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717B1 -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717B1
KR101738717B1 KR1020130029669A KR20130029669A KR101738717B1 KR 101738717 B1 KR101738717 B1 KR 101738717B1 KR 1020130029669 A KR1020130029669 A KR 1020130029669A KR 20130029669 A KR20130029669 A KR 20130029669A KR 101738717 B1 KR101738717 B1 KR 10173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rack bar
axial direction
c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068A (ko
Inventor
이상은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2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71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2Servomotor, servo controller kind till VSS
    • G05B2219/42298Measure backlash, time difference between point A to point B and from B to A, if too l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랙바의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종래 수동으로 백래시를 측정하던 방식에 비해 측정 정확도가 높고,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Apparatus for backlash measurement of rackbar}
본 발명은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바의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종래 수동으로 백래시를 측정하던 방식에 비해 측정 정확도가 높고,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감속기로 웜 기어와 웜휠 기어를 구비한 종래의 랙 타입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볼스크류부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볼스크류부(150)는 랙바(120)의 타측의 스크류(123)를 감싸며 회전하는 볼너트(151)가 랙하우징(110)의 내경에 착설된 볼베어링(153)에 의해 회전하도록 끼워지고, 볼너트(151)와 랙바(120)의 스크류(123) 사이에는 다수개의 스틸볼이 삽입되어 랙바(120)의 축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스크류(123)의 나선을 따라 이동한다.
볼너트(151)의 외측에는 전동모터(140)로부터의 구동력을 볼너트(151)에 전달토록 함에 있어서 감속된 회전 출력을 얻도록 한 감속기(160)가 구비되는데, 감속기(160)는 전동모터(140) 축 단부에 축삽된 웜기어(161)와, 볼너트(151) 중앙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기어(163)로 이뤄진다.
한편, 스크류(123)와 스틸볼 사이에는 틈새와 같은 백래시(backlash)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백래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너트(151)를 지지하는 볼베어링(153)을 고정부재(170)로 고정시키고, 랙바(120)의 일단에 수동으로 하중을 가하면서, 랙바(12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판(180)의 위치변화를 측정기(190)로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동으로 하중을 가하는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측정작업의 효율이 낮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어, 자동으로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랙바의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종래 수동으로 백래시를 측정하던 방식에 비해 측정 정확도가 높고,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유닛; 베이스유닛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랙바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클램프유닛; 제1클램프유닛에 연결되어 랙바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는 로드셀유닛; 제1클램프유닛과 로드셀유닛을 지지하는 로드셀유닛 지지유닛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유닛; 랙바의 스크류와 결합되되, 스크류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스틸볼을 가지는 볼너트가 끼워진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유닛; 볼너트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클램프유닛; 제2클램프유닛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유닛; 볼너트의 타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클램프유닛; 제3클램프유닛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유닛; 및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랙바의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종래 수동으로 백래시를 측정하던 방식에 비해 측정 정확도가 높고,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감속기로 웜 기어와 웜휠 기어를 구비한 종래의 랙 타입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볼스크류부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1클램프유닛, 로드셀유닛 그리고 제1구동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베어링지지유닛, 제2클램프유닛 그리고 제3클램프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제2클램프유닛 그리고 제2구동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센서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구동유닛이 위치한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클램프 유닛들에 장착된 랙바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1클램프유닛, 로드셀유닛 그리고 제1구동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베어링지지유닛, 제2클램프유닛 그리고 제3클램프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제2클램프유닛 그리고 제2구동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센서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300)는 베이스유닛(400); 베이스유닛(4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랙바(301)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클램프유닛(500); 제1클램프유닛(500)에 연결되어 랙바(301)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는 로드셀유닛(600); 제1클램프유닛(500)과 로드셀유닛(600)을 지지하는 로드셀유닛 지지유닛(7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유닛(700); 랙바(301)의 스크류(303)와 결합되되, 스크류(303)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스틸볼(305)을 가지는 볼너트(307)가 끼워진 베어링(B)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유닛(800); 볼너트(307)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클램프유닛(900); 볼너트(307)의 타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클램프유닛(1000); 제2클램프유닛(90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유닛(1100); 제3클램프유닛(100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유닛(1200); 및 스크류(303)와 스틸볼(305)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센서유닛(1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유닛(400)은 하부 베이스판(410), 상부 베이스판(420) 그리고 하부 베이스판(410)과 상부 베이스판(42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지지판(43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하부 베이스판(410)과 상부 베이스판(420)은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지지판(430)은 하부 베이스판(410)과 상부 베이스판(420)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여 지지한다.
