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948B1 -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948B1
KR101737948B1 KR1020150151673A KR20150151673A KR101737948B1 KR 101737948 B1 KR101737948 B1 KR 101737948B1 KR 1020150151673 A KR1020150151673 A KR 1020150151673A KR 20150151673 A KR20150151673 A KR 20150151673A KR 101737948 B1 KR101737948 B1 KR 10173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cumber
circular
pipe
pres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301A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5015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9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5/00Devices for coring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오이를 수용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관에 통과되지 않도록 후방으로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후방으로 사람의 손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상기 원통관에 삽입 시 상기 원통관 외연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전방으로는 오이 내부를 절개하여 관통시킬 수 있는 칼날부가 형성되어 있는 오이 속 제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 의하면, 크기와 굵기가 다른 오이의 오이 속을 쉽게 제거하고 비워진 오이 속에 양념 등으로 만든 오이소를 쉽게 채워 넣을 수 있어 가정에서 또는 식당 등에서 오이소박이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만들어진 오이소박이 내에 들어가 있는 오이소가 잘 흘러나오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오이소박이 제조장치{Cucumber sobakyi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이소박이를 손쉽게 제조하기 위해 원통형의 원통관에 오이를 넣고 오이 속을 오이 속 제거관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제거된 오이 속 부분에 양념 등으로 만든 오이소를 넣어 손쉽게 오이소박이를 제조할 수 있는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이소박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오이를 씻은 후 일정 길이만큼 칼로 자른다.
그런 다음 일정 길이로 잘라진 오이를 세워 오이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칼집을 내어 칼집을 낸 부분에 미리 만들어 놓은 부추와 액젓, 고춧가루, 마늘, 생강, 통깨, 설탕, 소금 등의 양념으로 만든 오이소를 넣은 후 일정 기간 보관하여 오이소박이를 만든다.
이러한 오이소박이를 만들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04634 오이 과육 분리 장치는 양 끝의 꼭지를 절단한 오이를 고정하는 오이취부와, 오이취부에 고정된 오이를 과육분리부로 투입하기 위한 오이투입부와, 투입된 오이의 외피와 속씨와 과일을 한꺼번에 분리하여 배출하는 과육분리부와, 과육분리부에 투입된 오이의 속씨를 제거하기 위한 속씨제거부로 구성된 오이 과육 분리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04634 오이 과육 분리 장치는 오이의 외피와 과육과 속씨를 한꺼번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오이소박이를 만들기 위한 오이 과육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이의 외피와 속씨와 과육을 분리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생산비 절감 효과가 있어나 오이의 내부에 양념을 자동으로 채워지게 하지 못하는 단점과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74295 오이소박이 제조용 오이의 가공방법은 오이를 수거한 다음 교정기를 통하여 휘어진 오이를 나란한 직선 형태로 교정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가공용 파이프를 오이의 중심부에 관통시켜 오이속부분이 제거되게 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가공된 오이를 얻고, 상기 가공된 오이를 소금물에 절인 다음 세척하고, 가공된 오이의 관통공에 각종 재료로 양념된 오이소를 채워 넣어 오이소박이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이소박이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74295 오이소박이 제조용 오이의 가공방법은 오이소박이를 조리함에 있어서, 맛과 저장성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양념된 오이소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적당크기로 잘라 먹기가 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어나 양념된 오이소를 오이 내부에 넣을 때 숟가락 등으로 퍼서 넣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가공용 파이프를 오이의 중심부에 관통시켜 오이속부분이 제거되게 한 후 가공용 파이프에 들어 있는 오이 속 부분을 젓가락 등으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기와 굵기가 각각 다른 오이의 오이 속을 쉽게 제거하고 비워진 오이 속에 양념 등으로 만든 오이소를 쉽게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오이소박이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오이소박이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는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측에 오이 고정부가 형성된 힌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오이를 수용하며 전방 중심 양 측으로 길이가 다른 오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스톱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톱부 수용부가 형성된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관에 오이가 통과되지 않도록 후방으로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후방으로 사람의 손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상기 원통관에 삽입 시 상기 원통관 외연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오이 내부를 절개하여 관통시킬 수 있는 칼날부가 형성되며, 후방 상부에는 