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422B1 -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422B1
KR101739422B1 KR1020160030039A KR20160030039A KR101739422B1 KR 101739422 B1 KR101739422 B1 KR 101739422B1 KR 1020160030039 A KR1020160030039 A KR 1020160030039A KR 20160030039 A KR20160030039 A KR 20160030039A KR 101739422 B1 KR101739422 B1 KR 10173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skin
extract
derived
centella asiat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숙
Original Assignee
(주)진셀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셀팜 filed Critical (주)진셀팜
Priority to KR102016003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및 피부개선용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AND PREVENTING OR TREATING PROLIFERATIVE SKIN DISEASES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S ORIGINATED FROM PLANT FACTORY}
본 발명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와 더불어 공기 오염과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UV 양의 증가로 인한 활성산소종과 같은 강력한 산화 물질들의 발생은 인간에게 피부노화, 색소 침착 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산화물질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비타민C,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과 같은 다양한 항산화제가 화장료 제조에 이용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한약재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에 미백, 항노화, 항주름, 항산화와 같은 생리 활성 물질들이 존재함이 밝혀짐에 따라 천연화장품이나 한방 화장품 제조에 이들의 추출물들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각질세포 내에서 세포 증식 속도의 이상은, 때로는 염증 및/또는 아폽토시스(apoptosis)의 비정상 속도와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건선을 포함하는 많은 증식성 피부 질환을 발현시키는 과다증식을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증식성 피부 질환인 건선에 대하여, 현재 월등한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억제 요법만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남아시아에서 주로 서식하는 다년생 포복성 약용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및 중남부 지역 저습지에 군생한다. 병풀의 주요 성분으로는 madecassoside, madecassic acid, asiaticoside, asiatic acid 등이 있다. 이들 성분은 피부상처나 만성궤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력이 좋고 피부질환, 항류마티스 관절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피부세포의 세포주기 촉진, 증식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피부노화 억제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피부상태 개선 및 증식성 피부 질환 치료에 대하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요성에 대하여 새로운 천연 추출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99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0052호
본 발명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및 피부개선용 식품첨가제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병풀”은 남아시아에서 주로 서식하는 다년생 포복성 약용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및 중남부 지역 저습지에 군생한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으며, 잎은 마디에서 밀생하고, 신장형이며, 지름은 2 내지 5cm이고, 표면은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의 길이는 4 내지 20cm이다. 꽃은 홍자색, 잎겨드랑이에 3 내지 4송이씩 산형꽃차례로 달리며, 머리 모양이다. 암술대는 2갈래이며, 열매는 분과의 편원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공장유래 병풀”은 LED 광원 및 자외선 국소 조사와 함께 양액에서의 영양성분 변화를 통하여 병풀의 유효성분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기존 통상적인 재배법에 의해 재배되는 병풀에 비하여 유효성분, 예컨대 아시아트산(asiat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스산(madecassic acid) 및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의 함량을 극대화시킨 병풀을 지칭한다. 상기 식물공장유래 병풀은 통상적인 재배법을 통하여 재배된 병풀과 달리, 포복경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성장하며 잎의 크기가 크고 제초제 및 기타 오염원의 혼합이 감소된 병풀일 수 있다.
