0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re Alarm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성능과 비화재보에 의한 오작동을 검사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FIRE FLOWER SENSOR ERROR INSPECTION APPARATUS AND TEST METHODS}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성능과 비화재보에 의한 오작동을 검사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은 여러가지 연소반응에 의해 나타나는데 그 표출 형태는 열, 연기, 연소가스, 복사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불꽃에서 열복사로 빛이 방출되며, 그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특성이 다른 파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파형의 차이로 인해 화염으로부터 나오는 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 파장의 영역이 다른 세 가지로 대별된다.
이러한 광학적인 특성을 이용해 화재의 형태에 해당하는 광원을 식별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불꽃감지기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의 파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센서로 이루어지며, 일상적인 상황과 화재시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광원을 분리하여 화재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센서를 이용해 불꽃을 감지하여 비화재보를 줄이고 정교하게 화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불꽃감지기는 감지각도가 90°와 감지거리가 25m 전후로 감지범위가 넓어 연기, 온도로 감지가 어려운 화력발전소, 항공기격납고 및 공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불꽃감지기는 파형을 이용해 화재 여부를 측정하게 되어 불꽃과 유사한 파형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지, 가스, 화로 등과 같이 인위적으로 불을 집혀 불꽃감지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78028호 "휴대용 화원 시험기"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에 제시된 기술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불꽃감지기에 불꽃의 파장과 유사한 적외선과 가시광선, 자외선을 조사하여 불꽃감지기의 성능 및 고장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불꽃과 유사한 파장을 통해 성능을 검출할 수 있으나, 설치위치에서 불꽃의 검출 범위를 확인할 수 없으며, 불꽃 외의 다른 파장에 의해 발생하는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출위치 및 화재발생 범위에서 발생하는 비화재보 및 화재 발생을 파악할 수 없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꽃감지기에 불꽃과 동일한 파형을 가지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을 조사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며, 화재시 발생하는 파장을 제외하며, 이와 유사한 파장을 조사하여 비화재보 발생을 검사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거리, 각도, 높이에 따른 파형을 측정하여 불꽃감지기의 검사 범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범위 내에서 조사되는 파장에 의한 비화재보 발생을 검사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불꽃과 유사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과, 비화재보에 해당하는 파형을 동시에 조사하여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불꽃을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불꽃감지기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는 불꽃감지기의 오작동을 검사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있어서, 화재시 발생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장과 빛을 발생하는 불꽃발생부; 불꽃을 제외하며 불꽃과 유사한 파장을 발생하는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 상기 불꽃감지기에 탈부착 되며, 상기 불꽃발생부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거리, 각도, 높이에 따른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상기 불꽃발생부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설정과 작동을 입력하는 제 1입력부와 상기 제 1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설정하는 제 1설정부와, 상기 제 1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부에 저장된 설정값을 상기 불꽃발생부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에 송수신하고 상기 위치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상기 불꽃감지기의 위치 및 파형에 따른 오작동 여부를 송수신받는 제 1통신부와, 상기 제 1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판단하여 생성된 판단값을 상기 제 1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1판단부로 이루어진 서버;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통신부에서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받는 제 5통신부; 송수신받은 설정값과 판단값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 목록을 설정하는 제 2설정부; 상기 제 2설정부에 입력된 데이터 목록에 맞게 상기 판단값을 입력하는 제 2입력부; 상기 제 2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시험성적표 출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통신부에서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받는 제 6통신부; 화재안전기준,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입력하는 제 3입력부; 상기 제 3입력부에 입력된 화재안전기준 및 설치장소를 저장하는 제 2저장부; 상기 제 2저장부에 저장된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에 판단값과 화재안전기준을 분석하여 설치장소의 화재감지영역을 판단하는 제 2판단부;로 이루어진 감지영역 확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를 통해 상/하 이동하고 상부에 결합부가 형성된 제 1브라켓; 상기 결합부에 좌우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기어가 형성되고 양측이 상부로 돌출되어 고정홈이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제 2브라켓; 상기 고정홈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가 형성된 