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08B1 -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 Google Patents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008B1
KR101742008B1 KR1020150187766A KR20150187766A KR101742008B1 KR 101742008 B1 KR101742008 B1 KR 101742008B1 KR 1020150187766 A KR1020150187766 A KR 1020150187766A KR 20150187766 A KR20150187766 A KR 20150187766A KR 101742008 B1 KR101742008 B1 KR 10174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haft
cylinder
air gap
ear ti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Priority to KR102015018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08B1/ko
Priority to CN201610052100.8A priority patent/CN10692189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이 개시된다. 이어 팁은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는 중공축, 중공축을 감싸도록 중공축의 제1 단부와 연결되어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제1 단부와 대척(opposite)하는 중공축의 제2 단부와 외피를 연결하여 중공축과 외피로 둘러싸인 에어 갭을 형성하는 연성부재(flexible member)를 포함한다. 에어 갭의 공기압에 의해 외력에 저항함으로써 이어 팁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피의 뒤집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Ear tip and ear pho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파로와 외피 사이에 에어 갭을 형성하는 연성부재를 구비하는 이어 팁 및 상기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에 관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음원을 청취하거나 고음질의 음원을 청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헤드폰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등장에 따라 외부에서 주위의 방해를 받지 않고 개인적으로 음악이나 강의 등을 청취할 기회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기능성의 헤드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활성화에 따라 휴대성이 우수한 인-이어 헤드폰(이어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이어폰은 음향을 출력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귓구멍 피부와 접촉하는 이어 팁으로 구성된다. 본체는 딱딱한 플라스틱(hard polymer)이나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며 이어 팁과 연결되는 단부에는 이어 팁과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홈과 걸림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어 팁은 본체의 홈 및 걸림턱과 결합하여 본체에서 출력된 음향을 귀속으로 전달하는 음파로를 구비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귓구멍을 덮고 외부와 귓구멍의 내부를 차단시키는 밀봉부재인 외피로 구성된다. 외피는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이어폰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와의 사이에 기밀성을 보장하여 외부 노이즈를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외피는 음파로의 축부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얇은 막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어폰을 분리할 때 외피가 뒤집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어폰을 보관할 때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장시간 눌리는 경우 외피의 전체 형상이 변형되어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는 경우 충분한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외피의 뒤집힘을 방지하고 전체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기밀성과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축부와 외피 사이의 이격공간을 연성부재로 충진하는 이어 팁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기밀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연성부재가 제한되어 있고 충진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외피와 음파로 사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 갭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대해 형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이어 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이어폰용 이어 팁에 의하면,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을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의 제1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척(opposite)하는 상기 중공축의 제2 단부와 상기 외피를 연결하여 상기 중공축과 상기 외피로 둘러싸인 에어 갭을 형성하는 연성부재(flexible member)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연성부재는 상기 제2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와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중공축의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 실린더의 측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원판(ring-shaped disk)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원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원판의 제1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1 표면과 대척하는 제2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부 실린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실린더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실린더는 상기 에어 갭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실린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는 상기 외피에 고정되어 상기 중공축 상부의 상기 이격공간을 한정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실린더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실린더는 상기 에어 갭의 내부에서 상기 중공축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는 상기 제1 실린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한정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리형 원판은 상기 에어 갭을 향하여 경사진 오목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리형 원판은 상기 제1 실린더에 우하향 하도록 고정되는 제1 조각원판 및 상기 제2 실린더에 좌하향 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조각원판과 연결되는 제2 조각원판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리형 원판은 상기 다수의 