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368B1 - 소포장치 - Google Patents

소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368B1
KR101741368B1 KR1020160126875A KR20160126875A KR101741368B1 KR 101741368 B1 KR101741368 B1 KR 101741368B1 KR 1020160126875 A KR1020160126875 A KR 1020160126875A KR 20160126875 A KR20160126875 A KR 20160126875A KR 101741368 B1 KR101741368 B1 KR 10174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bbles
foam
tank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한
Original Assignee
이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한 filed Critical 이세한
Priority to KR102016012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8General arrangements, e.g. flow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소포장치는 배수구에서 배수될 때에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소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방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조 내에 거품제거조가 설치되고, 상기 거품제거조의 입구측에 배수구가 삽입되고, 상기 거품제거조 내에 다수의 거품제거구가 배열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에서 유출되는 방출수 내의 거품이 상기 거품제거구 내로 상승함과 아울러 그 밖의 방출수가 상기 거품제거조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품제거구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단부를 수면 위로 근접시키는 거품수집체, 다수의 관체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거품수집체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는 캡, 그리고 상기 캡에 형성된 다수의 관체설치구멍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거품수집체 내에서 상승하는 거품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공기배출관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전소와 공장 등의 배수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발생되는 거품이 거품제거구 내에서 상승하면서 거품의 크기가 커짐과 아울러 공기배출관체에 의해 거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거품이 제거되기 때문에, 유기물 등이 부착되더라도 공기 배출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을 크게 줄이면서 거품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소포장치{FOAM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소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와 공장 등의 배수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발생되는 거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소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과 같은 공장이나 발전소에서는 많은 양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를 통상 바다에 가까운 장소에 건설하여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한 뒤에 그 해수를 바다로 다시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냉각수의 배출 과정에서 거품이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해수 등과 같은 냉각수의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되며, 거품이 수면에 떠오르면서 순환계로는 배수구에서 해수가 방출될 때에 공기와 혼합해 많은 거품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거품은 수면에 떠오를 때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수중의 유기물이나 소수성 입자를 흡착해 변색하는 일이 있고 또, 수면으로 부상해도 소멸하지 않고 앞바다까지 흘러가는 일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161710로 공개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배수구에서 배수될 때에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소포장치에 대하여, 상기 배수구로부터 방수 방향으로 향한 방수로를 갖추어 방수로에는 상기 배수구에서 하류측에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가 형성되어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에 섬유장재를 얽히게 해 형성된 통수성 소재에 의해 양단이 통로 한 통 모양에 형성된 복수의 소포용 통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방수 방향을 향해서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의 폭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늘어놓는 것과 동시에 상하 방향 다단 배치에 배합해 형성되도록 하는 소포용 구조체를 수용해, 상기 배수구에서 상기 소포용 구조체를 통해 배수 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는 상류측보다 하류측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소포용 구조체는 상류측 단면의 단면적보다 하류측 단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는 상기 소포용 구조체의 외측을 덮어 씌운 보관유지용 바구니형태 설비를 갖추어 보관유지용 바구니형태 설비를 상기 방수로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에 섬유장재를 얽히도록 형성된 통수성 소재에 의해 양단이 통로 한 통 모양에 형성된 복수의 소포용 통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방수 방향을 향해서 소포용 구조체 수용부의 폭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늘어놓는 것과 동시에 상하 방향 다단 배치에 배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통수성 소재로 인하여 거품에서 발생되는 유기물 등이 부착되어 소포기능을 유지 시간이 짧아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소와 공장 등의 배수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발생되는 거품의 크기를 증대함과 아울러 거품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여 거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소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수구에서 배수될 때에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소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방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조 내에 거품제거조가 설치되고, 상기 거품제거조의 입구측에 배수구가 삽입되고, 상기 거품제거조 내에 다수의 거품제거구가 배열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에서 유출되는 방출수 내의 거품이 상기 거품제거구 내로 상승함과 아울러 그 밖의 방출수가 상기 거품제거조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소포장치를 제공한다.