상기 “광원 및 자외선 국소 조사”는 백색, 적색 및 청색파장의 LED 램프, 및 자외선 파장 램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램프의 적색파장은 660nm, 청색파장은 470nm 및 자외선 A 파장은 396nm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의 조사는 초기 40일 간은 백색등으로 16시간 조사하고, 이후 20일 간은 총 16시간을 조사한 뒤 8시간 암기를 둠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백색등 14시간, 660nm의 적색파장 30분, 660nm와 470nm의 적색과 청색파장 혼합 30분, 470nm의 청색파장 30분, 백색파장 20분, 395nm의 자외선 A 파장 10분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양액”은 당업계에 공지된 브래들리(Bradley) 양액 조성의 일부를 병풀 생육에 적합하게 변형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액은 기존의 양액 조성에 비하여 암모늄 염의 함량을 보다 증가시킨 것일 수 있는데, 이는 병풀과 같은 미나리과의 식물의 경우 초기 질소원으로서 암모늄 염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므로, 암모늄 염의 함량을 높여 병풀의 생육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공장유래 병풀을 건조 및/또는 파쇄하고 추출 용매에 혼합한 후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추출 용매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멸균수 또는 60%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발효 추출물이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개선은 항산화, 진피세포 성장 촉진, 콜라겐 증가, 콜라겐분해효소 감소, 면역세포 활성 억제, 염증 억제, 피부 유수분 조절, 피부 주름 개선, 진피친밀도 증가, 피부탄력 개선, 피부장벽 회복, 피부결 개선, 피부홍반 감소 및 색소침착 감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품은 연고,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세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킨토너, 수분크림 또는 크림의 제형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공장유래 병풀은 LED 광원 및 자외선 조사, 및 양액재배를 통하여 재배된 병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발효 추출물은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식성 피부질환은 화학선 각화증,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암, 섬유성 조직구종,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혈관종, 화염상모반, 황색종, 카포시 육종, 비만세포증, 균상식육종, 흑색점, 모반세포성 모반, 악성흑색점, 악성흑색종, 전이성 암종 및 건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고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하여 제조 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주사제, 연고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제형의 특징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의 상식에 의하여 적절한 용매 등 부가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및 피부개선용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는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및 피부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타 건강보조식품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음료, 젤리 또는 바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의 상식에 비추어 적절한 식품보조첨가제,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부개선용, 또는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발효 추출물은 항산화, 진피세포 성장 촉진, 콜라겐 증가, 콜라겐분해효소 감소, 면역세포 활성 억제, 염증 억제, 피부 유수분 조절, 피부 주름 개선, 진피친밀도 증가, 피부탄력 개선, 피부장벽 회복, 피부결 개선, 피부홍반 감소 및 색소침착 감소 등의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발효 추출물은 화학선 각화증,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암, 섬유성 조직구종,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혈관종, 화염상모반, 황색종, 카포시 육종, 비만세포증, 균상식육종, 흑색점, 모반세포성 모반, 악성흑색점, 악성흑색종, 전이성 암종 및 건선 등의 증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 α-토코페롤 및 BHT의 활성산소 분해 효과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진피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HDF)의 세포활성도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서 COL1A1 및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마우스 면역세포(mouse macrophage, RAW 264.7)의 세포활성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면역세포 내에서 루시퍼라아제(luciferase)의 활성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L-1β 와 TNF-α 유전자 발현 변화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및 토너의 사용기간에 따른, 피시험자의 피부 수분량, 피부 유분량, 피부 주름 정도, 진피치밀도, 피부 탄력도, 경피수분손실량, 피부결 개선 정도, 피부 홍반 정도 및 색소침착 면적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시료의 제조
1.1. 식물공장유래 병풀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식물공장유래 병풀을 제조하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양액재배법을 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공장유래 병풀의 재배에 이용되는 양액은 암모늄 질소원이 포함된 양액을 사용하였고, pH는 5.5 내지 6.0으로 보정하였으며 EC는 1.5 내지 1.8dS/m로 조정하였다.
정식 후 40일 간은 백색등으로 16시간 조사하였다. 이 후 20일 간은 총 16시간을 조사한 뒤 8시간 암기를 두었으며, 이 때, 백색등 14시간, 660nm의 적색파장 30분, 660nm와 470nm의 적색과 청색파장 혼합 30분, 470nm의 청색파장 30분, 백색파장 20분, 395nm의 자외선 A 파장 10분을 조사하였다. 60일간 재배 후, 병풀의 전초를 수확하여 뿌리를 제거하고, 식물공장유래 병풀 잎 및 줄기를 수확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식물공장유래 병풀에 대한 아시아트산,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스산 및 마데카소사이드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병풀에 비해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1.5 내지 2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2.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제조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에탄올 추출법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파쇄한 식물공장유래 병풀 잎 및 줄기 100g을 60% 에탄올 1L에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함으로써 본 발명의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관련 시험예를 실시한 결과, 피부 안정성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3. 스킨토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킨토너를 만들기 위한 성분의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다음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A상(수상)은 상온에서, B상(알코올상)은 히터를 이용하여 5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A상에 B상을 혼합시키고,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rpm으로 10분간 가용화시켰다. 교반 혼합과정을 거쳐 냉각, 여과하고, pH 5.2 상태를 유지시켜 스킨토너를 완성하였다. 일반 병풀 추출물(양성대조군)과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 5 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중량%)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A 상 정제수 5 - -
