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005B1 -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005B1
KR101740005B1 KR1020170011869A KR20170011869A KR101740005B1 KR 101740005 B1 KR101740005 B1 KR 101740005B1 KR 1020170011869 A KR1020170011869 A KR 1020170011869A KR 20170011869 A KR20170011869 A KR 20170011869A KR 101740005 B1 KR101740005 B1 KR 10174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ction
central control
led
control sig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종
정용덕
Original Assignee
김필종
정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종, 정용덕 filed Critical 김필종
Priority to KR102017001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LED 패널; 및 상기 LED 패널을 카드섹션 정보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MULTI FUNCTIONAL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LED 패널을 점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서는 전통적인 응원 방법 중 하나로 카드섹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카드섹션은 복수의 색상 카드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종래 카드섹션에서는 관람자가 현장요원의 지시 등에 따라 직접 색상 카드를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다채로운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연습을 통해 관람자의 숙련도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카드섹션은 홈팀의 사기를 북돋우고 상대팀에게 위압감을 주는 등의 탁월한 응원 효과에도 불구하고 골수 팬들이 많이 참석하는 극히 일부 경기장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휴대용 기기 등을 활용한 카드섹션 기술이 일부 개발되고 있지만, 관람자가 직접 위치 정보를 입력하거나 휴대용 기기 등을 소지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여 경기 또는 공연에만 완전히 집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충분한 숫자의 관람자가 확보되지 않는 비인기 경기 또는 공연에서는 카드섹션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7383호(2015.10.20,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LED 패널을 점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LED 패널; 및 상기 LED 패널을 카드섹션 정보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드섹션 정보는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LED 패널별 점등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람석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LED 패널을 그룹별로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P 주소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 패널을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복수의 관람석이 배치되는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경기장 또는 공연장의 중앙통제실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박스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통제실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의 전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카드섹션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장치가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의 일부만을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있는 현장요원이 소지하고,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카드섹션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드섹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는 상기 LED 패널은 상기 경기장 또는 공연장의 일부 영역에 한정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있는 관람자 또는 현장요원이 소지하고, 상기 복수의 관람석 중 상기 관람자 또는 현장요원이 점등시키고자 하는 상기 관람석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LED 패널은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 좌우 양단에서 각각 상향 연장되는 기둥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LED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LED 패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복수의 LED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변환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상기 LED 모듈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면을 감싸도록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향 이동시키는 전자석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앙제어장치에서 생성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LED 패널을 점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관람자가 직접 색상 카드를 들어올리거나 휴대용 기기 등을 소지 또는 휴대용 기기 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관람자가 소지한 색상 카드 또는 휴대용 기기 등이 아닌 관람석에 미리 설치된 LED 패널을 사용하여 카드섹션을 구현함으로써, 충분한 숫자의 관람자가 확보되지 않는 비인기 경기 또는 공연에서도 카드섹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카드섹션 이미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카드섹션 이미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관람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C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D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면이 보호커버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카드섹션 이미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카드섹션 이미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LED 패널(100), 중앙제어장치(200), 복수의 제어박스(300), 컴퓨터(400) 및 휴대용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LED 패널(100)은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관람석(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중앙제어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소등하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00)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의 조명, 전기기계 장치 등을 통제하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10) 내의 중앙통제실(30)에 설치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00)는 복수의 LED 패널(100)을 카드섹션 정보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LED 패널(10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섹션 정보는 복수의 LED 패널(100)에 의해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LED 패널(100)의 점등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섹션 정보는 복수의 LED 패널(100)에 의해 숫자, 문자, 도형 등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특정 위치에 배치된 관람석(20)에 결합된 LED 패널(100)만을 흰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카드섹션 정보는 컴퓨터(400) 또는 휴대용 단말기(500)를 통해 중앙제어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박스(300)는 복수의 관람석(20)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관람석(20)에 설치된 LED 패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람석(20)이 계단식으로 배치된 경우에 동일 높이, 즉 하나의 열에 배치되는 관람석(20)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고, 하나의 제어박스(300)는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관람석(20)에 설치된 LED 패널(100)만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예를 들어 5개의 관람석(20)이 하나의 그룹으로 묶일 수 있다.
제어박스(300)에는 중앙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P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제어박스(300)는 중앙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박스(300)가 제어하는 LED 패널(100)을 점등시킬 수 있다.
