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868B1 -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 Google Patents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868B1
KR101737868B1 KR1020160035063A KR20160035063A KR101737868B1 KR 101737868 B1 KR101737868 B1 KR 101737868B1 KR 1020160035063 A KR1020160035063 A KR 1020160035063A KR 20160035063 A KR20160035063 A KR 20160035063A KR 101737868 B1 KR101737868 B1 KR 10173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unit
facility
bulletin board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닷케이알(주)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닷케이알(주), 길승환 filed Critical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to KR102016003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8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1Maps, e.g. yardage maps or electronic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ing route guide indication and a safety pad. The smart climbing facilities enables a climber to easily grasp level of difficulty, which is selected by the climber, and to go climbing, and guides a climbing rou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climbing route of the climbing facilities is being used in order for the climber to simply use the climbing facilities, to get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r the climber to climb as high as the targeted height, and to prevent injuries by a negligent accident caused when the climber falls from the climbing facilities.

Description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limbing facility having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본 발명은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이밍 시설을 이용하는 등반자가 더욱 안전하게 등반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등반자가 선택한 난이도에 따라 등반 진행경로를 제공하며 등반자가 요구하는 등반높이만큼 도달할 수 있도록 목표의식 및 성취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limbing facility provided with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mbing facility using a climbing facility more safely and capable of using a climbing facility more safely. And a smart climbing facility provided with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for promoting a sense of goal and achievement so as to reach a climbing height required by a climber.

클라이밍이란 실내외에서 수직벽 또는 경사벽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인공암벽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기어오르는 스포츠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인공암벽 코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 클라이밍 월(인공암벽) 패널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Climbing refers to a sports activity in which an artificial rock wall composed of various forms such as a vertical wall or an inclined wall is climbed from a low place to a high place in indoor and outdoor places. In order to form an artificial rock course, a climbing wall (artificial rock wall)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인공암벽 패널은 형태와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코스로 구성되며, 난이도가 각기 적용된 난이도 월, 서로 등반속도를 경쟁하기위한 스피드 월, 높이와 규모가 제한된 벽을 다양한 형태로 등반하는 볼더 월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The artificial rock wall panels are made up of different courses depending on the form and condition. The difficulty is the difficulty month, the speed wall to compete with each other, the boulder wall which climbs the wall with various height and scale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라이밍 시설은 등반난이도에 따라 인공홀드가 소정의 등간격으로 구성되어지는 초급난이도부터 일정한 배열이 없이 구성되어는 상급난이도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지지만, 클라이밍 시설을 등반하는 등반자가 초급자일 경우에는 어느 인공홀드를 잡고 등반을 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limbing facility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degrees of difficulty ranging from the elementary difficulty in which the artificial hold is formed at predetermined equal intervals to the difficulty level in which the artificial hold is not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limbing difficulty level. However, when the climber climbing the climbing facility is a begin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limb an artificial hold by holding an artificial hol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홀드의 주변에는 등반자가 등반 진행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정한 색상이나 난이도 숫자가 표시되어 있지만 시력이 좋지 않은 등반자의 경우에는 상기 색상이나 숫자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ertain color or difficulty number is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artificial hold in order to ascertain the progress path of the climber, but in the case of a climber having poor visual acuity, It still exists.

한편 종래에는 클라이밍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2인 1조로 구성되어 지상에서 등반자의 안전확보 로프를 잡아주는 확보자와 등반을 하는 등반자로 구분되어지는데, 최근에는 혼자서도 등반이 가능하도록 자동 등하강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utilize a climbing facility, usually a pair of two persons is divided into a climber who climbs the rope and a climber who climbs the safety of the climber on the ground. In recent years, .

그러나 혼자서 클라이밍 시설에 구비된 자동 등하강장치를 등반자가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 사용해도 되는지의 여부를 시설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사용여부를 파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inquire of the facility manager whether or not the climber should be able to use the automatic equaliz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climbing facility by himself or herself.

