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376B1 -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76B1
KR101740376B1 KR1020160074403A KR20160074403A KR101740376B1 KR 101740376 B1 KR101740376 B1 KR 101740376B1 KR 1020160074403 A KR1020160074403 A KR 1020160074403A KR 20160074403 A KR20160074403 A KR 20160074403A KR 101740376 B1 KR101740376 B1 KR 10174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lange
sludge
settl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관
Original Assignee
(주)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텍 filed Critical (주)지텍
Priority to KR102016007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침전지의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를 물의 위치에너지 차이에 의한 사이폰 원리를 이용하여 흡입 수집하도록 할 때 침전지의 깊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물의 압력에 의해 침전지 내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두차에 의해 침전지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전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서 침전지의 바닥으로 고정되며, 침전지의 내벽과 인접한 곳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과, 하단은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의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바가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접촉하면 회전하여 와이어를 당기도록 하는 회전판넬이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끝단과 이격된 상부 침전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반전로울러와, 상기 반전로울러가 장착된 반대측 내벽면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연장된 후 상기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침전지의 내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와이어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하여 연동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동일한 축에 장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와이어풀리와, 상기 제1 와이어풀리와이어풀리부에 이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여 이송와이어가 제1 와이어풀리와 동시에 수 회 감기도록 하는 제2 와이어풀리와, 하단은 상기 제2 와이어풀리의 축이 장착되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와이어풀리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구와,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당겨질 때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와;
저면에 장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쌍 이상의 측면 가이드로울러와, 상면에서 하단이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상부 가이드로울러와,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이송와이어의 두 끝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이송와이어 고정고리를 구비하는 이동대차와;
중앙이 상기 이동대차의 상면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 침전지의 바닥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과, 상부에 흡입된 슬러지를 수거 배출하도록 일측이 연결되는 플렉시블관과, 양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는 침전지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 위에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중량체의 슬라이딩블록이 형성되는 슬러지 흡입관과;
일측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플렌지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렌지와, 일측으로 제1 플렌지가 삽입된 후 끝단이 걸리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걸림단턱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플렌지부를 구비하는 제2 플렌지와, 상기 제1 플렌지의 외경과 제2 플렌지의 내경이 밀착하는 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다수의 볼이 삽입되는 한 쌍의 볼안착홈과, 한 쌍의 상기 볼안착홈의 인접한 양측에 실링이 삽입되는 실링홈과, 상기 제2 플렌지의 외면에서 상기 볼안착홈으로 볼 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하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과, 상기 나사홀을 통하여 다수의 볼을 삽입한 후 나사홀을 마감하는 마감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렉시블관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렌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The wirerope pulltype siphon 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침전지의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를 물의 위치에너지 차이에 의한 사이폰 원리를 이용하여 흡입 수집하도록 할 때 침전지의 깊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장치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를 포함하는 각종 오폐수를 정화하는 과정과 강물이나 댐의 물을 수돗물로 정화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중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침전하도록 하여 제거하는 침전지는 거의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침전지에서 침전된 이물질은 물이 혼합된 상태로 슬러지라 불리는데 침전지에서 지속적인 처리에 따라 바닥에서는 슬러지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침전지의 처리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처음에는 침전지의 물을 빼고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슬러지를 제거하는 시간 동안 가동이 중지되어 가동률이 떨어지고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악취 및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된 환경에서의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슬러지를 수집하여 분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어 장착되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장치는 대차 방식과 플레이트 방식의 수집기라고 할 수 있으며, 대차 방식은 침전지의 바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 위에 놓여진 대차는 견인로프에 의해 이동할 때 대차에 구비된 스크레퍼가 슬러지를 바닥 일측에 형성되는 슬러지 배출조 수집하면 수집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조에 설치된 배출스크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차가 슬러지를 긁어 모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 때문에 이탈하게 되면 침전지의 물을 뺀 후 수리해야하며 슬러지를 긁는 도중 및 배출스크류의 가동과정에서 슬러지가 부양하는 단점이 있다.