하부 베이스판(41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지지대(440)가 구비되며, 지지대(44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지지대(4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유닛(40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부 베이스판(420)의 상부에는 백래시 측정을 위한 볼너트가 결합된 랙바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대(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납대(450)에는 홈이 형성된 블럭(451)이 구비되어 볼너트가 결합된 랙바를 수납하며, 이러한 수납대(450)는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러버 재질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제1클램프유닛(500)은 베이스유닛(4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다. 도면들에서는 제1클램프유닛(500)이 베이스유닛(400)의 상부 후방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1클램프유닛(500)에는 랙바(301)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일 예로, 제1클램프유닛(500)은 콜릿(collet)으로 제공될 수 있다. 콜릿(collet)은 드릴 척과 마찬가지로 드릴이나 엔드밀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콜릿의 원기둥 모양의 통 위에는 여러 가닥의 홈이 나 있으며, 나사 등을 이용하여 바깥쪽에서 균일한 힘으로 통을 조임으로써 통 속에 끼워넣은 드릴이나 엔드밀 등이 단단하게 고정되는 구조이다.
한편, 제1클램프유닛(500)은 로드셀유닛 지지유닛(710)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바(511)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로드셀유닛(600)은 제1클램프유닛(500)에 연결되어 랙바(301)에 축방향 하중을 가한다. 로드셀유닛(600)은 일 예로, 유압식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유압에 의해 제1클램프유닛(500)을 축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랙바(301)에 축방향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즉, 로드셀유닛(600)이 제1클램프유닛(500)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면, 제1클램프유닛(500)이 가이드바(511)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로드셀유닛(600)이 가하는 하중이 랙바(301)에 전해지게 된다.
제1구동유닛(700)은 제1클램프유닛(500)과 로드셀유닛(600)을 지지하는 로드셀유닛 지지유닛(7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구동유닛(700)은 구동력제공부(720), 구동력제공부(720)에 결합된 스크류부재(730) 그리고 스크류부재(730)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740)를 포함한다.
구동력제공부(720)는 일 예로, 서보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부재(740)는 제1클램프유닛(500)과 로드셀유닛(600)을 지지하는 로드셀유닛 지지유닛(710)과 결합되며, 스크류부재(730)가 회전하면 스크류부재(730)를 따라 축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이동부재(740)와 결합된 로드셀유닛 지지유닛(710)은 가이드바(711)를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베어링지지유닛(800)은 랙바(301)의 스크류(303)와 결합되되, 스크류(303)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스틸볼(305)을 가지는 볼너트(307)가 끼워진 베어링(B)을 지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베어링지지유닛(800)은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810)과 하부 베어링클램프유닛(82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하부 베어링클램프유닛(820)은 고정형으로 구비되고,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810)은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베어링클램프유닛(820)에는 홈(821)이 형성되어 베어링(B)의 외주면 하측을 지지하며, 여기서 홈(821)은 일 예로, 아래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810)에는 홈(811)이 형성되어 베어링(B)의 외주면 상측을 지지하며, 여기서 홈(811)은 일 예로, 위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810)은 일 예로, 구동기(813)에 결합되어, 구동기(813)가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기(813)는 일 예로, 유압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다.
