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245B1 - 물성감지 리크센서 - Google Patents

물성감지 리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245B1
KR101738245B1 KR1020150092655A KR20150092655A KR101738245B1 KR 101738245 B1 KR101738245 B1 KR 101738245B1 KR 1020150092655 A KR1020150092655 A KR 1020150092655A KR 20150092655 A KR20150092655 A KR 20150092655A KR 101738245 B1 KR101738245 B1 KR 101738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layer
electrode
fluid absorbing
absorb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752A (ko
Inventor
양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덱스솔루션
양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덱스솔루션, 양천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덱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09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2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센서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한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절연성 흡수제층 상 하부에 전극층이 인쇄 또는 에칭되어 형성되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센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크센서는 3개의 원단(전극층 원단 2개, 절연성 흡수체층 원단)을 합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단 합지에 의해 발생하였던 민감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성감지 리크센서{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본 발명은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센서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한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스팀관, 송수관, 가스관 등 원격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또는 전력배관들은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짧게는 수백미터에서 길게는 수십킬로미터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들은 부식, 외부로부터의 충격,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내부에 흐르는 스팀, 물 등이 외부로 누수되거나 또는 배관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스팀이나 물 등이 누수되는 경우 지반을 약화시켜 붕괴사고까지 발생하며, 상수관의 경우 상수 오염까지 발생하므로 누수 및 절단 사고는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체의 누수 또는 배관의 절단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에 매설된 배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누수 또는 절단이 예측되는 위치를 일일이 파헤쳐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짧게는 수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 킬로미터의 구간을 파헤쳐야 하므로 복구를 위한 공사시간이 매우 길고,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부담이 뒤따른다.
지상에 노출된 경우에도 감독자가 누설되는 위치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복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리크센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909242호에는 하나의 평면에 저항라인이 2개의 도체라인 사이에 형성된 리크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리크센서의 개념도로서, 비전도성 베이스층 위에 전극 A, 전극 B가 소정 간격이나 또는 저항체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같은 면에 전극 A와 전극 B가 나란히 형성되는 구조는 전극 A와 B 간의 쇼트가 발생할 염려가 있고,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또한, 베이스층 하부에서나 측면에서 유출되는 액체의 누수는 검지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9177호에는 유체투과층, 유체흡수층 및 도전체층을 포함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리크센서는 부직포, 직물 또는 합성수지인 섬유 원단을 서로 합지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3 개의 층 사이가 평편하지 못하고 우글쭈글해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유체가 유체 흡수층으로 신속히 흡수되지 못하였으며, 또한, 층 사이에 공간이 벌어지므로 리크센서 내의 저항이 크게 증가되어 신속하고 민감하게 누수를 감지할 수 없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극층으로 섬유원단을 사용하지 않는 리크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두께를 최소화한 리크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절연성 유체 흡수층 ; 및
상기 유체 흡수층 상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전극과 제 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상기 유체 흡수층에 의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미세 액체를 통과시키는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절연층 ; 및
상기 절연층 상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전극과 제 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절연층은 미세 액체를 통과시키는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망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절연성 유체 흡수층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유체 흡수층 상부에 슬릿 또는 홀을 가지도록 제 1 전극층을 인쇄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 흡수층 상부에 제 1 전극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제 전극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슬릿 또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유체 흡수층 하부에 슬릿 또는 홀을 가지도록 제 2 전극층을 인쇄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 흡수층 하부에 제 2 전극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슬릿 또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의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절연성 흡수제층 상 하부에 전극층이 인쇄 또는 에칭되어 형성되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센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크센서는 전극층을 원하는 형상이나 구조로 손쉽게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크센서는 3개의 원단(전극층 원단 2개, 절연성 흡수체층 원단)을 합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단 합지에 의해 발생하였던 민감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비전도성 베이스층 위에 전극 A, 전극 B가 소정 간격이나 또는 저항체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는 종래 리크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리크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형상을 가진 리크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형상의 홀을 가진 전극층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을 도 6의 구조로 인쇄하여 제조한 것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리크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형상을 가진 리크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인 물성감지 리크 센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형상의 홀을 가진 전극층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물성감지 리크센서는 절연성 유체 흡수층(10), 제 1 전극층(20) 및 제 2 전극층(3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성 유체 흡수층(10)은 제 1 전극층(20)과 제 2 전극층(30)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성 유체흡수층(10)은 누수 발생 시 제 1 전극층 또는 제 2 전극층을 통과한 유체를 흡수하여 상기 누수를 매개체로 제 1 전극층(20)과 제 2 전극층(30)을 통전시킨다.