오목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접철형 원판(foldable disk)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중공축은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1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피는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 리세스를 구비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중공축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외피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에어 갭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압력 조절 수단은 상기 연성부재 및 상기 외피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사이 에어 갭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압 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연성부재는 10˚ 내지 70˚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외피는 5˚ 내지 25˚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축은 50˚ 내지 60˚의 궤조 경도를 갖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이어폰은 음향 발생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생성된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관을 구비하는 착탈식 덮개 및 상기 덮개에 부착되고,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을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의 제1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척(opposite)하는 상기 중공축의 제2 단부와 상기 외피를 연결하여 상기 중공축과 상기 외피로 둘러싸인 에어 갭을 형성하는 연성부재(flexible member)를 구비하는 이어 팁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연성부재는 상기 중공축의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 실린더, 상기 제1 고정 실린더의 측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와 분리하는 고리형 원판(ring-shaped disk) 및 상기 원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고정 실린더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음향관은 단부에 이어폰 리세스와 이어폰 돌출부를 구비하는 튜브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축은 단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와 면접촉하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 형상을 갖는 음파로의 상단 측부와 외피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환형 연성부재를 배치하여 이어 팁의 외부에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피가 뒤집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성부재는 충분한 탄성을 갖고 상기 음파로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력이 제거된 경우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 팁으로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피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어 팁을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4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5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어 팁을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0)은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C)를 제공하는 중공축(100), 상기 중공축(100)을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100)의 제1 단부(101)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100)과의 사이에 이격공간(S)을 형성하는 외피(200) 및 상기 제1 단부(101)와 대척(opposite)하는 상기 중공축(100)의 제2 단부(102)와 상기 외피(200)를 연결하여 상기 중공축(100)과 상기 외피(200)로 둘러싸인 에어 갭(G)을 형성하는 연성부재(flexible member, 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공축(100)은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선형 실린더 형상을 갖고 실린더의 내부공간은 외부와 연통되어 음향을 귀속으로 전달하는 음파로(C)를 제공한다. 상기 중공축(100)의 일단은 음향을 생성하는 이어폰(미도시)과 결합하고 타단은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귀속의 공간과 연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축(100)은 후술하는 외피(200)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속으로 삽입되는 제1 단부(101) 및 상기 이어폰과 연결되는 제2 단부(101)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중공축(100)의 제1 단부(101)로부터 제2 단부(102)로 진행하는 방향을 높이방향(h)으로 정의하고 상기 높이 방향(h)에 대하여 수직한 중공축(100)의 절단면을 수평면으로 정의한다. 중공축(100)의 반경 방향(r)과 높이 방향(h)으로 정의되는 좌표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어 팁(5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중공축(100)은 이어폰의 연결부를 상기 음파로(C)의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110), 연결부와 중공축(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20) 및 상기 가이드부(110) 및 상기 걸림턱(120)과 결합되고 음향을 사용자의 귀속으로 전달하는 몸체(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0), 걸림턱(120) 및 몸체(130)는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원추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의 연결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120)에 안착된다.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몸체(130)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돌출 실린더 형상으로 배치되어 이어폰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R)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0)으로 삽입된 이어폰의 연결부는 걸림턱(120)에 의해 걸려서 걸림턱(120)에 의한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중공축(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130)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제공되고 고음질의 음파가 충분히 반사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30)의 제1 단부(101)에는 외피(200)가 고정되고 제2 단부(102)에는 상기 이어폰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부(102)의 외측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제1 리세스(131)가 배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성부재(300)의 제1 고정부(3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131)는 몸체(130)의 두께보다는 작은 제1 깊이(d1)와 상기 제1 고정부(310)의 높이(h1)에 대응하는 제1 길이(l1)를 갖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중공축(1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외피(200)는 상기 몸체(130)의 제1 단부(101)와 연결되고 제2 단부(102)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중공축(100)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중공축(100)의 제1 단부(101)에서는 밀폐되고 제2 단부(102)에서는 개방되는 도가니 형상으로 상기 중공축(100)을 감싼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축(100)과 상기 외피(200) 사이에는 이격공간(S)이 제공된다. 