일반 병풀 추출물 - 5 -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
- - 5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1,3-부틸렌글리콜 4 4 4
구연산 0.04 0.04 0.04
구연산나트륨 0.1 0.1 0.1
B 상 히알루론산 2 2 2
하이드로젠이티드 0.4 0.4 0.4
캐스터오일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4. 수분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분크림을 만들기 위한 성분구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한 후 A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10분 정도 유화시켰다. C상을 고르게 혼합한 후, 80℃에서 A+B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5분 정도 중화시켰다. 서서히 교반하면서 30℃로 냉각하고, pH 6.15로 조정하였다. 일반 병풀 추출물(양성대조군)과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 5 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phase) 원료 함량 (중량%)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A상 정제수 5 - -
일반 병풀 추출물 - 5 -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 - - 5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히아루론산 5 5 5
알로에겔 5 5 5
산탄검 1% 수용액 5 5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B상 스쿠알랑 7 7 7
디메치콘 3 3 3
사이크로메치콘 3 3 3
폴리솔베이트 60 2 2 2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그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스테아린산 1 1 1
C상 트리에탄올민 1 1 1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1.5.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기 위한 성분구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A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10분 정도 유화시켰다. C상을 고르게 혼합한 후, 80℃에서 A+B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5분 정도 중화시켰다. 이어서, 서서히 고르게 혼합 교반하면서 30℃로 냉각하고 pH 6.23로 조정하였다. 일반 병풀 추출물(양성대조군)과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은 각각 5 중량%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중량%)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A상 정제수 5 - -
일반 병풀 추출물 - 5 -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 5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히아루론산 5 5 5
산탄검 1% 수용액 5 5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B상 스쿠알랑 7 7 7
디메치콘 3 3 3
사이크로메치콘 3 3 3
폴리솔베이트 60 2 2 2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쉐어버터 5 5 5
그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1 1
스테아린산 1 1 1
C상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2. 실험 방법 및 결과
실시예 1.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 분해 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노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종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하여 제거되는지 조사하였다.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활성산소 분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인 1,1-다이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였다. 시험관에 4mL 메탄올을 넣고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다음 0.15mM DPPH 용액 1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기질과 DPPH가 없는 Initial(Ai)과 blank(Ab)를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은 α-토코페롤 및 BHT를 상호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인 α-토코페롤과 BHT보다 저농도에서 높은 활성산소 분해능을 나타냈다(하기 표 4 및 도 1 참조). 따라서,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하여 활성산소의 분해가 촉진되는 것으로 피부미용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농도(mg/L)
0 1 10 100
추출물 0 34.8 49.1 81.4
α-토코페롤 0 32.8 42.8 78
BHT 0 26.4 37.9 65.4
실시예 2.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생장 촉진 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피의 구성성분인 콜라겐을 합성하는 섬유아세포 생장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하여 촉진되는지 실험하였다.
인간진피섬유아세포(nHDF)는 Lonza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액은 둘베코수정이글배지(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에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10% 페니실린(100 unit/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g/m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은 37℃, 95% 습도, 5% CO2 인큐베이터의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3 내지 10세대 사이의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인 nHDF 세포에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어느 정도 발생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 후에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고, 이후 세포의 MTT를 이용하여 활성도(viability)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처리시간에 따른 증가 폭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세포 성장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하기 표 5 및 도 2 참조).
