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30B1 -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30B1
KR102100830B1 KR1020180063360A KR20180063360A KR102100830B1 KR 102100830 B1 KR102100830 B1 KR 102100830B1 KR 1020180063360 A KR1020180063360 A KR 1020180063360A KR 20180063360 A KR20180063360 A KR 20180063360A KR 102100830 B1 KR102100830 B1 KR 10210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l structure
light
bez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320A (ko
Inventor
박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6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베젤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젤부와 인접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베젤부 위쪽 부위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광 보정부와, 모형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광 보정부를 통해 유도된 광을 상기 베젤부 위쪽 부위로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재생시키는 영상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SYSTEM FOR MODEL STRUCTURE HAVING IMAGE EQUIPMEN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델하우스와 같은 모형 구조물은 목재 등을 이용하여 미완성의 건물이나 아파트 단지 또는 공장단지와 같은 건축물을 미리 제작하여 완성후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방문객들의 구매를 야기하기 위해 제작된다.
이러한 모형구조물은 짧은 기간 동안만 설치하여 방문객들에게 홍보한 후 철거될 것이 당연히 예정되어 있으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이나 다양한 첨단시설보다는 단순히 외향적인 경관과 아름다움 등에만 치중하여 제작되곤 하였다. 또한, 모형구조물은 아파트단지와 같은 전체적인 조망도 보다는 특정 아파트 등의 실내 공간의 미려함에 치중하여 제작되곤 하였다.
그러나, 근래의 아파트 단지 등은 실내공간의 미려함뿐 아니라 주변 자연경관 등 모형구조물에서는 모두 구현하기 어려운 건물외적인 아름다움에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이러한 모든 것을 모형 구조물에 의해서 표현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2835호(2014.11.11. 등록)
본 발명은 조명과 주변 배경, 도로, 건물 및 부대시설의 상세 구조가 표현되어져 3차원적인 모형 구조물의 역동적인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모형 구조물의 역동적인 입체 영상을 구현 시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모형 구조물이 배치되는 판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사용 시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부에 해당되는 영역과 그 외 영역간의 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베젤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젤부와 인접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베젤부 위쪽 부위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광 보정부와, 모형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광 보정부를 통해 유도된 광을 상기 베젤부 위쪽 부위로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재생시키는 영상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상기 베젤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널 상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베젤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보정부는 상기 베젤부의 폭보다 기 설정된 만큼 큰 밑변과 상기 밑변보다 큰 윗변을 갖는 역사다리꼴 형상이거나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제어 장치는 상기 모형 구조물이 설치된 설치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블랭크 패턴을 갖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체와, 상기 블랭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소정의 색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제어 장치는 상기 모형 구조물이 설치된 설치 영역에 대한 복수의 외부 설치용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재생될 바닥용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상기 모형 구조물이 설치된 영역의 외부 영역에서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영상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외부 설치용 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모형 구조물의 역동적인 입체 영상을 구현 시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모형 구조물이 배치되는 판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사용 시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부에 해당되는 영역과 그 외 영역간의 광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갖는 모형 구조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을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서 광 보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서 영상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를 갖는 모형 구조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을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모형 구조물은 건물모형, 아파트모형, 주상복합모형, 빌딩모형, 주택모형, 오피스텔모형, 주거시설모형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일정한 모형 구조물(10)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면적(T)을 갖는 광 확산판(100), 광 보정부(110), 패널 모듈(120), 지지부(130) 및 보호벽(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패널 모듈(120)에 영상을 출력하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영상 제어 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130)는 기둥(131)으로 지지되는 격자 형상의 모듈 받침부(132), 테두리 홈(133)을 구비하는 하우징(134), 테두리 홈(133) 내에 설치되어 발광하는 테두리 발광부(135) 및 보호벽(140)이 삽입 결합되는 보호벽 설치용 