플레이트 방식의 수집기는 침전지 내에서 스프라켓을 매개로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는 체인 상에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조에 모으는 판형의 플라이트가 다수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슬러지를 수집한 후 상승하는 플레이트와 슬러지 배출조에 설치된 배출스크류 또는 배출 펌프의 가동에 슬러지가 부양하고, 플레이트가 장착된 양측 체인의 장력이 다르게 작용하면 틀어지는 등의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슬러지가 부양하게 되는 대차 방식과 플레이트 방식 수집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사이폰식 슬러지 수집기가 있으며, 침전지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침전지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이동대차에 슬러지 흡입관이 횡으로 배치되어 이동대차의 움직임에 따라 침전지 바닥의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슬러지 수집기는 특성상 이상이 발생하면 침전기의 물을 뺀 후 수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치의 개선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82910-0000호 (2000년03월10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08447-0000호 (2003년11월24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50171-0000호 (2008년07월28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9938-0000호 (2005년07월06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21010-0000호 (2014년07월13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대차를 움직이는 이송와이어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슬러지 흡입관에서 슬러지를 흡입하는 플렉시블관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슬러지 흡입관이 장착된 이동대차가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동대차의 슬러지 흡입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흡입홀로 슬러지가 안정적으로 유도되어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의 압력에 의해 침전지 내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두차에 의해 침전지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전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서 침전지의 바닥으로 고정되며, 침전지의 내벽과 인접한 곳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과, 하단은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의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바가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접촉하면 회전하여 와이어를 당기도록 하는 회전판넬이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끝단과 이격된 상부 침전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반전로울러와, 상기 반전로울러가 장착된 반대측 내벽면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연장된 후 상기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침전지의 내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와이어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하여 연동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동일한 축에 장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와이어풀리와, 상기 제1 와이어풀리의 수직 하부에 이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여 이송와이어가 제1 와이어풀리와 동시에 수 회 감기도록 하는 제2 와이어풀리와, 하단은 상기 제2 와이어풀리의 축이 장착되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와이어풀리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구와,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당겨질 때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와;
저면에 장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쌍 이상의 측면 가이드로울러와, 상면에서 하단이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상부 가이드로울러와,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이송와이어의 두 끝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이송와이어 고정고리를 구비하는 이동대차와;
중앙이 상기 이동대차의 상면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 침전지의 바닥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과, 상부에 흡입된 슬러지를 수거 배출하도록 일측이 연결되는 플렉시블관과, 양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는 침전지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 위에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중량체의 슬라이딩블록이 형성되는 슬러지 흡입관과;
일측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플렌지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렌지와, 일측으로 제1 플렌지가 삽입된 후 끝단이 걸리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걸림단턱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플렌지부를 구비하는 제2 플렌지와, 상기 제1 플렌지의 외경과 제2 플렌지의 내경이 밀착하는 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다수의 볼이 삽입되는 한 쌍의 볼안착홈과, 한 쌍의 상기 볼안착홈의 인접한 양측에 실링이 삽입되는 실링홈과, 상기 제2 플렌지의 외면에서 상기 볼안착홈으로 볼 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하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과, 상기 나사홀을 통하여 다수의 볼을 삽입한 후 나사홀을 마감하는 마감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렉시블관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렌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당겨질 때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침전지의 내벽과 인접한 곳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과, 하단은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의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바가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접촉하면 회전하여 와이어를 당기도록 하는 회전판넬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흡입관의 저면 인접한 흡입홀 사이에는 대칭되는 양측 모서리가 상기 흡입홀 방향으로 형성되는 마름모꼴의 가이드블록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와이어풀리와 제2 와이어풀리의 사이에서 이송와이어가 여러 번 권취되는 구조를 가지고 제1 및 제2 와이어풀리 상호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와이어의 장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이동대차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플렉시블관의 연결부를 회전플렌지로 구성하여 플레시블관의 꼬임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없이 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침전지의 가동중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 흡입관의 흡입홀 사이에 마름모꼴의 가이드블록을 장착하여 이동에 따라 슬러지가 흡입홀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러가자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흡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대차 및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대차 및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플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플렌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저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로서, 물의 압력에 의해 침전지(1) 내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두차에 의해 침전지(1)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2)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전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서 침전지(1)의 바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1)이 침전지(1)의 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일측 끝단과 이격된 상부 침전지(1)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반전로울러(221)와, 상기 반전로울러(221)가 장착된 반대측 내벽면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로울러(222)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로울러(222)에 의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연장된 후 상기 안내로울러(222)에 의하여 침전지(1)의 내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와이어(22)가 설치되어 구동부(23)에 의하여 순환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이동대차(24)는 일정 구간마다 이송와이어(22)와 연결되어 각 구간별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동부(23)가 제어하면 슬러지 흡입관(25)은 슬러지를 흡입하여 수집하게 되는게 흡입된 슬러지는 플렉시블관(252)에 의하여 수집 배출된다.
