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951B1 -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951B1
KR101741951B1 KR1020160063274A KR20160063274A KR101741951B1 KR 101741951 B1 KR101741951 B1 KR 101741951B1 KR 1020160063274 A KR1020160063274 A KR 1020160063274A KR 20160063274 A KR20160063274 A KR 20160063274A KR 101741951 B1 KR101741951 B1 KR 10174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em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욱
유용환
김성인
김용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01L51/5262
    • H01L51/5268
    • H01L51/5275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실시 예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는 크게 유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장치와 무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무기 발광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유기 발광장치를 이루는 유기발광소자는 전자주입전극(cathode)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정공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형성하고, 이 엑시톤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소자로서, 저전력 구동, 자체발광, 넓은 시야각, 높은 해상도와 천연색 실현, 빠른 응답 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휴대용 정보기기, 카메라, 시계, 사무용기기, 자동차 등의 정보 표시 창,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용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발광 효율을 높이거나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는 유기 발광부(10), 기판(20), 접착층(30), 베이스 필름(40) 및 광추출 필름(50)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부(10)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각각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경합된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천이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 발광부(10)에서 발생한 광은 상기 기판(20), 접착층(30), 베이스 필름(40) 및 광추출 필름(50)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0)에서 발생한 광이 상기 기판(20), 접착층(30) 및 베이스 필름(40)을 투과하는 과정과 외부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많은 손실이 발생하여, 광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 베이스 필름(40) 하부에 광추출 필름(50)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외부와 베이스 필름(40) 사이의 굴절율을 보상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다만, 상기 광추출 필름(50)을 부착하더라도 유기 발광부(10)에서 외부로 출력되기까지, 기판(20), 접착층(30), 베이스 필름(40) 및 광추출 필름(50)의 다수의 층이 있어 원하는 만큼의 광효율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균질한 파장대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판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기판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광경화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유기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에 제1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층에 제2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접착층의 상기 제1 접착층과 이격된 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접착층의 일면의 표면조도를 타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접착층이 양자점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균질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요철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7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롤투롤 방식의 요철패턴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파장별 광의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편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요철패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요철패턴에 의해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광투과성 비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랜덤한 주름패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2 접착층과 대응되는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과 대응되는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4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면 및 제4 면은 상기 제1 면과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투과성 비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에는 다수의 스크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판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기판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광경화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상기 기판과 인접하는 면은 상기 기판과 이격되는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유기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에 제1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층에 제2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접착층의 상기 제1 접착층과 이격된 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UV를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정공 주입 전극(anode 전극)일 수 잇고, 상기 제2 전극은 전자 주입 전극(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유기 발광층으로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천이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전극은 투명 도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은 불투명 도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반사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기판(10)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한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접착층(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와 이격된 상기 기판(12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은 상기 기판(120)과 접촉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130b)은 상기 기판(120)과 이격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130b)은 상기 제2 접착층(140)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상기 기판(120)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의 일면과 상기 제1 면(130a)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은 상기 기판(120)의 일면과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상기 기판(120)이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상기 기판(120)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기판(120)으로부터 상기 제1 접착층(130)에 전달되는 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20)으로부터 상기 제1 접착층(130)에 전달되는 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기판(120)을 투과한 광이 적은 손실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접착층(1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과 대응되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상기 기판(120)이 대응되는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면(130a)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실리콘계, 에폭시계 및 아크릴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을 가지는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광을 투과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제2 면(130b)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제3 면(140a) 및 제4 