상기 외피(200)는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피부와 접촉하므로 평균적인 귓구멍의 형상에 부합할 수 있는 외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중공축(100)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실리콘 고무로 형성하여 음파의 전달특성을 높이고 상기 외피(200)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는 실리콘 수지로 형성하여 이물감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피(200)는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피부와 접촉하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귓구멍 형상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보다 유연성이 요구되는 반면, 상기 도파로(C)는 이어 폰에서 발생된 음향을 전달하는 통로이므로 고주파의 음향이 도파로(C)의 표면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공축(100)은 일정한 경도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축(100)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물질로 구성하고 상기 외피(200)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물질로 구성하여 중공축(100)과 외피(200)의 특성과 기능을 개별적으로 최대화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이어 팁(500)을 통한 음향의 전달특성과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공축(100)은 약 50°내지 60°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며 상기 외피(200)는 약 5° 내지 25°의 궤조경도를 갖는 실리콘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중공축(100)과 외피(200)는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착용 안정감을 높이고 귀속 이물감을 낮추기 위해 상기 중공축(100)과 외피(200)를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축(100)은 상기 외피(200)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여 상기 중공축(100)은 원활한 음향의 반사를 보장하고 사용자의 귀속에서 피부와 상기 외피(200) 사이의 이물감은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공축(100)과 외피(200)는 약 25˚ 내지 약 40˚의 궤조경도를 갖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성부재(300)는 상기 제2 단부(10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0), 상기 제1 고정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격공간(S)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와 분리하는 분리부(320) 및 상기 분리부(3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부(310,330)와 연결되는 분리부(320)는 상기 반경방향(r)을 따라 연장하여 이격공간(S)의 일부를 공기로 충진되고 중공축(100), 외피(200) 및 분리부(320)로 한정되는 에어 갭(G)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외피(20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에어 갭(G)의 내부를 채우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여 이어 팁의 형상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부재(300)는 중공축(100) 및 외피(200)와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외피(200)가 뒤집어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고정부(310)는 상기 중공축(100)의 상기 제2 단부(102)가 삽입되는 제1 고정용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320)는 상기 제1 고정용 실린더의 측부로부터 상기 반경방향(r)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원판(ring-shaped disk)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330)는 상기 원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용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고정용 실린더(3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필요한 경우 제1 고정부, 분리부 및 제2 고정부라는 용어와 함께 제1 고정용 실린더, 고리형 원판 및 제2 고정용 실린더라는 용어를 혼용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고정용 실린더(310,330)와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일체로 구성되어 단일한 연성부재(300)로 제공된다.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내부 직경(D)을 갖는 개구(321)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100)과 외피(200) 사이의 이격공간(S)을 덮을 수 있는 평판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원판(320)의 측면은 외피(200)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되어 하부의 이격공간(S)을 상부의 이격공간(S) 또는 주위환경으로부터 분리한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하부의 이격공간(S)을 덮는 덮개로 기능하여 상기 원판(320)과 중공축(100) 및 외피(200)에 의해 한정되는 이격 공간(S)을 외부와 분리되는 에어 갭(G)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충진된 공기에 의한 에어 갭(G)의 내부압력은 외피(20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기능하여 외력에 의해 외피(20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어 팁(5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원판(320)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노이즈를 흡수 할 수 있도록 충분한 흡음특성을 갖도록 재질과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흡음부재로도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이어 팁(500)에 인가되는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여 외피(200)에 대한 영향을 가능한 줄일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외력에 대한 댐퍼(damper)로 기능하여 상기 외피(200)에 인가되는 외력을 에어 갭(G)의 댐핑력 만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대한 이어 팁(500)의 저항력을 원판(320)의 댐핑력만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약 10° 내지 70°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에 의해 각각 