제어박스(300)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10), 구체적으로 관람자 이동 통로 또는 관람자 이동 통로에 인접한 관람석(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300)는 관람석(20)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써 해당 제어박스(300)가 제어하는 LED 패널(10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박스(300)는 일 예시로서 LED 패널(100)을 직접 점등시킬 수도 있고, 다른 예시로서 관람석(20)에 각각 배치되어 LED 패널(100)을 직접 제어하는 서브 제어박스를 통해 LED 패널(100)을 간접적으로 점등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서브 제어박스에는 제어박스(300)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P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중앙제어장치(200)는 제어신호를 제어박스(300)에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의 크기를 고려하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400)는 중앙통제실(30)에 설치될 수 있고, 카드섹션 정보를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방식으로 중앙제어장치(200)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400)를 통해 제공되는 카드섹션 정보는 복수의 LED 패널(100)의 전부를 사용하여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통제실 요원은 컴퓨터(400)를 사용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의 전체 영역(A)에서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500)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에 있는 현장요원, 예를 들어 응원단장이 소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500)는 응원단장이 카드섹션 정보를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중앙제어장치(200)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500)를 통해 제공되는 카드섹션 정보는 복수의 LED 패널(100)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500)를 통해 제공되는 카드섹션 정보에 따라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는 LED 패널(100)은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의 일부 영역에 상호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응원단장은 휴대용 단말기(500)를 사용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의 일부 영역, 예를 들어 각 팀 지정 관람석이 설치된 영역(B)에서 현장 분위기 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응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00)는 컴퓨터(400)에서 제공되는 카드섹션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500)에서 제공되는 카드섹션 정보가 동시에 수신되면 나중에 수신된 카드섹션 정보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500)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에 있는 관람자 또는 현장요원, 예를 들어 맥주 보이 등의 서비스요원이 소지할 수도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500)는 관람자 또는 서비스요원이 소유하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람자 또는 서비스요원은 휴대용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점등시키고자 하는 관람석(20)의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중앙제어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관람석(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관람석(20)에 설치되는 LED 패널(100)만을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관람자 또는 현장요원이 점유 또는 찾아가려고 하는 관람석(20)의 위치를 용이하게 표시 또는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관람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C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관람석(20)의 등받이(21)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하나의 기둥(110)이 상향 연장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기둥(110)의 상단에는 LED 패널(100)이 결합될 수 있다. LED 패널(100)은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등받이(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결과 관람석(20)에 착석한 관람자의 신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된다. 특히, LED 패널(100)은 관람자의 머리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관람자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관람석(20)에 결합되는 2개의 LED 패널(100)은 제어신호에 따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관람석(20)에 결합되는 2개의 LED 패널(100)은 동시에 점등하거나 동시에 소등할 수 있다.
확산커버(120)는 LED 패널(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LED 패널(100)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확산커버(120)는 LED 패널(100)에서 조사되는 빛을 복수의 LED 패널(100)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LED 패널(100)이 뒤에 앉은 관람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복수의 LED 패널(100) 사이의 공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LED 패널(100)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커버(120)에 의해 복수의 LED 패널(100)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됨으로써 복수의 LED 패널(100)에 의해 구현되는 카드섹션 이미지 내에서 복수의 LED 패널(1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불연속적으로 끊어져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130)은 관람석(20)에 결합되어 LED 모듈(100)에 공급될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130)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cell)을 포함하여 공연 또는 경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낮 시간대에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130)은 관람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태양의 빛 에너지에 전면적으로 노출되는 관람석(20)의 등받이(2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LED 모듈(100)에 필요한 전기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10)의 교류 전원 케이블을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충전지(140)는 태양전지 모듈(130)에서 변환되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전기를 LED 모듈(100)에 공급할 수 있다. 충전지(140)는 제어박스(3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D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면이 보호커버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관람석(20)의 등받이(21)에는 보호커버(15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150)는 평상시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등받이(21)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보관될 수 있고, 경기 또는 공연이 시작되거나 시작되기 전에 상향 이동하여 태양전지 모듈(130)의 외부 노출면을 감쌈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3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커버(150)의 상부에는 전자석(160)이 결합될 수 있다.