시간(hr) 농도(mg/L)
0 1 10 100
0 100 100 100 100
24 102.40 103.29 109.44 108.99
48 104.68 108.23 114.59 116.09
72 104.05 110.73 121.39 124.42
실시예 3.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Col1A1의 발현 증가 및 MMP1의 발현 감소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미용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진피섬유아세포가 발현하는 대표적인 콜라겐(collagen) 중 하나인 COL1A1 및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발현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유전자 발현 변화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과정 중에 증폭되는 DNA 산물에 형광물질을 붙이고 형광물질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방식인, 정량실시간 PCR(quantitative real time PCR, qRT-PCR)로 측정하였다.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COL1A1과 MMP1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PCR 산물이 발산하는 형광값을 통하여 결과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SYBR 그린(green) Ⅰ(Invitrogen)을 사용하였다. PCR 튜브에 0.2μM 프라이머, 50mM KCl, 20mM Tris/HCl pH 8.4, 0.8mM dNTP, 0.5U Extaq DNA 폴리머라아제, 3mM MgCl2, 1×그린을 혼합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반응액 제조 후, Linegene K(BioER)를 이용하여 94℃에서 3분 동안 1차 변성시킨 후, 변성, 어닐링, 중합을 각각 94℃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총 40사이클 수행하였고, 매 사이클이 끝난 후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PCR 결과는 각 결과별 용융곡선으로 검증하였다. 각 유전자의 역치 사이클(threshold cycle, Ct) 값을 β-액틴(actin)의 Ct값으로 표준화한 후, Ct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Ct값은 PCR 산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형광의 양(증폭된 PCR 산물의 수)이 기본 값 이상의 일정한 기준 값에 도달했을 때의 사이클 수로서 Ct값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한 각 유전자의 하기 표 6과 같다.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β-액틴 5-GGATTCCTATGTGGGCGACGA-3 5-CGCTCGGTGAGGATCTTCATG-3
COL1A1 5-AGGGCCAAGACGAAGACATC-3 5-AGATCACGTCATCGCACAACA-3
MMP1 5-TCTGACGTTGATCCCAGAGAGCAG-3 5-CAGGGTGACACCAGTGACTGCAC-3
분석 결과, Col1A1 mRNA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하기 표 7 및 도 3 참조). 또한, MMP1 mRNA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8 및 도 4 참조).
농도(mg/L)
0 1 10 100
Col1A1 발현(%) 100 106.43 164.63 223.79
농도(mg/L)
0 1 10 100
MMP1 발현(%) 100 97.88 75.83 48.64
실시예 4.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생장 억제 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의 염증과 홍반에 작용하는 마우스 면역세포(mouse macrophage, RAW 264.7) 생장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되는지 실험하였다. 마우스 면역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CTC)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액은 DMEM(Gibco)에 10% FBS(Gibco), 10% 페니실린(100unit/mL)과 스트렙토마이신(100g/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은 37℃, 95% 습도,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3 내지 10세대 사이의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면역세포인 RAW 264.7 세포에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어느 정도 발생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고, 이후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세포의 성장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9 및 도 5 참조).
시간(hr) 농도(mg/L)
0 1 10 100
0 100 100 100 100
24 98.24 100.66 97.12 91.29
48 101.87 94.58 95.53 89.40
72 98.37 92.46 90.77 83.92
실시예 5.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NF - κB 전사 억제 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의 전사요인인 NF-κB의 전사능력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되는지 실험하였다.
면역세포에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NF-κB 전사능력이 어느 정도 억제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NF-κB 리포터(reporter) 분석을 진행하였다. NF-κB에 의하여 전사가 진행된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을 루시퍼라아제(luciferase)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에 클로닝하여 면역세포에 삽입시켰다. NF-κB 전사를 유도하는 LPS를 처리하여 NF-κB 전사능력을 활성화시킨 후,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고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루시퍼라아제 활성은 IgGκ 체인 유전자의 NF-κB 결합 부위인 IgGκ-NF-κB 부위(서열 5-GGGGACTTTCC-3)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최소(minimal) IL-8 프로모터(위치 67 내지 +44)의 상류(upstream)에 위치하도록 구축된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유전자 조립(construct)을 이용하였으며, 리포펙타민 플러스(lipofectamine plus, Gibco-BRL)를 이용하여 시약 매뉴얼에 따라 유전자를 면역세포에 삽입시켰다. 유전자가 삽입된 면역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NF-κB의 전사능력을 활성화시킨 후,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0, 1, 10, 100㎎/L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면역세포는 채집 시점에 0.1mL 용해 버퍼(0.1M HEPES, pH 7.6, 1% Triton-X, 1mM DTT 및 2mM EDTA)를 직접 첨가하여 세포 용해물을 채집한 후, 4℃에서 10분간 14,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 단백을 수득하였다. 브래드포드 분석(Bradford assay; Bio-Rad Laboratories)을 이용하여 단백 농도를 측정한 후, 20μg의 단백질을 루시퍼라아제 분석 혼합물(25mM 글리실글리신(glycylglycine), 15mM MgSO4, 1mg/mL BSA, 5mM ATP 및 1mM D-루시퍼린(luciferin; Analytical Luminescence Laboratory))에 첨가하고, 모노라이트(Monolight) 2010(Analytical Luminescence Laboratory)을 이용하여 20초간 발광도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분석 결과,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LPS에 의하여 증가된 NF-κB의 참여성(transactivity)이 LPS 처리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10 및 도 6 참조).