회전축(52)이 형성된 제 3브라켓; 상기 제 3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불꽃감지기 및 상기 위치측정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제 1기어와 상기 제 2기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3기어가 형성된 동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기어는 측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공간부보다 작은크기로 제 4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과 상기 제 4기어를 관통해 상기 제 3기어에 결합하여 상기 제 3기어를 수동으로 회전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제 4기어ㅍ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5기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3기어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5기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장홈과 타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 2장홈이 형성된 제 1손잡이와, 상기 제 5기어에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장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및 회전에 따라 제 5기어를 공간부 및 상기 제 4기어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에 결합된 상기 불꽃감지기는 상기 제 1브라켓, 상기 제 2브라켓 및 상기 제 3브라켓을 통해 상하/좌우 회전하며, 높이를 조절하여 화재감지 각도 및 거리에 따른 정상작동 여부 및 비화재보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테스트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불꽃발생부,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 불꽃감지부 및 위치측정부를 연동시켜 거리, 각도, 높이의 위치를 판단하는 준비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발광시간, 종류, 횟수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제 1설정단계; 제 1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성능을 감지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1판단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를 전체 작동시킨 후 순차적으로 파형을 점멸할 수 있도록 종류, 횟수 및 ON/OFF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제 2설정단계; 상기 제 2설정단계(S40)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성능을 검사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2판단단계; 상기 제 1설정단계와 상기 제 2설정단계의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측정각도, 측정거리 및 측정높이에 따른 위치에서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3판단단계; 상기 제 1판단단계, 제 2판단단계 및 제 3판단단계의 오작동 여부를 통해 결과값을 분석하는 분석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따르면, 불꽃감지기에 불꽃과 동일한 파형을 가지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을 조사하여 불꽃감지기의 정상작동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시 발생하는 파장을 제외한 유사한 파장을 조사하여 비화재보 발생을 검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거리, 각도 높이의 위치에 따른 파형을 조사하여 불꽃감지기의 측정 점위에서 정상작동 및 비화재보 발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불꽃감지기를 이용한 화재의 측정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화재보에 해당하는 파형과 불꽃과 유사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형을 함께조사하여 화재감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성적표 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영역 확인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회전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으로 회전상태를 조작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의 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성적표 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영역 확인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회전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으로 회전상태를 조작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성능과 비화재보에 의한 오작동을 검사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의 작동 및 비화재보 발생을 검사할 수 있도록 불꽃발생부(100), 비화제보 유발광발생부(200), 위치측정부(300), 서버(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불꽃발생부(100)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장과 빛을 발생한다.
따라서 자외선램프(110), 가시광선램프(120), 적외선램프(130)를 통해 각각의 파장을 조사하며, 불꽃에서 발사되는 자외선파장특성 185~260mm, 적외선 파장특성 4.3㎛±0.2㎛의 파장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불꽃발생부(100)는 상기 자외선램프(110), 상기 가시광선램프(120), 상기 적외선램프(130)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제어부(150)는 제 2통신부(140)를 통해 작동 및 설정을 유/무선으로 송수신받아 제어한다.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는 화재를 제외한 불꽃과 유사한 파장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는 백열램프(211), 크세논램프(212), 형광램프(213), 할로겐램프(214)에 의한 유발광을 통해 파형을 발생하는 제 1유발광발생부(210)와 아크용접(221), 전기용접(222)을 통해 발생하는 불꽃에 의해 파형을 발생시키는 제 2유발광발생부(2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 1유발광발생부(210)는 불꽃과 유사한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유발광발생부(220)는 아크용접(221), 전기용접(222) 등과 같이 불꽃 및 스파크가 발생하는 작업에서 발생하는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는 제 1유발광발생부(210) 및 제 2유발광발생부(220)를 제어하는 제 3제어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제 3제어부(240)는 제 3통신부(230)를 통해 작동 및 설정을 유/무선으로 송수신받아 제어한다.
