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642B1 - 블록형 저류조 - Google Patents

블록형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642B1
KR101738642B1 KR1020150028540A KR20150028540A KR101738642B1 KR 101738642 B1 KR101738642 B1 KR 101738642B1 KR 1020150028540 A KR1020150028540 A KR 1020150028540A KR 20150028540 A KR20150028540 A KR 20150028540A KR 101738642 B1 KR101738642 B1 KR 10173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side cover
tube
posts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188A (ko
Inventor
배승열
안우정
Original Assignee
(주)제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철산업 filed Critical (주)제철산업
Priority to KR102015002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6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는 제1 관체와, 제1 일측 커버판, 및 제1 타측 커버판을 포함한다. 제1 관체는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와 공기 출입을 위한 공기변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구된다. 제1 일측 커버판은 제1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형성된다. 제1 타측 커버판은 제1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블록형 저류조{Block type storage tank}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와 같은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시에는 저장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기에는 집중호우 등으로 하천에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도시의 침수나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갈수기에는 상류에 댐이 없는 하천의 경우 유량이 적으므로 각종 혐기성 생물의 서식처가 되기 마련이며, 이로 인해 미생물의 번식과 기타 오염원이 퇴적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천에 일정한 양의 물이 상시 흐를 수 있도록 유지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유지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댐 건설 등이 있어야 하지만, 환경 및 생태적인 문제, 토지 확보 문제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쉽지 않다. 댐 건설 등이 없이도 유지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하에 저류조를 매설해서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시공 가능하고 확장이 용이한 블록형 저류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는 제1 관체와, 제1 일측 커버판, 및 제1 타측 커버판을 포함한다. 제1 관체는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와 공기 출입을 위한 공기변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구된다. 제1 일측 커버판은 제1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형성된다. 제1 타측 커버판은 제1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형 저류조는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시공 가능하고, 추가적인 저류 용량 증가시 확장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압 및 상부 침하 등에 의한 관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관체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타측 커버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제1,2 관체의 다른 배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100)는 지하에 매설되어 우수와 같은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시에는 저장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블록형 저류조(100)는 제1 관체(110)와, 제1 일측 커버판(120), 및 제1 타측 커버판(130)을 포함한다.
제1 관체(110)는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11)가 형성된다. 점검구(111)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검구(111)의 상부에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 점검관(111a)이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점검관(111a)의 상부 개구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점검관(111a)의 상부 개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점검관(111a)의 상단으로부터 제1 관체(110) 내로 점검 사다리(11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관체(110) 내부의 점검시 점검 사다리(112)를 이용해서 제1 관체(110)에 대해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다.
제1 관체(110)는 일측 상부에 공기 출입을 위한 공기변(113)이 형성된다. 제1 관체(110)에 대해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될 때, 제1 관체(110)의 내부 공기압이 변동됨에 따라 공기변(113)을 통해 제1 관체(110)에 공기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변(113)의 상부에는 공기관(113a)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체(110)가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공기관(113a)는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되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제1 관체(110)는 양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관체(110)는 원형의 강관, 또는 파형 주름이 잡힌 파형강관,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관체(110)의 내부에는 지지 포스트(1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관체(110)는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토압이나 상부 침하 등에 의해 눌러져 압축 변형될 수 있는데, 지지 포스트(114)는 제1 관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관체(110)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1 관체(110)의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관체(110)는 5%를 초과해서 변형되면 소성 변형되므로, 5% 이하로 변형되도록 관리될 필요가 있다. 지지 포스트(114)는 제1 관체(110)의 내부를 상하로 가로질러 상단이 제1 관체(110)의 내부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제1 관체(110)의 내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포스트(114)는 제1 포스트(114a)와 제2 포스트(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스트(114a)는 하단이 제1 관체(110)의 내부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다. 제2 포스트(114b)는 상단이 제1 관체(110)의 내부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다. 제2 포스트(114b)는 하단 부위가 제1 포스트(114a)의 상단 부위를 끼우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포스트(114b)는 제1 포스트(114a)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다. 제2 포스트(114b)는 제1 포스트(114a)에 맞닿게 하강한 상태에서 제1 관체(110)가 소성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5% 이하로 압축 변형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제1 관체(110)가 압축 변형된 상태로부터 복원될 때, 제2 포스트(114b)는 제1 포스트(114a)로부터 자유롭게 상승할 수 있게 되므로, 제1 관체(110)가 제1 포스트(114a)에 의한 구속 없이 원활히 복원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 포스트(114a)는 상단 부위가 제2 포스트(114b)의 하단 부위를 끼우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일측 커버판(120)은 제1 관체(110)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된다. 