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674B1 - 자동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674B1
KR101741674B1 KR1020160073975A KR20160073975A KR101741674B1 KR 101741674 B1 KR101741674 B1 KR 101741674B1 KR 1020160073975 A KR1020160073975 A KR 1020160073975A KR 20160073975 A KR20160073975 A KR 20160073975A KR 101741674 B1 KR101741674 B1 KR 10174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welding
deformation
convey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7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03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controlling of welding dist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Abstract

본 개시는 지지수단인 다리; 상기 다리와 결합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판; 상기 상판 및 하판에 의해 고정되며 피용접물을 이송하는 이송용 풀리부;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피용접물이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부; 및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용접 토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용접 장치{Automatic Welding Apparatus}
본 개시는 자동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용접은 접합이 필요한 두개의 금속, 유리, 플라스틱 따위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해 재료의 일부를 용융상태로 만들어 서로 혼합한 후, 냉각시키는 접합 방법으로서, 산업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다. 용접 수행 방식은 용접선을 따라 용접기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용접하는 자동용접과, 용접선을 따라 사람이 수동으로 용접하는 수동용접으로 나뉜다. 수동용접은 작업자가 직접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에 용접 소요시간이 길고, 용접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수동용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동용접에 비해 용접 소요시간이 짧고 용접 품질이 우수한 자동용접방식을 도입하는 추세다. 다만, 자동용접의 경우에도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용접방식 자체의 문제점이 여전히 있고, 여러 부위에 동시 용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소요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요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면서 열에 의해 피용접물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 용접장치가 필요하다.
종래기술의 자동용접장치(특허공개 제 2015-0144409호)는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자동 용접장치로서, 수동 용접장치에 비해 소요시간이 짧고 용접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한다는 점, 동시에 여러 부위에 대해 용접수행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자동화 용접장치(특허공개 제 2015-0019720호)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용접 작업이 가능한 자동 용접장치로서, 다양한 방향과 각도에서의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막지 못한다는 점, 동시에 여러 부위를 용접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용접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용접 후에 피용접물의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또한 동시에 여러 부위를 용접할 수 있는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지지수단인 다리; 상기 다리와 결합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판; 상기 상판 및 하판에 의해 고정되며 피용접물을 이송하는 이송용 풀리부;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피용접물이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부; 및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용접 토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입구 컨베이어와 출구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자동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개요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에 의하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자동 용접 토치(torch)가 용접을 수행하므로 수동용접에 비하여 용접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에 의하면, 동시에 여러 부위에 용접을 수행하므로 수동용접에 비해 용접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에 의하면, 용접 후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수동용접의 경우와 달리 변형된 부위를 교정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소요인력 절감 및 작업량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구성요소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구성요소인 입구 컨베이어의 사시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구성요소인 출구 컨베이어의 사시도(a), 변형방지부의 사시도(b), 출구 컨베이어 및 변형방지부의 측면도(c) 및 출구 컨베이어 및 변형방지부의 평면도(d)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가 작동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작업결과물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100)는 본체(200), 입구 컨베이어(300) 및 출구 컨베이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용접물은 입구 컨베이어(300)를 통하여 출발하고 본체(200)를 지나면서 본체(200)에 포함된 용접 토치(torch)에 의하여 용접된다. 피용접물은 본체(200)에서 용접이 된 후 출구 컨베이어(400)를 통해 나오면서 변형 방지작업을 거치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구성요소인 본체(2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200)는 다리(201), 하판(202) 및 상판(203)을 포함하며, 전동기(204), 기어부(205), 이송용 풀리부(206), 압박부(208) 및 용접 토치(2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리(201), 하판(202) 및 상판(203)은 본체(200)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다리(201)는 본체(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판(202) 및 상판(203)은 이송용 풀리부(206)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리(201), 하판(202) 및 상판(203)은 내열성이 뛰어나며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기(204)는 기어부(205)를 통해 이송용 풀리부(206)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기어부(205)는 전동기(204)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 스퍼기어 및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chain)을 포함하고 있다. 기어부(205)는 전동기(204)를 통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동력 체인으로 연결된 스퍼기어의 회전을 통해 이송용 풀리부(206)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어부(205)는 감속기의 역할을 하여 이송용 풀리부(206)의 회전속도를 낮추고, 결과적으로 이송용 풀리부(206)에 의해 이송되는 피용접물의 이송속도를 낮춰 용접작업시 충분한 두께의 비드(bead)를 형성토록 하여 품질높은 용접이 이뤄지도록 한다.