추출물 농도 (mg/L) 0 0 1 10 100
LPS - + + + +
루시퍼라아제 활성도
(배수)
1 4.2 3.7 2.7 1.42
실시예 6.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합성 억제 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합성이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를 처리한 면역세포에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유전자 발현 변화를 qRT-PCR로 측정하였다.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IL-1β 와 TNF-α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PCR 산물이 발산하는 형광값을 통하여 결과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SYBR 그린 Ⅰ(Invitrogen)을 사용하였다. PCR 튜브에 0.2μM 프라이머, 50mM KCl, 20mM Tris/HCl pH 8.4, 0.8mM dNTP, 0.5U Extaq DNA 폴리머라아제, 3mM MgCl2, 1×그린을 혼합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반응액을 제조 후 Linegene K(BioER)를 이용하여 94℃에서 3분 동안 1차 변성시킨 후, 변성, 어닐링, 중합을 각각 94℃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총 40사이클 수행하였고, 매 사이클이 끝난 후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PCR 결과는 각 결과별 용융곡선으로 검증하였다. 각 유전자의 역치 사이클(Ct)값을 β-액틴의 Ct값으로 표준화한 후, Ct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Ct값은 PCR 산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형광의 양(증폭된 PCR 산물의 수)이 기본 값 이상의 일정한 기준 값에 도달했을 때의 사이클 수로서 Ct값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한 각 유전자의 프라이머는 하기 표 11과 같다. 양성대조군은 L-NG-모노메틸아르기닌 및 아세테이트 염(L-NG-Monomethylarginine, Acetate Salt; L-NMMA)을 사용하였다.
유전자 순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β-액틴 5-CCAAGGCCAACCGCCGC-3 5-AGGGTACATGGTGCCGCC-3
IL-1β 5-CTCAATGGACAGAATATCAACCAACA-3 5-ACAGGACAGGTATAGATTCTTTCCTTTG-3
TNF-α 5-TGCCTATGTCTCAGCCTCTTC-3 5-GAGGCCATTTGGGAACTTCT-3
분석 결과,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LPS에 의하여 증가된 IL-1β mRNA의 발현이 LPS 처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하기 표 12 및 도 7 참조). 또한,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LPS에 의하여 증가된 TNF-α mRNA의 발현이 LPS 처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하기 표 13 및 도 8 참조).
추출물 농도 (mg/L) 0 0 1 10 100
LPS - + + + +
IL-1β mRNA 발현
(배수)
1 3.9 3.74 2.69 1.27
추출물 농도 (mg/L) 0 0 1 10 100
LPS - + + + +
TNF-α mRNA 발현
(배수)
1 2.9 2.66 2.1 1.18
실시예 7.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유수분 지수 변화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분측정기(corneometer) 및 피지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피부 유수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피부 유수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피부 수분지수를 수분측정기(MPA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측정부위인 우측 볼 부위를 3회 연속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유분지수는 피지측정기(MPA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피지측정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측정부위인 이마부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피부 수분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하기 표 14 및 도 9 참조). 또한, 유분의 경우도, 피부 수분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하기 표 15 및 도 10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241 267 279
양성대조군 258 299 315
실험군 233 321 384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336 327 339
양성대조군 329 342 367
실험군 348 368 379
실시예 8.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분석기를 이용하여 피부주름을 분석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피부주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안면 주름 정도를 PRIMOS 라이트(Lite)(field of view 18吉flexible 3D measuring, GFMesstechnik GmbH)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PRIMOS 라이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얼굴을 특수 제작된 PRIMOS 안면고정장비세트에 얼굴을 고정하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측정 부위인 눈꼬리 끝부위가 PRIMOS 라이트의 초점 패턴과 맞도록 조정 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눈꼬리 주름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16 및 도 11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32.44 31.69 29.86
양성대조군 33.18 31.55 28.7
실험군 31.75 29.15 27.59
실시예 9.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두께 개선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 증가 및 콜라겐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생성된 콜라겐에 의하여 진피층의 두께가 증가하는지를 분석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두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피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DUB-피부 스캐너(tpm taberna pro medicum)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DUB-피부 스캐너에 초음파 검사용 젤을 바르고 프로브를 피부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안면 우측눈가에 동일한 압으로 눌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피부 두께가,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하기 표 17 및 도 12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55.49 54.8 55.06
양성대조군 54.91 55.13 55.67
실험군 54.26 54.79 56.17
실시예 10.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탄력 개선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피부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피부 탄력의 변화정도를 DermaLab USB 탄력 프로브(DermaLab USB elasticity probe)로 측정하였다. DermaLab USB 탄력 프로브는 측정 부위 흡입과 흡입시간 지속에 따른 피부 변화와 복원력을 수치로 나타내며,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프로브를 테이프로 왼쪽 볼 부위에 고정 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피부의 탄력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하기 표 18 및 도 13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11.28 11.34 11.21
양성대조군 12.17 12.59 13.05
실험군 12.02 12.86 13.55
실시예 11.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장벽 개선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피부 장벽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표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수분손실측정기인 DermaLab USB TEWL 프로브(Cortex Technology, Inc.)를 이용하여 기기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경피수분 손실량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19 및 도 14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32.48 31.94 30.59