중공축(100)과 외피(200)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고정 실린더(310)는 상기 원판(320)의 배면(322)으로부터 상기 개구(321)를 한정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 실린더(330)는 상기 원판(320) 주변부의 상면(323)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고정 실린더(310)는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공축(100)의 제2 단부(102)에 끼워지고 상기 제2 고정 실린더(330)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는 상기 중공축(100) 및 외피(200)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하여 중공축(100) 및 외피(200)와의 접착특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는 상기 고리형 원판(32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하여 외력 및 노이즈에 대한 흡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성부재(300)는 약 10° 내지 70°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공축(100)의 제2 단부(102) 및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를 높은 기밀성을 갖고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세스(131,20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세스(131)는 상기 몸체(130)의 외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제1 깊이(d1)와 제1 고정 실린더(310)의 높이(h1)에 대응하는 제1 길이(l1)를 갖고 상기 제2 단부(102)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리세스(201)는 상기 외피(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제2 깊이(d2)와 제2 고정 실린더(330)의 높이(h2)에 대응하는 제2 길이(l2)를 갖고 상기 외피(200)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는 각각 제1 및 제2 리세스(131,20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100)의 반경방향(r)을 따라 연장하므로 상기 에어 갭(G)의 밀봉성을 충분하게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리세스(131,201)에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에어 갭(G)의 밀봉성을 보장할 수만 있다면 중공축(100) 및 외피(200)에 상기 리세스들을 형성하지 않고 그 표면에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를 직접 고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131,201)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131,201)의 표면에 상기 제1 고정부(310)와 상기 중공축(100) 및 상기 제2 고정부(330)와 상기 외피(200)를 접착하는 제1 및 제2 접착부재(410,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410,420)는 외피(20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중공축(100) 및 외피(200)와 연성부재(300)의 접착을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접착재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실린더(310,330)와 중공축(100) 및 외피(200)가 실리콘(silicone)을 구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실리콘 접착제를 상기 접착부재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어 팁(500)에 의하면, 연성부재(300)의 하부에 공기로 충진된 에어 갭이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외피(20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어 팁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부재(300)는 중공축(100) 및 외피(200)와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외피가 뒤집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성부재(300)를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연성물질(ductile material)로 구성하여 이어 팁에 인가되는 외력이나 외부로 이어 팁으로 전달되는 노이즈를 흡수함으로써 외피의 형상을 유지하고 음질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0)은 결합되는 이어 폰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상기 제1 변형례에 의한 이어 팁(501)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갭(G)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홀(air pressure hole, AP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홀(APH)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부재(3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2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갭(G)은 중공축(100), 외피(200) 및 연성부재(300)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중공축(100)은 소리를 전달하는 도파로(C)를 제공하므로 몸체(130)에 압력 조절 홀이 형성되는 경우 도파로(C)를 통하여 전송되는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홀(APH)은 외피(200) 및 연성부재(3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G)의 내부압력보다 큰 외력이 순간적으로 이어 팁에 인가되고 에어 갭(G) 내부의 공기유동이 억제되는 경우, 접착부재(400)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상기 연성부재(300)는 중공축(100) 및 외피(200)로부터 분리되고 에어 갭(G)이 파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상기 외피(200) 또는 연성부재(300)에 외부와 연통하는 압력조절 홀(APH)을 구비하여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점진적으로 에어 갭(G)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과도한 외력에 의해 상기 에어 갭(G)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 홀(APH)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외력에 대응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압력조절 홀(APH)의 사이즈가 너무 클 경우 실질적으로 에어 갭(G)으로 기능할 수 없으므로 에어 갭(G)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을 정도로 압력조절 홀(APH)의 사이즈와 개수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압력조절 홀(APH)은 약 0.01mm 내지 0.1mm의 직경을 갖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성부재(300) 및 외피(200)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연성부재(300)와 외피(200)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고 연성부재(300)와 외피(200)의 적어도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변형례에 의한 이어 팁(502)은 분리부(330)의 배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추가적인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 실린더(330)는 상기 고리형 원판(320)의 상면(323)으로부터 돌출한 상부 실린더(331) 및 상기 원판(320)의 배면(322)으로부터 돌출한 하부 실린더(332)로 구성된다.