더우기 상기 거품제거구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단부를 수면 위로 근접시키는 거품수집체, 다수의 관체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거품수집체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는 캡, 그리고 상기 캡에 형성된 다수의 관체설치구멍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거품수집체 내에서 상승하는 거품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공기배출관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공기수집체가 상기 캡의 상부면의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캡의 상부면과 공기수집체의 내부면 사이에 공기배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기가 상기 거품제거조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간과 송풍기 사이에 호스가 연결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기배출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공간 내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포장치는 발전소와 공장 등의 배수를 외부로 방출할 때에 발생되는 거품이 거품제거구 내에서 상승하면서 거품의 크기가 커짐과 아울러 공기배출관체에 의해 거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거품이 제거되기 때문에, 유기물 등이 부착되더라도 공기 배출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을 크게 줄이면서 거품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송풍기로 공기배출관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품의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자외선램프로 살균하여 공기수집체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하여 흘러내리게 하기 때문에, 유기물 등의 번식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포장치에 적용되는 거품제거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포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포장치에 적용되는 거품제거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포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소포장치는 발전소와 공장 등에서 방출하는 방출수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출수 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포장치는 배수조(1) 내의 거품제거조(2)에 다수의 거품제거구(3)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배수조(1)는 외부로 방출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방출수가 월류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배수조(1) 내에는 상기 거품제거조(2)가 설치되고, 상기 거품제거조(2) 내에는 다수의 거품제거구(3)가 배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수구(4)에서 유출되는 방출수 내의 거품이 상기 거품제거구(3) 내로 상승함과 아울러 그 밖의 방출수가 상기 거품제거조(3)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품제거구(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품수집체(31)와 캡(32), 다수의 공기배출관체(33)로 구성되며, 상기 거품수집체(31)는 상승하는 거품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기 위하여 하광상협의 형상 즉 아래쪽을 넓게 형성하고 위쪽을 좁게 형성되고, 상측 단부를 수면 위로 근접시키는 구조이고, 상기 캡(32)은 다수의 관체설치구멍(32a)이 형성되어 상기 거품수집체(31)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관체(33)는 상기 캡(32)에 형성된 다수의 관체설치구멍(32a)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거품수집체(31) 내에서 상승하는 거품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도면과 같이 크기가 커진 형태의 거품이 상승함에 따라 공기배출관체(33)에 하단부가 거품 내부로 삽입될 수 있어 거품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관체(33)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거품의 크기를 줄여서 거품을 제거하게 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소포장치는 배수구(4)에서 배출되는 용출수가 거품제거조(2)의 입구로 유입되어 이의 출구로 배출될 때, 용출수의 거품이 상승하게 되어 다수의 거품제거구(3)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거품이 거품수집체(31)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이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크기가 커진 거품에 공기배출관체(33)가 삽입되면서 거품의 표면을 이루는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거품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관체(33)를 통하여 이부로 배출되어 거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거품이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거품의 표면의 물에 의한 표면장력에 의해, 거품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관체(33)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으나, 보다 원활하게 거품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도 3과 도 4와 같이 상기 캡(32)의 구조를 개선하고 송풍기(5)를 이용하여 강제 송풍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캡(32)의 상부에는 측면에 배수구멍(34a)이 형성되는 공기수집체(34)가 상기 캡(32)의 상부면의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캡(32)의 상부면과 공기수집체의 내부면 사이에 공기배출공간(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공간(35)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기(5)가 상기 거품제거조(2)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간(35)과 송풍기(5) 사이에 호스(6)가 연결되어 송풍기(5)에 의해 공기배출공간(35)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는 거품에 의해 유기물 등의 번식이 발생될 수 있어 이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공기배출공간(35) 내에 자외선램프(7)가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송풍기(5)의 송풍력은 공기배출공간(35)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거품과 함께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지 못할 정도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소포장치는 배수구(4)에서 배출되는 용출수가 거품제거조(2)의 입구로 유입되어 이의 출구로 배출될 때, 용출수의 거품이 상승하게 되어 다수의 거품제거구(3)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거품이 거품수집체(31)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이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크기가 커진 거품에 공기배출관체(33)가 삽입되면서 거품의 표면을 이루는 물의 표면 장력과 송풍기(5)의 송풍력에 의해 거품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관체(33)를 통하여 공기배출공간(35)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거품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거품이 소멸하면서 발생되는 작은 양의 물은 공기수집구(34)의 배수구멍(34a)을 통하여 거품수집체(31)의 외부면을 경유하여 다시 거품제거조(2)의 출구측으로 흐르게 된다.
1 : 배수조 2 : 거품제거조
3 : 거품제거구 4 : 배수구
5 : 송풍기 6 : 호스
7 : 자외선램프 31 : 거품수집체
32 : 캡 32a : 관체설치구멍
33 : 공기배출관체 34 : 공기수집체
34a : 배수구멍 35 : 공기배출공간

