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319B1 -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319B1
KR101738319B1 KR1020167005319A KR20167005319A KR101738319B1 KR 101738319 B1 KR101738319 B1 KR 101738319B1 KR 1020167005319 A KR1020167005319 A KR 1020167005319A KR 20167005319 A KR20167005319 A KR 20167005319A KR 101738319 B1 KR101738319 B1 KR 10173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information
data
special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661A (ko
Inventor
얼린 젱
얄리 자오
팡리 수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6003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아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다이나믹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변환되는 경우, 시스템 정보가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배치하고 당해 서브프레임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경우, 종래의 유저 장치의 데이터 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호출, 시스템 메시지 등 공용 정보를 반드시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 기반하여 수신해야 하므로, 신규 버전 유저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리소스 이용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유저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면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관련출원
본 출원은 2013년 9월 23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1310436118.4, 발명명칭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장기진화시스템(LTE, Long Term Evolution)은, 시분할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모드에서의 다이나믹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시프트을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다이나믹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시프트는 네트워크에서의 상향/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 수요에 더 정확하게 부합하여,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향상하고 시간 지연을 저하시킬 수 있다.
종래의 LTE시스템은, 시분할듀플렉스 모드에서 채널 리소스가 시간도메인에서 일련의 무선 프레임으로 구분되며, 각 프레임 내부는 또한 다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10개 서브프레임)으로 추가 구분된다. 종래의 시분할듀플렉스 시스템은, 시스템 정보에 의해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부의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할당비를 배치한다. 도 1과 같이, 초기 시스템 정보가 지시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할당비 #0을 나타낸 경우를 가정하면, 어느 하나의 무선 프레임 K 이전에 네트워크는 상향/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 수요량 상황에 따라, "시프트 1"을 거쳐 할당비 #5로 시프트됨으로써 더욱 많은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배치해고; 어느 하나의 무선 프레임K+M에서, "시프트 2"를 거쳐 할당비#0으로 시프트되여 더욱 많은 상향 서브프레임을 배치해한다.
종래 시스템에서, 유저 장치는 하나의 현재 서브프레임 구성의 가정을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브프레임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인 경우, 모두 14개의 심볼이 하향 링크 수신에 이용될 수 있고, 현재 서브프레임이 특별 서브프레임인 경우, 고층 시그널링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배치에 의해 수신 심볼의 수를 설정한다.
다이나믹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변환되는 경우, 시스템 정보가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배치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다이나믹하게 변하면, 신규 버전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하게 변한 서브프레임의 배치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유저 장치의 데이터 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호출, 시스템 메시지 등 공용 정보는 반드시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며, 이로 인해 신규 버전 유저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의 리소스 이용률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아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한다. 즉, 다이나믹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변환되는 경우,시스템 정보가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배치하고 당해 서브프레임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경우, 종래의 유저 장치의 데이터 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호출, 시스템 메시지 등 공용 정보를 반드시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 기반하여 수신해야 하므로, 신규 버전 유저 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리소스 이용률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은,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유저 장치는 제2 배치 정보를 파악한 상황에서 동일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성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로써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및/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는 네트워크측의 배치에 따라 대응되는 방식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어 융통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유저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는 네트워크측의 배치에 따라 대응되는 방식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어, 융통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측 장치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유저 장치는 제2 배치 정보를 파악한 상황에서 동일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성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로써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는 대응되는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할 수 있어, 융통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는 대응되는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할 수 있어, 융통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유저 장치는 제2 배치 정보를 파악한 상황에서 동일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성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로써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및/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는 네트워크측의 배치에 따라 대응되는 방식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어, 융통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는,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및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유저 장치는 제2 배치 정보를 파악한 상황에서 동일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성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로써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는 대응되는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할 수 있어, 융통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장치는,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송수신기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송수신기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측 장치; 및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유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유저 장치는 제2 배치 정보를 파악한 상황에서 동일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성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로써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도 1은 배경기술중 다이나믹(dynamic)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변화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1 유형의 네트워크측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1 유형의 유저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2 유형의 유저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2 유형의 유저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수신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유저 장치는 제2 배치 정보를 파악한 상황에서 동일 서브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로써 데이터 수신시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된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은 네트워크측 장치(10)와 유저 장치(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장치(10)는,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의 제1 배치 정보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저 장치(20)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에서, 제2 배치 정보는 종래 시스템의 TDD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와 동일하며, 이 부분의 정보는 종래의 유저 장치(즉, 제1 배치 정보를 인식할 수 없고 제2 배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유저 장치)와 신형의 유저 장치(즉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유저 장치)가 모두 획득할 수 있다.