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은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접촉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이격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제2 면(130b)과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제2 접착층(140)이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면(140a)은 경화 전 접착력을 가지는 상태에서 경화 후 접착력을 가지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면(140a)은 접착력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접착층(130)의 제2 면(130b)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제2 접착층(140)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130b)과 상기 제3 면(140a)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은 상기 제2 면(130b)과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은 상기 제1 면(130a)과도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140a)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상기 제2 접착층(140)이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과 상기 제2 접착층(140)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 접착층(130)으로부터 상기 제2 접착층(140)에 전달되는 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으로부터 상기 제2 접착층(140)에 전달되는 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 접착층(130)을 투과한 광이 적은 손실을 가지면서 상기 제2 접착층(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이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접착층(140)에서 외부로 출사되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수의 요철패턴(14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로부터의 광이 출사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요철패턴(141)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돌출부(142) 및 함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2) 및 함몰부(143)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2 접착층(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요철패턴(1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요철패턴(141)은 서로 랜덤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기판(120) 및 제1 접착층(130)을 투과한 후 상기 제4 면(140b)을 지나면서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을 지나는 광은 상기 요철패턴(141)에 의해 광경로가 변경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요철패턴(141)의 상기 돌출부(142)와 함몰부(143)에 의해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각도를 가지고,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각도를 가지는 상기 제4 면(140b)을 통해 광경로가 변경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각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4 면(140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줄어 들고 결과적으로,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증가한다.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기발광소자(101)의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적어도 일부영역은 상기 제1 접착층(130)과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적어도 일부영역은 상기 제1 접착층(130)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과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은 상기 제1 접착층(130)과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은 상기 제1 접착층(130)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실리콘계, 에폭시계 및 아크릴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을 가지는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광을 투과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경화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물질은 광경화성 물질, 열경화성 물질, 화학적 경화성 물질 또는 플라즈마 경화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경화성 물질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접착력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제1 접착층(130)에 부착된 후 경화과정에 의해 상기 경화성 물질이 경화되어 상기 제2 접착층(140) 전체가 경화된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경화되어 접착력이 소멸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은 경화되어 상기 제1 접착층(130)의 제1 면(130a) 또는 제2 면(130b)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은 경화에 의해 접착력을 상실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이 경화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나노크기의 반도체 물질로서 양자제한(quantum confinement)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러한 양자점(150)은 여기원 (excitation source)으로부터 빛을 흡수하여받아 에너지 여기 상태에 이르면, 자체적으로 해당하는 양자점(150)의 에너지 밴드 갭 (band 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양자점(150)의 크기 또는 물질 조성을 조절하게 되면 해당에너지 밴드 갭(band gap)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빛을 발광할 수 있어 전자소자의 발광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크기의 반도체 물질은 II-VI족 화합물, III-V족 화합물, IV-VI족 화합물, IV족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II-VI족 화합물은 CdSe, CdTe, ZnS, ZnSe, ZnTe, ZnO, HgS, HgSe, HgTe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CdSeS, CdSeTe, CdSTe,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등의 삼원소 화합물 또는 HggZnTe,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등의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III-V족 화합물은 GaN, GaP, GaAs, GaSb, AlN, AlP, AlAs, AlSb, InN, InP, InAs, InSb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GaNP, GaNAs, GaNSb, GaPAs, GaPSb, AlNP, AlNAs, AlNSb, AlPAs, AlPSb, InNP, InNAs, InNSb, InPAs, InPSb, GaAlNP 등의 삼원소 화합물 또는 GaAlNAs, GaAlNSb, GaAlPAs, GaAlPSb, GaInNP, GaInNAs, GaInNSb, GaInPAs, GaInPSb, InAlNP, InAlNAs, InAlNSb, InAlPAs, InAlPSb 등의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IV-VI족 화합물은 SnS, SnSe, SnTe, PbS, PbSe, PbTe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SnSeS, SnSeTe, SnSTe, PbSeS, PbSeTe, PbSTe, SnPbS, SnPbSe, SnPbTe 등의 삼원소 화합물 또는 SnPbSSe, SnPbSeTe, SnPbSTe 등의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IV족 화합물은 Si, Ge 등의 단일 원소 화합물 또는 SiC, SiGe 등의 이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이원소 화합물, 삼원소 화합물 또는 사원소 화합물의 경우, 그 결정구조는 부분적으로 나누어져 동일 입자 내에 존재하거나 합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요철패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2 접착층(140)은 도 5a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요철패턴(141)을 가질 수 있다. 도 5a에서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제2 접착층(140)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은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2 접착층(140)은 도 5b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요철패턴(141)을 가질 수 있다. 도 5b에서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4 면(140b)으로부터 제3 면(140a)으로 갈수록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4 면(140b)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원뿔형상으로 상기 제2 접착층(140)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2 접착층(140)은 도 5c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요철패턴(141)을 가질 수 있다. 