상기 위치측정부(300)는 상기 불꽃감지기(10)에 탈부착 되며,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거리, 각도, 높이에 따른 위치를 측정한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거리계, 각도계 등으로 이루어진 측정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31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320)와, 상기 산출부(320)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송수하는 제 4통신부(3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설정과 작동을 입력하는 제 1입력부(410)와 상기 제 1입력부(410)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설정하는 제 1설정부(420)와, 상기 제 1설정부(420)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제 1저장부(430)와,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된 설정값을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에 송수신하고 상기 위치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상기 불꽃감지기(10)의 위치 및 파형에 따른 오작동 여부를 송수신받는 제 1통신부(450)와, 상기 제 1통신부(45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판단하여 생성된 판단값을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하는 제 1판단부(4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서버(400)는 설정과 작동을 제어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분석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작동 및 설정을 입력하는 제 1입력부(410)와, 상기 제 1입력부(410)에 의해 조작된 데이터를 설정하는 제 1설정부(420)와, 상기 제 1설정부(420)에 설정된 내용을 저장하는 제 1저장부(430),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된 내용을 상기 제 2통신부(140) 및 상기 제 3통신부(230)에 송수신하는 제 1통신부(4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버(400)는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측정된 판단값을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측정부(300)의 정보를 상기 제 4통신부(330)를 통해 송수신 받으며, 상기 불꽃감지기(1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는 상기 제 1통신부(450), 상기 제 1통신부(450)를 통해 송수신받은 측정값을 판단하여 생성된 판단값을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하는 제 1판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입력부(410), 제 1설정부(420), 제 1저장부(430), 제 1판단부(440) 및 제 1통신부(45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4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제어부(460)를 통해 제어되어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제 1입력부(41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설정 및 조작할 수 있도록 설정값을 입력하면, 입력되어 설정값을 상기 제 1설정부(420)를 통해 판단하여 제 1저장부(430)에 입력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통신부(450)를 통해 송수신되어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통신부(450)에 의해 설정값을 송수신받은 상기 불꽃발생부(100)는 상기 제 2제어부(150)에 의해 자외선램프(110), 가시광선램프(120), 적외선램프(130)를 설정값에 따라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 1통신부(450)에 의해 설정값을 송수신받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는 상기 제 3제어부(240)에 의해 상기 제 1유발광발생부(210)와 상기 제 2유발광발생부(220)를 설정값에 따라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측정부(300)는 설치된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거리, 각도, 높이를 상기 측정부(310)에 의해 측정하여 상기 산출부(320)를 통해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제 4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서버(400)에 송수신한다.
이렇게 상기 서버(400)는 입력된 측정값을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100)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를 작동시키며, 상기 위치측정부(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송수신받으며, 상기 제 1판단부(440)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작동 및 오작동을 판단하여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하며, 내용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불꽃발생부(100),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 위치측정부(300), 서버(4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불꽃감지기(10)는 상기 불꽃발생부(100)를 통해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를 통해 오작동 여부 및 비화재보 작동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측정부(300)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100)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위치에 따른 측정값을 통해 화재의 감지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작동 및 비화재보 작동을 검사하여 이를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시험성적표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시험성적표 출력부가 더 포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험성적표 출력부(500)는 제 5통신부(540), 제 2설정부(510), 제 2입력부(520), 출력부(5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서버(400)에는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제 1통신부(450)를 통해 송수신한다.
상기 제 5통신부(540)는 상기 제 1통신부(450)에서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 받는다,
따라서 상기 서버(400)에 입력된 상기 불꽃발생부(100)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에 입력되는 설정값과 이를 통해 검출된 판단값을 송수신 받는다.
아울러 판단값은 정상작동, 비화재보작동 및 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설정부(510)는 상기 제 5통신부(540)에 의해 송수신받은 설정값과 판단값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 목록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 2설정부(510)는 상기 서버(400)를 통해 전송받은 설정값과 판단값에 의해 산출되는 목록에서 필요한 목록을 선택하고 불필요한 목록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2입력부(520)는 상기 제 2설정부(510)에 입력된 데이터 목록에 맞게 상기 판단값 및 정보를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2입력부(520)는 상기 서버(400)에서 전송받은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목록에 맞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출력부(530)는 상기 제 2입력부(520)에 입력된 목록에 맞춰 입력된 설정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530)는 사용자의 목록에 맞춰 출력하여 시험성적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동에 따른 검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400)에 의해 판단된 판단값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용이하게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감지기를 통해 화제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영역 확인부(60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영역 확인부(600)는 제 6통신부(640), 제 3입력부(610), 제 2저장부(620), 인터페이스부(630) 및 제 2판단부(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6통신부(640)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 받는다.
