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081B1 -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081B1
KR101738081B1 KR1020160118188A KR20160118188A KR101738081B1 KR 101738081 B1 KR101738081 B1 KR 101738081B1 KR 1020160118188 A KR1020160118188 A KR 1020160118188A KR 20160118188 A KR20160118188 A KR 20160118188A KR 101738081 B1 KR101738081 B1 KR 10173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locking
screen body
water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텍
Priority to KR102016011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슬롯을 통해 스크린 장치 외부에서 내부로 미세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로 유입된 미세 입자가 퇴적됨에 따라 발생하는 취수효율 저하, 관리비용 증대 등의 단점을 해결한,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Fine particle inflow reduce screen equipment}
본 발명은,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 강변, 바다에서 해수, 복류수, 하상여과 및 강변여과수 등을 취수할 때, 스크린 장치에 형성된 홀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입자가 스크린 장치 내부로 유입 후 퇴적되어, 스크린 장치의 취수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주기인 유지관리가 필요했던 단점을 해소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강, 하천 등에 설치되어 물을 취수하는 스크린 장치는 물의 취수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취수를 위한 스크린이 유공관의 원주방향 전체에 형성하였으나, 스크린을 통해 취수되는 물에 함유된 미립자가 스크린 장치 내부에 퇴적되어 취수된 물의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취수 효율 또한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크린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스크린 장치는 유공관(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크린(5a)이 유공관(6)의 외주면을 따라 360도 전방위에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므로, 스크린(5a)을 통해 내부 유로(3)로 다량의 미세입자가 유입 및 퇴적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 장치 내부로 미세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스크린 장치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546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장치에 형성된 스크린 슬롯 사이로 미세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스크린 장치의 유지 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는, 충적층에 배치되어 물을 간접취수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취수공간(110)이 형성되는 관형의 스크린 몸체(100);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하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 간접취수 원수가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고, 상측이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하측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크린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표면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간접취수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크린부(120)가 형성되며, 상측에 간접취수 원수 및 미세 입자가 상기 스크린부(120)를 통해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차단영역 설정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영역 설정부(130)는 스크린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개의 차단프레임(131)과,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되는 상기 차단프레임(131)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프레임(131)과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차단 프레임 고정부(132)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표면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간접취수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스크린부(120)가 형성되고, 상측에 하면이 상기 스크린 몸체(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판(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200)은 좌우 단부 중 어느 한측 이상이 상측 방향으로 굴곡 또는 절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적층에 배치되어 물을 간접취수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취수공간(110)이 형성되는 관형의 스크린 몸체(100);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표면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간접취수 원수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크린 슬롯(121)이 모여 이루어진 스크린부(120); 및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슬롯(1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단영역 설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영역 설정부(130)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차단프레임 고정부(132)와, 서로 이격된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차단프레임(131)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차단프레임(13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프레임(131)이 결합되는 위치와 개수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상기 스크린부의 위치와 넓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는 상측이 외부와 차단되고, 하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에서 미세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미세입자의 유입과 퇴적이 천천히 발생하므로, 미세입자가 퇴적되어 취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퇴적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관리 주기가 늘어나게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2의 결합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2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3의 변형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는 내부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취수공간(110)이 형성되는 관형의 스크린 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하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 간접취수 원수가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고, 상측이 외부와 차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 일부 영역을 외부와 차단하여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를 감싸고 있는 여과층 구성물(1)의 사이로 물과 함께 미세입자(2)가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미세입자는 물의 이동력에 의해 물이 이동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중력이 작용하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특히 많은 미세입자가 물과 함께 유입되므로, 스크린 몸체(100)의 상측을 차단하고 스크린의 하측 방향을 외부와 연통하여, 물과 함께 미세입자가 취수공간(110)으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한 것이다.
이때, 물은 여과층 구성물(1) 사이를 천천히 이동하는 정수압 상태로 지압에 의해 본 스크린 몸체(100)의 원주방향 360도 전 방위에서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몸체(100)의 상측을 외부와 차단하여도 스크린 몸체(100)의 하측, 좌우 측면을 통해 물이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아울러,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가 스크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하측에 취수공간(11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린부(120)가 형성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크부(120)는 지정된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스크린 슬롯(121)이 모여 이루어지므로, 물은 상기 스크린 슬롯(121)을 통과하여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스크린 슬롯(121)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은 스크린 슬롯(121)에 걸려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없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표면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간접취수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스크린부(120)가 형성되며, 상측에 간접취수 원수가 상기 스크린부(120)를 통해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차단영역 설정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와 차단되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상측 영역은 주변 환경 요건에 따라 그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제작 시 스크린 몸체(100)의 상측 일부 영역을 지정하여 밀폐된 상태로 생산할 경우,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대응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스크린 몸체(100)의 상측에 차단영역 설정부(130)를 설치하여,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미세 입자 차단 및 취수를 최적화할 수 있게 외부와 차단되는 스크린 몸체(100)의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영역 설정부(13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스크린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개의 차단프레임(131)과,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되는 차단프레임(131)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한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단프레임(131)은 하측에 대향되는 스크린 슬롯(121)으로 물이 유통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차단 프레임 고정부(132)는 차단프레임(131)의 변위를 제한하여, 차단프레임(131)이 지정된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스크린 슬롯(121)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영역 설정부(130)는 상기 차단 프레임 고정부(132)에 결합되는 상기 차단프레임(131)의 개수와 위치를 제어하여 실질적으로 외부에서 물이 유입 가능한 상기 스크린 슬롯(121)을 지정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프레임(131)과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차단 프레임 고정부(132)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나열된다.
이때,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차단프레임 고정부(132)가 마주보는 내측에 상기 차단프레임(13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차단프레임 고정부(132)에 결합되는 차단프레임(131)의 위치와 개수를 제어하여 가용 가능한 스크린 슬롯(121) 또는 실질적으로 외부 물이 취수되는 스크린 몸체(100)의 취수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인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표면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간접취수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스크린부(120)가 형성되고, 상측에 하면이 상기 스크린 몸체(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판(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크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동일한 조건 상에서 물이 통과 가능한 스크린 슬롯(121)의 개수 또는 스크린부(120)의 면적에 대응되므로, 상기 차단판(200)을 이용하여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미세 입자를 차단하고, 차단판(200)과 상기 스크린 몸체(100)에 결합된 상측 일부 영역을 제외한 스크린 몸체(100)의 원주방향 360도 전방위에서 취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판(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200)의 좌우 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미세 입자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며 차단판(200)이 형성하는 굴곡공간(210)에 적층되게 할수도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단판(200)이 단순히 수평으로 형성될 경우 차단판(200)에 적층된 미세 입제가 물의 이동에 따라 차단판(200)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하여, 차단판(200)에 머무르지 않고 차단판(200)의 상면을 거쳐 스크린 몸체(100) 내부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차단판(200)의 좌우 양측 단부를 상측으로 돌출 형성시켜 차단판(200)의 좌우 양측 단부에 굴곡공간(210)을 형성하여, 굴곡공간(210)으로 유입된 미세 입자가 굴곡공간(210)에 적층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차단판(200)은 좌우 단부 중 어느 한측만 상측 방향으로 굴곡 또는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스크린 몸체
110 : 취수공간
120 : 스크린
130 : 차단영역 설정부
131 : 차단프레임
132 : 차단프레임 고정부
200 : 차단판