제2클램프유닛(900)은 랙바(301)의 스크류(303)에 결합되는 볼너트(307)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클램프유닛(900)은 볼너트(307)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럭(910)과, 지지블럭(910)에 결합되어 가이드바(921)를 따라 지지블럭(910)을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서포트블럭(92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지지블럭(910)에는 안착홈(9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911)은 일 예로, 아래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911)의 내측에는 랙바(301)가 놓이며, 지지블럭(910)의 측면은 볼너트(307)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서포트블럭(920)은 일 예로,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블럭(910)에 결합되며, 서포트블럭(920)은 제2구동유닛(1100)이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바(921)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구동유닛(1100)은 제2클램프유닛(90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면들에서는 제2구동유닛(1100)이 베이스유닛(400)의 상부 전방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제2구동유닛(1100)은 일 예로, 유압제공부(미도시)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110)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유압에 의해 서포트블럭(9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구동유닛(1100)은 공압제공부에 연결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공압에 의해 서포트블럭(9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3클램프유닛(1000)은 랙바(301)의 스크류(303)에 결합되는 볼너트(307)의 타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제3클램프유닛(1000)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지지블럭(10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안착홈은 일 예로, 아래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의 내측에는 랙바(301)가 놓이며, 지지블럭(1010)의 측면은 볼너트(307)의 타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제3구동유닛(1200)은 제3클램프유닛(1000)의 지지블럭(10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3구동유닛(1200)은 일 예로, 공압제공부(미도시)에 연결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공압에 의해 제3클램프유닛(1000)의 지지블럭(10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구동유닛(1200)은 유압제공부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유압에 의해 제3클램프유닛(1000)의 지지블럭(10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유닛(1300)은 랙바(301)의 스크류(303)와 스틸볼(305) 사이의 백래시(backlash)를 측정한다. 센서유닛(1300)은 일 예로, 레이저센서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져, 랙바(301) 끝단의 위치변화를 직접 측정하여 랙바(301)의 스크류(303)와 스틸볼(305)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유닛(1300)으로 랙바(301) 끝단의 위치변화를 직접 측정하게 되면, 종래 스크류(123)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기 위해 랙바(120)의 단부에 고정판(180)을 결합하고, 고정판(180)의 위치변화를 측정기(190)로 측정하는 간접 측정 방식에 비해 측정 오차의 범위가 줄어들어 좀 더 정확한 백래시 측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센서유닛(1300)은 축방향 및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센서유닛(1300)이 축방향 및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4구동유닛(1400)과 제5구동유닛(1500)이 구비된다.
제4구동유닛(1400)은 센서유닛(1100)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5구동유닛(1500)은 센서유닛(1100)이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4구동유닛(1400)은 가이드바(1410)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플레이트(1420)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제4구동유닛(1400)은 일 예로, 유압제공부(미도시)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430)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유압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4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공압제공부에 연결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공압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4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420)의 상부에는 제5구동유닛(1500)이 결합되며, 제5구동유닛(1500)은 가이드부재(1510)를 따라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센서유닛(1300)이 상부에 결합된 지지판(1520)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제5구동유닛(1500)은 일 예로, 유압제공부(미도시)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530)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유압에 의해 지지판(15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공압제공부에 연결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공압에 의해 지지판(15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센서유닛(1300)은 지지판(1520) 상에 결합되어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센서유닛(1300)은 일 예로, 레이저센서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져, 랙바(301) 끝단의 위치변화를 직접 측정하여 랙바(301)의 스크류(303)와 스틸볼(305)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제3클램프유닛(1000)의 후방에는 랙바(301)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유닛(1600)이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포트유닛(1600)은 랙바(301)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판(1610)과, 서포트판(161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6구동유닛(163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서포트판(1610)은 블럭 구조로 제공되며, 제6구동유닛(1630)은 유압제공부(미도시)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유압에 의해 서포트판(16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6구동유닛(1630)은 공압제공부에 연결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도록 이뤄져 공압에 의해 서포트판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로 랙바의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랙바(301)의 일측을 제1클램프유닛(5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베어링지지유닛(800)으로 볼너트(307)가 끼워진 베어링(B)을 상하에서 지지하게 한 후, 제2클램프유닛(900)을 후방으로, 제3클램프유닛(100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볼너트(307)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게 한다. 이 때, 서포트유닛(1600)은 랙바(301)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한다. 이어서, 로드셀유닛(600)으로 제1클램프유닛(500)에 결합되어 고정된 랙바(301)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면서 센서유닛(1300)으로 랙바(301)의 전방 끝단의 위치변화를 측정하여 랙바(301)의 스크류(303)와 스틸볼(305)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한다. 측정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전술한 과정을 반대로 수행한 후 랙바(301)를 언로딩하고, 새로이 백래시를 측정할 랙바(301)를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300)에 로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랙바의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종래 수동으로 백래시를 측정하던 방식에 비해 측정 정확도가 높고,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110 : 랙하우징 120 : 랙바