따라서 상기 서버(400)에 입력된 상기 불꽃발생부(100)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에 입력되는 설정값과 이를 통해 검출된 판단값을 통해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판단값에는 상기 불꽃감지기(10)의 정상작동에 따른 위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입력부(610)는 화재안전기준,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입력한다.
여기서 화재안전기준은 국가에서 지정한 화재안전기준(NFSC)에 따르며, 설치장소는 상기 불꽃감지기(10)의 설치장소의 면적, 높이 등의 규격을 입력하고 설치 위치는 상기 설치장소 내에 위치하여 높이 및 위치에 따른 화재감지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저장부(620)는 상기 제 3입력부(610)에 입력된 화재안전기준,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저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30)는 상기 제 2입력부(520)에 저장된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한다.
따라서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에 따른 데이터를 구축하여 입력값에 의한 화재감지 범위를 측정한다.
상기 제 2판단부(6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630)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에 판단값과 화재안전기준을 분석하여 설치장소의 화재감지영역을 판단한다.
이에 따라 화재감지영역을 확인하여 상기 불꽃감지기(10)를 통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예상지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꽃감지기(10)를 회전, 이동시켜 각도 및 거리에 따른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꽃감지기(10)를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 제 1브라켓, 제 2브라켓, 제 3브라켓, 고정부 및 동력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0)는 상기 서버(400)를 수용한다.
상기 제 1브라켓은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31)를 통해 상/하 이동하고 상부에는 결합부(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몸체(20)의 내부에서 상부에 결합된 상기 제 1브라켓(30)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브라켓(40)은 상기 결합부(32)에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기어(41)가 형성되고 양측이 상부로 돌출되어 고정홈(42a)이 형성된 돌출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브라켓(50)은 상기 고정홈(42a)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51)가 형성된 회전축(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제 3브라켓(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불꽃감지기(10) 및 상기 위치측정부(300)가 고정된다.
상기 동력부(70)는 상기 제 1기어(41)와 상기 제 2기어(51)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3기어(71)가 형성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결합된 제 1브라켓(30), 제 2브라켓(40), 제 3브라켓(50)은 상기 실린더(31)와 상기 동력부(70)에 의해 작동하여 상하이동, 좌우회전, 상하회전하며 상기 서버(400)를 통해 상기 실린더(31)와 상기 동력부(7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서버(400)에 의해 설정된 높이 및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불꽃감지기(10)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꽃감지기(1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불꽃발생부(100)와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불꽃감지기(10)의 각도 및 거리에 따른 작동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80)와 제 5기어(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기어(71)는 측면에는 공간부(72)이 형성되고 상기 제 공간부(72)의 내주면에는 상기 공간부(72) 보다 작은 크기로 제 4기어(73)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80)는 상기 공간부(72)과 상기 제 4기어(73)를 관통해 상기 제 3기어(71)에 결합하여 상기 제 3기어(71)를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 5기어(90)는 상기 손잡이부(8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제 4기어(73)로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80)는 상기 제 3기어(71)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5기어(9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장홈(81a)과 타측에는 걸림홈(81c)이 형성된 제 2장홈(81b)이 형성된 제 1손잡이(81)와, 상기 제 5기어(90)에 와이어(91)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장홈(81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및 회전에 따라 제 5기어(90)를 상기 공간부(72) 및 상기 제 4기어(73)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손잡이(8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3기어(71)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변경이 가능한다.
