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668B1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0668B1 KR101740668B1 KR1020150168934A KR20150168934A KR101740668B1 KR 101740668 B1 KR101740668 B1 KR 101740668B1 KR 1020150168934 A KR1020150168934 A KR 1020150168934A KR 20150168934 A KR20150168934 A KR 20150168934A KR 101740668 B1 KR101740668 B1 KR 101740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
- light
- beam pattern
- unit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1S48/145—
-
- F21S48/12—
-
- F21S48/1305—
-
- F21S48/1388—
-
- F21W2101/02—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에서 반사된 광으로 인하여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에 의해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광 투과홀을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light interference due to light reflected from a len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reflector for forwardl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lens unit into which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shield unit is incident, wherein the shield unit includes a light transmission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lens unit passe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에서 반사된 광으로 인하여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light interference due to light reflected from a lens.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general,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kinds of vehicle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a neighboring vehicle or a pedestrian of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so that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can be easily recognized at night when traveling.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are mainly intended for lighting functions, and turn signal lamps, tail lamps, and brake lamps are mainly intended for signal functions.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Halogen)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을 갖추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utomotive lamps have generally used light sources such as halogen lamps or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s. Recently, however, they have not only reduced the size of automotive lamps, increased design freedom, The use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having economical efficiency has been rapidly increasing.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배광 조건을 포함한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 예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에 적합한 조도와 광 조사 범위가 요구된다.Vehicle lamps are designated by the regulations as standards including their installation standards and light distribution condition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fully utilized. For example, a lamp for a vehicle requires an illuminance and a light irradiation range suitable for each function.
차량용 램프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렌즈를 통해 투사되어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렌즈는 대부분의 광을 투과시키게 되나, 일부의 광은 렌즈의 입사면에서 반사되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과 광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In the vehicle lamp,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is projected through a lens to form a beam pattern. Most of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However, some light is reflected by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ens, Is likely to occur.
따라서, 렌즈에서 반사된 광으로 인하여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광 간섭이 발생되어 배광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in which optical interference of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due to light reflected from a lens is generated, thereby failing to satisfy a light distribution condi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로 입사되는 광 중 렌즈의 입사면에서 반사되는 광으로 인한 광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p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light interference caused by light reflected by an incident surface of a lens among lights incident on the len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에 의해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광 투과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lamp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reflector for forwardl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 shield unit for shielding a part of the generated light to form a beam pattern, and a lens unit through which th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shield unit is incident, wherein the shield unit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lens unit And includes a light transmission hol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렌즈로 입사된 광 중 렌즈의 입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광과 상호 광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렌즈의 입사면에서 반사된 광으로 인하여 배광 조건이 만족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mutual optical interference with light forming the beam pattern from the light reflected by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ens among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so that the light distribu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due to the light reflected by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ens It is effecti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hiel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hiel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shield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eam pattern formed by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tical path of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 유닛(100), 쉴드 유닛(200) 및 렌즈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도 3과 같이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조명 기능 및 신호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광원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 및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는 LED뿐만 아니라 LD(Laser Diode),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의 종류에 따라 광원 유닛(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LED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as at least one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광원들로 구성될 수 있다.Also, if the at least one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은 방열 유닛(4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서 LED가 사용되는 경우 가장 취약한 것은 온도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때 고온의 열이 함께 방출되고, 고온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라 LED의 발광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At least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열 유닛(400)으로서 히트 싱크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히트 싱크와 더불어 냉각 팬(미도시)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ink is used as the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을 마주보는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이 증착 또는 코팅된 반사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가 복수로 구성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의 개수는 광을 반사시키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가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가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발생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방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쉴드 유닛(200)은 광원 유닛(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hiel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am pattern formed by a shiel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200)은 제1 쉴드(210), 제2 쉴드(220) 및 광 투과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4 to 8, the