원판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판삽입홈으로 상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원판부가 삽입되며, 상부는 오이에서 제거된 오이 속을 뺄 수 있도록 뚜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의 중앙으로 상기 원판부의 손잡이부가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오이 속 제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이소박이 제조장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 의하면, 크기와 굵기가 다른 오이의 오이 속을 쉽게 제거하고 비워진 오이 속에 양념 등으로 만든 오이소를 쉽게 채워 넣을 수 있어 가정에서 또는 식당 등에서 오이소박이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만들어진 오이소박이 내에 들어가 있는 오이소가 잘 흘러나오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의 분리 사리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서의 원통관에 오이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작동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서의 오이 속 제거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관에 오이를 삽입한 다음 오이 속 제거관을 밀어 넣은 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관에 오이를 넣은 후 오이 속 제거관을 이용하여 오이 속을 제거하는 작동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이 속 제거관에 양념을 넣은 후 오이소박이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100)는 오이소박이를 만들기 위해 오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관(200)과 오이를 절개하지 않고 오이 속을 제거하는 오이 속 제거관(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관(200)은 내부에 오이의 길이에 맞추어 긴 형태의 원통 형상이다.
상기 원통관(200)은 길이가 다른 오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전방 중심 양측면으로 스톱부 수용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톱부 수용부(210)에 스톱부(220)를 삽입시켜 길이가 다른 오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은 양측으로는 상기 원통관(200)에 삽입 시 상기 원통관(200) 외연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는 오이를 관통하는 칼날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는 손잡이(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관(200)에 오이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작동단면도인 도 2(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관(200)의 하부는 힌지(230)가 형성되어 있어 오이(400)를 상기 원통관(200)으로 넣을 때 상기 원통관(200)을 양 옆으로 벌려 쉽게 오이(400)를 상기 원통관(200)에 넣을 수 있으며, 상기 원통관(200)의 상부에는 체결수단(2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230)의 일측으로는 오이 고정부(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이 고정부(232)는 탄성력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 오이(400)를 원통관(200)에 넣을 때 탄성력을 이용하여 굵기가 다른 오이(4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오이 고정부(23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톱부 수용부(210)에 대향되게 구멍을 내어 상기 스톱부(220)가 상기 스톱부 수용부(210)에 삽입 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상기 원통관(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수단(24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다수의 체결공(242)을 형성시키고 타측에는 수용부(244)를 형성시켜 상기 오이(400)를 상기 관통관(200)에 넣은 후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이의 굵기에 맞추어 상기 수용부(244)에 상기 체결공(242)을 삽입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이때 상기 원통관(200)의 체결공(242)이 형성된 원통관(200) 끝단부는 두 갈래(246)로 제작하여 하부 갈래는 상기 원통관(200)의 수용부(244)가 형성된 곳 하부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하여 굵기가 작은 오이(400)를 감싸지게 하며 상부 갈래는 다수의 체결공(242)이 형성되어 있어 오이의 굵기에 맞추어 상기 수용부(244)에 상기 체결공(242)을 삽입시켜 오이를 고정시킨다.
상기 원통관(200)에는 상기 스톱부 수용부(210)가 형성되어 있어 길이가 제각각인 오이를 상기 스톱부 수용부(210)에 길이 방향만큼 위치시킨 후 상기 스톱부(220)를 오이의 끝단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스톱부 수용부(210)에 삽입하여 오이의 앞부분을 고정시킨다.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은 도시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이 내부를 절개하여 관통시킬 수 있게 전방으로 상기 칼날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는 상기 손잡이(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30) 전방으로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이 오이를 관통한 후 상기 원통관(200)을 통과되지 않도록 고정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40)의 측면으로 원형수용부(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수용부(350)의 상부에는 관통공(3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수용부(350)의 내경에 삽입되는 원형부(360)가 상기 원형수용부(350)에 대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수용부(350)의 내경에 상기 원형부(36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원형부(360)의 상부에도 관통공(36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원형수용부(350)에 원형부(360) 삽입시킨 후 체결부(364)를 상기 원형수용부와 상기 원형부에 형성된 관통공(352, 362)에 삽입하여 상기 원형부(360)를 상기 원형수용부(350)에 고정시킨다.