또한 클라이밍 시설의 바닥면에는 등반자가 추락할 경우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푹신한 소재로 구성된 안전패드가 구성되어 있으나, 실외의 경우에는 바닥면에 설치했다가 비가 오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로 마련된 창고로 옮겨 보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실내의 경우에는 안전패드가 구비되지 않은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안전패드를 옆으로 밀어두거나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Also, on the bottom of the climbing facility, there is a safety pad made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climber can land safely when the climber falls down. In case of outdoor,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safety pad is pushed to the side or stored in a separate place in order to use a space not provided with the safety pad in the case of the room.

또한 등반자가 자신이 목표로 하는 높이만큼 등반할 수 있도록 목표의식을 고취시키며, 성취감을 달성시켜줄 동기부여 기술이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motivational technique to achiev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goal so that the climber can climb as high as his or her desired heigh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등반자가 자신이 선택한 등반경로를 손쉽게 확인하여 등반이 가능하고, 클라이밍 시설의 등반루트의 사용여부에 대한 유무를 손쉽게 확인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등반자가 목표로 하는 높이만큼 등반이 가능하도록 동기부여 및 성취감을 달성하며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 새로운 구조의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climber can easily ascertain the climbing route selected by the climber and easily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climbing route of the climbing facility is used or not, so that the climber can easily use the climbing rout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smart climbing facility equipped with a safe climb path display and a safety pad with a new structure that achieves motivation and achievement to enable climbing to the target heigh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력이 좋지 않은 등반자가 본인이 선택한 난이도를 손쉽게 파악하여 등반할 수 있도록 등반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고, 혼자서 클라이밍 시설을 이용하고 있어도 이를 다른 등반자에게 사용중임을 알릴 수 있으며, 등반자가 목표로 하는 높이만큼 등반이 가능하도록 동기부여 및 성취감을 달성시킬 수 있으며, 클라이밍 시설에서 추락할 시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로 인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인공암벽에 부딪혀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mbing route that enables a climber having poor eyesight to easily grasp a selected degree of difficulty and climb, , It can be used to inform other climbers that they are using it,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motivation and achievement to enable the climber to climb as high as the target, and to prevent injuries caused by a safety accident that occurs when the climber falls down. And a safety pad capable of preventing a falling accident caused by collision with an artificial rock wall in adv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클라이밍 시설(C)을 등반하는 등반자(H)의 시력이 좋지 않아도 쉽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진행방향이 표시되어지며, 등반체험에 따른 목표 성취도가 달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은 클라이밍 시설(C)의 일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되어지는 한쌍의 화살표가 조명장치로 구성되어 점멸되어지는 인공홀드부(100)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완충소재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하측단부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일측단부는 상기 클라이밍 시설(C)에 연결되어지는 완충패드부(200)와,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일단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상하부방향으로 연속되어 나열되어 조명장치가 점멸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복수개의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ess direction is displayed so that even when the climber H climbs the climbing facility C, the visual acuity of the climber is not good, the progress direction is displayed. A smart climbing facility having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e display and a safety pad, wherein the smart climbing facility comprises a pair of climbing facilities (C)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one end face of the climbing facility (C) The climbing facility (C) has an artificial hold part (100) having an arrow, which is composed of a lighting device and is flickered. The artificial hold part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ade of a shock absorbing material. C), and a cushion pad part (200) connected to the climbing device (C) And a plurality of flicker-type bulletin board unit (300) arranged to be illuminated by the illuminat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홀드부(100)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지며 인공홀드부(100)의 내부에는 점멸가능한 RGB LED로 구성된 조명장치가 내장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표시되어지도록 화살표 형상의 투명창으로 구성되어지는 진행경로 안내장치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lluminating device composed of RGB LEDs capable of blinking is built in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And a progress path guide device part 110 constituted by an arrow-shaped transparent window to be display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패드부(200)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지며, 하측단부는 상기 클라이밍 시설(C)에 연결되어지며, 상측단부 중앙에는 클라이밍 시설(C)의 상측단부에 구성되는 자동 등하강장치(A)의 캐러비너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케이블과 결합되어지기 위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pads 200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 lower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climbing facility C, and the upper ends of the climbing facilities C And an annular portion to be coupled with a cable extending from the caravan container of