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98B1 -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098B1
KR101742098B1 KR1020150099366A KR20150099366A KR101742098B1 KR 101742098 B1 KR101742098 B1 KR 101742098B1 KR 1020150099366 A KR1020150099366 A KR 1020150099366A KR 20150099366 A KR20150099366 A KR 20150099366A KR 101742098 B1 KR101742098 B1 KR 10174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inner space
hand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081A (ko
Inventor
이해석
김일형
공경호
방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5009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5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agnifying glass or the object vie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되고, 삽입 완료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삽입 완료시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에 삽입 완료 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이 손잡이에 배터리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은 안구와 관련된 질환으로 인하여 시력을 잃거나, 광각을 상실하여 명암을 구별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키나, 명암을 구별할 수 있거나 눈 앞에 있는 사물의 움직임을 아는 정도의 심한 약시를 가진 사람도 시각장애인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람은, 수정체, 홍채, 망막, 시신경계의 약화의 원인으로 일반적인 안경이나 렌즈로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게 시력이 낮은 사람이다.
영상 확대 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나 노약자들의 시력을 보완해 주는 장치로써, 책의 작은 글씨나 약병, 수표나 화폐 등과 같이 낮은 시력으로는 식별하기 어려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이러한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가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크게 받침대형 확대기와 손잡이형 확대기로 구분이 된다.
받침대형 확대기는 손잡이가 없어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고자 할 때 본체를 손으로 감싸야 하므로, 손이 불편한 사람은 본체를 들고 사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형 확대기는 대상을 축소해서 보고자 할 경우 본체를 들고 봐야 하며, 확대해서 보고자 할 경우는 원 영상을 디지털 줌 (Digital Zoom) 을 통해 단순 확대하여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확대기의 조명 사용 시 피사체와 거리가 멀어질 경우, 조명의 영향으로 인해 화질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손잡이형 확대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는 손잡이에 장착된 배터리를 갈아끼워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이때, 시력이 낮은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를 손잡이와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대칭적인 단면을 가지므로 다른 배터리를 갈아 끼우는 과정에서 배터리 삽입 방향이 잘못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삽입 후 배터리 커버를 다시 장착시킬 때,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를 찾기 어렵거나 배터리 커버와 손잡이 부분이 결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쉽게 배터리를 갈아 끼울 수 있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력이 낮은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들도 손잡이 부분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되고, 삽입 완료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삽입 완료시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에 삽입 완료 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손잡이부에 걸리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터리의 결합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의 일 측에서 돌출되고, 단부에 걸림턱이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커버와 결합 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부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으로 삽입 완료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 또는 걸림턱에 걸리고,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커버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2 개소 구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 또는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가능한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배터리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향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에 삽입 완료 시 상기 접속 단자 및 상기 배터리가 기설정된 방식으로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제한하게 형성되는 배향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단면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의 단면은 상기 배터리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단부-개구부이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단부-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측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측부-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 완료 시 상기 측부-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측부-개구부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와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커버 어셈블리에 의해,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를 손잡이부에 밀어 넣음으로써 배터리가 장착되는 동시에 커버에 의해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배터리와 커버를 손잡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향돌기와 배향홈 및 단면이 비대칭인 배터리와 이에 대응하는 내측 공간의 단면은, 배터리가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한함으로써, 저시력자들이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도 1b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손잡이부의 일부구성을 제거한 손잡이부와 배터리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b의 손잡이부에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를 탈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10) 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고, 도 2는 도 1b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10) 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10) 는 본체 (100), 손잡이부 (200) 및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포함한다.
