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961B1 -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961B1
KR101738961B1 KR1020150180684A KR20150180684A KR101738961B1 KR 101738961 B1 KR101738961 B1 KR 101738961B1 KR 1020150180684 A KR1020150180684 A KR 1020150180684A KR 20150180684 A KR20150180684 A KR 20150180684A KR 101738961 B1 KR101738961 B1 KR 10173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aster
slave
mobile terminal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균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노바
Priority to KR102015018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04W76/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송신 채널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담아 송신하고, 수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 서치단계와, 자신의 정보와 수집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신을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설정단계와,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비콘을 송신하며, 상기 비콘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 이동 단말이 존재하면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마스터 비콘 송신단계와,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상기 비콘 수신에 응답하여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연결요청 패킷에 응답하는 연결응답 패킷 수신시에 그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시작시간에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과 연결과정 수행하는 슬레이브 스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METHOD FOR BUILDING AN AD-HOC NETWORK}
본 발명은 애드혹(Ad-hoc) 네트워크에 관한 발명으로, 특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블루투스나 무선랜 등의 무선 네트워크 구조(Infra structure 구조)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혹은 AP와 스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역할이 정해진 마스터 혹은 AP의 송/수신 능력에 따라 전체 네트워트의 통신 상태가 결정된다.
이에 반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단말로만 이루어져 통신하는 망이다. 따라서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렵거나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의 이동 제약이 없고 유선망과 기지국이 필요 없으므로 빠른 망 구성과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각 이동 단말(노드)의 송수신 스케쥴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 단말 간의 송신 데이터 충돌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애드혹 네트워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유롭게 망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망을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상황에 따라 AP나 마스터 역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8360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써,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하는 마스터로 동작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들 간의 송신 데이터 충돌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서,
송신 채널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담아 송신하고, 수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 서치단계와;
자신의 정보와 수집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신을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설정단계와;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비콘을 송신하며, 상기 비콘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 이동 단말이 존재하면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마스터 비콘 송신단계와;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상기 비콘 수신에 응답하여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연결요청 패킷에 응답하는 연결응답 패킷 수신시에 그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시작시간에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과 연결과정 수행하는 슬레이브 스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 각각은 상기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현재 연결번호가 접속상태주기에 도달하면 자신이 생성한 주변 단말의 인덱스 정보와 수신한 주변 단말의 인덱스 정보를 합하여 주변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상기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통해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이 삭제되었음을 인지하면, 자신 보다 적은 인덱스를 가지는 슬레이브가 송신하는 패킷을 기준으로 재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비콘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 이동 단말이 새로이 존재하면 현재연결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슬레이브 설정 단말을 신규 추가하되, 비어 있는 인덱스를 할당해 주는 단말 추가 단계;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 서치단계를 수행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은 주어진 매 서치구간에서 복수의 송신 채널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담아 송신하고 하나의 채널로 다른 이동 단말의 정보를 수신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일정 횟수 이상의 비콘 수신시에 상기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은 연결비콘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비콘을 송신하는 슬레이브 이동 단말은 상기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시작연결번호부터 연결 간격마다 '1'씩 증가하는 연결번호를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비콘 송신주기로 나눈 나머지에 해당하는 연결 인덱스를 가지는 슬레이브 단말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응답 패킷은,
수신한 연결응답 패킷을 기준으로 연결이 시작됨을 알리는 '연결 시작시간', 연결이 시작된 시점에 부여되는 연결번호를 의미하는 '시작 연결번호', 연결 시작시간부터 마스터가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 '연결 간격', 마스터가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기준으로 부여되는 송신 시간인 '연결 할당시간', 마스터가 부여하는 슬레이브의 인덱스인 '연결 인덱스', 연결비콘을 보내는 주기인 '연결비콘 송신주기', 마스터가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기준으로 부여되는 연결비콘의 송신시간인 '연결비콘 할당시간', 접속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주기정보인 '접속상태 주기'와 접속상태 정보 송신 수를 나타내는 '접속상태 전달회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하는 마스터로 동작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하는 마스터로 동작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들 간의 송신 데이터 충돌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서치구간의 복수 채널 구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송신구간의 패킷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송신구간 후위에 위치하는 연결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의 연결요청 패킷 송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정보 표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와 슬레이브 이동 단말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상태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 추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서치구간의 복수 채널 구간을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송신구간의 패킷을 예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송신구간 후위에 위치하는 연결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의 연결요청 패킷 송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상태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 추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로 설정되는 과정을 부연 설명하면,
우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어진 서치 구간동안 복수 채널(CH, CH+1, CH+2)로 자신의 정보(예를 들면 시리얼번호)를 담아 송신하고, 하나의 수신 채널(RX)을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 서치단계를 수행한다.