the automatic equalizer device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는 하부방향에 위치한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와 상부방향에 위치한 제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b)로 구성되어지며, 소정의 문자열이 적힌 보드판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상기 소정의 문자열이 보여지도록 투명창으로 구성되어지는 게시판부(310)와, 상기 게시판부(31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작동버튼에 의해 점멸가능한 조명부(320)와, 상기 게시판부(310)의 하부방향의 일측단부에는 작동시 상기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의 제 1 조명부(320a)에서 상기 제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b)의 제 2 조명부(320b)로 연속되어 점등되어지기 위한 제 1 버튼부(330)와, 상기 제 1 버튼부(330)의 타측단부에는 작동시 상기 제 2 조명부(320b)로 연속되지 않고 상기 제 1 조명부(320a)만 점등되어지기 위한 제 2 버튼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lash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s 300 include a first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300a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a second blinking bulletin board unit 300b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 bulletin board unit 310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parent board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from the outside by inserting a board board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written thereon, A first lighting part 320a of the first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300a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inking bulletin board unit 300a of the first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300a at a lower end of the bulletin board part 310, The first button unit 330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320b of the first button unit 300b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tton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320b And only the first illumination unit 320a is turned on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button 340 f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홀드부(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등반자(H)가 상기 인공홀드부(100)를 쥐었을 시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감압센서 또는 온도센서 또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mber H grasps the artificial holding part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rtificial holding part 100,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r temperature sensors Or a touch sensor.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as it does not mean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must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lso,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시력이 좋지 않은 등반자가 본인이 선택한 난이도를 손쉽게 파악하여 등반할 수 있도록 등반경로를 안내하고, 클라이밍 시설의 등반루트의 사용여부에 대한 유무를 손쉽게 확인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등반자가 목표로 하는 높이만큼 등반이 가능하도록 동기부여 및 성취감을 달성시킬 수 있으며, 클라이밍 시설에서 추락할 시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로 인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limbers with poor vision to guide climbing paths so that they can easily grasp the degree of difficulty selected by the climber and easily ascertain whether the climbing route of the climbing facility is used or not, So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tivation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so as to be able to climb as high as the height of the climbing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의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view of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e display and a smart climbing facility equipped with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use state of a smart climbing facility equipped with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smart climbing facility having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of a smart climbing facility having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클라이밍 시설(C)을 등반하는 등반자(H)의 시력이 좋지 않아도 쉽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진행방향이 표시되어지며, 등반체험에 따른 목표 성취도가 달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은 클라이밍 시설(C)의 일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되어지는 한쌍의 화살표가 조명장치로 구성되어 점멸되어지는 인공홀드부(100)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완충소재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하측단부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일측단부는 상기 클라이밍 시설(C)에 연결되어지는 완충패드부(200)와,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일단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상하부방향으로 연속되어 나열되어 조명장치가 점멸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복수개의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view of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mart climbing facility equipped with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a climber H climbing a climbing facility C is easily identified A smart climbing facility having a climbing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wherein the smart climbing facility comprises a climbing facility (C) An artificial hold part 100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one end face thereof and having a pair of arrows dir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composed of an illumination device and blinking, a buff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limbing facility C is formed at a lower end position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a plurality of flickering bulletin board device parts (300)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ne end face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As a component.