이송용 풀리부(206)는 하나의 축에 원형의 풀리가 연속하여 결합된 형태로서, 본체(100)에 복수개의 이송용 풀리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용 풀리부(206)는 입구 컨베이어(300)와 가까운 입구 측 이송용 풀리부와 출구 컨베이어(400)와 가까운 출구 측 이송용 풀리부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입구 측 이송용 풀리부 중 하판(202)에 위치한 이송용 풀리부(206)는 기어부(205)의 구성요소인 스퍼기어와 같은 축을 공유하며 전동기(204) 및 기어부(205)에 의해 회전하여 피용접물을 입구(207)에서부터 출구까지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출구 측 이송용 풀리부는 피용접물이 본체(20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출구 컨베이어(400)로 나갈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이송용 풀리부(206)는 용접이 완료된 피용접물을 출구 컨베이어(400)에서 다시 본체(200)로, 본체(200)에서 다시 입구 컨베이어(300)로 후진시키는 경우 피용접물을 상하로 압박하고 좌우로 잡아주어 피용접물의 용접후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축에 결합된 원형의 풀리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의 풀리는 마찰력으로 피용접물을 이송할 수 있어야 하므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피용접물과의 관계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압박부(208)는 얇고 가느다란 봉에 스프링이 끼워지고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된 형태이다. 압박부(208)는 본체(200)중 상판(20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피용접물이 이송 풀리부(206)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에 피용접물의 두께만큼 상판(203)이 들리게 되어 하판(202)과 상판(203)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이 때 피용접물이 하판과 상판의 이송용 풀리부(203)에 밀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압박부(208)의 스프링이 상판(203)을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압박부의 스프링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무거운 상판(203)을 압박하는 것이므로 탄성계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 토치(209)는 두 개의 상판(203)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상판(203)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피용접물이 용접 토치(209)의 위치에 도달하면 용접 작업을 시작한다. 용접 토치(209)는 피용접물이 이송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나열된다. 본 개시는 용접 토치(209) 8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용접 토치(209)의 위치 및 배열방법은 변경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용접 토치(209)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일부는 이탈되어 엇갈려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경우 용접 토치(209)가 복수개 배열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용접이 반복되는 작업에 특히 효율적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구성요소인 입구 컨베이어의 사시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구 컨베이어(300)는 프레임 및 이송용 롤러부(3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구 컨베이어(300)의 프레임의 높이는 본체(200)의 하판(202)까지의 높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용접물이 휘어짐 등의 손상을 받지 않고 입구 컨베이어(300)로부터 본체(200)로 이동하기 위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송용 롤러부(301)의 중심과 하판(202)의 이송용 풀리부(206)의 중심이 지면과 평행한 선상에 나란히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용 롤러부(301)는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의 형태로, 복수개가 작업물의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형성된다. 이송용 롤러부(301)는 피용접물(302)이 본체(200)의 이송용 풀리부(206)에 맞물려 이송될 때 마찰력을 받지 않고 원할하게 이동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송용 롤러부(301)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용접물(302)이 이송되는 데 도움을 주기에 적합한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구성요소인 출구 컨베이어의 사시도(a), 변형방지부의 사시도(b), 출구 컨베이어와 변형방지부의 측면도(c) 및 출구 컨베이어와 변형방지부의 평면도(d)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출구 컨베이어(400)는 이송용 롤러부(401) 및 가이드 롤러부(4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용 롤러부(401)는 본체(200)로부터 이송되는 피용접물이 이송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용접이 완료된 피용접물이 열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처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롤러부(402)는 출구 컨베이어(400)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의 중앙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복수개가 나열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부(402)는 피용접물이 열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b)에는 변형방지부(403)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방지부(403)는 두 개의 삼각기둥이 맞닿아 있는 형상의 본체가 존재하고 그 하면에 바퀴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방지부(403)의 본체는 삼각기둥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변형방지부(403)는 용접이 완료된 피용접물이 상방향으로 들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변형방지부(403)의 무게에 의한 하중을 피용접물에 가하여 위에서 피용접물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변형을 방지한다. 