제1 배치 정보(즉 변화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할당비)는 다이나믹(dynamic) 또는 반 지속(Semi-Persistent) 시그널링 지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서브프레임의 배치 변화 주파수의 구체적인 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장치와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아래 몇가지를 예로 든다.
방식 1.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상응하게,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 중 모든 심볼(symbol)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 중 모든 심볼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방식 2.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상응하게,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format)에서 규정된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서 규정된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방식 3.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상응하게,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서 규정된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서 규정된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방식 4.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상응하게,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서 규정된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에서 규정된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네 가지 방식은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19247475-pct00001
방식 4에서, 유저 장치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포맷의 데이터 수신을 완성해야 하는 경우, 도 9에서 현재 무선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X가 14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심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본 서브프레임에서 제어채널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인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이 전방 2개의 심볼을 점용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면에서 시스템 정보 배치의 특별 서브프레임은 9개 OFDM심볼(예를 들어 특별 서브프레임 배치 #1)를 포함한다. UE는 제어 채널 탐색을 통해 호출 정보와 전용 데이터를 동시에 검출한 경우, 현재 무선 프레임 내에서 두 가지 프레임 포맷에 대한 가정을 기반하로 2세트의 서로 다른 리소스에서 호출(리소스 1)과 전용 데이터(리소스 2)를 각각 수신한다.
상기는 호출과 전용 데이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심볼만에 의해 이들 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기타 정보,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기타 셀 공용 제어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유저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이용하는지를 배치할 수 있다. 유저 장치는 상기 방식을 만족하고 그 방식을 배치한 후에야 구체적으로 작동한다.
배치 1.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고,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배치 2.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고,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배치 3.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 장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고,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배치 4. 바람직하게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며,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배치 5. 바람직하게 네트워크측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도록 하며, ,
이와 상응하게,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실시에서, 구체적으로 상기 어느 유형의 배치 또는 어느 유형들의 배치를 이용할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3을 이용하는 경우,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실시에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배치 3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배치시 서로 모순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는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측 장치가 유저 장치에 대해 배치를 진행할 때,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유저 장치에 대해 배치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였을 경우, 유저 장치도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때 배치시 배치 2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배치 4 또는 배치 5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배치 정보는 서브프레임5를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배치하고, 제1 배치 정보가 포함하는 정보는 서브프레임5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1 유형의 네트워크측 장치는 제2 확정 모듈(300)과 송신 모듈(310)을 포함한다.
제2 확정 모듈(300)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310)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310)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 모듈(310)은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310)은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310)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1 유형의 유저 장치는 제1 확정 모듈(400)과 수신 모듈(410)을 포함한다.
제1 확정 모듈(400)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수신 모듈(410)은,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410)은 또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410)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네트워크측 유저 장치는 프로세서(500)와 송수신기(5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0)는,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510)는, 프로세서(5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500)는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500)는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500)는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송수신기(510)를 통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500)는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5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가 대표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20)가 대표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고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500)는 버스 구성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며,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의 작업 수행시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버스 구성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며,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의 작업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제2 유형의 유저 장치는 프로세서(600)와 송수신기(6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0)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제1 배치 정보와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송수신기(6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610)는, 프로세서(6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600)는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600)는 구체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600)는 또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600)는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프로세서(6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6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0)가 대표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20)가 대표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추가 설명을 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고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유저 장치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630)는 또한 필요한 장치를 외접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600)는 버스 구성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며,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00)의 작업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방법과 데이터 수신 방법을 더 제공한다. 이들 방법에 대응되는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중 장치이고, 당해 방법이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가 시스템과 유사하므로, 당해 방법의 실시는 시스템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10.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720.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저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유저 장치가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유저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유저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유저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또한,
유저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10.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네트워크측 장치가 확정한다.
단계 820.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에 의해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측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측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측 장치가,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은 또한,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유저 장치가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배치 정보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및/또는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7과 도 8은 하나의 흐름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먼저 단계 720을 수행한 후 다시 단계 820을 수행하며, 단계 710과 810사이에는 필연적인 시간 순서 관계가 없으며, 단계 710이 단계 720 이전에 수행되고, 단계 810이 단계 820 이전에 수행되도록 확보하면 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실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상입식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장치에 저장되여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기를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장치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명령을 통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 가능 데이터 처리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컴퓨터 기록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컴퓨터 기록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 장치는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장치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장치에서 일련의 작업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장치에서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중 하나의 흐름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 중 하나의 블록 및/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기본적인 창조적 이론을 파악한 후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범위내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당업자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 기술 범위에 속하면, 본 발명은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25)

  1.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유저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5. 네트워크측 장치가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및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방법.