도 5c에서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4 면(140b)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4 면(140b)으로부터 돌출된 원뿔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2 접착층(140)은 도 5d와 같이 허니컴(honey comb)구조의 요철패턴(141)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출된 허니컴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제2 접착층(140)은 함몰된 허니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접착층의 구조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제3 면(140a) 및 제4 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동일한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비즈(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비즈(145)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즈(145)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4 면(140b)을 지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유기 발광부(110)로부터 입사된 광 중 상기 제4 면(140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소자(101)의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비즈(145)는 상기 제4 면(140b)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비즈(145)는 일부영역이 상기 제2 접착층(140)에 함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비즈(145)는 상기 제4 면(140b)에 랜덤하게 배치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비즈(145)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즈(145)는 상기 제2 접착층(140)과 대응되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즈(145)는 상기 제2 접착층(14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접착층의 구조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제3 면(140a) 및 제4 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동일한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함침 비즈(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함침 비즈(147)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침 비즈(147)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4 면(140b)을 지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유기 발광부(110)로부터 입사된 광 중 상기 제4 면(140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소자(101)의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의 함침 비즈(147)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를 이동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함침 비즈(147)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를 이동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제4 면(140b)에 도달하는 광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에 도달하는 광의 각도가 다양해 짐으로써 상기 제4 면(140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줄어들고 이로써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함침 비즈(147)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4 면(140b)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함침비즈(147)는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침 비즈(147)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착층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제2 접착층의 구조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제3 면(140a) 및 제4 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동일한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에는 주름패턴(14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패턴(149)은 상기 제4 면(140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패턴(149)은 랜덤분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패턴(149)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름패턴(149)에 의해 상기 제2 접착층(140)의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4 면(140b)을 지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이 상기 제3 면(14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유기 발광부(110)로부터 입사된 광 중 상기 제4 면(140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유기발광소자(101)의 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하나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5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및 접착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은 제5 면(150a) 및 제6 면(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면(150a)은 상기 기판(120)의 일면과 접촉하는 면이고, 상기 제6 면(150b)은 상기 기판(120)과 이격된 면일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은 제5 면(150a)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은 상기 제5 면(15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이 상기 제5 면(15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접착층(160)에서 외부로 출사되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은 다수의 요철패턴(15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51)은 상기 접착층(160)의 제5 면(15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51)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은 상기 요철패턴(151)에 의해 상기 제5 면(150a)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51)은 상기 접착층(1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기판(120)을 투과한 후 상기 제6 면(150b)을 지나면서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을 지나는 광은 상기 요철패턴(141)에 의해 광경로가 변경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의 적어도 일부영역은 다른 영역과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과 인접하는 영역은 상기 제5 면(150a)과 인접하는 영역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에서 제5 면(150a)과 인접하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6 면(150b)과 인접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기판(120)과 인접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기판(120)과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제6 면(150b)을 포함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제6 면(150b)은 상기 접착층(160) 내의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경화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경화성 물질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160)은 접착력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기판(120)에 부착된 후 경화과정에 의해 상기 경화성 물질이 경화되어 상기 제2 영역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은 경화되어 접착력이 소멸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의 제6 면(150b)은 경화되어 상기 제5 면(150a)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은 경화에 의해 접착력이 소멸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이 경화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접착층(160)은 상기 제6 면(150b)으로부터 제5 면(150a)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화물질의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 면(150a)에서 제6 면(150b) 방향으로 갈수록 많은 수의 경화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이 경화되는 경우 상기 경화물질의 밀도에 따라 경화 정도가 달라진다. 