단턱부(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받침부(13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22)로 이루어진 패널 모듈(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격자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22) 각각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격자의 수는 디스플레이 패널(12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모듈 받침부(132)에 안착 또는 결합되는 패널 모듈(1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예컨대 9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22)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은 패널 상판(124) 및 패널 상판(124)을 보호하기 위한 베젤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상판(124)과 베젤부(126) 사이에는 홈 형상의 베젤 홈(128)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 패널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미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디지털 데이터, 예컨대 영상 제어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코더/디코더(코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비디오 코덱들, 오디오 코덱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류의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영상 제어 장치(200)의 지시 하에 콘텐츠(예컨대 매체 재생 정보, 전자장치 상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진행 중인 통신 동작들에 관한 정보, 들어오는 통신 요청들에 관한 정보, 또는 장치 동작 스크린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젤 홈(128)은 디스플레이 패널(122)에서 발생되는 열이 이동할 수 있는 열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22)에서 발생되는 열은 베젤 홈(128)을 통해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2)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류 현상을 최소화시켜 광 확산판(100)의 열하중을 줄여 광 확산판(100)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광 보정부(110)는 베젤부(126)를 따라 격자 구조로 연장된 스트립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베젤부(126)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2)의 가장자리, 즉 베젤부(126)와 인접한 영역의 디스플레이 패널(122)에서 발생되는 광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보정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22)의 가장자리에서 발산되는 광이 베젤부(126) 위쪽 부위로 전달되도록 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보정부(110)는 베젤부(126)의 폭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보정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22)의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2)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광을 보정하여 베젤부(126) 위쪽의 광 확산판(100)으로 유도할 수 있다.
광 확산판(100)은 투명의 형상을 가지며, 패널 모듈(120)의 디스플레이 패널(122)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확산판(100)은 광 보정부(110)를 통해 보정된 광을 베젤부(126) 바로 위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보정부(110)는 베젤부(126)의 인접한 패널 상판(124)에서 발생되는 광을 보정하고, 광 확산판(100)은 보정된 광을 베젤부(126) 바로 위쪽 영역으로 확산시켜 보정된 광을 베젤부(126) 바로 위쪽 영역에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젤부(126) 바로 위쪽 영역과 베젤부(126)가 아닌 패널 상판(124)의 위쪽 영역간의 광 전달 불균형을 해소시킬 수 있다.
모형 구조물(10)은 광 확산판(100)의 설치 영역(T)에 접착테이프(20)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모형 구조물(10)이 설치된 설치 영역(T)의 하부에는 베젤부(126)와 패널 상판(124)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광 보정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사다리꼴 형상 또는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보정부(110)는 베젤부(126)의 폭보다 조금 긴 밑변을 갖고 밑변의 길이보다 긴 윗변을 갖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거나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광 보정부(110)는 베젤부(126)와 인접한 패널 상판(124)에서 발생되는 광을 베젤부(126) 바로 위쪽의 광 확산판(100)에 집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해 광 확산판(100)과 패널 상판(124) 사이에 광 보정부(110)를 설치함으로써, 광 확산판(100)과 패널 상판(124) 사이에 광 보정부(110)의 단면 두께 만큼 공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극을 통해 패널 모듈(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확산판(100)과 패널 상판(124) 사이에 광 보정부(110)의 단면 두께 만큼 공극은 베젤부(126)의 베젤 홈(128)과 공간상으로 상호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해 영상을 송출할 때 발생되는 열의 배출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해 영상을 송출할 때 발생되는 열은 공극을 통해 베젤 홈(128)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서 영상 제어 장치(200)는 모형 구조물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제어 장치(200)는 지지부(130)의 하우징(134)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설치되어 HDMI, USB 등과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Le,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영상 제어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소정의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장치(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구조물 시스템에서 영상 제어 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어 장치(200)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재생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한 형태로 기록매체(210),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20), 사용자 입력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모형 구조물(1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제작된 데이터로서, 사계절에 따른 조경, 주변 환경, 모형 구조물(10)의 실내 인테리어, 야경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버튼식 스위치 방식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될 수 있다. 