아울러 상기 제 3기어(71)에 의해 회전하는 제 1기어(41) 및 제 2기어(51)에는 회전각도를 표시한 수 있는 눈금과, 상기 제 1기어(41) 및 상기 제 2기어(51)가 결합된 상기 제 1브라켓(30) 및 상기 제 2브라켓(40)의 측면에는 상기 눈금에 의해 회전각도 확인할 수 있도록 각도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동력부(7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 상기 불꽃감지기(10)를 수동으로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기어(90)는 상기 손잡이부(80)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72)에 위치하여 상기 동력부(70)에 의해 상기 제 1기어(41)와 상기 제 2기어(51)가 상기 서버(40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손잡이(82)를 당기면 상기 제 5기어(90)는 상기 와의어(91)에 의해 상기 제 1손잡이부(81)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제 4기어(73)에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손잡이(82)를 상부로 회전시켜 고정한 후 상기 제 2손잡이(82)를 회전시켜 상기 제 3기어(71)를 수동으로 회전하여 제 1기어(41) 및 제 2기어(51)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의 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테스트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상작동과 비화재보에 따른 작동을 판단하기 위해 준비단계(S10), 제 1설정단계(S20), 제 1판단단계(S30), 제 2설정단계(S40), 제 2판단단계(S50), 제 3판단단계(S60) 및 분석단계(S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서버에 불꽃발생부,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 불꽃감지부 및 위치측정부를 연동시켜 거리, 각도, 높이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불꽃감지기는 설치 전/후에 상관없이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를 통해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설정단계(S20)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발광시간, 종류, 횟수의 설정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불꽃발생부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파형을 순차적으로 조사하여 상기 불꽃감지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제 1유발광발생부와 제 2유발광발생부에서 순차적으로 파형을 조사하여 비화재보작동을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 제 1판단단계(S30)는 상기 제 1설정단계(S20)에서 설정된 설정값을 유/무선으로 송수신받아 상기 불꽃감지기에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파형을 조사하여 상기 불꽃감지기의 작동 여부 및 비화재보 작동을 판단하여 상기 서버로 판단값을 송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불꽃감지기에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을 통해 정상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를 통해 유사한 파형의 비화재보 작동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제 2설정단계(40)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를 전체 작동시킨 후 순차적으로 파형을 점멸할 수 있도록 종류, 횟수 및 ON/OFF의 설정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불꽃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파형과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파형을 동시에 조사하여 상기 불꽃감지기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를 순차적으로 on/off 시켜 상기 불꽃감지기가 인식하는 파형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판단단계(S50)는 상기 제 2설정단계(S40)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성능을 검사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불꽃감지기에 상기 불꽃발생부를 통해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과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에 의해 비화재보 파형을 동시에 조사하여 작동 여부를 검사한다.
또한. 불꽃발생부의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과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파형을 순차적으로 on/off 시켜 상기 불꽃발생부가 검출파형과 비검출파형을 분류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판단단계(S60)는 상기 제 1설정단계(S20)와 상기 제 2설정단계(S40)의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측정각도, 측정거리 및 측정높이에 따른 위치에서 오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위치에 따라 조사하는 파형을 상기 불꽃감지기가 감지하는 범위와, 거리를 검사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on/off 되는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유사한 파형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분석단계(S70)는 상기 제 1판단단계(S30), 제 2판단단계(S50) 및 제 3판단단계(S60)의 오작동 여부를 통해 결과값을 분석한다.
따라서 상기 제 1판단단계(S30), 제 2판단단계(S50) 및 제 3판단단계(S60)에서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에 의해 조사하는 파형을 통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다양하게 검사하여 정상작동 여부와 비화재보 작동 여부를 검사하고, 불꽃감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불꽃감지기의 정상작동 여부와 비화재보에 의한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판단 정상작동 여부와 비화재보에 따른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꽃감지기의 설치 전/후에 따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인위적인 불꽃을 사용하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하며, 오차범위를 줄여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불꽃감지기 20: 몸체
30: 제 1브라켓 31: 실린더
32: 결합부 40: 제 2브라켓
41: 제 1기어 42: 돌출부
42a: 고정홈 50: 제 3브라켓
51: 제 2기어 52: 회전축
60: 고정부 70: 동력부
71: 제 3기어 72: 공간부