변형방지부(403)는 하중을 이용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작은 부피를 가지면서 질량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방지부(403)는 본체의 하면에 바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지점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용접이 완료된 피용접물의 상방향 변형이 유력하게 예상되는 지점으로 이동시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c) 및 (d)를 참조하면, 용접이 완료된 피용접물(404)이 열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출구 컨베이어(400)의 이송용 롤러부(401), 가이드 롤러부(402) 및 변형방지부(403)에 의한 변형방지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출구 컨베이어(400)로 나온 피용접물(404)은 이송용 롤러부(401), 가이드 롤러부(402) 및 변형방지부(403)에 의해 하방향, 좌우방향 및 상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업을 거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가 작동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입구 컨베이어(300)에서 본체(200)로 피용접물(502)이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입구 컨베이어(300)에서는 피용접물(502)이 본체(200)의 입구(501)에 도달할 때까지 수동으로 이송된다. 본체(200)의 입구(501)에 도달하면 본체(200)의 전동기(204)를 작동시켜 이송용 풀리부(206)가 회전하게 되고 그 때부터 피용접물(502)은 자동으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도 5의 (b)는 피용접물이 본체(200)를 통과하면서 용접 토치(503)에 의하여 용접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체(200)의 전동기(204)의 작동으로 이송용 풀리부(206)가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피용접물은 자동으로 천천히 이송된다. 천천히 이송되어 용접 토치(503)의 위치에 피용접물이 도달하게 되면, 용접 토치(503)를 작동시켜 동시에 여러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도 5의 (c)는 용접이 완료된 피용접물이 출구 컨베이어(400)로 나와서 가이드 롤러부(504), 이송용 롤러부(505) 및 변형방지부(506)에 의해 변형방지 작업을 거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피용접물은 용접이 완료된 후 천천히 출구 컨베이어(400)로 나오게 된다.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열이 발생되고 그 열에 의해 피용접물의 형태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휘어지는 등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가이드 롤러부(504)는 피용접물이 좌우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송용 롤러부(505)는 피용접물이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변형방지부(506)는 피용접물이 상방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출구 컨베이어(400)에서의 변형방지 작업을 거친 후, 본체(200)의 전동기(204)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피용접물을 출구 컨베이어(400)에서 다시 본체(200)쪽으로 이송시킨다. 본체(200)의 하판(202)과 상판(203)에 위치한 이송용 풀리부(206)들에 의하여 다시 한번 변형방지 작업이 진행된다.
피용접물의 상면에 용접 작업이 완료되고 변형방지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피용접물의 하면에 대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피용접물을 뒤집어 위와 같은 과정을 다시 한번 더 거칠 수 있다. 피용접물을 뒤집어서 다시 한번 더 작업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복수개로 형성된 용접 토치에 대향하여 복수개의 용접 토치를 추가 형성하여 한번의 이송으로 동시에 피용접물의 상면과 하면에 용접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는 입구 컨베이어(300)와 출구 컨베이어(400)의 길이를 증가시켜 길이가 긴 피용접물에 대한 용접 작업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의 작업결과물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5개의 히트파이프가 그 히트파이프들 사이에 포함되는 사각기둥과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용접을 수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에 의하여 한번에 8개의 부위에 대해 용접이 수행되어 8면의 비드(bead, 601)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자동 용접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용접 품질이 높다.
수동용접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용접 토치를 조절하며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드(bead)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고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용접 부위에 틈이 생겨 불순물이 스며들 수 있으며 이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자동용접의 경우 비드가 충분히 형성되면서 모양이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용접 부위에 틈이 생길 가능성이 낮고 파손 가능성이 낮다.
둘째, 용접 소요시간이 단축된다.
수동용접의 경우 용접사의 기량을 높이 평가한다면, 1개부위(대략 10m)에 대한 소요시간은 대략 50분정도이다. 따라서 8개부위에 대한 소요시간은 대략 400분정도이다.
본 개시에 의한 자동용접의 경우 장치가 1회 작동하여 용접을 완료하는 데 대략 30분이 소요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1회 작동으로 동시에 8개부위를 용접하므로, 8개부위에 대한 소요시간은 대략 30분정도 소요되어 수동용접에 비해 소요시간이 현저히 줄어든다. 이는 동시에 여러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본 개시에 의한 자동용접 진행속도가 수동용접에 비해 빠르기 때문이다.