상기 인공홀드부(100)는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인공홀드부(100)의 내부에는 점멸가능한 RGB LED로 구성된 조명장치가 내장되어진다.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n illumination device composed of RGB LEDs capable of blinking is built in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상기 인공홀드부(100)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표시되어지도록 한쌍의 화살표 형상의 투명창으로 구성된 진행경로 안내장치부(110)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조명장치가 점멸되어지면 상기 진행경로 안내장치부(110)를 통하여 외부에서도 조명장치가 점멸되었음이 확인되어진다.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is formed with a progress path guide device 110 having a pair of arrow-shaped transparent windows so as to be displayed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he illumination device is blinked, It is confirmed that the illumination device is blink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eeth 110.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등반자(H)가 등반하기 위해 선택한 난이도로 유도되어지도록 동일한 색상으로 점멸이 되어 등반자(H)가 이를 확인하고 유도된 방향으로 등반되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illuminator is flickered in the same color so that the climber H is guided to the degree of difficulty selected for climbing, and the climber H ascends and ascends in the derived direction.

한편 상기 조명장치는 메인 컨트롤러(MC)에 연결되어지며, 메인 컨트롤러(MC)의 수신신호에 따라 조명장치의 발광색상이 조절되어지고 진행방향이 점멸되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MC, and the emission color of the lighting device is adjusted according to a reception signal of the main controller MC, and the progress direction is flickered.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완충패드부(200)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Next, FIG. 2 is a view showing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use state of a smart climbing facility provided with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pad unit 200 is formed in a triangular, rectangular or pentagonal polygonal shape But it is not excluded to be formed into another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to the extent that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can be achieved.

상기 완충패드부(200)의 하측단부는 클라이밍 시설(C)의 하측단부에 연결되어지며, 상측단부 중앙에는 케이블과 결합되어지기 위한 고리부가 구성되어진다.
The lower end of the cushioning pad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cushioning pad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cable.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상측단부에는 자동 등하강장치(A)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자동 등하강장치(A)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는 캐러비너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어지는 케이블의 일측단부와 상기 고리부가 결합되어진다.
An automatic descending device (A)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one end of a cable connected and extended from a carousel formed at one end of the automatic descending device (A) And the ring part is bonded.

상기와 같이 케이블의 일측단부와 고리부가 결합되어지면 완충패드부(2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지상에서는 다른 등반자(H)가 이를 확인하여 클라이밍 시설(C)을 이용중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ushion pad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one end of the cable is coupled to the loop unit. On the ground, another climber H confirms that the climbing unit C is being used .

한편 상기 완충패드부(200)는 내부가 고밀도 우레탄 스폰지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소재로 구성되어지거나 공기가 추가로 충진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red that the buffer pads 200 are made of a high-density urethane spong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pads 200 are made of other materials or that the air is not additionally filled, It is not.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을 확대한 도면으로,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일측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배치되어지는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가 구성되어진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climbing path guide display and a smart climbing facility provided with a safet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bulletin board device unit 300 is configured.

상기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는 하부방향에 위치한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의 상부방향으로는 제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b)가 형성되어진다.
The flicker-type bulletin board device 300 includes a first flicker-type bulletin board device 300a disposed in a lower direction, and a second flicker-type bulletin board device 300b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blinker- The device unit 300b is formed.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 300b)로 설명하였지만, 제 3, 4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c, 300d)가 추가될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blink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s 300a and 300b have been described abov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rd and fourth blink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s 300c and 300d are not excluded.

상기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문자열이 적힌 보드판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상기 소정의 문자열이 보여지도록 투명창으로 구성되어지는 게시판부(310)가 구성되어진다.
4, the flashing-type bulletin board unit 300 includes a bulletin board unit 310 having a board hav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inserted therein and a transparent window for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from the outside .

상기 게시판부(310)의 둘레에는 작동버튼에 의해 점멸가능한 조명부(320)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조명부(320)의 하부방향향의 일측단부에는 제 1 버튼부(330)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 1 버튼부(330)의 타측단부에는 제 2 버튼부(340)가 구성되어진다.
A lighting unit 320 is formed around the bulletin board unit 310 by an operation button. A first button unit 33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ghting unit 320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econd button portion 34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tton portion 330.

상기 제 1 버튼부(330)가 작동되어지면 상기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의 제 1 조명부(320a)에서 상기 제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b)의 제 2 조명부(320b)가 연속되어 점등되어진다.
When the first button unit 330 is operated, the second lighting unit 320b of the second blinking bulb apparatus unit 300b in the first lighting unit 320a of the first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300a It is lit continuously.