일 예로, 제1 일측 커버판(120)은 플랜지(115)를 이용해서 제1 관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15)는 클램프(115a)에 의해 제1 관체(110)의 일단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115a)는 풀린 상태에서 제1 관체(110)의 일단 둘레를 감싼 후 조여짐에 따라 제1 관체(110)의 일단 둘레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115)는 제1 관체(110)의 일단 둘레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일측 커버판(120)은 플랜지(115)에 볼트 부재와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제1 관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일측 커버판(120)과 플랜지(115) 사이에는 방수 패킹(116)이 설치되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 일측 커버판(120)은 제1 관체(110)의 개구된 일단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일측 커버판(120)은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일측 커버판(120)은 표면에 부식 방지를 위해 방청재료로 도장될 수 있다. 제1 일측 커버판(120)은 표면에 부식 방지를 위해 표면에 폴리머 코팅될 수도 있다. 제1 일측 커버판(120)에는 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유입구(121)에는 유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은 유입구(121)로부터 지상으로 인출된다. 유입관은 우수와 같은 물을 유입구(121)를 통해 제1 관체(110) 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제1 타측 커버판(130)은 제1 관체(110)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된다. 제1 타측 커버판(130)이 제1 관체(110)에 결합되는 방식은 제1 일측 커버판(120)이 제1 관체(110)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타측 커버판(130)은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제1 타측 커버판(130)에는 유출구(131)가 형성된다. 유출구(131)에는 유출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유출관은 유출구(131)로부터 지상으로 인출된다. 유출관은 제1 관체(110)에 저장된 물을 펌프 등에 의해 유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빼내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측 커버판(230)은 유출구(231)의 하측에 유동통로(2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유동통로(232)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통로(232)는 마개(2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마개(233)는 제1 타측 커버판(230)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마개(233)와 제1 타측 커버판(230) 사이에는 제1 개스킷(236)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개스킷(236)은 마개(233)와 제1 타측 커버판(23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한다. 제1 개스킷(236)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가 원형인 경우, 제1 개스킷(236)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스킷(236)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스킷(236)은 유동통로(232)의 주변에 형성된 지지 홈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제1 타측 커버판(230)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100)에 사용되는 경우, 마개(233)는 제1 타측 커버판(230)에 체결되어 유동통로(232)를 폐쇄시키도록 기능한다. 제1 타측 커버판(230)이 후술할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200)에 사용되는 경우, 마개(233)는 제1 타측 커버판(230)으로부터 분리되어 유동통로(232)를 개방시키도록 기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100)보다 제2 관체(240)와, 제2 일측 커버판(250)과, 제2 타측 커버판(260), 및 제1 개스킷(23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200)는 직렬식으로 2단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233)가 제거된 제1 타측 커버판(230)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100)가 도 1에 도시된 제1 타측 커버판(130)을 포함한 경우라면, 도 4에 도시된 제1 타측 커버판(230)으로 교체될 수 있다.
제2 관체(240)는 제1 타측 커버판(230)에 인접해서 제1 관체(110)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제2 관체(240)는 양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관체(240)는 제1 관체(110)의 점검구(111)와 공기변(113)을 제외한 부분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관체(240)의 내부에는 지지 포스트(244)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은 제2 관체(240)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된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이 제2 관체(240)에 결합되는 방식은 제1 일측 커버판(120)이 제1 관체(110)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은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은 하측에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와 통하는 유동통로(252)가 형성된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는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는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와 통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 관체(110)와 제2 관체(240) 간에 물이 흐를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작업자 또는 설비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한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와 통하는 유입구(251)가 형성된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입구(251)는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와 함께 유동통로들(232)(25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입구(251)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는 오버플로우를 통해 제1 관체(110)와 제2 관체(240) 간에 공기나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은 제1 타측 커버판(230)에 연결된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은 주변을 따라 제1 타측 커버판(230)과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개스킷(236)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와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제1 개스킷(236)은 제1 타측 커버판(230)과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체결시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 주변과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 주변을 공히 둘러싼 상태에서 압착된다. 따라서, 제1 개스킷(236)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와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 사이로 누수를 방지하여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 주변에는 제1 개스킷(236)을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입구(251)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 사이에도 누수 방지를 위한 개스킷(257)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입구(251)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는 폐쇄될 수도 있다.