이때 본원의 플렉시블관(252)은 이동하는 이동대차(24)의 움직임에도 유동하면서 때론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후술할 회전플렌지(26)은 이러한 플렉시블관(26)에 회전모멘트가 작용하여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모터(23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232)과, 상기 구동스프라켓(232)과 체인(233)을 통하여 연동하는 종동스프라켓(234)과, 상기 종동스프라켓(234)과 동일한 축에 장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22)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와이어풀리(235)와, 상기 제1 와이어풀리(235)의 수직 하부에 이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22)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여 이송와이어(22)가 제1 와이어풀리(235)와 동시에 수 회 감기도록 하는 제2 와이어풀리(236)와, 하단은 상기 제2 와이어풀리(236)의 축이 장착되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와이어풀리(236)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와이어(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구(2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23)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구동부(23)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단일 풀리에 한번 감겨 이송와이어(22)를 움직이려할 경우 마찰력이 작아 미끄러지면서 힘의 손실이 크고 정확한 거리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어려우며 최초 가동이나 방향전환시에 장력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 것이다.
즉 이송와이어(22)가 제1 및 제2 와이어풀리(235, 236)를 동시에 수회 감기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되 홈이 형성되어 인접한 이송와이어(22)와의 접촉이 없어 안정적인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원에서는 장력조절구(237)를 구비하여 제2 와이어풀리(236)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이때 장력조절구(237)는 상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하며 결합된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2 와이어풀리(236)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대차 및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대차 및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저면도로서, 저면에 장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양측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쌍 이상의 측면 가이드로울러(241)와, 상면에서 하단이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상부 가이드로울러(242)와,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이송와이어(22)의 두 끝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이송와이어 고정고리(243)를 구비하는 이동대차(24)와;
중앙이 상기 이동대차(24)의 상면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 침전지(1)의 바닥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251)과, 상부에 흡입된 슬러지를 수거 배출하도록 일측이 연결되는 플렉시블관(252)과, 양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는 침전지(1)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 위에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중량체의 슬라이딩블록(254)이 형성되는 슬러지 흡입관(25) 및 회전플렌지(26)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이동대차(24)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 및 상부 가이드로울러(241, 242)의 외면은 상기 가이드레일(21)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하여 작동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측면 가이드로울러(241)는 상부 가이드로울러(242)와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면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슬라이딩블록(254)이 형성된 부분에 로울러를 장착한 경우가 있으나 슬러지로 인하여 로울러가 회전하기 힘든 환경이며 슬러지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슬러지 흡입관(25)의 양측이 상부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쉽게 미끄러지면서 무거운 중량체를 슬라이딩블록(254)으로 할 경우 슬러지 또는 침전지(1)의 바닥면에서 안정적으로 큰 마찰없이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슬러지 흡입관(25)의 양측이 상부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플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플렌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일측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플렌지부(261)를 구비하는 제1 플렌지(26a)와, 일측으로 제1 플렌지(26a)가 삽입된 후 끝단이 걸리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걸림단턱(262)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플렌지부(263)를 구비하는 제2 플렌지(26b)와, 상기 제1 플렌지(26a)의 외경과 제2 플렌지(26b)의 내경이 밀착하는 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다수의 볼(264)이 삽입되는 한 쌍의 볼안착홈(265)과, 한 쌍의 상기 볼안착홈(265)의 인접한 양측에 실링(266)이 삽입되는 실링홈(267)과, 상기 제2 플렌지(26b)의 외면에서 상기 볼안착홈(265)으로 볼(264) 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하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268)과, 상기 나사홀(268)을 통하여 다수의 볼(264)을 삽입한 후 나사홀(268)을 마감하는 마감볼트(26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렉시블관(252)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렌지(26)를 나타내었다.