상기 절연성 유체 흡수층(10)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망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섬유 원단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절연성 유체 흡수층(10)은 유체가 투과할 수 있는 미세기공을 가진 고분자 합성수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흡수층(10)은 유체 흡수에 용이한 고밀도인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의 한올을 구성하는 섬유의 가닥을 필라멘트라 하는데 필라멘트수가 많을수록 섬유의 미세공극이 많이 형성되어 공극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체 흡수층(10)의 섬유 데니어 값을 작게 하여 유체 흡수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 흡수층(10)의 섬유 굵기가 0.2 데니어 이상 1 데니어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흡수층(10)은 누수된 유체, 특히 물과 친화력이 높도록 친수성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극층(20)과 제 2 전극층(30)은 상기 유체 흡수층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 즉, 상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미세 액체를 통과시키는 슬릿(21, 31)과 전극(22, 32)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21, 31)은 전극층에서 전극이 제거된 영역으로서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슬릿(21, 31)의 형상은 도 3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릿(21, 31)이 전극층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슬릿의 형상이 곡선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슬릿(21)은 그 폭이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누수된 미세 액체 방울(drop)이 제 1 전극층에 떨어질 경우 크기(직경)가 통상 6mm 이상이므로 상기 슬릿의 폭은 6mm 이상, 바람직하개는 6mm~10mm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20)과 제 2 전극층(30)은 상기 유체 흡수층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에는 상기 전극(22)과 슬릿(21)이 교대로 위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극(22)은 인접 전극들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 140, 240, 340)는 외부의 센싱단자나 전선에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전극층(20)과 제 2 전극층(30)은 금, 은 또는 구리 등 도전성 물질이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유체 흡수층(10) 상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한 후 슬릿에 해당하는 영역을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전극층(20, 120, 220) 및 제 2 전극층(30, 130, 230)은 상기 유체 흡수층에 비해 매우 얇은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체 흡수층(10, 110, 210)의 두께가 0.5~10mm 범위이고, 상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의 두께는 1~100㎛ 범위, 바람직하게는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일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9177호와 같이, 섬유 원단에 전극을 도포하여 유체투과층(제 1 전극층에 해당)과 도전체층(제 2 전극층에 해당)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본원발명의 제 1 및 제 2 전극층은 그 두께가 최소 10배 내지 10,000배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은 유체 흡수층에 직접 인쇄 또는 에칭되어 부착되므로 3개의 섬유 원단을 합지함에 따라 발생하는 층들 사이의 벌어짐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와 달리, 곡면이나 반구 형상인 전극(122, 132)의 예를 보여준다. 전극(122, 132)이 곡면이나 반구 형상을 가지는 경우 누수된 액체가 경사면을 따라 유체 흡수층으로 좀 더 쉽게 전이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원발명의 물성감지 리크 센서는 유체흡수층(210), 제 1 전극층(220) 및 제 2 전극층(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은 홀과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홀(221)은 상기 전극층에서 전극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으로서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홀의 폭은 6mm~10mm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220)과 제 2 전극층(230)은 상기 유체 흡수층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220)과 제 2 전극층(230)은 금, 은 또는 구리 등 도전성 물질이 홀 영역에는 도포되지 않고 나머지 영역에 프린팅되는 인쇄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층(220)과 제 2 전극층(230)은 상기 유체 흡수층(10) 상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한 후 홀에 해당하는 영역을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220)과 제 2 전극층(230)은 앞에서 언급한 전극층을 참고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전극층(320)은 사각형상의 홀(321) 및 전극(322)을 포함한다. 상기 홀(321)의 길이는 홀(221)의 크기와 유사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리크센서는 절연층(410), 제 1 전극층(420) 및 제 2 전극층(43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410)은 유체 불투과층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제 1 전극층(420)과 제 2전극층(430)은 상기 절연층(410) 상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제 1 전극층(420), 제 2 전극층(430) 및 절연층(410)은 미세 액체를 통과시키도록 동일 위치에 형성된 슬릿 또는 홀(421)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 또는 홀(440)은 상기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층(420)에서 홀(421)을 제외한 부분은 전극(422) 영역이다. 상기 전극(422)과 슬릿은 앞에서 상술한 전극(22, 122, 222, 322)과 슬릿(21, 121)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리크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유체 흡수층 제공 단계, 제 1 전극층 형성단계 및 제 2 전극층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흡수층 제공 단계는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망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절연성 유체 흡수층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유체 흡수층 상부에 슬릿 또는 홀을 가지도록 제 1 전극층을 인쇄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유체 흡수층 상부에 제 1 전극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슬릿 또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유체 흡수층 하부에 슬릿 또는 홀을 가지도록 제 2 전극층을 인쇄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 흡수층 하부에 제 2 전극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슬릿 또는 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은 공지된 인쇄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체 흡수층으로 사용되는 원단 섬유(PP재질, 두께 0.1mm)의 일면에 전극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고 패턴된 전극을 소성시킨다. 이어서 그 반대면에 전극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고 패턴된 전극을 소성시킨다.
본 발명의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으로 사용가능한 전극 페이스트는 전도물질(은 또는 구리), 실리콘 또는 에폭시, 열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극 페이스트는 점도 조절을 위해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고분자 수지나 유기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페이스트는 전도물질 60~90중량%,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 5 내지 30중량%, 열중합개시제는 0.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페이스트는 고온처리가 어려운 소재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프린팅 방식에 적합하고, 도막이 쉽게 파괴되지 않고 내전압성이 우수하다.
도 9와 도 10은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을 도 6의 구조로 인쇄하여 제조한 것을 보여준다.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섬유 원단의 유체 흡수층 상 하면에 각각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이 소정 패턴으로 인쇄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매우 얇은 박막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통전시간이 짧고 또한 각 층 사이에 벌어지는 공간이 없으므로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크센서는 전극층을 원하는 형상이나 구조로 손쉽게 인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 110, 210 : 유체 투과층
20, 120, 220 : 제 1 전극층
30, 130, 230 : 제 2 전극층
40, 140, 240, 340 : 연결부