  9.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가 배치된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유저 장치.
  13.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및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한 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확정한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하여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향/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 배치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유저 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유저 장치가 상기 제1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치 정보는,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특별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가 배치한 특별 서브프레임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하는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용 네트워크측 장치.
  17. 네트워크측 장치와 유저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장치는,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유저 장치에 대응되는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상기 유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유저 장치는, 다이나믹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1 배치 정보와 시스템 정보 중의 제2 배치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제1 배치 정보와 상기 제2 배치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유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제1 리소스 중의 모든 심볼 및 서브프레임의 제2 리소스 중의 특별 서브프레임 포맷의 하향 링크 심볼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용 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67005319A 2013-09-23 2014-09-22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738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36118.4 2013-09-23
CN201310436118.4A CN104469950B (zh) 2013-09-23 2013-09-23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PCT/CN2014/087059 WO2015039626A1 (zh) 2013-09-23 2014-09-22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系统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661A KR20160039661A (ko) 2016-04-11
KR101738319B1 true KR101738319B1 (ko) 2017-05-19

Family

ID=5268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319A KR101738319B1 (ko) 2013-09-23 2014-09-22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3576B2 (ko)
EP (1) EP3051898A4 (ko)
JP (1) JP6173598B2 (ko)
KR (1) KR101738319B1 (ko)
CN (1) CN104469950B (ko)
WO (1) WO2015039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2868A1 (en) * 2016-04-15 2023-03-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7371243B (zh) 2016-05-13 2019-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确定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12600655A (zh) * 2016-12-23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372A1 (en) * 2012-01-23 2013-08-01 Intel Corporation Dynam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flexible subfram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9062A (ko) 2008-03-24 2010-12-31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CN102594436B (zh) * 2011-01-12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KR101859594B1 (ko) 2011-03-1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2684855A (zh) * 2011-03-11 2012-09-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混合自动重传定时关系的指示方法
US9735844B2 (en) * 2011-05-09 2017-08-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nnel feedbac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s
KR101851240B1 (ko) 2011-05-23 2018-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적 시분할 복식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07419B2 (en) 2011-06-28 2016-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ser equipment trans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271032B (zh) * 2011-08-09 2014-11-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实现上行反馈的方法、系统及装置
US8923274B2 (en) * 2011-08-15 2014-12-30 Blackberry Limited Notifying a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JP6000275B2 (ja) 2011-11-07 2016-09-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US9602251B2 (en) * 2012-01-27 2017-03-21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reconfiguring uplink and downlink allocations in time domain duplexing wireless systems
US9768929B2 (en) * 2012-12-21 2017-09-1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terference type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372A1 (en) * 2012-01-23 2013-08-01 Intel Corporation Dynam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flexible subfra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9626A1 (zh) 2015-03-26
JP2016535526A (ja) 2016-11-10
EP3051898A4 (en) 2016-09-14
KR20160039661A (ko) 2016-04-11
US20160269226A1 (en) 2016-09-15
CN104469950B (zh) 2018-09-04
JP6173598B2 (ja) 2017-08-02
US10033576B2 (en) 2018-07-24
EP3051898A1 (en) 2016-08-03
CN104469950A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23432B (zh) 一种下行控制信道的资源指示及检测方法、设备
WO2018082420A1 (zh) 一种短传输时间间隔的监听指示及监听方法、装置
JP2021525017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2015521416A (ja) Harqをサポートする、ワイヤレス通信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KR102341103B1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 수신하는 방법 및 기기
CN103583006A (zh) 用于配置扩展载波的增强型节点b和方法
CN109495966B (zh) 用于传输下行数据的资源的确定和配置方法、终端和基站
US100641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in D2D UE of TDD system
CN106465283A (zh) 一种功率分配方法及装置
WO2013013643A1 (zh) 控制信道的接收和发送方法和装置
WO2018028270A1 (zh) 一种发送和检测同步信号的方法、设备
CN103580837A (zh) 控制信令发送、检测方法及基站及终端
WO2017129035A1 (zh) 一种下行控制信息的传输、检测方法及装置
JP2019533361A (ja) 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1406431A (zh) 指示连续的资源分配
KR20220066360A (ko) 정보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기기
KR101738319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05208664A (zh) 一种tdd d2d的调度方法和装置
JP7196105B2 (ja) 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リソース特定方法、装置、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CN109152024B (zh) 一种指示方法、处理方法及装置
WO2016169479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05356980A (zh) 一种应答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CN103491041B (zh) 同步方法及基站、终端
WO2017167252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及基站
KR102253517B1 (ko) 채널 자원 결정 및 자원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