상기 원형수용부(350) 및 원형부(360)의 관통공(352, 362)과 상기 체결부(364)는 나사산을 만들어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원형부의 전방으로 연결부(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70)의 전방으로 반구형 형상의 원판삽입홈(3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판삽입홈(384)으로 상부에 손잡이부(382)가 형성된 원판부(380)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의 상부는 오이에서 제거된 오이 속을 뺄 수 있도록 뚜껑부(3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390)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원판부(380)의 손잡이부(382)가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의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3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390)는 측면 끝단으로는 뚜껑부 돌출부(39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 돌출부(394)에 대향되게 뚜껑부 삽입홈(39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관(200)에 삽입되어 있는 오이에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을 밀어 넣어 오이 속을 제거한 한 후 상기 뚜껑부 삽입홈(396)에서 상기 뚜껑부 돌출부(394)를 분리한 후 상기 뚜껑부(390)를 들어 오이 속을 제거하고 다시 상기 뚜껑부 돌출부(394)를 상기 뚜껑부 삽입홈(396)에 삽입 고정시켜 다음 오이의 오이 속을 제거할 준비를 한다.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의 양측으로는 상기 원통관(200)에 삽입 시 상기 원통관(200) 외연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10)는 오이가 들어 있는 상기 원통관(200)에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을 삽입할 시 상기 원통관(200)의 중심으로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이 중심의 오이 속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원통관(200)에 오이(400)를 삽입한 다음 오이 속 제거관(300)을 밀어 넣은 측단면도인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이(400)를 상기 원통관(200)에 넣은 후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330)를 잡고 오이(400)의 중심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밀어 넣어 오이(400)를 완전히 관통하게 한다.
상기 스톱부(220)가 위치한 만큼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은 오이(400)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오이를 완전히 관통하게 된다.
도 4(a)의 A-A'단면도인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의 내부에 오이 속(410)이 들어가 있으며 오이(400)에서 오이 속(410)을 제외한 오이는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의 가이드부(310)는 상기 원통관(200) 외연 양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이 속 제거과정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이(400)를 상기 원통관(200)에 넣은 후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을 오이(400)의 중심부에 회전시키거나 밀어 넣어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이 오이(400)를 완전히 관통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5(b)와 같이 상기 관통관(200)에서 오이 속(410)이 들어 있는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에 형성된 원판부(380)의 손잡이부(382)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오이 속(410)은 상기 원판부(380)에 의해 밀려서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에서 분리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부 돌출부(394)를 상기 뚜껑부 삽입홈(396)에서 분리한 후 상기 뚜껑부(390)를 들어 올려 오이 속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에 오이소박이용 양념 즉 오이소(420)를 기호에 따라 만들어 채워 넣은 것을 나타낸 도 6(a)의 상태에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이소(420)를 채운 오이 속 제거관(300)을 상기 오이 속이 비워진 오이(400)에 삽입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원통관(200)에 삽입시킨 오이소(420)가 들어 있는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을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82)를 손가락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손잡이(330)를 잡고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을 후방으로 댕기면 상기 오이 속 제거관(300)에 들어 있는 오이소(420)는 오이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는 크기와 굵기가 각각인 오이를 간편하게 오이 속을 제거할 뿐 아니라 오이 속이 제거된 오이에 쉽게 오이소를 채워 넣을 수 있으며 채워진 오이소가 종래 방식으로 만들어진 오이소박이보다 잘 빠져나오지 않아 본 발명인 오이소박이 제조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오이소박이는 보관이 용이하고 필요 및 기호에 따라 일정 길이만큼 잘라서 언제든지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200: 원통관