양성대조군 31.84 31.59 31.03
실험군 32.47 31.69 29.14
실시예 12.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결 개선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결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피부결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피부결 정도를 PRIMOS 라이트(field of view 45, flexible 3D measuring, GFMesstechnik GmbH)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PRIMOS 라이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이마부위를 3회 연속하여 측정하여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피부결을 결정하는 피부에 생성된 주름의 깊이가,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20 및 도 15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15.46 15.24 15.16
양성대조군 16.24 15.49 14.98
실험군 15.84 15.18 14.24
실시예 13.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홍반 개선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5, 6 및 7을 통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증식억제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감소된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홍반이 감소하는지를 분석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의 홍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홍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R-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우측 볼 부위를 3회 연속으로 측정하여 그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광광도계에서 측정되는 값은 L*, a* 및 b*이며, a*값이 홍반을 나타내는 값으로, 증가할수록 붉은기가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분석 결과, 홍반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21 및 도 16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12.97 12.64 12.35
양성대조군 13.15 12.24 11.57
실험군 12.67 11.27 10.83
실시예 14.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색소침착 개선효과 확인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색소침착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색소침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ANTERA 3D(Miravex)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왼쪽 볼 부위를 3회 연속으로 측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색소침착 면적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하기 표 22 및 도 17 참조).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221.98 219.84 218.49
양성대조군 220.95 208.46 198.48
실험군 219.46 186.49 164.19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식물공장유래 병풀이 백색, 적색 및 청색파장의 LED 광원 및 자외선 조사 및 양액재배를 통하여 재배된 병풀이고,
    상기 LED 광원 및 자외선 조사가 백색 파장, 적색파장, 적색 파장과 청색 파장의 혼합, 청색 파장, 백색 파장 및 자외선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이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은 면역세포 활성 억제, 염증 억제, 피부홍반 감소 및 색소침착 감소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30039A 2016-03-14 2016-03-14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9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39A KR101739422B1 (ko) 2016-03-14 2016-03-14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39A KR101739422B1 (ko) 2016-03-14 2016-03-14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422B1 true KR101739422B1 (ko) 2017-05-26

Family

ID=5905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039A KR101739422B1 (ko) 2016-03-14 2016-03-14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60A1 (ko) 2018-09-19 2020-03-26 동국제약 주식회사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082A (ko) * 2018-11-07 2020-05-18 (주) 아마란스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210073700A (ko) * 2019-12-10 2021-06-21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60A1 (ko) 2018-09-19 2020-03-26 동국제약 주식회사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854379A4 (en) * 2018-09-19 2022-07-27 Dong Kook Pharm. Co., Lt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VE ROO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KR20200053082A (ko) * 2018-11-07 2020-05-18 (주) 아마란스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2127771B1 (ko) * 2018-11-07 2020-06-30 (주)아마란스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210073700A (ko) * 2019-12-10 2021-06-21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14654B1 (ko) 2019-12-10 2021-10-21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793703B1 (ko) 오미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및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1739422B1 (ko) 식물공장유래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145345A1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CN113368018A (zh) 抗炎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23944B1 (ko) 영생초 및 바다제비집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4218B1 (ko) 복합유산균 파쇄액 및 마치현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1949B1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8410B1 (ko) 기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1118B1 (ko) 세네데스무스 속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5122B1 (ko) 복합효모 균체 파쇄 발효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JP2015178489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フェヌグリー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080020749A (ko)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70062222A (ko)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2006872B1 (ko) 한방 열매 발효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5726A (ko) 호장근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한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