전자석(160)은 제어박스(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박스(300)는 중앙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되기 시작하면 축전지(140)에 의한 전자석(160)에 대한 전기 공급을 허용할 수 있다. 전자석(160)은 전기가 공급되면 자성을 띠게 됨으로써 보호커버(150)를 전자기력에 의해 상향 이동시킬 수 있고 관람석(20)의 등받이(21)의 상단에 형성되는 금속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경기장
20: 관람석
21: 등받이
30: 중앙통제실
100: LED 패널
110: 기둥
120: 확산커버
130: 태양전지 모듈
140: 충전지
150: 보호커버
160: 전자석
200: 중앙제어장치
300: 제어박스
400: 컴퓨터
500: 휴대용 단말기

Claims (16)

  1.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LED 패널; 및
    상기 LED 패널을 카드섹션 정보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고,
    상기 복수의 관람석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LED 패널을 그룹별로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복수의 관람석이 배치되는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경기장 또는 공연장의 중앙통제실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박스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가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의 일부만을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카드섹션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섹션 정보는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LED 패널별 점등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P 주소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 패널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실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LED 패널의 전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카드섹션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드섹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섹션 이미지를 구현하는 상기 LED 패널은 상기 경기장 또는 공연장의 일부 영역에 한정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관람석 중 관람자 또는 현장요원이 점등시키고자 하는 상기 관람석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패널은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 좌우 양단에서 각각 상향 연장되는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LED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LED 패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복수의 LED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람석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변환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상기 LED 패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면을 감싸도록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관람석의 등받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호커버를 상향 이동시키는 전자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70011869A 2017-01-25 2017-01-25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4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69A KR101740005B1 (ko) 2017-01-25 2017-01-25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869A KR101740005B1 (ko) 2017-01-25 2017-01-25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005B1 true KR101740005B1 (ko) 2017-05-25

Family

ID=5905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869A KR101740005B1 (ko) 2017-01-25 2017-01-25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0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66A (ko) 2019-03-20 2020-10-05 (주)이지위드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396974A (zh) * 2019-07-31 2021-02-23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led显示系统和显示箱体
KR20210097070A (ko) 2021-07-19 2021-08-06 김민아 스포츠 경기 관전 시스템
JPWO2022009444A1 (ko) * 2020-07-10 2022-01-13
WO2022196076A1 (ja) * 2021-03-19 2022-09-2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21B1 (ko) * 2006-01-26 2007-10-25 김영주 엘이디가 구비된 이벤트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21B1 (ko) * 2006-01-26 2007-10-25 김영주 엘이디가 구비된 이벤트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66A (ko) 2019-03-20 2020-10-05 (주)이지위드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396974A (zh) * 2019-07-31 2021-02-23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led显示系统和显示箱体
JPWO2022009444A1 (ko) * 2020-07-10 2022-01-13
JP7111415B2 (ja) 2020-07-10 2022-08-02 株式会社ラパンクリエイト 観覧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2196076A1 (ja) * 2021-03-19 2022-09-2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10097070A (ko) 2021-07-19 2021-08-06 김민아 스포츠 경기 관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005B1 (ko) 다기능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891833B2 (en) Entertainment venue and associated systems/methods
KR10187638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쉼터
US8763314B2 (en) Container-type system booth for an indoor/outdoor exhibition or event
JP6706662B2 (ja) 星空再現装置
TWI642881B (zh) 聚光型太陽光發電面板、聚光型太陽光發電裝置及聚光型太陽光發電系統
CN106422373A (zh) 舞台演出系统以及舞台演出方法
US2831217A (en) C j-ombardo
KR101427805B1 (ko) 수납식 관람석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
KR100770221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이벤트 의자
KR200494648Y1 (ko) 스마트 벤치
KR20230033780A (ko) 메타버스 파라솔 카페
CN202920999U (zh) 5d互动剧场
US200801635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 change of events associated with a multi-use amphitheater/sports complex
CN216587927U (zh) 多媒体体验设施
KR102100830B1 (ko)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Pelletier Performing architecture: from medieval festival to modern-day carnival
Weinstein Stage and Audience: Constructing relations and opportunities
CN101703837A (zh) 一种多场景观摩的游乐设施
JP6208928B2 (ja) 住宅構造
CN206572428U (zh) 高空照明及发电装置
WO2004029384A1 (fr) Installation sportive couverte
WO2012057600A1 (en) An illuminated seat for visual display
RU43288U1 (ru) Крытое спортив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070096259A (ko) 다기능 경기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