버튼식 스위치 방식의 경우 원하는 영상 트랙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 버튼을 가진다. 예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조경 및 주변 환경 출력을 위한 출력버튼, 실내 인테리어 영상 출력버튼, 야경 조명 영상 출력을 위한 출력버튼 및 안내음성 출력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 방식인 경우 스크린상에 터치버튼이 배열되어져 원하는 영상 트랙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특정 영상의 트랙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20)는 영상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영상을 기록매체(210)에서 추출한 후 이를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하여 영상을 출력하고, 특정 영상 내 음성을 스피커(미도시됨)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부분, 즉 설치 영역(T)에 해당되는 부분에 블랭크 패턴(300), 즉 어떤 이미지도 출력되지 않는 노 이미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랭크 패턴(300)은 이미지가 출력되지 않고 특정 색상, 예컨대 백색을 갖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랭크 패턴(300)이 포함된 영상 데이터 재생 시, 블랭크 패턴이 재생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 부분, 즉 모형 구조물(10)이 설치된 설치 영역(T)에 대응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 부분은 백색에 해당하는 광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데이터가 미리 제작된 상태로 기록매체(210)에 저장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영상 재생을 위한 임의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어 장치(200)는 광 확산판(100) 상의 모형 구조물(10)의 설치 위치 정보가 저장된 기록매체(210) 및 영상 처리부(2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형 구조물(10)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는 모형 구조물(10)의 설치 영역(T)을 커버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40)는 임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기록매체(210)에 저장된 설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40)는 임의의 영상 데이터에서 설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한 부분을 블랭크 패턴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임의의 영상 데이터를 재생용 영상을 변환하며, 변화된 재생용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보정부(110)를 베젤부(126)와 인접한 패널 상판(124)에서 발생된 광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베젤부(126)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제어 장치(200)는 광 보정부(110)에 출력될 영상(이하, '제 1 영상'이라고 함)과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될 영상(이하, '제 2 영상'이라고 함)을 기록매체(210)에 저장하고 있으며, 제 1 영상을 광 보정부(110)에 출력하여 재생시킴과 더불어 제 2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 장치(200)의 기록매체(210)는 광 보정부(110)의 설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 처리부(240)는 임의의 영상이 입력되면, 광 보정부(1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영상을 분할하여 광 보정부(110) 및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40)는 임의의 영상이 입력됨에 따라 입력된 영상에서 광 보정부(110)의 설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제 1 영상을 생성하고, 제 1 영상이 제외한 부분을 이용하여 제 2 영상을 생성한 후 제 1 영상을 광 보정부(110)에 출력하여 재생시킴과 더불어 제 2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상 제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영상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 예컨대 모형 구조물(10)이 설치된 설치 영역(T)의 소정 부분에 대한 영상 데이터(이하, '외부 출력용 영상 데이터'라고 함)를 재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출력용 영상 데이터는 모형 구조물(10)이 설치된 설치 영역(T)을 위에서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제어 장치(200)의 기록매체(2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재생될 영상 데이터(이하, '바닥용 영상 데이터'라고 함)와 외부 출력용 영상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매체(210)에는 월별, 계절별로 복수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재생될 복수의 외부 출력용 영상 데이터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해 재생될 바닥용 영상 데이터가 매칭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특정 월 또는 계절을 선택함에 따라 영상 제어 장치(200)는 특정 월 또는 계절에 매칭된 바닥용 영상 데이터를 각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출력하여 재생시킴과 더불어 모형 구조물(10)이 설치된 설치 영역(T) 내부의 영상인 외부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각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출력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모형 구조물
100 : 광 확산판
110 : 광 보정부
120 : 패널 모듈
130 : 지지부
140 : 보호벽
200 : 영상 제어 장치
300 : 블랭크 패턴
400 :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5)

  1.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베젤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젤부와 인접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기 베젤부 위쪽 부위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광 보정부와,
    모형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광 보정부를 통해 유도된 광을 상기 베젤부 위쪽 부위로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재생시키는 영상 제어 장치와,