한편 상기 제 2 버튼부(340)가 작동되어지면 상기 제 2 조명부(320b)가 연속되지 않고 상기 제 1 조명부(320a)만 점등된 상태로 유지되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button unit 340 is operate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320b is not continuous and only the first illumination unit 320a is kept li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등반자(H)는 본인이 목표로 하는 등반높이에 형성되어지는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까지 등반하게 되며, 등반자(H)가 더 높은 위치로 등반을 요구할 시에는 제 1 버튼부(330)가 작동되어지며, 등반자(H)가 등반한 높이에서 등반을 중시할 시에는 제 2 버튼부(340)가 작동되어지게 된다.
The climber H is climbed up to the flash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 300 formed at the target climbing height. When the climber H requests climbing to a higher position, The first button unit 330 is activated and the second button unit 340 is operated when the climber H places importance on climbing at a height at which the climber H has climbed.

상기와 같이 등반자(H)가 스스로 등반높이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등반중에 수정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등반높이까지 등반하였다는 목표의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imber H can meet the target consciousness of climbing up to the target climbing height by setting the target of the climbing height himself and correcting it during climbin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홀드부(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등반자(H)가 상기 인공홀드부(100)를 쥐었을 시에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감압센서 또는 온도센서 또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가 더 구비되어진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mber H grasps the artificial holding part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rtificial holding part 100,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r temperature sensors Or various sensors including a touch sensor ar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각종센서에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MC)에 연결되어지며, 등반자(H)가 쥐고 있는 인공홀드부(100)의 높이를 파악하여 현재 위치된 높이가 실시간으로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various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MC, and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held by the climber H is grasped so that the present height can be grasped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등반자(H)가 쥐고 있는 인공홀드부(100)의 센서는 메인 컨트롤러(MC)로 감지신호를 보내게 되며, 메인 컨트롤러(MC)로 수신된 신호는 상기 등반자(H)가 쥐고 있는 인공홀드부(100)의 진행경로 안내장치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The sensor of the artificial hold unit 100 held by the climber H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MC and the signal received by the main controller MC is transmitted to the climber H, To the advancing path guide tooth part 110 of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holding it.

상기 신호를 수신한 진행경로 안내장치부(110)는 등반자(H)가 선택한 난이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등반경로가 유도되어지도록 화살표를 점등하게 되며, 등반자(H)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어 안전하게 등반이 가능하게 된다.
The progress path guide device 110 receiving the signal lights up arrows so that a climbing route is gui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selected by the climber H and the climber H visually confirms it, Climbing becomes possible.

한편 상기 완충패드부(200)의 소정의 위치에는 완충패드부(200) 내부로 소정의 양만큼 공기가 주입되어지도록 공기주입장치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메인 컨트롤러(MC)에 의해 조절되어진다.
An air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uffer pad part 200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the buffer pad part 200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air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main controller MC Lt; / RTI >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은 상기 각종센서가 포함된 인공홀드부(100)가 설치된 높이에 따라 소정의 구역으로 나누게 된다.
The climbing facility C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holding part 100 including the various sensors.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나눠진 구역은 클라이밍 시설(C)의 높이에 따라 가장 안전한 구역은 안전등급을 1등급으로 분류하며, 가장 위험한 구역은 안전등급을 5등급으로 분류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above-mentioned divided zones, the safety zone is classified into the first leve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the most dangerous zone is classified into the fifth level.

상기 5등급으로 분류된 구역에서 등반자(H)가 인공홀드부(100)를 놓치게 되면, 인공홀드부(100)에 포함된 상기 각종센서에서는 감지된 신호가 소정의 시간만큼 감지되지 않으면 이를 메인 컨트롤러(MC)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MC)는 이를 위험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공기주입장치로 신호를 전달하고 소정의 양만큼 완충패드부(20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지게 된다.
When the climber H misses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in the area classified into the five grades, if the signals sensed by the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are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ain controller MC judges it as a dangerous signal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air injection device and air is injected into the buffer pad part 200 by a predetermined amount.

상기와 같이 각종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MC)로 전달하고 이를 완충패드부(200)에 구성된 공기주입장치로 다시 전달함으로써, 등반자(H)는 클라이밍 시설(C)을 이용하다 추락하게 되어도 안전하게 바닥으로 착지되어지며 낙하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조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various sensors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MC and then transmitted to the air injection unit configured in the buffer pad unit 200, so that the climber H is caused to fall down using the climbing facility C It is safely landed on the floo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person caused by the falling accident in the early stag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do so.