Claims (7)

  1. 충적층에 배치되어 물을 간접취수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취수공간(110)이 형성되는 관형의 스크린 몸체(100);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표면에 상기 취수공간(110)으로 간접취수 원수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크린 슬롯(121)이 모여 이루어진 스크린부(120); 및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슬롯(1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단영역 설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영역 설정부(130)는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차단프레임 고정부(132)와, 서로 이격된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차단프레임(131)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차단프레임 고정부(132)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차단프레임(13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프레임(131)이 결합되는 위치와 개수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상기 스크린부의 위치와 넓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몸체(100)는 상측에 하면이 상기 스크린 몸체(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판(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00)은 좌우 단부 중 어느 한측 이상이 상측 방향으로 굴곡 또는 절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KR1020160118188A 2016-09-13 2016-09-13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KR10173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188A KR101738081B1 (ko) 2016-09-13 2016-09-13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188A KR101738081B1 (ko) 2016-09-13 2016-09-13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081B1 true KR101738081B1 (ko) 2017-05-22

Family

ID=5904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188A KR101738081B1 (ko) 2016-09-13 2016-09-13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763A (ja) * 2000-12-21 2002-07-05 Sekisui Chem Co Ltd 合成樹脂製有孔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763A (ja) * 2000-12-21 2002-07-05 Sekisui Chem Co Ltd 合成樹脂製有孔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8835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вентилятор
KR101816516B1 (ko) 라디에이터 그릴
CN105682766A (zh) 过滤装置
AU2018372528A1 (en) A storm water drai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KR20200133656A (ko)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US20140299528A1 (en) Aquatic life and debris collection device for a water screen
KR100965793B1 (ko) 도로용 배수구의 여과장치
KR101738081B1 (ko) 미세입자 유입 저감 스크린 장치
CN106255409A (zh) 水箱用过滤器及包含该过滤器的过滤装置
KR100976852B1 (ko) 집수정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JP3202897U (ja) 貯水域用水位調整枡
CN210292263U (zh) 一种接水盘以及空调器
CN215912948U (zh) 一种红螯螯虾苗种的选育装置
KR20160009438A (ko)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JP5033738B2 (ja) 除塵装置
CN105569173B (zh) 一种带有集水井的排水沟结构
CN106320171B (zh) 一种桥梁用排水口罩盖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316449B (zh) 一种透水箅箅体上表面加网泄水孔带开关门的透水箅
CN220492451U (zh) 自动化监测仪器用开关柜
JP6407130B2 (ja) 圧縮気体用気液分離エレメント及び気液分離装置
KR102507802B1 (ko) 댐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 챔버
KR101738086B1 (ko) 낙차공을 이용한 자연 여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