Claims (6)

  1. 절연성 유체 흡수층 ; 및
    상기 유체 흡수층 상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전극층과 제 2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유체 흡수층이 부직포, 직물 및 투과성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된 섬유 원단이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체 흡수층 상 하부면의 전면적에 걸쳐 스크린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두께는 1~50㎛ 범위이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체 흡수층에 의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미세 액체를 통과시키는 6㎜~10㎜ 크기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부직포, 직물, 투과성 합성수지, 망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섬유 원단을 절단하여 절연성 유체 흡수층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유체 흡수층 상부에 슬릿 또는 홀을 가지도록 제 1 전극층을 인쇄하는 단계 ; 및
    상기 유체 흡수층 하부에 슬릿 또는 홀을 가지도록 제 2 전극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체 흡수층 상 하부면의 전면적에 걸쳐 스크린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의 두께는 1~50㎛ 범위이고,
    상기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은 상기 유체 흡수층에 의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슬릿 또는 홀의 크기가 6㎜~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성감지 리크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50092655A 2015-06-30 2015-06-30 물성감지 리크센서 KR101738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55A KR101738245B1 (ko) 2015-06-30 2015-06-30 물성감지 리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55A KR101738245B1 (ko) 2015-06-30 2015-06-30 물성감지 리크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52A KR20170003752A (ko) 2017-01-10
KR101738245B1 true KR101738245B1 (ko) 2017-05-22

Family

ID=5781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655A KR101738245B1 (ko) 2015-06-30 2015-06-30 물성감지 리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9176B1 (en) * 2018-04-19 2023-07-26 Kairos Water, Inc Water leak control system
US11781940B2 (en) 2018-04-19 2023-10-10 Kairos Water, Inc. Fluid control system
CN110261440A (zh) * 2019-07-10 2019-09-20 朝阳市加华电子有限公司 一种液体泄露检测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282A (ja) * 2002-09-06 2004-04-02 West Japan Railway Co 漏水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漏水検出器
JP2013142650A (ja) * 2012-01-12 2013-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液体金属の漏洩検出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282A (ja) * 2002-09-06 2004-04-02 West Japan Railway Co 漏水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漏水検出器
JP2013142650A (ja) * 2012-01-12 2013-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液体金属の漏洩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52A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245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JP5828057B2 (ja) 漏れ検出器
US9624671B1 (en) Leak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111480066B (zh) 液体检测传感器及液体检测装置
AU3135493A (en) Liquid leak detection cable
KR102361874B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
JP6663311B2 (ja) 保護および漏水検知機能付き管路カバー、ならびに管路システム
KR102334516B1 (ko) 외부 보강재가 구비된 고온용 배관의 내부 결함 또는 내부 두께 감육 위험 감지방법
CN104677565A (zh) 一种填埋场防渗层破损渗漏探测方法
US10214907B1 (en) Leak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RU2743083C2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д непроводящим гидроизоляционным слоем
KR102621992B1 (ko) 습도 센서
AU721004B2 (en) Device for detecting and locating leakage fluids in sealing systems
RU2695187C1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ий многослойный материал
JPH04503859A (ja) 導電型または容量型セル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セルを含むプローブおよびこのようなセルによって相対湿度を測定する方法
KR101763065B1 (ko) 리크 센서
CN212059289U (zh) 一种危险废物填埋区域渗漏监测装置
KR101565280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KR101538504B1 (ko) 거리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910712B1 (ko) 압력센서 및 압력센서의 제작 방법
RU2190844C2 (ru) Датчик утечки жидких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KR101822862B1 (ko) 전도성 고분자와 전도성 카본에 의해 제조되는 알칼리 감지용 센서
KR100985987B1 (ko) 유류탱크의 수직천공 누유감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952340B1 (ko) 영역 구분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695863B1 (ko) 유체 레벨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