73: 제 4기어 80: 손잡이부
81: 제 1손잡이 81a: 제 1장홈
81b: 제 2장홈 81c: 걸림홈
82: 제 2손잡이 90: 제 5기어
91: 와이어
100: 불꽃발생부 110: 자외선램프
120: 가시광선램프 130: 적외선램프
140: 제 2통신부 150: 제 2제어부
200: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 210: 제 1유발광발생부
211: 백열램프 212: 크세논램프
213: 형광램프 214: 할로겐램프
220: 제 2유발광발생부 221: 아크용접
222: 전기용접 230: 제 3통신부
240 제 3제어부 300: 위치측정부
310: 측정부 320: 산출부
330: 제 4통신부 400: 서버
410: 제 1입력부 420: 제 1설정부
430: 제 1저장부 440: 제 1판단부
450: 제 1통신부 460: 제 1제어부
500: 시험성적표 출력부 510: 제 2설정부
520: 제 2입력부 530: 출력부
540: 제 5통신부 600: 감지영역 확인부
610: 제 3입력부 620: 제 2저장부
630: 제 2판단부 630: 인터페이스부
640: 제 6통신부

Claims (7)

  1. 화재를 감지하는 불꽃감지기(10)의 오작동을 검사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있어서,
    화재시 발생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파장과 빛을 발생하는 불꽃발생부(100);
    불꽃을 제외하며 불꽃과 유사한 파장을 발생하는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
    상기 불꽃감지기(10)에 탈부착 되며,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거리, 각도, 높이에 따른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300);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의 설정과 작동을 입력하는 제 1입력부(410)와 상기 제 1입력부(410)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설정하는 제 1설정부(420)와, 상기 제 1설정부(420)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제 1저장부(430)와,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된 설정값을 상기 불꽃발생부(100) 및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200)에 송수신하고 상기 위치측정부(300)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 받아 상기 불꽃감지기(10)의 위치 및 파형에 따른 오작동 여부를 송수신받는 제 1통신부(450)와, 상기 제 1통신부(45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판단하여 생성된 판단값을 상기 제 1저장부(430)에 저장하는 제 1판단부(440)로 이루어진 서버(400);를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부(450)에서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받는 제 5통신부(540);
    송수신받은 설정값과 판단값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 목록을 설정하는 제 2설정부(510);
    상기 제 2설정부(510)에 입력된 데이터 목록에 맞게 상기 판단값을 입력하는 제 2입력부;
    상기 제 2입력부(520)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부(530);로 이루어진 시험성적표 출력부(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신부(450)에서 설정값과 판단값을 송수신받는 제 6통신부(640);
    화재안전기준,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입력하는 제 3입력부(610);
    상기 제 3입력부(610)에 입력된 화재안전기준 및 설치장소를 저장하는 제 2저장부(620);
    상기 제 2저장부(620)에 저장된 설치장소 및 설치위치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는 인터페이스부(630);
    상기 인터페이스부(630)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에 판단값과 화재안전기준을 분석하여 설치장소의 화재감지영역을 판단하는 제 2판단부(640);로 이루어진 감지영역 확인부(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400)를 수용하는 몸체(20);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31)를 통해 상/하 이동하고 상부에 결합부(32)가 형성된 제 1브라켓(30);
    상기 결합부(32)에 좌우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기어(41)가 형성되고 양측이 상부로 돌출되어 고정홈(42a)이 형성된 돌출부(42)로 이루어진 제 2브라켓(40);
    상기 고정홈(42a)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51)가 형성된 회전축(52)이 형성된 제 3브라켓(50);
    상기 제 3브라켓(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불꽃감지기(10) 및 상기 위치측정부(300)가 고정되는 고정부(60);
    상기 제 1기어(41)와 상기 제 2기어(51)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3기어(71)가 형성된 동력부(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기어(71)는 측면에는 공간부(7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72)의 내주면에는 상기 공간부(72)보다 작은크기로 제 4기어(73)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72)와 상기 제 4기어(73)를 관통해 상기 제 3기어(71)에 결합하여 상기 제 3기어(71)를 수동으로 회전하는 손잡이부(80)와,
    상기 손잡이부(8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제 4기어(73)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5기어(90)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80)는 상기 제 3기어(71)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5기어(9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장홈(81a)과 타측에는 걸림홈(81c)이 형성된 제 2장홈(81b)이 형성된 제 1손잡이(81)와, 상기 제 5기어(90)에 와이어(91)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장홈(81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및 회전에 따라 제 5기어(90)를 상기 공간부(72) 및 상기 제 4기어(73)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손잡이(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에 결합된 상기 불꽃감지기(10)는 상기 제 1브라켓(30), 상기 제 2브라켓(40) 및 상기 제 3브라켓(50)을 통해 상하/좌우 회전하며, 높이를 조절하여 화재감지 각도 및 거리에 따른 정상작동 여부 및 비화재보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7.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테스트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불꽃발생부,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 불꽃감지부 및 위치측정부를 연동시켜 거리, 각도, 높이의 위치를 판단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의 발광시간, 종류, 횟수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제 1설정단계(S20);