제2 타측 커버판(260)은 제2 관체(240)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261)가 형성된다. 유출구(261)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200)를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2 관체(110)(240)를 마련한다. 유입구(121)를 갖는 제1 일측 커버판(120)을 마련한다. 유출구(231)와 유동통로(232)를 갖는 제1 타측 커버판(230)을 마련한다. 유입구(251)와 유동통로(252)를 갖는 제2 일측 커버판(250)을 마련한다. 유출구(261)를 갖는 제2 타측 커버판(260)을 마련한다.
그 다음, 제1 관체(110)의 개구된 일단에 제1 일측 커버판(120)을 결합시키고 제1 관체(110)의 개구된 타단에 제1 타측 커버판(230)을 결합시킨다. 제2 관체(240)의 개구된 일단에 제2 일측 커버판(250)을 결합시키고 제2 관체(240)의 개구된 타단에 제2 타측 커버판(260)을 결합시킨다.
그 다음,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통로(252)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 사이에 제1 개스킷(236)을 삽입시킨 상태로 제2 일측 커버판(250)과 제1 타측 커버판(230)을 마주하게 배치한다. 제2 일측 커버판(250)과 제1 타측 커버판(230)을 연결시켜 블록형 저류조(200)를 시공 완성한다. 이때,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입구(251)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 사이에도 누수 방지를 위한 개스킷(257)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2 관체(110)(240)의 내부에는 지지 포스트(114)(244)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3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200)보다 제3 관체(370)와, 제3 일측 커버판(380)과, 제3 타측 커버판(390), 및 제2 개스킷(36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300)는 직렬식으로 3단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제3 관체(370)와, 제3 일측 커버판(380)과, 제3 타측 커버판(390), 및 제2 개스킷(366)은 제2 실시예의 제2 관체(240)와, 제2 일측 커버판(250)과, 제2 타측 커버판(260), 및 제1 개스킷(236)과 각각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 타측 커버판(360)은 제2 실시예의 제1 타측 커버판(23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 제2 타측 커버판(360)은 유출구(361)와 유동통로(362)를 갖는다.
제3 관체(370)의 내부에는 지지 포스트(374)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일측 커버판(380)은 하측에 제2 타측 커버판(360)의 유동통로(362)와 통하는 유동통로(382)가 형성된다. 제3 일측 커버판(380)의 유입구(381)와 제2 타측 커버판(360)의 유출구(361) 사이에도 누수 방지를 위한 개스킷(387)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타측 커버판(390)은 유출구(391)를 갖는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블록형 저류조는 전술한 제2,3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의 확장 형태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해서 4단 이상으로 추가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300)를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2,3 관체(110)(240)(370)를 마련한다. 유입구(121)를 갖는 제1 일측 커버판(120)을 마련한다. 유출구(231)와 유동통로(232)를 갖는 제1 타측 커버판(230)을 마련한다. 유입구(251)와 유동통로(252)를 갖는 제2 일측 커버판(250)을 마련한다. 유출구(361)와 유동통로(362)를 갖는 제2 타측 커버판(360)을 마련한다. 유입구(381)와 유동통로(382)를 갖는 제3 일측 커버판(380)을 마련한다. 유출구(391)를 갖는 제3 타측 커버판(390)을 마련한다.