    상기 베젤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널 상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베젤 홈을 포함하며,
    상기 광 보정부는,
    상기 베젤부를 따라 격자 구조로 연장된 스트립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널 상판과 상기 광 확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 보정부의 두께만큼 공극을 발생시키며,
    상기 공극은 상기 배젤 홈과 공간 상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영상 제어 장치는,
    상기 모형 구조물이 설치된 설치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블랭크 패턴을 갖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체와,
    상기 블랭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소정의 색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보정부는,
    상기 베젤부의 폭보다 기 설정된 만큼 큰 밑변과 상기 밑변보다 큰 윗변을 갖는 역사다리꼴 형상이거나 렌즈 형상을 갖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 장치는,
    상기 모형 구조물이 설치된 설치 영역에 대한 복수의 외부 설치용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재생될 바닥용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형 구조물 시스템은,
    상기 모형 구조물이 설치된 영역의 외부 영역에서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영상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복수의 외부 설치용 영상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KR1020180063360A 2018-06-01 2018-06-01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KR10210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60A KR102100830B1 (ko) 2018-06-01 2018-06-01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60A KR102100830B1 (ko) 2018-06-01 2018-06-01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20A KR20190137320A (ko) 2019-12-11
KR102100830B1 true KR102100830B1 (ko) 2020-05-20

Family

ID=6900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60A KR102100830B1 (ko) 2018-06-01 2018-06-01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8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8285A (ja) * 2011-03-29 2012-10-25 Canon Inc 表示装置およびその放熱方法
KR101462835B1 (ko) * 2014-05-15 2014-11-21 (주)강남디자인모형 영상장치를 갖는 모형 건축물
JP2015166777A (ja) 2014-03-03 2015-09-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1614407B1 (ko) 2013-07-08 2016-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즘 시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86B1 (ko) * 2013-07-15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KR102172980B1 (ko) * 2014-04-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KR102323679B1 (ko) * 2015-04-21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5828B1 (ko) * 2015-05-26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44296B1 (ko) * 2015-10-30 2021-1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8285A (ja) * 2011-03-29 2012-10-25 Canon Inc 表示装置およびその放熱方法
KR101614407B1 (ko) 2013-07-08 2016-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즘 시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166777A (ja) 2014-03-03 2015-09-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1462835B1 (ko) * 2014-05-15 2014-11-21 (주)강남디자인모형 영상장치를 갖는 모형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20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wens et al. Video production handbook
WO2015012379A1 (ja) 携帯端末用ブース
US20090100767A1 (en) Audio-visual system
JP6334552B2 (ja) ステージパフォーマンスから導かれるデータに基づきアンビエントライティング効果を生成する方法
US113566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mmersive audio-visual communications
US10015444B1 (en) Network architecture for immersive audio-visual communications by temporary communication structures
CN105227807A (zh) 沉浸式虚拟现实演播平台
KR101462834B1 (ko) 바닥 영상 장치를 갖는 건물 모형
KR102100830B1 (ko)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ITBO20070358A1 (it) Dispositivo di guida per cartone a modulo continuo
KR101462835B1 (ko) 영상장치를 갖는 모형 건축물
CN109741464B (zh) 用于显示实景的方法和装置
CN205943139U (zh) 交互式教学系统
US2016011961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KR101223673B1 (ko) 다방향 프로젝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광고 시스템
KR102341642B1 (ko) 플로어용 영상 표출 시스템
KR20110119912A (ko) 영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785686A (zh) 一种用于舞蹈教室的多媒体系统
JP2018010613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デジタルサイネージ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05591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environment and viewing theater
RU2360085C1 (ru) Школа-студия центра культуры, искусства и досуга имени а. райкина
Lamb Narrative Form and the British Television Studio 1955–1963
CN217279120U (zh) 一种虚拟现实演示装置
CN202206686U (zh) 一种多媒体中央控制器
US20140125763A1 (en) 3d led output device and process for emitting 3d content output for large screen applications and which is visible without 3d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