본체 (100) 는 대략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120) 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120) 에 표시될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110) 가 배치된다. 카메라 (110) 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120) 에 크게 확대되어 표시되고, 저시력자들은 디스플레이 (120) 를 통해 촬영된 영상물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 의 전면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키버튼들(105) 이 구비될 수 있다. 키버튼들(105) 은 저시력자들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가능한한 크게 구비될 수 있고, 표면에 음각이나 양각이 형성되어 손가락 끝의 감촉으로 식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100) 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120) 가 구비되고, 후면에 카메라 (110) 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 및 손잡이부 (200) 를 사용하는 상태 등을 고려해 본체 (100) 의 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전면에 카메라 (110) 가 배치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 (200) 는 일단이 본체 (100) 의 후면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 (200) 를 본체 (100) 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본체 (100) 를 바라보기 편한 각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부 (200) 가 회전되는 각도는 본체 (100) 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140) 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 (200) 는 제1 바디(200a) 와 제2 바디(200b) 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 (200) 의 타단에는 개구부 (227) 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배터리 (310) 를 수용할 수 있는 내측 공간 (220) 이 형성된다. 손잡이부 (200) 는 본체 (100) 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결합부분(201) 과 회전결합부분(201) 에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 할 수 있는 파지부분(20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 (227) 를 통해서 후술할 배터리 (310) 가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내측 공간 (220) 의 일면에는 배터리 (310)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 (221) 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단자 (221) 가 개구부 (227) 를 바라보는 일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접속 단자 (221) 는 내측 공간 (220) 을 형성하는 일면을 제외한 다른 네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접속 단자 (221) 는 배터리 (310)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10) 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310) 와 개구부 (227) 를 덮는 커버 (321) 를 포함한다.
배터리 (310) 는 개구부 (227) 를 통하여 내측 공간 (220) 으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배터리 (310) 의 단면은 내측 공간 (220) 의 단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또한, 배터리 (310) 를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하여, 배터리 (310) 는 삽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하는 과정에서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배터리 (310) 에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310) 의 단부에는 접속 단자 (221) 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배터리 단자 (도시되지 않음) 가 위치한다. 배터리 단자는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에 삽입 완료 시, 접속 단자 (22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버 (321) 는 배터리 (310) 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배터리 (310) 의 타단은 개구부 (227) 를 통해서 내측 공간 (220) 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321) 와 배터리 (310) 의 결합을 볼트(315b) 와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프레임(315b) 을 이용하여 볼팅 방식으로 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커버 (321) 와 배터리 (310) 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 용접, 압접 및 사출 등 그 방법에 제한은 없다.
커버 (321) 는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에 삽입 완료시, 개구부 (227) 를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개구부 (227) 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 (321) 의 단면은 개구부 (227)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부 (200) 는 사용자가 주로 손으로 잡는 부분이며, 사용자에게 닿을 수 있으므로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에 삽입 완료시, 손잡이부 (200) 의 타단과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손잡이부의 일부구성 (200b) 을 제거한 손잡이부 (200) 와 배터리 (300) 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 (321) 는 손잡이부 (200) 에 걸림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결합부 (322) 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322) 는 커버 (321) 에 배터리 (310) 가 결합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커버 (321) 를 형성하는 네 측 중 어느 일 이상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단부에는 걸림턱 (323a) 이 형성되는 결합돌기 (323) 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 (200) 에는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에 삽입 완료 시, 결합돌기 (323) 의 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돌기 (323) 가 걸리도록 오목부 (223) 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결합돌기 (323) 및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 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으로 삽입 완료 시, 결합돌기 (323) 는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 에 걸려서 손잡이부 (200) 와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가 손잡이부 (200) 에 걸림된 상태에서 결합돌기 (323) 가 가압되는 경우, 걸림턱 (323a)이 오목부 (223)로부터 이탈되어 손잡이부 (200) 와 분리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배터리 (310) 를 손잡이부 (200) 에 장착함과 동시에 커버 (321) 가 배터리 (310) 가 삽입되는 개구부 (227) 를 막음으로써, 커버 (321) 를 분리하고 배터리 (310) 를 교체한 후에 커버 (321) 를 다시 장착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 (323) 의 단부에 걸림턱 (323a) 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결합돌기 (323) 의 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손잡이부 (200) 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
결합돌기 (323) 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 (321) 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 되게 2 개소 구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결합돌기 (323) 를 가압하여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손잡이부 (200) 로부터 분리하게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커버 (321) 에는 외측으로 요철이 형성되고, 결합돌기 (323) 를 가압 가능한 누름부 (324) 가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 (324) 는 사용자가 누름부 (324) 의 위치를 손가락 끝에 촉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외측으로 요철이 형성된다. 누름부 (324) 를 가압하게 되면, 결합돌기 (323) 가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부 (324) 에 연결된 결합돌기 (323) 가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 또는 걸림턱)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누름부 (324) 를 가압한 상태에서 커버 (321) 를 손잡이부 (200)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가 내측 공간 (220) 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커버 (321) 는 배향돌기 (325) 를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부 (200) 는 배향돌기 (325) 가 끼움되는 배향홈 (225) 을 포함할 수 있다.