상기 회전플렌지(26)는 플렉시블관(252)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회전플렌지(26)를 장착한 후 장착 대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 플렌지(26a)와 제2 플렌지(26b)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두 결합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1 플렌지(26a)를 걸림단턱(262)에 걸리도록 밀어 넣어 조립하고 나사홀(268)을 통하여 쇠구슬 즉 볼(264)을 볼안착홈(265)에 꽉차도록 넣은 후 마감볼트(269)를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구동부(23)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238)가 당겨질 때 모터(231)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리미트스위치(239)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1)에는 침전지(1)의 내벽과 인접한 곳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211)과, 하단은 상기 고정축(2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238)의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대차(24)의 상부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바(244)가 이동대차(24)의 이동에 따라 접촉하면 회전하여 와이어(238)를 당기도록 하는 회전판넬(212)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때 리미트스위치(239)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하였다.
본원의 이송와이어(22)는 온도에 따라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구동부(23)의 이송와이어(22)가 감긴 제1 및 제2 와이어풀리(235, 236)에서 작동중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이송와이어(22)의 지정점 위치에 의한 이동대차(24)의 정확한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오폐수의 경우 전자/전기 방식으로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것 또한 곤란한 상황에서 외부에 노출된 리미트스위치(239)를 제외한 부분은 순순한 기계식으로 하되 간단하고 견고한 구성으로 이동대차(24)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한 구성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흡입관을 나타낸 저면도로서, 상기 슬러지 흡입관(25)의 저면 인접한 흡입홀(251) 사이에는 대칭되는 양측 모서리가 상기 흡입홀(251) 방향으로 형성되는 마름모꼴의 가이드블록(253)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흡입홀(251)이 슬러지 흡입관(25)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어 물과 혼합된 부드러운 뻘과 같은 슬러지는 한 곳만 쌓이지 않고 퍼지는 성질이 있어 대부분의 슬러지를 흡입할 수 있으나 슬러지에 무거운 입자는 쉽게 이동하지 않아 흡입이 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블록(253)은 흡입홀(251)과 떨어진 슬러지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1 : 침전지
2 : 슬러지 수집기
21 : 가이드레일
211 : 고정축 212 : 회전판넬
22 : 이송와이어
221 : 반전로울러 222 : 안내로울러
23 : 구동부
231 : 모터 232 : 구동스프라켓
233 : 체인 234 : 종동스프라켓
235 : 제1 와이어풀리 236 : 제2 와이어풀리
237 : 장력조절부 238 : 와이어
239 : 리미트스위치
24 : 이동대차
241 : 측면 가이드로울러 242 : 상부 가이드로울러
243 : 이송와이어 고정고리 244 : 누름바
25 : 슬러지 흡입관
251 : 흡입홀 252 : 플렉시블관
253 : 가이드블록 254 : 슬라이딩블록
26 : 회전플렌지
26a : 제1 플렌지 26b : 제2 플렌지
261 : 제1 플렌지부 262 : 걸림단턱
263 : 제2 플렌지부 264 : 볼
265 : 볼안착홈 266 : 실링
267 : 실링홈 268 : 나사홀
269 : 마감볼트

Claims (3)

  1. 삭제
  2. 물의 압력에 의해 침전지(1) 내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두차에 의해 침전지(1)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전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서 침전지(1)의 바닥으로 고정되며, 침전지(1)의 내벽과 인접한 곳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211)과, 하단은 상기 고정축(2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와이어(238)의 하단에 연결되며 이동대차(24)의 상부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바(244)가 이동대차(24)의 이동에 따라 접촉하면 회전하여 와이어(238)를 당기도록 하는 회전판넬(212)이 장착되는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일측 끝단과 이격된 상부 침전지(1)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반전로울러(221)와, 상기 반전로울러(221)가 장착된 반대측 내벽면에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로울러(222)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로울러(222)에 의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연장된 후 상기 안내로울러(222)에 의하여 침전지(1)의 내벽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와이어(22)와;
    모터(23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232)과, 상기 구동스프라켓(232)과 체인(233)을 통하여 연동하는 종동스프라켓(234)과, 상기 종동스프라켓(234)과 동일한 축에 장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22)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는 제1 와이어풀리(235)와, 상기 제1 와이어풀리(235)의 수직 하부에 이격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이송와이어(22)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여 이송와이어(22)가 제1 와이어풀리(235)와 동시에 수 회 감기도록 하는 제2 와이어풀리(236)와, 하단은 상기 제2 와이어풀리(236)의 축이 장착되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와이어풀리(236)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와이어(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구(237)와,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238)가 당겨질 때 모터(231)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리미트스위치(2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23)와;