제1 쉴드(210)는 적어도 일부가 대략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쉴드(210)의 전단 양측은 렌즈 유닛(300)의 후방측 초점 또는 후방측 초점 부근을 따라 렌즈 유닛(300)의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제1 쉴드(210)는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도 8의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쉴드(210)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P1)을 "제1 빔 패턴"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이러한 제1 쉴드(210)는 제1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단차부(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부(211)는 렌즈 유닛(300)의 광축(Ax) 또는 광축(Ax)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쉴드(210)에서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차단된 광을 렌즈 유닛(300)으로 반사시켜 재사용되도록 하여 광 사용 효율이 높아지도록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이 증착 또는 코팅된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제2 쉴드(220)는 제1 쉴드(21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렌즈 유닛(300)으로 반사시켜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빔 패턴은 도 8과 같이 운전자의 시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도로 표지판 등의 용이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시그널 빔 패턴(P2)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빔 패턴이 로우 빔 패턴(P1)이고, 제2 빔 패턴이 시그널 빔 패턴(P2)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빔 패턴 및 제2 빔 패턴은 제1 쉴드(210) 및 제2 쉴드(220)의 위치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beam pattern is a low beam pattern P1 and the second beam pattern is a signal beam pattern P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am pattern and the second beam pattern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제2 쉴드(220)는 후단이 전단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쉴드(220)의 적어도 일면은 전술한 제1 쉴드(210)와 유사하게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도록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이 증착 또는 코팅된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쉴드(220)에서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면은 렌즈 유닛(300)의 광축(Ax) 또는 광축(Ax) 부근을 중심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며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을 반사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2 쉴드(220)에서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이때, 제2 쉴드(220)의 일면이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은 시그널 빔 패턴이 도로 표지판 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 영역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e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쉴드(220)의 후단 및 전단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광 조사 방향과 같은 방향이 전단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이 후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제2 쉴드(220)의 후단은 단차부(211)을 기준으로 제1 쉴드(210)의 높이가 높은 방향에 대응되는 일측이 타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1 쉴드(210)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제2 쉴드(220)의 후단 양측이 제1 쉴드(210)와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쉴드(21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광이 차단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유사한 이유로 낮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제2 쉴드(220)로 진행하는 광은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의 전단 일측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1 반사 플레이트(130)에 의해 반사된 광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렌즈 유닛(300)을 벗어나 진행하는 광을 제1 반사 플레이트(130)에 의해 제2 쉴드(220)로 진행하도록 하여 광 손실을 줄임으로써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light traveling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 플레이트(130)가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의 전단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 플레이트(130)의 형성 위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반사 플레이트(130)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제2 쉴드(220)의 형성 위치나 형성 방향 등도 달라질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광 투과홀(230)은 제1 쉴드(210) 및 제2 쉴드(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렌즈 유닛(300)의 광축(Ax) 또는 광축(Ax) 부근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투과홀(230)이 제1 쉴드(210)의 전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이러한 광 투과홀(230)은 렌즈 유닛(300)으로 입사되는 광 중 렌즈 유닛(300)에서 반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도록 하여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과의 광 간섭이 발생되어 배광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t least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다시 말해서, 렌즈 유닛(300)으로 입사되는 광의 대부분은 렌즈 유닛(300)을 투과하여 진행하게 되나 일부의 광은 렌즈 유닛(300)의 입사면에서 반사될 수 있으며, 렌즈 유닛(300)의 입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광 투과홀(230)로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렌즈 유닛(300)에서 반사된 광과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광 간섭이 발생되어 배광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mos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예를 들어,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과 렌즈 유닛(300)에서 반사된 광이 상호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조도가 균일하지 않거나 필요로 하는 조도를 충족시키기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유닛(300)에서 반사된 광이 광 투과홀(230)을 통해 진행하도록 하여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 투과홀(230)이 제1 쉴드(210)의 전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은 빔 패턴의 핫존(즉,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광이 제1 쉴드(210)의 전단 중앙부를 통과하고 제1 쉴드(210)의 나머지 부분이 빔 패턴의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핫존을 형성하는 광이 렌즈 유닛(300)에 의해 반사된 광과 광 간섭이 발생할 경우 충분한 조도를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광 투과홀(230)의 외주단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 투과홀(230)로 진행하는 광을 하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 플레이트(231)가 형성되어 광 투과홀(230)로 진행하는 광이 다시 렌즈 유닛(300)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
한편, 광 투과홀(230)은 렌즈 유닛(300)의 광축(Ax) 또는 광축(Ax) 부근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쉴드(220)의 후단이 단차부(211)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transmission holes 230 may have different areas on both sides of the optical axis Ax or the optical axis Ax of the
렌즈 유닛(300)은 렌즈(310) 및 렌즈 홀더(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홀더(320)는 렌즈(310)를 지지하는 동시에 광원 유닛(100)과 결합되어 그 내부에 쉴드 유닛(20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 홀더(320)가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이 위치하는 방열 유닛(400)과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 홀더(320)는 별도의 결합 부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 경로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optical path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및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의 광(L1)은 제1 쉴드(210)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어 전술한 도 8의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하게 된다.9, at least a part of light L1 of the ligh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일부의 광(L2)은 제1 반사 플레이트(130) 및 제2 쉴드(220)에 의해 반사되고, 제2 쉴드(22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310)로 입사되어 전술한 도 8의 시그널 빔 패턴(P2)을 형성하게 된다.A part of the light L2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이때, 렌즈(300)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의 광(L3)은 렌즈(310)의 입사면에서 반사되어 광 투과홀(230)로 진행하게 되고, 광 투과홀(230)로 진행한 광은 제2 반사 플레이트(231)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과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light L3 incident o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과 렌즈(310)의 입사면에서 반사된 광의 광 간섭이 발생하여 배광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광원 유닛