배향돌기 (325) 는 커버 (321) 에서 커버 (321) 에 결합된 배터리 (310) 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향돌기 (325) 가 결합돌기 (323) 와 다른 일 측에 형성되고, 하나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배향돌기 (325) 는 결합돌기(323) 와 같은 일 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배향홈 (225) 은 커버 (321) 가 손잡이부 (200) 와 결합될 때, 손잡이부 (200) 의 배향돌기 (325) 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배향돌기 (325) 가 돌출되는 형상이므로 배향홈 (225) 은 배향돌기 (325) 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리세스된다. 한편, 도시된 것과 달리 커버 (321) 에 배향홈이 형성되고, 손잡이부 (200) 에 배향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배향돌기 (325) 가 배향홈 (225) 에 끼워질 수 없는 방향으로 배터리 (300) 가 손잡이부 (200) 에 삽입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b와는 반대 방향으로 배터리 (300) 가 삽입되는 경우), 손잡이부 (200) 에 배향돌기 (325) 가 걸려 커버 (321) 는 손잡이부 (200) 와 결합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향돌기 (325) 와 배향홈 (225) 은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 (220) 에 삽입 완료 시 접속 단자 (221) 및 배터리 (310) 가 기설정된 방식으로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터리 (310) 의 삽입 방향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접속 단자 (221) 는 배터리 (310) 가 어느 일 이상의 배치로 삽입되는 경우(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배치), 배터리 (310) 에 형성된 배터리 단자 (도시되지 않음) 와 전기적으로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손잡이부 (200) 에 장착하는 경우, 배향돌기 (325) 가 배향홈 (225) 에 삽입될 때에만, 커버 (321) 가 손잡이부 (200) 에 결합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b의 손잡이부 (200) 에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탈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의 누름부 (324) 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321) 의 결합돌기 (323) 와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또는 걸림턱) 는 분리된다. 한편, 누름부 (324) 의 외측으로 형성된 요철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주 사용자인 저시력자가 가압해야 하는 곳이 어디인지를 손가락의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누름부 (324) 를 가압한 상태에서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손잡이부 (200) 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는 손잡이부 (200) 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때에는 결합돌기 (323) 와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또는 걸림턱) 이 이미 분리된 상태이므로, 누름부 (324) 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아도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손잡이부 (200) 로부터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배터리 (310) 의 소모가 많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10) 에서, 배터리 (310) 를 교환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 (324) 를 눌러서 쉽게 배터리 (310) 를 손잡이부 (200) 로부터 탈거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도 4c에서 도 4b 그리고 도 4a의 순서로 손잡이부 (200) 에 삽입할 수 있다.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손잡이부 (200) 에 장착하는 경우, 커버 (321) 를 손잡이부 (200) 측으로 가압하면 결합돌기 (323) 와 손잡이부 (200) 의 오목부 (223)(또는 걸림턱)이 결합하므로, 누름부 (324) 를 가압할 필요가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 (310') 의 단면은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오목한 대략적으로 사각형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310') 는 단면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손잡이부의 내측 공간은, 배터리 (310') 가 기설정된 방향(또는 배치)으로만 삽입 가능하도록, 그 단면이 배터리 (310') 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설정된 방향은 어느 일 방향(배치)이거나, 2 이상의 방향(배치)일 수 있다. 이러한 내측 공간의 단면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310') 가 내측 공간에 삽입 완료 시 접속 단자 및 배터리 (310') 가 기설정된 방식으로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터리 (310') 의 삽입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310') 의 단면이 비대칭적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배터리 (310') 와 커버가 결합한 형태로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 는 내측 공간으로 기설정된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 배터리 (310') 의 단면이 대칭적이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 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 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부 (2000) 는 제1바디 (2000a) 와 제2바디 (2000b)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부-개구부 (2270) 와 연결되고, 손잡이부 (2000) 에는 단부-개구부 (2270) 와 연결되고, 내측 공간 (2200) 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측부-개구부 (2280) 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측부-개구부 (2280) 는 제2바디 (2000b) 의 정면부 (2000b2) 의 길이가 제1바디 (2000a) 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2바디 (2000b) 의 제1측면 (2000b1) 과 제2측면 (2000b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3210) 는 손잡이부 (2000) 에 결합 완료 시, 측부-개구부 (2280) 를 덮을 수 있도록, 측부-개구부 (2280) 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연장면 (3210a) 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커버 어셈블리 (3000) 가 손잡이부 (2000) 에 결합 시, 커버연장면 (3210a) 이 측부-개구부 (2280) 를 덮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측부-개구부 (2280) 를 통해, 사용자는 배터리 (3100) 를 측부-개구부 (2280) 를 통해 내측 공간 (2200) 에 걸친 후 내측 공간 (2200) 으로 밀어 넣을 수 있어, 보다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개구부 (2280) 가 제2바디 (2000b) 의 정면부 (2000b2) 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측부-개구부 (2280) 는 필요에 따라 제2바디 (2000b) 의 제1측면 (2000b1) 및/또는 제2측면 (2000b2) 이 함께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되고, 삽입 완료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삽입 완료시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에 삽입 완료 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손잡이부에 걸림되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외측으로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 측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커버는 상기 누름부가 누름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터리의 결합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의 일 측에서 돌출되고, 단부에 걸림턱이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커버와 결합 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부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으로 삽입 완료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 또는 걸림턱에 걸리고,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누름조작 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 또는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배터리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향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내측 공간에 삽입 완료 시 상기 접속 단자 및 상기 배터리가 기설정된 방식으로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제한하게 형성되는 배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단면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공간의 단면은 상기 배터리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단부-개구부이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단부-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측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측부-개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 완료 시 상기 측부-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측부-개구부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20150099366A 2015-07-13 2015-07-13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74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66A KR101742098B1 (ko) 2015-07-13 2015-07-13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66A KR101742098B1 (ko) 2015-07-13 2015-07-13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081A KR20170008081A (ko) 2017-01-23
KR101742098B1 true KR101742098B1 (ko) 2017-05-31

Family

ID=5798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366A KR101742098B1 (ko) 2015-07-13 2015-07-13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0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4126A (ja) 2003-06-06 2004-12-24 Elmo Co Ltd 拡大読書器
JP2009158401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Tec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4126A (ja) 2003-06-06 2004-12-24 Elmo Co Ltd 拡大読書器
JP2009158401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Tec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081A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2702B2 (ja) 携帯端末機取付アダプタ
JP6259910B2 (ja) 移動式の前眼部及び後眼部検眼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レンズアダプタ
US9661889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40002792A1 (en) Housing for securing and optically aligning a camera to a scope, a method of attaching said housing, and a kit including said members
CN209826671U (zh) 自拍式眼底相机
KR101742098B1 (ko)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US2022000034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n otoscope
CN109639859A (zh) 双面屏盖板及其制造工艺、触控显示屏、终端设备
US9426342B1 (en) Handheld electronic magnifier having a multi-orientation handle
KR101413543B1 (ko)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20110131417A (ko) 탈부착 및 상ㆍ하 개폐가 가능한 보조 입체안경
CN106291987B (zh) 一种专门配合近视眼镜使用的拍照镜片组
EP3259636B1 (en) Articulated desktop magnifier
KR101167618B1 (ko)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WO2023162079A1 (ja) 口腔内撮影補助具
JP3029788U (ja) カメラ
US20040021086A1 (en) Image intensifying visual scanning device and method
KR20110111830A (ko) 안경형 마우스 시스템
WO2015129569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010553B2 (ja) スコープ型多用途電子めがね
KR101773402B1 (ko)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JP3188103U (ja) スマホ用のストラップ
KR20170001130U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가상 현실 헤드셋
KR200414083Y1 (ko) 필기구 부설용 돋보기
JPS59127024A (ja) フイルタ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