상부 실린더(331)는 원판 상면(323)의 주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리세스(20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332)는 원판 하면(322)의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리세스(20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실린더(331)와 하부 실린더(332)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상기 원판(32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실린더(331)는 상기 원판(320) 상부의 이격 공간(S)을 한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332)는 상기 에어 갭(G)의 내부에서 상기 제1 고정 실린더(31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부재(300)와 외피(200)의 접착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연정부재(300)와 외피(200)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외피(200)와의 접착력이 상기 고리형 원판(32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분포함으로써 상기 제2 고정 실린더(33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중공축(100)에 작용하는 모멘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부재(300)와 중공축(100)의 접착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변형례에 의한 이어 팁(503)은 상기 원판(320)이 제1 고정 실린더(310)의 상부가 아니라 하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제1 고정 실린더(310)의 하부에서 연결되어 원판(320)의 상면(32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외피(200)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실린더(330)는 상기 원판(320)의 상부에서 제1 고정 실린더(31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비교하여 에어 갭(G)의 부피가 축소되어 축소 에어 갭(Gr)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형 원판(320)과 제1 고정 실린더(310)의 연결위치를 상기 제2 단부(102)로부터 상기 몸체(130)의 중심부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판(320)과 제1 고정 실린더(31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고리형 원판(320)과 연결되는 제2 고정 실린더(330)의 위치도 상기 제1 고정 실린더(310)의 길이(L1)만큼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고정 실린더(330)의 고정위치가 상기 외피(200)의 중심부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실린더(330)와 외피(2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갭의 부피는 축소되지만 연성부재(300)와 중공축(100) 및 외피(2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외력에 의해 연성부재(300)가 이어 팁(50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4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 변형례에 의한 이어 팁(504)은 제2 고정 실린더가 상부 실린더 및 하부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이어 팁(503)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 실린더(330)는 상기 고리형 원판(320)의 상면(323)으로부터 돌출한 상부 실린더(335) 및 상기 원판(320)의 배면(322)으로부터 돌출한 하부 실린더(336)로 구성된다.
상부 실린더(335)는 원판 상면(323)의 주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리세스(20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336)는 원판 하면(322)의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 리세스(20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실린더(331)와 하부 실린더(332)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상기 원판(32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실린더(335)는 상기 원판(320) 상부의 이격 공간(S)을 한정하고 상기 제1 고정 실린더(3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332)는 상기 축소 에어 갭(Gr)의 내부에서 상기 몸체(13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정부재(300)와 외피(200)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면서 결합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의 제5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제5 변형례에 의한 이어 팁(505)은 고리형 원판(320)이 상기 에어 갭(G)을 향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P)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50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상기 에어 갭(G)을 향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P)를 구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도(elasticity)를 높인다. 이에 따라, 상기 외피(200)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가능한 많은 외력을 상기 오목부(P)에서 흡수하여 상기 외피(200)와 중공축(100)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오목부(P)의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이어 팁(505)의 형상도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외피(200)가 뒤집어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어 팁(505)의 형상을 보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상기 제1 고정 실린더(310)에 우하향(rightwardly downwards) 하도록 고정되는 단일한 제1 조각 원판(326) 및 상기 제2 실린더(330)에 좌하향(leftwardly downwards) 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조각 원판(326)과 연결되는 단일한 제2 조각 원판(32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오목부(P)가 상기 에어 갭(G)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어 팁(505)으로 외력인 인가되는 경우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오목부(P)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조각원판(326,327)이 서로 겹쳐질 때까지 상기 외력을 탄성 에너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 없이 단일한 평판 형태로 제공되는 도 1b의 이어 팁(500)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이어 팁(505)은 고리형 원판(320)의 탄성계수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더 많은 외력 성분을 탄성 에너지의 형태로 상기 고리형 원판(32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 팁(505)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리형 원판(320)의 손상이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오목부(P)가 고리형 평판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각 오목부(P)가 개별적으로 탄성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저장부로 작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총 탄성에너지를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고리형 원판(320)은 단위 저장부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는 접철형 원판(foldable disk)으로 구성되어 가능한 많은 탄성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 폰(2000)은 내부에 음향 발생 시스템(미도시)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100), 상기 하우징(1100)을 덮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시키는 착탈식 덮개(1200) 및 상기 덮개(1200)에 부착되고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발생된 음향을 사용자의 귀속으로 안내하는 이어 팁(50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0)의 내부 공간에는 음향기기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가 배치되어 전자기장을 이용한 금속판의 진동에 의해 음향을 생성한다. 