하나의 채널로 이동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유는 하나의 채널에 대하여 오랫동안 수신 시도를 하여 짧은 간격으로 모든 채널에 대하여 송신하는 패킷 중의 하나를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 단말 서치단계가 종료되면 각각의 이동 단말은 자신의 정보와 수집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해진 규칙(예를 들면 시리얼번호가 가장 낮은 단말이 마스터로 설정됨과 같이)에 따라 자신을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설정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콘 송신구간에서 비콘(B)을 한 번씩 송신하며, 상기 비콘(B)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CON_REQ) 이동 단말이 존재하면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 즉 도 6에 도시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CON_RSP)을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측으로 송신하는 마스터 비콘 송신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마스터 비콘 송신단계가 만료되면 상기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시작시간에 연결과정(connection interval)을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비콘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 구성 후 새로이 존재하면 현재연결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구축된 네트워크에 슬레이브 설정 단말을 신규 추가하되, 비어 있는 인덱스를 할당해 주는 단말 추가 단계를 더 수행한다.
한편,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상기 비콘(B) 수신에 응답하여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연결요청 패킷에 응답하는 연결응답 패킷 수신시에 그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시작시간에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과 연결과정 수행하는 슬레이브 스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슬레이브 스캔 단계에서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슬레이브 스캔 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슬레이브 이동 단말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일정 횟수 이상의 비콘 수신시에 상기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한다.
이로서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중 하나는 마스터로 설정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로 설정되어 각각의 슬레이브 이동 단말은 마스터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마스터에 동기하여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연결비콘을 송신하는데, 연결비콘을 송신하는 슬레이브 이동 단말은 상기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시작연결번호부터 연결 간격마다 '1'씩 증가하는 연결번호를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비콘 송신주기로 나눈 나머지에 해당하는 연결 인덱스를 가지는 슬레이브 단말이 연결비콘을 송신한다. 즉, 이는 설령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이라 하더라도 연결번호에 따라서 연결비콘을 송신하는 가상의 마스터가 될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마스터가 네트워크에서 제거되거나 장애가 발생하여 마스터로 정상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송, 수신시 충돌없이 상호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도 6에 도시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CON_RSP)을 각각의 슬레이브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
도 6은 상기 연결응답 패킷(CON_RSP)에 포함된 정보를 나열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와 슬레이브 이동 단말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연결 시작시간'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한 연결응답(CON_RSP) 패킷을 기준으로 연결이 시작됨을 알리는 '연결 시작시간'을 의미하며, '시작 연결번호'는 연결이 시작된 시점에 부여되는 연결번호를 의미한다. '시작 연결번호는 연결번호로도 명명될 수 있다.
'연결 간격'은 연결 시작시간부터 마스터가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며, '연결 할당시간'은 마스터가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기준으로 부여되는 송신 시간이고, '연결 인덱스'는 마스터가 부여하는 슬레이브의 인덱스이다. '연결비콘 송신주기'는 연결비콘을 송신하는 주기를 의미하며, '연결비콘 할당시간'은 마스터가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기준으로 부여되는 연결비콘의 송신시간이다. 아울러 '접속상태 주기'는 접속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주기정보이며, '접속상태 전달회수'는 접속상태정보 송신 수를 나타낸다. 접속상태정보란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이동 단말의 리스트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정보 중 (시작) 연결번호, 연결 인덱스, 연결시작시간은 가변될 수 있는 값들이다.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상기 정보들을 참조하여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 각각은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현재 연결번호가 접속상태주기에 도달하면 자신이 생성한 인덱스와 수신한 인덱스를 합하여 주변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더 수행한다. 이러한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에 의해 각 이동 단말은 전체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이동 단말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 중 일부를 간헐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덱스의 중복 부여로 인한 데이터 충돌을 막기 위함이다. 즉 각각의 이동 단말은 주기적으로 현재 자신이 수신하는 단말의 인덱스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들의 접속상태정보를 공유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통해 각각의 이동 단말은 네트워크를 이탈한 단말 정보를 알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8은 마스터가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삭제된 경우의 접속상태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상기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통해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이 삭제되었음을 인지하면, 자신 보다 적은 인덱스를 가지는 슬레이브가 송신하는 패킷을 기준으로 재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연결할당 시간을 이전에 수신한 슬레이브와의 인덱스 차이(즉, 단말간의 클럭 생성 차이)로 인해 다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하는 마스터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단말 누구나 동기화의 기준 역할을 하는 마스터로 동작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들 간의 송신 데이터 충돌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에 있어서,