셋째, 소요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경우 용접이 완료된 후 변형방지 작업을 수행하고 별도의 교정작업을 거치지 않으므로, 용접 후 변형에 대한 교정작업에 추가적으로 인력이 소요되는 수동용접에 비해 소요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동 용접 장치
200: 본체
201: 다리
202: 하판
203: 상판
204: 전동기
205: 기어부
206: 이송용 풀리부
207, 501: 입구
208: 압박부
209, 503: 용접 토치(torch)
300: 입구 컨베이어
301, 401, 505: 이송용 롤러부
302, 404, 502: 피용접물
400: 출구 컨베이어
402, 504: 가이드 롤러부
403, 506: 변형방지부
601: 비드(bead)

Claims (17)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입구 컨베이어,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출구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자동 용접 장치로서,
    상기 본체는,
    지지수단인 다리;
    상기 다리와 결합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판;
    상기 상판 및 하판에 의해 고정되며 피용접물을 이송하는 이송용 풀리부;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피용접물이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부; 및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용접 토치
    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컨베이어는,
    상기 출구 컨베이어로 인출되는 상기 피용접물을 상기 피용접물의 상부에서 압박하여 상기 피용접물의 상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변형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방지부는,
    두 개의 삼각기둥이 맞닿아 있는 형상으로 그 하면에 배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감속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토치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컨베이어는 이송용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컨베이어는 하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이송용 롤러부; 및
    좌우측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롤러부는 상기 피용접물의 하부를 받쳐주어 하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부는 상기 피용접물의 좌, 우측에 상기 피용접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속하여 나열되어 좌우측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는 한 지점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상기 피용접물의 상방향 변형이 유력하게 예상되는 지점으로 이동시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는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피용접물을 눌러주어 상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토치에 대향하도록 복수개의 용접 토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피용접물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
  16. 지지수단인 다리; 상판 및 하판에 의해 고정되며 피용접물을 이송하는 이송용 풀리부;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피용접물이 상기 이송용 풀리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부;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하는 용접 토치; 입구 컨베이어; 출구 컨베이어; 및 상기 출구 컨베이어로 인출되는 상기 피용접물을 상기 피용접물의 상부에서 압박하여 상기 피용접물의 상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방지부는, 두 개의 삼각기둥이 맞닿아 있는 형상으로 그 하면에 배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용접물의 여러 부위를 동시 용접하는 자동 용접 방법.
  17. 삭제
KR1020160073975A 2016-06-14 2016-06-14 자동 용접 장치 KR10174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975A KR101741674B1 (ko) 2016-06-14 2016-06-14 자동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975A KR101741674B1 (ko) 2016-06-14 2016-06-14 자동 용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674B1 true KR101741674B1 (ko) 2017-06-23

Family

ID=5928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975A KR101741674B1 (ko) 2016-06-14 2016-06-14 자동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1639A (zh) * 2022-04-19 2022-08-09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端板角柱搭接激光跟踪自动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37B1 (ko) * 2012-04-03 2012-05-14 엠피에스 주식회사 튜브 핀 결합체의 용접 장치
KR101466386B1 (ko) * 2013-08-27 2014-11-27 (주) 유광 고강도 금속 용접을 위한 열교환용 패널의 고정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37B1 (ko) * 2012-04-03 2012-05-14 엠피에스 주식회사 튜브 핀 결합체의 용접 장치
KR101466386B1 (ko) * 2013-08-27 2014-11-27 (주) 유광 고강도 금속 용접을 위한 열교환용 패널의 고정 지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1639A (zh) * 2022-04-19 2022-08-09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端板角柱搭接激光跟踪自动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935B1 (ko) 컨베이어벨트용 원단롤의 이송작업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한 전동식 리프트장치
CN112276590B (zh) 一种交叉杆全自动焊接系统及生产线
CN108233646A (zh) 一种电机转子自动装配生产线
CN104084857A (zh) 砖坯四面磨削装置
JP2015139862A (ja) 丸管の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CN109702404B (zh) 铝模板焊接筋条设备
KR101741674B1 (ko) 자동 용접 장치
CN211727881U (zh) 一种汽车零部件自动焊接搬运装置
KR102241657B1 (ko) 파이프 용접 와이어 커팅장치
CN212686831U (zh) 一种钢管传送顶升装置
CN113400019B (zh) 一种自动冲剪生产线
JP2004330200A (ja) 板曲げプレスの搬送装置
KR102285561B1 (ko) 피펫용 투명관 커팅장치
CN209754315U (zh) 激光切割机托料装置
CN110181205B (zh) 一种钢筋骨架片焊接生产线
KR101196226B1 (ko) 메탈시트 터닝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탈시트 검사장치
KR20160000271U (ko) 알루미늄 압출형재 양 끝단의 스크랩 부분 자동배출장치
CN209738302U (zh) 热熔粘合机
CN211707813U (zh) 一种钢管在线压槽设备
KR101581913B1 (ko) 세라믹 도포 성형시스템
CN113732917A (zh) 基于热沉片衬底的异形石墨型材缺陷处理设备
KR101760028B1 (ko) 철근 나사 가공장치
CN110681735A (zh) 一种用于焊接框架校型的检测装置
CN212686582U (zh) 一种钢管进料定位装置
CN215699420U (zh) 一种自动冲剪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