이로써, 상기 제5 면(150a)에서 상기 제6 면(150b) 방향으로 갈수록 경도가 상승하여, 상기 제6 면(150b)은 상기 제5 면(150a)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접착층(160)은 전영역에서 균일한 경화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 경화시 상기 제6 면(150b)과 인접한 영역만 경화시키고, 나머지 영역은 경화 과정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6 면(150b)과 인접한 영역만 경화되어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일정 영역에 대한 경화는 일부 영역에만 광을 조사하는 방법 또는 일부 영역에만 열을 가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16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접착층(16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양자점을 포함하는 층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6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제3 면(140a) 및 제4 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동일한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에는 다수의 요철패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요철패턴(141)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1 접착층(13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4는 제7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6 실시 예에 비해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 이외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7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6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7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1)는 유기 발광부(110), 기판(120), 제1 접착층(130), 제2 접착층(140) 및 배리어 필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부(110)는 상기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170)은 상기 제1 접착층(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상기 배리어 필름(17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170)은 상기 제1 접착층(130) 및 제2 접착층(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제1 면(130a) 및 제2 면(13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접착층(140)은 제3 면(140a) 및 제4 면(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130a), 제2 면(130b) 및 제3 면(140a)은 동일한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과 다른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 보다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면(140b)에는 다수의 요철패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요철패턴(141)에 의해 상기 제4 면(140b)은 상기 제3 면(140a)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3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1 접착층(13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170)은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상기 다수의 양자점(1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170)을 상기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접착층(130)에 접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양자점(150)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유기발광소자(101)의 수명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120)에 제1 접착층(130)을 부착한다. (S201)
상기 기판(120)에 부착된 제1 접착층(130) 하면에 제2 접착층(140)을 부착한다. (S203)
상기 제2 접착층(140)은 다수의 양자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은 상기 제2 접착층(140) 내부에 균질하게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150)에 의해 상기 유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의 하면에 요철패턴(141)을 형성한다. (S205)
상기 요철패턴(141)은 물리적인 형성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스탬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패턴(14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성형판이 상기 제2 접착층(140)의 하면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상기 요철패턴(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요철패턴(141)은 도 16과 같이 상기 요철패턴(14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성형롤러(200)가 상기 제2 접착층(140)에 접촉하여 압박하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요철패턴(141)은 요철패턴(14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물질을 주입하여 형성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요철패턴(141)은 코팅바를 수평이동시키며 특정영역에 패턴을 형성하는 바코팅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스크래치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패턴(141)은 상기 제2 접착층(140)보다 강한 경도를 가지는 물체를 접촉시킨 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요철패턴(141)은 요철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공지의 화학적 방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요철패턴(141)이 형성된 제2 접착층(140)을 경화시킬 수 있다. (S 207)
상기 제2 접착층(140)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물질은 광경화성 물질, 열경화성 물질, 화학적 경화성 물질 또는 플라즈마 경화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포함되는 경화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경화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접착층(140)은 광, 열, 화학 물질 또는 플라즈마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40)은 UV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접착층(140)의 하면과 인접하는 영역에서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2 접착층(140)을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UV의 세기 또는 조사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경화영역을 부피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파장별 광의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와 종래기술의 광효율 및 효율 증감율을 나타낸다.
도 17 및 표 1에서 WOLED 종래기술은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 기판의 하부에 접착층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비교 예 1은 제1 실시 예의 유기발광소자에서 제2 접착층의 양자점 물질을 제외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며, 제1 실시 예는 제2 접착층에 양자점 물질이 형성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다.
광효율[lm/W] 색좌표[X , Y] 색온도[K] CRI
WOLED_
종래기술
34.6 [0.4557 , 0.3932] 2607 90.4
WOLED_
비교 예1
56.7
(63.9% ↑)
[0.4572 , 0.4138] 2762 89.5
WOLED_
제1 실시 예
48.8
(41.0% ↑)
[0.4809 , 0.4157] 2469 92.5
(2.1 ↑)
표 1과 도 17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경우 34.6lm/w의 광효율과 2607K의 색온도를 가지고, 90.4의 CRI를 가진다. 비교 예 1의 경우 56.7lm/W의 광효율과 2762K의 색온도를 가지고, 89.5의 CRI를 가진다. 제1 실시 예의 경우 48.8lm/W의 광효율과 2469K의 색온도를 가지고, 92.5의 CRI를 가진다.
제1 실시 예의 경우 종래기술에 비해 41.0%높은 광효율을 가지고, 낮은 색온도와 높은 CRI를 가지는 광을 생성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경우 도 14와 같이 넓은 범위의 광분포를 가짐으로써 CRI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CRI가 100에 근접할수록 발광장치는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출력하는 것이므로, 제1 실시 예의 경우 종래기술에 비해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는 비교 예 1에 비해서도 넓은 범위의 광분포를 가지고, 낮은 색온도와 높은 CRI를 가지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실시 예의 경우 비교 예 1에 비해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편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편차를 나타내고, 도 18b는 비교 예 1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편차를 나타내며, 도 18c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의 광의 편차를 나타낸다,
도 18a에서 타원은 3단계, 8단계의 맥아담 타원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은 중심점 대비 7.82의 편차를 가진다.