    제 1설정단계(S20)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성능을 감지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1판단단계(S30);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불꽃발생부와 상기 비화재보 유발광발생부를 전체 작동시킨 후 순차적으로 파형을 점멸할 수 있도록 종류, 횟수 및 ON/OFF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제 2설정단계(S40);
    상기 제 2설정단계(S40)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성능을 테스트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2판단단계(S50);
    상기 제 1설정단계(S20)와 상기 제 2설정단계(S40)의 설정값에 의해 상기 불꽃감지기의 측정각도, 측정거리 및 측정높이에 따른 위치에서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3판단단계(S60);
    상기 제 1판단단계(S30), 제 2판단단계(S50) 및 제 3판단단계(S60)의 오작동 여부를 통해 결과값을 분석하는 분석단계(S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방법.
KR1020150111875A 2015-08-07 2015-08-07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74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75A KR101742122B1 (ko) 2015-08-07 2015-08-07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75A KR101742122B1 (ko) 2015-08-07 2015-08-07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45A KR20170017645A (ko) 2017-02-15
KR101742122B1 true KR101742122B1 (ko) 2017-05-31

Family

ID=5811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875A KR101742122B1 (ko) 2015-08-07 2015-08-07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5A1 (ko) * 2017-08-17 2019-02-21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220001236U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화재감지기 검사용 검사장치
KR20240000709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KR20240000710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490A (ja) 2003-10-16 2005-05-12 Nohmi Bosai Ltd 自動試験機能付炎感知器
JP4703586B2 (ja) 2007-02-16 2011-06-15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感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1490A (ja) 2003-10-16 2005-05-12 Nohmi Bosai Ltd 自動試験機能付炎感知器
JP4703586B2 (ja) 2007-02-16 2011-06-15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感知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5A1 (ko) * 2017-08-17 2019-02-21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190019469A (ko) * 2017-08-17 2019-02-27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1987675B1 (ko) * 2017-08-17 2019-09-30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220001236U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화재감지기 검사용 검사장치
KR20240000709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KR20240000710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45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122B1 (ko) 불꽃감지기의 비화재보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08295407B (zh) 机器人电缆管廊现场火灾预警及灭火方法、装置、系统
US7956329B2 (en) Flame detector and a method
KR20130143545A (ko) 허위 경보 거절을 위한 광학적으로 예비적인 화재 검출장치
EP3339842A1 (en) Raman spectrum-based object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5172750A1 (zh) 矿井隐蔽火灾危险电磁辐射探测装置及方法
JP5347896B2 (ja) 非破壊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EP3168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bnormal operation of a rotor
CN104114992A (zh) 用于控制物体质量的系统和方法
CN111664935B (zh) 一种固定安装火焰探测器的原位校准方法及光源
KR20120058552A (ko) 노에서의 개별 버너 모니터링 및 제어
CN106097667A (zh) 可燃气体泄漏检测方法、设备及燃气家电
WO2014128161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rührungslosen detektion eines nicht infrarotaktiven zielgases
KR102080070B1 (ko) 불꽃감지기용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JP2022542652A (ja) 引火点決定または燃焼点決定の際の火炎監視
WO2013135611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eines zielgases
CN105823754A (zh) 一种气体检测的方法及设备
KR102032549B1 (ko) 융합 지능형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70549B1 (ko) 소방용 광학식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CN210221813U (zh) 一种红外气体探测器
KR20180068094A (ko) 화재인지 손잡이
JP5881583B2 (ja) 温度検出方法、温度検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06485B1 (ko) 백색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백색도 측정 방법
US10761017B2 (en) Gas detection system, gas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JP4591064B2 (ja) 血卵の非破壊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