110: 광원
120: 리플렉터
130: 제1 반사 플레이트
200: 쉴드 유닛
210: 제1 쉴드
220: 제2 쉴드
230: 광 투과홀
231: 제2 반사 플레이트
300: 렌즈 유닛
310: 렌즈
320: 렌즈 홀더100: Light source unit
110: Light source
120: Reflector
130: first reflection plate
200: Shield unit
210: first shield
220: Second shield
230: light transmission hole
231: second reflection plate
300: lens unit
310: lens
320: Lens holder
Claims (12)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에 의해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는 광 투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홀의 외주단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유닛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 투과홀로 진행하는 광을 하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reflector for forwardl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 shield unit for shielding a part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form a beam pattern; And
And a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shield unit is incident,
The shield unit includes:
And a light transmission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lens unit passes,
And a reflection plate which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light transmission hole and reflects downward light reflected by the lens unit and traveling to the light transmission ho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reflector comprises: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reflectors include:
A lamp for a vehicle formed integrally.
상기 광 투과홀은,
상기 렌즈 유닛의 광축 또는 광축 부근을 기준으로 양측 면적이 서로 다른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Wherein a side surface area of the lens unit is different from an optical axis or a vicinity of an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상기 쉴드 유닛은,
제1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쉴드; 및
상기 제1 쉴드의 전방에 위치하여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 unit includes:
A first shield for forming a first beam pattern; And
And a second shield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hield to form a second beam pattern.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이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시그널 빔 패턴인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beam pattern comprises:
Low beam pattern,
Wherein the second beam pattern comprises:
Vehicle lamp with signal beam pattern.
상기 제1 쉴드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쉴드는,
상기 제1 쉴드에 인접한 일단이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상기 제1 쉴드와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hield
At least a part of which has a horizontal plate shape,
A stepped portion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eam pattern has a different height according to a cut-off line of the first beam pattern,
The second shield
Wherein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shield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first shiel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tepped portion.
상기 제2 쉴드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쉴드에 인접한 일단이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hield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shiel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상기 제2 쉴드는,
일면이 상기 렌즈 유닛의 광축 또는 광축 부근을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hield
Wherein one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bout an optical axis or a vicinity of an optical axis of the lens unit.
상기 제2 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의 일측에 형성된 반사 플레이트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 유닛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hield
And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reflector toward the lens un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의 일측에 형성된 반사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의 상측 전단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flector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reflect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front ends of the at least one reflector is formed at least in part.
상기 광 투과홀의 외주단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반사 플레이트는,
상기 광 투과홀의 하측 외주단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flection plat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light transmission hole,
And extending downward from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light transmission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8934A KR101740668B1 (en) | 2015-11-30 | 2015-11-30 | Lamp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8934A KR101740668B1 (en) | 2015-11-30 | 2015-11-30 | Lamp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0668B1 true KR101740668B1 (en) | 2017-06-08 |
Family
ID=5922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8934A KR101740668B1 (en) | 2015-11-30 | 2015-11-30 | Lamp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066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862B1 (en) * | 2012-11-08 | 2014-04-08 |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 Automotive lamp assembly |
-
2015
- 2015-11-30 KR KR1020150168934A patent/KR1017406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862B1 (en) * | 2012-11-08 | 2014-04-08 |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 Automotive lamp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459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1959805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470446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1381862B1 (en) | Automotive lamp assembly | |
KR102463275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099792B1 (en) | Head lamp for vehicles | |
KR20150131787A (en) | Lamp for vehicle | |
KR101600564B1 (en) | Automotive lamp | |
KR102446505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150051672A (en) | Lamp for vehicle | |
KR20140133063A (en) | Automotive lamp assembly | |
KR101740668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446512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170063035A (en) | Lamp for vehicle | |
KR102311775B1 (en) | Lamp module for vehicle | |
KR20160148354A (en) | Lamp for vehicle | |
KR101807120B1 (en) | Head lamp for vehicle | |
KR101744624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150068118A (en) | Head lamp for vehicles | |
KR102724567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409841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714196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031834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435180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1968663B1 (en) | Lamp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