도 18b에서 타원은 3단계, 4단계의 맥아담 타원으로, 비교 예 1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은 중심점 대비 3.03의 편차를 가진다.
도 18c에서 타원은 2단계, 4단계 맥아담 타원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은 중심점 대비 1.48의 편차를 가진다.
조명산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조명에 사용되는 빛의 색상은 3단계 또는 4단계 맥아담 타워내에서 재현 가능할 것을 요구하는데,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은 2단계 맥아담 타워내의 편차를 가지므로, 종래기술과 비교 예 1에 비해 높은 품질의 광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1: 유기발광소자
110: 유기 발광부
120: 기판
130: 제1 접착층
140: 제2 접착층

Claims (23)

  1.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과 상기 제1 접착층과 접촉하는 제3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3 면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착되는 유기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요철패턴에 의해 구현되는 유기발광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요철패턴에 의해 광경로가 변경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유기발광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턴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광투과성 비즈에 의해 구현되는 유기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랜덤한 주름패턴에 의해 구현되는 유기발광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2 접착층과 대응되는 굴절율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과 대응되는 굴절율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면 및 제4 면은 상기 제1 면과 대응되는 표면조도를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14.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1 면을 가짐-;
    상기 제1 접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을 포함-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면인 제2 면을 가짐- 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에어갭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유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면에 비해 높은 표면조도를 가지며,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광투과성 비즈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는 다수의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유기발광소자.
  19.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에 접촉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판과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기판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광경화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유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상기 기판과 인접하는 면은 상기 기판과 이격되는 면에 비해 낮은 표면조도를 가지는 유기발광소자.
  22. 유기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에 제1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층에 제2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접착층의 상기 제1 접착층과 이격된 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다수의 양자점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2 접착층의 일면은 상기 기판과 인접하는 상기 제1 접착층의 일면 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UV를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60063274A 2016-05-24 2016-05-24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74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74A KR101741951B1 (ko) 2016-05-24 2016-05-24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74A KR101741951B1 (ko) 2016-05-24 2016-05-24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951B1 true KR101741951B1 (ko) 2017-06-02

Family

ID=5922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74A KR101741951B1 (ko) 2016-05-24 2016-05-24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5632A (zh) * 2020-07-30 2020-10-09 河南工程学院 一种柔性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672A (ja) 2002-03-11 2003-09-19 Canon Inc 放射線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3233A (ja) * 2011-03-25 2012-10-22 Toppan Printing Co Ltd プリズムシート、el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397944B2 (ja) 2009-11-11 2014-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蛍光体含有複合シート
KR101532072B1 (ko) * 2013-12-23 2015-06-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 기반의 백색 면광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672A (ja) 2002-03-11 2003-09-19 Canon Inc 放射線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97944B2 (ja) 2009-11-11 2014-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蛍光体含有複合シート
JP2012203233A (ja) * 2011-03-25 2012-10-22 Toppan Printing Co Ltd プリズムシート、el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532072B1 (ko) * 2013-12-23 2015-06-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 기반의 백색 면광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5632A (zh) * 2020-07-30 2020-10-09 河南工程学院 一种柔性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1755632B (zh) * 2020-07-30 2022-07-19 河南工程学院 一种柔性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8979B2 (en) Color substrate including retrorefle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lor substrate
US10866463B2 (en) Strip,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20190293970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10212B1 (ko) 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백라이트 장치
KR102561114B1 (ko) 색변환 표시판의 제조 방법 및 색변환 표시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770516B2 (en) Self-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689663B1 (ko) 그래핀을 이용한 양자점 발광소자
US9720320B2 (en) Optical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and display using the same
TWI554790B (zh) 複合式光學膜
KR101741951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200043581A (ko) 표시 장치
KR101937824B1 (ko) 유기발광장치
KR20160117083A (ko) 양자점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102575029B1 (ko) 표시 장치
KR102263850B1 (ko) 방충용 백색 led 패키지
US20220271016A1 (en) Film pattern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101571047B1 (ko) 나노형광체를 포함하는 필름
TW201639195A (zh) 一種光學透鏡及使用該光學透鏡之發光模組、平板燈及顯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