그 다음, 제1 관체(110)의 개구된 일단에 제1 일측 커버판(120)을 결합시키고 제1 관체(110)의 개구된 타단에 제1 타측 커버판(230)을 결합시킨다. 제2 관체(240)의 개구된 일단에 제2 일측 커버판(250)을 결합시키고 제2 관체(240)의 개구된 타단에 제2 타측 커버판(360)을 결합시킨다. 제3 관체(370)의 개구된 일단에 제3 일측 커버판(380)을 결합시키고 제3 관체(370)의 개구된 타단에 제3 타측 커버판(390)을 결합시킨다.
그 다음,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동 통로(252)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동통로(232) 사이에 제1 개스킷(236)을 삽입시킨 상태로 제2 일측 커버판(250)과 제1 타측 커버판(230)을 연결시킨다. 이때, 제2 일측 커버판(250)의 유입구(251)와 제1 타측 커버판(230)의 유출구(231) 사이에도 누수 방지를 위한 개스킷(257)을 설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제3 일측 커버판(380)의 유동통로(382)와 제2 타측 커버판(360)의 유동통로(362) 사이에 제2 개스킷(366)을 삽입시킨 상태로 제3 일측 커버판(380)과 제2 타측 커버판(360)을 연결시켜 블록형 저류조(300)를 시공 완성한다. 이때, 제3 일측 커버판(380)의 유입구(381)와 제2 타측 커버판(360)의 유출구(361) 사이에도 누수 방지를 위한 개스킷(387)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2,3 관체의(110)(240)(370) 내부에는 지지 포스트(114)(244)(374)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4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100)보다 제2 관체(440)와, 제2 일측 커버판(450)과, 제2 타측 커버판(460), 및 연결관(46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400)는 병렬식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관체(440)는 제1 관체(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관체(440)는 양단이 개구되며, 일측 상부에 점검구(441)와 공기변(443)이 형성된다. 제2 관체(440)는 동일 평면 상에서 제1 관체(11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일측 커버판(450)은 제2 관체(440)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형성된다. 제2 타측 커버판(460)은 제2 관체(440)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461)가 형성된다.
연결관(466)은 제1 타측 커버판(130)의 유출구(131)와 제2 타측 커버판(460)의 유출구(461)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2 관체(110)(440)로 유입된 물은 연결관(466)을 통해 제1 관체(110)와 제2 관체(440) 간에 흐를 수 있게 되므로, 저류조(400)의 저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결관(466)은 제1 타측 커버판(130)의 유출구(131)와 제2 타측 커버판(460)의 유출구(461)에 각각 결합된 부위가 누수 방지되도록 밀봉 처리될 수 있다. 제1 타측 커버판(130) 및 제2 타측 커버판(460)은 각각 하측에 추가적인 유출구들이 형성되며, 추가적인 유출구들은 추가적인 연결관(467)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체(440)는 동일 평면 상에서 제1 관체(110)에 대해 수직을 이루게 배치된 상태로 연결관들(466)(467)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200)가 2 쌍으로 이루어져 제4 실시예와 같이 병렬식으로 확장될 수 있고,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저류조(300)가 2 쌍으로 이루어져 제4 실시예와 같이 병렬식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1 관체 120..제1 일측 커버판
130,230..제1 타측 커버판 233..마개
236..제1 개스킷 240,440..제2 관체
250,450..제2 일측 커버판 260,360,460..제2 타측 커버판
366..제2 개스킷 370..제3 관체
380..제3 일측 커버판 390..제3 타측 커버판
466,467..연결관

Claims (4)

  1. 삭제
  2.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와 공기 출입을 위한 공기변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1 관체;
    상기 제1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형성된 제1 일측 커버판;
    상기 제1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유동통로가 형성된 제1 타측 커버판;
    상기 제1 타측 커버판에 인접해서 상기 제1 관체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2 관체;
    상기 제2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하측에 상기 제1 타측 커버판의 유동통로와 통하는 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타측 커버판의 유출구와 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타측 커버판과 연결되는 제2 일측 커버판;
    상기 제2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2 타측 커버판;
    상기 제1 타측 커버판의 유동통로와 제2 일측 커버판의 유동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제1 개스킷; 및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를 상하로 가로질러 상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포스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포스트들은,
    하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제1 포스트들, 및
    상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지고 하단 부위가 상기 각각의 제1 포스트의 상단 부위에 끼워져 상기 제1 포스트들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된 제2 포스트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2 포스트들이 상기 제1 포스트들에 맞닿게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관체가 소성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압축 변형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2 관체가 압축 변형된 상태로부터 복원될 때 상기 제1 포스트들에 의한 구속 없이 원활히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저류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측 커버판은 하측에 유동통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타측 커버판에 인접해서 상기 제2 관체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3 관체;
    상기 제3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하측에 상기 제2 타측 커버판의 유동통로와 통하는 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타측 커버판의 유출구와 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타측 커버판과 연결되는 제3 일측 커버판;
    상기 제3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3 타측 커버판; 및
    상기 제2 타측 커버판의 유동통로와 제3 일측 커버판의 유동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제2 개스킷;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저류조.