    송신 채널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담아 송신하고, 수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단말 서치단계와;
    자신의 정보와 수집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신을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설정단계와;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비콘을 송신하며, 상기 비콘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 이동 단말이 존재하면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마스터 비콘 송신단계와;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이 송신한 비콘의 수신에 응답하여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연결응답 패킷 수신시에 그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시작시간에 상기 마스터 이동 단말과 연결과정 수행하는 슬레이브 스캔 단계와;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 각각은 상기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현재 연결번호가 접속상태주기에 도달하면 자신이 생성한 주변 단말의 인덱스 정보와 수신한 주변 단말의 인덱스 정보를 합하여 주변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상기 접속상태 업데이트 단계를 통해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이 삭제되었음을 인지하면, 자신 보다 적은 인덱스를 가지는 슬레이브가 송신하는 패킷을 기준으로 재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비콘 송신에 응답하는 연결요청 이동 단말이 새로이 존재하면 현재연결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연결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슬레이브 설정 단말을 신규 추가하되 비어 있는 인덱스를 할당해 주는 단말 추가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서치단계를 수행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은 주어진 매 서치구간에서 복수의 송신 채널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담아 송신하고 하나의 채널로 다른 이동 단말의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이동 단말은 일정 횟수 이상의 비콘 수신시에 상기 연결요청 패킷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은 연결비콘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비콘을 송신하는 슬레이브 이동 단말은 상기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시작연결번호부터 연결 간격마다 '1'씩 증가하는 연결번호를 연결응답 패킷에 포함된 연결비콘 송신주기로 나눈 나머지에 해당하는 연결 인덱스를 가지는 슬레이브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응답 패킷은,
    수신한 연결응답 패킷을 기준으로 연결이 시작됨을 알리는 '연결 시작시간', 연결이 시작된 시점에 부여되는 연결번호를 의미하는 '시작 연결번호', 연결 시작시간부터 마스터가 송신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 '연결 간격', 마스터가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기준으로 부여되는 송신 시간인 '연결 할당시간', 마스터가 부여하는 슬레이브의 인덱스인 '연결 인덱스', 연결비콘을 보내는 주기인 '연결비콘 송신주기', 마스터가 송신을 시작하는 시간 기준으로 부여되는 연결비콘의 송신시간인 '연결비콘 할당시간', 접속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주기정보인 '접속상태 주기'와 접속상태 정보 송신 수를 나타내는 '접속상태 전달회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KR1020150180684A 2015-12-17 2015-12-17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KR10173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84A KR101738961B1 (ko) 2015-12-17 2015-12-17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84A KR101738961B1 (ko) 2015-12-17 2015-12-17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961B1 true KR101738961B1 (ko) 2017-05-23

Family

ID=5905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84A KR101738961B1 (ko) 2015-12-17 2015-12-17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9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214B1 (ko) V2x 통신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10548103B2 (en) User apparatus and signal synchronization method
JP5883146B2 (ja) コンテンツを発行する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JP6798668B2 (ja) 同期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KR1020122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 그룹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4627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ck synchronization on a wireless network
US20170055236A1 (en) Multiple access point wireless mesh network
CN102625438A (zh) 一种进行同步的方法、系统和设备
CN107534945A (zh) 一种d2d同步方法及用户设备、服务小区
JP61439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40107833A (ko)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재자 교체방법 및 그방법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
JP6361653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6431532B2 (ja) 公衆安全システム
CN109412736B (zh) 一种窄带自组网定时同步方法
US946786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543502B (zh) 通信同步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KR20070110359A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CN108605300A (zh) 一种nan设备发送同步信标消息的方法和设备
JP2011250158A (ja) 無線基地局探索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探索装置
JPWO2017204147A1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625439B (zh) 一种进行同步的方法和设备
KR101738961B1 (ko)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방법
JP20091115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送信方法
JP6131509B2 (ja)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290032A1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short messages of talk group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