210: 스톱부 수용부 220: 스톱부
230: 힌지부 232: 오이 고정부
240: 체결수단 242: 체결공
244: 수용부 246: 두 갈래
300: 오이 속 제거관 310: 가이드부
320: 칼날부 330 : 손잡이
340: 고정부 350: 원형수용부
352, 362 : 관통공 360: 원형부
364: 체결부 380 : 원판부
382 : 손잡이부 384 : 원판삽입홈
390 : 뚜껑부 392: 가이드홈
394: 뚜껑부 돌출부 396: 뚜껑부 삽입홈
400 : 오이 410 : 오이 속
420 : 오이소

Claims (4)

  1. 상부에는 체결수단(24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측에 오이 고정부(232)가 형성된 힌지부(2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오이(400)를 수용하며 전방 중심 양 측으로 길이가 다른 오이(4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스톱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톱부 수용부(210)가 형성된 원통관(200)과;
    상기 원통관(200)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관(200)에 오이(400)가 통과되지 않도록 후방으로는 고정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40)의 후방으로 사람의 손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330)가 형성되며, 양측으로는 상기 원통관(200)에 삽입 시 상기 원통관(200) 외연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310)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오이(400) 내부를 절개하여 관통시킬 수 있는 칼날부(320)가 형성되며, 후방 상부에는 원판삽입홈(384)이 형성되며, 상기 원판삽입홈(384)으로 상부에 손잡이부(382)가 형성된 원판부(380)가 삽입되며, 상부는 오이에서 제거된 오이 속(410)을 뺄 수 있도록 뚜껑부(3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390)의 중앙으로 상기 원판부(380)의 손잡이부(382)가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392)이 형성된 오이 속 제거관(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51673A 2015-10-30 2015-10-30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KR10173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73A KR101737948B1 (ko) 2015-10-30 2015-10-30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73A KR101737948B1 (ko) 2015-10-30 2015-10-30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01A KR20170050301A (ko) 2017-05-11
KR101737948B1 true KR101737948B1 (ko) 2017-05-19

Family

ID=5874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673A KR101737948B1 (ko) 2015-10-30 2015-10-30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018A (ko) * 2021-05-25 2022-12-02 김동환 오이소박이 과육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018A (ko) * 2021-05-25 2022-12-02 김동환 오이소박이 과육 분리장치
KR102486566B1 (ko) 2021-05-25 2023-01-06 김동환 오이소박이 과육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01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4420A (ja) 食品の核を取り除くための装置
US7258053B2 (en) Hot dog slicer
ES2386063T3 (es) Elemento de retirada de parte central manual y usos del mismo
KR101737948B1 (ko) 오이소박이 제조장치
US20130047438A1 (en) Culinary utensil (corn scraper)
CN102176849A (zh) 食物制备装置
US20140183105A1 (en) Serving bowl
US2213015A (en) Kitchen tool
US9193081B2 (en) Child-safe, hand, fruit corer and slicer
CA2510098C (en) Serving dish
US20140144335A1 (en) Egg yolk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10079155A1 (en) Coring device
WO2017138804A1 (es) Aparato exprimidor de cítricos
WO2015116596A1 (en) Slicer
CN107897320A (zh) 一种香肠螺旋切花设备
KR102449068B1 (ko) 과일 및 근채류 박피장치
KR20190011924A (ko) 오이소박이용 절개기
US10945561B2 (en) Blade runner cutting/chopping board
KR200443620Y1 (ko) 구근류 국수가락 제조용 커터기
US20140360022A1 (en) Slic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8093406A (ja) ピーマンの芯のくり抜き具
KR101397344B1 (ko) 반자동 채칼
JP2003250695A (ja) ピーマンの芯取り器
KR200335994Y1 (ko) 칼날 부착용 접착 테잎형 음식물 분리개
US20200138227A1 (en) Bell pepper decor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