발생되는 음향이 품질에 따라 영구자석, 전자석 및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드라이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1200)는 상기 하우징(1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음향 발생 시스템을 고정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또한,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음향관(12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음향관(121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이어 팁(500)과 결합할 수 있는 이어폰 리세스(1211)와 이어폰 돌출부(1212)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어폰 돌출부(1212)는 상기 중공축(100)의 걸림턱(120)에 구비된 수용공간(R)에 수용되어 상기 중공축(100)의 축방향을 따라 걸림턱(120)과 면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0)으로 삽입된 이어폰 돌출부(1212)는 걸림턱(120)에 의해 걸려서 걸림턱(120)에 의한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중공축(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이어 팁(500)은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이물감을 낮추고 외부 노이즈가 귀속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어 팁(50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어 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이어 팁(5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어 팁(500)은 제2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이어 팁(500)의 제1 내지 제5 변형례(501 내지 505) 중의 어느 하나로 대체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이어 팁(500)이 부착된 이어 폰(2000)을 사용자의 귀속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상기 중공축(100), 외피(200) 및 상기 연성부재(300)가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공축(100)의 축방향 외력에 의해 외피(200)가 뒤집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200)와 중공축(100) 사이의 이격공간에 에어 갭(G)을 배치함으로써 이물감을 줄임이고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중공축(100)의 반경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일부는 상기 연성부재(300)에 탄성에너지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상기 에어 갭(G)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쇄되므로 이어 팁(500)의 형상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이어 팁(500)의 형상이 변형된다 할지라도 상기 연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에 의하면, 실린더 형상을 갖는 음파로의 상단 측부와 외피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환형 연성부재를 배치하여 이어 팁의 외부에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피가 뒤집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성부재는 충분한 탄성을 갖고 상기 음파로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력이 제거된 경우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어 팁으로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외피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을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의 제1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척(opposite)하는 상기 중공축의 제2 단부와 상기 외피에 접착되어 상기 중공축과 상기 외피로 둘러싸인 에어 갭을 형성하는 연성부재(flexible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축의 상기 제2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성부재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리세스,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성부재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2 리세스 및 상기 연성부재와 상기 외피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갭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조절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재는 상기 제1 리세스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와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리세스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중공축의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 실린더의 측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고리형 원판(ring-shaped disk)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원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원판의 제1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부 실린더 및 상기 제1 표면과 대척하는 제2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부 실린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실린더의 상측부에 접착되어 상기 하부 실린더는 상기 에어 갭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실린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는 상기 외피에 고정되어 상기 중공축 상부의 상기 이격공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실린더의 하측부에 접착되어 상기 하부 실린더는 상기 에어 갭의 내부에서 상기 중공축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는 상기 제1 실린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원판은 상기 에어 갭을 향하여 경사진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원판은 상기 제1 실린더에 우하향 하도록 고정되는 제1 조각원판 및 상기 제2 실린더에 좌하향 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조각원판과 연결되는 제2 조각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원판은 상기 오목부가 일렬로 다수 배치되어 접철형 원판(foldable dis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중공축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외피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재는 10° 내지 70°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5° 내지 25°의 궤조 경도(durometer hardness)를 갖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축은 50° 내지 60°의 궤조 경도를 갖는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팁.