130 : 기어박스 140 : 전동모터
150 : 볼스크류부 160 : 감속기
170 : 고정부재 180 : 고정판
190 : 측정기
3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400 : 베이스유닛 500 : 제1클램프유닛
600 : 로드셀유닛 700 : 제1구동유닛
800 : 베어링지지유닛 900 : 제2클램프유닛
1000 : 제3클램프유닛 1100 : 제2구동유닛
1200 : 제3구동유닛 1300 : 센서유닛

Claims (12)

  1.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랙바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클램프유닛;
    상기 제1클램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랙바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는 로드셀유닛;
    상기 제1클램프유닛과 로드셀유닛을 지지하는 로드셀유닛 지지유닛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유닛;
    상기 랙바의 스크류와 결합되되, 스크류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스틸볼을 가지는 볼너트가 끼워진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유닛;
    상기 볼너트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클램프유닛;
    상기 제2클램프유닛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유닛;
    상기 볼너트의 타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클램프유닛;
    상기 제3클램프유닛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유닛; 및
    상기 스크류와 스틸볼 사이의 백래시를 측정하는 센서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하부 베이스판;
    상부 베이스판; 및
    상기 하부 베이스판과 상부 베이스판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수납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납대에는 상기 랙바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유닛은, 상기 로드셀유닛 지지유닛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바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구동력제공부;
    상기 구동력제공부에 결합된 스크류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에 결합되어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로드셀유닛 지지유닛은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어,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지지유닛은,
    하부 베어링클램프유닛과,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베어링클램프유닛과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베어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클램프유닛은 고정형으로 구비되고, 상부 베어링클램프유닛은 구동기가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유닛은,
    상기 볼너트의 일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에 결합되어 가이드바를 따라 지지블럭을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서포트블럭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유닛은, 상기 서포트블럭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클램프유닛은,
    내측에 상기 랙바가 놓이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너트의 타측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제3구동유닛은 상기 지지블럭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은 제5구동유닛에 의해 가이드부재를 따라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5구동유닛의 하측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4구동유닛에 의해 가이드바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클램프유닛의 후방에는 랙바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서포트유닛은,
    랙바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판; 및
    상기 서포트판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6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KR1020130029669A 2013-03-20 2013-03-20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KR10173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69A KR101738717B1 (ko) 2013-03-20 2013-03-20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69A KR101738717B1 (ko) 2013-03-20 2013-03-20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68A KR20140115068A (ko) 2014-09-30
KR101738717B1 true KR101738717B1 (ko) 2017-05-22

Family

ID=5175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669A KR101738717B1 (ko) 2013-03-20 2013-03-20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7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60B1 (ko) 2018-10-25 2020-02-19 주식회사 한화 스크류의 양방향 효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류의 양방향 효율 측정 방법
KR102079259B1 (ko) 2018-10-19 2020-04-13 주식회사 한화 스크류의 효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류의 효율 측정 방법
KR102251110B1 (ko) 2019-12-10 2021-05-11 주식회사 한화 스크류의 효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류의 효율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517B1 (ko) * 2018-06-21 2019-11-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래시 측정 장치
CN110243602B (zh) * 2019-07-19 2021-04-02 中国航空综合技术研究所 关节轴承低温磨损试验系统及其组装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59B1 (ko) 2018-10-19 2020-04-13 주식회사 한화 스크류의 효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류의 효율 측정 방법
KR102079260B1 (ko) 2018-10-25 2020-02-19 주식회사 한화 스크류의 양방향 효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류의 양방향 효율 측정 방법
KR102251110B1 (ko) 2019-12-10 2021-05-11 주식회사 한화 스크류의 효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류의 효율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68A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717B1 (ko) 랙바의 백래시 측정장치
JP5215866B2 (ja) 測定対象物についての測定可能な変数を決定する装置
US7004816B2 (en) Grinding method for vertical type of double disk surface grinding machine
US20220410341A1 (en) Planogrinder
CN105563246A (zh) 一种数控深孔磨床
KR102034928B1 (ko) 볼스크류의 피치 측정장치
CN104122087A (zh) 直线电机驱动的滚珠丝杠性能实验台
CN108356614B (zh) 一种工件外圆磨非接触式监测装置及方法
CN104044097B (zh) 一种小型杆式弹性零件的夹持装置
CN105222690A (zh) 空心车轴内孔同轴度检测装置
CN103418860A (zh) 一种内螺纹磨削中心整机
CN214418325U (zh) 一种高精密加工中心快速校对装置
CN102398224A (zh) 正交三轴机床
JP2005262326A (ja) 心押し台
CN106881653B (zh) 工作台横动型磨床
CN205027293U (zh) 空心车轴内孔同轴度检测装置
CN210376192U (zh) 一种晶棒v型槽定向检测装置
CN116086703B (zh) 一种平衡轴立式全自动平衡机
CN117190867A (zh) 一种激光测量螺杆钻具定子内螺旋导程的设备及测量方法
CN216791859U (zh) 多功能静态测量装置
CN214621110U (zh) 一种同轴度调整装置
CN211760513U (zh) 一种龙门磨床
CN107009164A (zh) 一种精确定位角度的专用夹具装置
CN114161185A (zh) 回转体铸件装夹校准平台
CN109175761B (zh) 车轴焊接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