  4.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와 공기 출입을 위한 공기변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1 관체;
    상기 제1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형성된 제1 일측 커버판;
    상기 제1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1 타측 커버판;
    일측 상부에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와 공기 출입을 위한 공기변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제2 관체;
    상기 제2 관체의 개구된 일단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형성된 제2 일측 커버판;
    상기 제2 관체의 개구된 타단에 결합되며 유출구가 형성된 제2 타측 커버판;
    상기 제1 타측 커버판의 유출구와 상기 제2 타측 커버판의 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를 상하로 가로질러 상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포스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포스트들은,
    하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제1 포스트들, 및
    상단이 상기 제1,2 관체의 내부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지고 하단 부위가 상기 각각의 제1 포스트의 상단 부위에 끼워져 상기 제1 포스트들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된 제2 포스트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2 포스트들이 상기 제1 포스트들에 맞닿게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관체가 소성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압축 변형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2 관체가 압축 변형된 상태로부터 복원될 때 상기 제1 포스트들에 의한 구속 없이 원활히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저류조.
KR1020150028540A 2015-02-27 2015-02-27 블록형 저류조 KR10173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40A KR101738642B1 (ko) 2015-02-27 2015-02-27 블록형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40A KR101738642B1 (ko) 2015-02-27 2015-02-27 블록형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88A KR20160105188A (ko) 2016-09-06
KR101738642B1 true KR101738642B1 (ko) 2017-05-23

Family

ID=5694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540A KR101738642B1 (ko) 2015-02-27 2015-02-27 블록형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6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54B1 (ko) * 2005-05-28 2007-07-06 (주)제이엘크린워터 장력식 상판 구조를 갖는 무용접 저수구조물
KR101359101B1 (ko) * 2013-08-08 2014-02-06 (주) 보원건설산업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54B1 (ko) * 2005-05-28 2007-07-06 (주)제이엘크린워터 장력식 상판 구조를 갖는 무용접 저수구조물
KR101359101B1 (ko) * 2013-08-08 2014-02-06 (주) 보원건설산업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88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CN201582461U (zh) 一种一体式双向液封装置
US20100014920A1 (en) Turbine structure and gate structure having flexible joint and inside stuffing for tidal power plant
KR101738642B1 (ko) 블록형 저류조
US20110073298A1 (en) Environmental containment and protection system
US20080080935A1 (en) Submarine Water Reservior
US20160305108A1 (en) Vertical Underground Storage Tank and Method of Installing and Forming the Same
CN107700451B (zh) 一种圆柱桩腿
JP6814318B1 (ja)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KR101965109B1 (ko)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KR20230067183A (ko) 농업용수 이송 장치
JP2018203360A (ja) タンクの付帯設備
KR101606691B1 (ko)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KR102489274B1 (ko) 밸브실 침하시 배관 보호용 밸브실
KR101842406B1 (ko) 소화가스 저장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가스 저장조
KR102060765B1 (ko)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52146B1 (ko)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의 자동비상용 지붕배수장치
KR200385269Y1 (ko) 액체 밀봉식 압력 진공 밸브장치
RU2554689C1 (ru) Подвод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KR102375488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CN219263437U (zh) 一种孔口管固定装置
JP7302963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方法
RU1197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кализации разливов нефти в водоемах
KR101130008B1 (ko) 민물탱크
KR100965901B1 (ko) 수해방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