  16. 음향 발생 시스템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생성된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관을 구비하는 착탈식 덮개; 및
    상기 덮개에 부착되고, 실린더 형상을 갖고 음향을 전달하는 음파로를 제공하는 중공축, 상기 중공축을 감싸도록 상기 중공축의 제1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공축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척(opposite)하는 상기 중공축의 제2 단부와 상기 외피에 접착되어 상기 중공축과 상기 외피로 둘러싸인 에어 갭을 형성하는 연성부재(flexible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축의 상기 제2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성부재의 일단을 수용하는 제1 리세스,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성부재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2 리세스 및 상기 연성부재와 상기 외피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갭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조절 홀을 구비하는 이어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재는 상기 중공축의 상기 제2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 실린더, 상기 제1 고정 실린더의 측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와 분리하는 고리형 원판(ring-shaped disk) 및 상기 원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고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관은 단부에 이어폰 리세스와 이어폰 돌출부를 구비하는 튜브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축은 단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와 면접촉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150187766A 2015-12-28 2015-12-28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KR10174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766A KR101742008B1 (ko) 2015-12-28 2015-12-28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CN201610052100.8A CN106921899B (zh) 2015-12-28 2016-01-26 耳机末端以及包括该耳机末端的耳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766A KR101742008B1 (ko) 2015-12-28 2015-12-28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008B1 true KR101742008B1 (ko) 2017-05-31

Family

ID=5905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766A KR101742008B1 (ko) 2015-12-28 2015-12-28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2008B1 (ko)
CN (1) CN10692189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3187A (zh) * 2020-04-29 2021-10-29 启弘股份有限公司 具有调压及控制杂音的耳塞
WO2021254621A1 (en) * 2020-06-18 2021-1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Eartip, ear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artips for earphones
WO20231462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이어팁을 포함하는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733A (ko) * 2018-03-09 2020-11-16 스테이턴 테츠야, 엘엘씨 이어팁 및 이어폰 장치와, 이의 시스템 및 방법
US11102563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ttachment mechanism for eartips
KR102440468B1 (ko) * 2021-06-17 2022-09-06 부전전자 주식회사 실리콘 폼 재질의 플랜지를 구비한 이어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67B1 (ko) * 2012-06-29 2013-12-16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3780B2 (ja) * 2008-06-20 2014-01-29 ファイナル・オーディオデザイン事務所株式会社 カナレ型イヤフォン
EP2887693A1 (en) * 2013-12-20 2015-06-24 GN Store Nord A/S A floating carri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67B1 (ko) * 2012-06-29 2013-12-16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3187A (zh) * 2020-04-29 2021-10-29 启弘股份有限公司 具有调压及控制杂音的耳塞
WO2021254621A1 (en) * 2020-06-18 2021-1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Eartip, ear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artips for earphones
WO2023146299A1 (ko) * 2022-01-28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이어팁을 포함하는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21899B (zh) 2019-06-04
CN106921899A (zh)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008B1 (ko)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JP5392796B2 (ja) イヤーチップ及びそれを具備するイヤホン
US8270648B2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9467761B2 (en) In-ear earphone with articulating nozzle and integrated boot
KR101765378B1 (ko) 골전도 스피커 유닛
JP4631070B2 (ja) 骨伝導スピーカ
US9433271B2 (en) Protective cover with an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JP5382821B2 (ja) イヤホン装置およびイヤホン装置本体
US20120243726A1 (en) Earphone
US9532123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JP2015126339A (ja) 骨伝導スピーカー
EP3179742B1 (en) Hearing aid comprising a shock and vibration damping receiver assembly
WO2016067681A1 (ja) 音響変換装置
KR101341867B1 (ko)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US20200204908A1 (en) Acoustic device
JP4435132B2 (ja) 耳介装着体及びイヤホン装置並びに音響管及び耳介装着体
CN110858948B (zh) 用于听力器械的听筒的减振装置以及听力器械
AU2014274681B2 (en)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with membrane
KR102545214B1 (ko) 이어폰용 이어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JP5031714B2 (ja) イヤホン装置
CN110858946A (zh) 用于助听器的听筒的弹性的阻尼元件和助听器
CN113115189B (zh) 扬声器盒和听力设备
CN117441349A (zh) 一种振动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