    저면에 장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양측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쌍 이상의 측면 가이드로울러(241)와, 상면에서 하단이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상부 가이드로울러(242)와, 상면 전방과 후방에는 이송와이어(22)의 두 끝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이송와이어 고정고리(243)를 구비하는 이동대차(24)와;
    중앙이 상기 이동대차(24)의 상면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 침전지(1)의 바닥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복수 개의 흡입홀(251)과, 상부에 흡입된 슬러지를 수거 배출하도록 일측이 연결되는 플렉시블관(252)과, 양측 끝단에 인접하여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는 침전지(1)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 위에서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는 중량체의 슬라이딩블록(254)이 형성되는 슬러지 흡입관(25)과;
    일측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플렌지부(261)를 구비하는 제1 플렌지(26a)와, 일측으로 제1 플렌지(26a)가 삽입된 후 끝단이 걸리도록 내경이 축소되는 걸림단턱(262)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플렌지부(263)를 구비하는 제2 플렌지(26b)와, 상기 제1 플렌지(26a)의 외경과 제2 플렌지(26b)의 내경이 밀착하는 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다수의 볼(264)이 삽입되는 한 쌍의 볼안착홈(265)과, 한 쌍의 상기 볼안착홈(265)의 인접한 양측에 실링(266)이 삽입되는 실링홈(267)과, 상기 제2 플렌지(26b)의 외면에서 상기 볼안착홈(265)으로 볼(264) 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하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홀(268)과, 상기 나사홀(268)을 통하여 다수의 볼(264)을 삽입한 후 나사홀(268)을 마감하는 마감볼트(26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렉시블관(252)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플렌지(2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3. 삭제
KR1020160074403A 2016-06-15 2016-06-15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KR10174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03A KR101740376B1 (ko) 2016-06-15 2016-06-15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03A KR101740376B1 (ko) 2016-06-15 2016-06-15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376B1 true KR101740376B1 (ko) 2017-05-29

Family

ID=5905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03A KR101740376B1 (ko) 2016-06-15 2016-06-15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38Y1 (ko) * 2005-05-02 2005-07-18 정용관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KR100808469B1 (ko) * 2007-05-30 2008-03-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1313320B1 (ko) * 2012-03-05 2013-09-30 주식회사성우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38Y1 (ko) * 2005-05-02 2005-07-18 정용관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KR100808469B1 (ko) * 2007-05-30 2008-03-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1313320B1 (ko) * 2012-03-05 2013-09-30 주식회사성우 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41B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78337B1 (ko) 커버가 부착된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0894174B1 (ko) 오니 수집장치
CN211863980U (zh) 矩形沉淀池刮泥及排渣设备
KR20090117030A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944815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0852459B1 (ko) 침전지 경사판 사이의 누적 이물질 및 슬러지 제거 청소장치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US4005019A (en) Gravitational separator
KR101740376B1 (ko) 와이어로프 견인식 사이폰 슬러지 수집기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CN209500904U (zh) 一种便于清理池底污泥的沉淀池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KR20060118767A (ko) 연속회분식 반응조의 처리수 배출장치
JP5828160B2 (ja) 沈澱物除去装置
KR100890554B1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EP0607436B1 (en) Scum removing device
KR100605742B1 (ko) 굴절식 경사판과 이를 이용한 침강장치
KR100337593B1 (ko) 폐수처리에 있어 윈치와이어 구동에 의한 바 스크린장치
KR100232721B1 (ko) 쎈터레일식 슬러지 제거 및 대차위치 검출장치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KR100911124B1 (ko) 슬러지 수집장치
CN217961417U (zh) 一种适用于沉淀池的浮渣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