Claims (4)

  1. 배수구에서 배수될 때에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소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방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조 내에 거품제거조가 설치되고, 상기 거품제거조의 입구측에 배수구가 삽입되고, 상기 거품제거조 내에 다수의 거품제거구가 배열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에서 유출되는 방출수 내의 거품이 상기 거품제거구 내로 상승함과 아울러 그 밖의 방출수가 상기 거품제거조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품제거구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단부를 수면 위로 근접시키는 거품수집체, 다수의 관체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거품수집체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는 캡, 그리고 상기 캡에 형성된 다수의 관체설치구멍에 각각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거품수집체 내에서 상승하는 거품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공기배출관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공기수집체가 상기 캡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캡의 상부면과 공기수집체의 내부면 사이에 공기배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기가 상기 거품제거조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간과 송풍기 사이에 호스가 연결되어 송풍기에 의해 공기배출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간 내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치.
KR1020160126875A 2016-09-30 2016-09-30 소포장치 KR101741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875A KR101741368B1 (ko) 2016-09-30 2016-09-30 소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875A KR101741368B1 (ko) 2016-09-30 2016-09-30 소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368B1 true KR101741368B1 (ko) 2017-06-15

Family

ID=5921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875A KR101741368B1 (ko) 2016-09-30 2016-09-30 소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59A (ko) * 2017-11-16 2019-05-24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수로 맨홀의 거품 비산 방지 장치
KR200496796Y1 (ko) * 2023-01-18 2023-04-26 정효덕 거품 제거 기능을 포함한 해수 살균 여과 장치
CN116173560A (zh) * 2023-03-07 2023-05-30 江苏海洋大学 一种聚羧酸减水剂单体生产用消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52A (ja) 2002-12-25 2004-07-22 Hotani:Kk 消泡装置
JP2005224680A (ja) 2004-02-12 2005-08-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消泡装置
JP2012161710A (ja) * 2011-02-03 2012-08-30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消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52A (ja) 2002-12-25 2004-07-22 Hotani:Kk 消泡装置
JP2005224680A (ja) 2004-02-12 2005-08-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消泡装置
JP2012161710A (ja) * 2011-02-03 2012-08-30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消泡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59A (ko) * 2017-11-16 2019-05-24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수로 맨홀의 거품 비산 방지 장치
CN109797843A (zh) * 2017-11-16 2019-05-24 韩国电力技术株式会社 用于防止泡沫从连接到排水管的人孔溢出的装置
KR102039628B1 (ko) * 2017-11-16 2019-11-01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수로 맨홀의 거품 비산 방지 장치
KR200496796Y1 (ko) * 2023-01-18 2023-04-26 정효덕 거품 제거 기능을 포함한 해수 살균 여과 장치
CN116173560A (zh) * 2023-03-07 2023-05-30 江苏海洋大学 一种聚羧酸减水剂单体生产用消泡装置
CN116173560B (zh) * 2023-03-07 2024-03-08 江苏海洋大学 一种聚羧酸减水剂单体生产用消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368B1 (ko) 소포장치
US9399200B2 (en) Foaming of liquids
CN101721842B (zh) 一种消泡装置
KR101770597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201572547U (zh) 一种消泡装置
KR200388784Y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20180061442A (ko)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CN102596374B (zh) 膜模块、膜单元和膜分离装置
RU14376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102382837B1 (ko) 오폐수용 사이클론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수질 감시장치
KR100681715B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JP6905586B2 (ja) 嫌気性浄化装置用の脱ガス装置
KR102211491B1 (ko) 조류 제거 선박
CA2513084C (en) Cleaning apparatus for exhaust system and method
KR102560450B1 (ko) 기포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53954B1 (ko) 벤츄리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제염장치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JP4106128B2 (ja) 上向流嫌気性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16019941A (ja) 流路洗浄装置及び流路洗浄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洗浄設備
JPH09299995A (ja) 下水汚泥処理における消泡装置
KR100979530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468992B1 (ko) 침전조내 미세 유기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조내 미세 유기성입자 분리방법
KR100265433B1 (ko) 무소음 중공사막 오수처리장치
JPH09103607A (ja) 深層曝気槽の消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