C: 클라이밍 시설 H: 등반자
100: 인공홀드부 110: 진행경로 안내장치부
200: 완충패드부 300: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
C: Climbing facility H: Climber
100: artificial hold portion 110: guide path guide surface
200: buffer pad part 300: flashing bulletin board device part

Claims (5)

클라이밍 시설(C)을 등반하는 등반자(H)의 시력이 좋지 않아도 쉽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진행방향이 표시되어지며, 등반체험에 따른 목표 성취도가 달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은
클라이밍 시설(C)의 일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되어지는 한쌍의 화살표가 조명장치로 구성되어 점멸되어지는 인공홀드부(100)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완충소재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하측단부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일측단부는 상기 클라이밍 시설(C)에 연결되어지는 완충패드부(200)와,
상기 클라이밍 시설(C)의 일단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상하부방향으로 연속되어 나열되어 조명장치가 점멸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복수개의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는 하부방향에 위치한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와 상부방향에 위치한 제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b)로 구성되어지며, 소정의 문자열이 적힌 보드판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상기 소정의 문자열이 보여지도록 투명창으로 구성되어지는 게시판부(310)와, 상기 게시판부(31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작동버튼에 의해 점멸가능한 조명부(320)와, 상기 게시판부(310)의 하부방향의 일측단부에는 작동시 상기 제 1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a)의 제 1 조명부(320a)에서 상기 제 2 점멸식 게시판 장치부(300b)의 제 2 조명부(320b)로 연속되어 점등되어지기 위한 제 1 버튼부(330)와, 상기 제 1 버튼부(330)의 타측단부에는 작동시 상기 제 2 조명부(320b)로 연속되지 않고 상기 제 1 조명부(320a)만 점등되어지기 위한 제 2 버튼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afety pad that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progress direction is displayed so that the climber (H) climbing the climbing facility (C) can easily be identified even if the sight is poor, A smart climbing facility, comprising: a smart climbing facility
An artificial holding part 100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one end face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having a pair of arrows indicated by different directions,
A cushioning pad unit 2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and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limbing facility C,
And a plurality of blinking bulletin board device parts (300)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ne end face of the climbing facility (C) and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lurality of blink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s 300 are constituted of a first blink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 300a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and a second blinking bulletin board device unit 300b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 bulb board part 310 formed with a transparent window so that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by inserting a written board board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an illuminating part 320 formed around the bulletin board part 310 and blinkable by an operation button, The first lighting part 320a of the first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300a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bulletin board part 310 with the second lighting part of the second flashing bulletin board unit 300b The first button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first illumination unit 320a and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320b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320b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tton unit 330, And a second button unit 340 for turning on only the second button unit 340 Smart climbing facility provided with a climbing traveling path guidance display and safety pad,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홀드부(100)는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지며 인공홀드부(100)의 내부에는 점멸가능한 RGB LED로 구성된 조명장치가 내장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표시되어지도록 화살표 형상의 투명창으로 구성되어지는 진행경로 안내장치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is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lluminating device including RGB LEDs capable of blinking is built in the artificial hold part 100 so as to be displayed in different directions, A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a smart climbing facility with a safety 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부(200)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지며, 하측단부는 상기 클라이밍 시설(C)에 연결되어지며, 상측단부 중앙에는 클라이밍 시설(C)의 상측단부에 구성되는 자동 등하강장치(A)의 캐러비너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케이블과 결합되어지기 위한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shioning pad unit 20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climbing facility C and an automatic descending device A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climbing facility C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The climbing progress route guidance display and the smart climbing facility having the safety pad are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to be coupled to a cable extending from a carava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홀드부(100)의 소정의 위치에는 등반자(H)가 상기 인공홀드부(100)를 쥐었을 시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감압센서 또는 온도센서 또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반 진행경로 안내표시 및 안전패드가 구비된 스마트 클라이밍 시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r temperature sensors or touch sensors for sensing the clamper H holding the artificial hold unit 100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artificial hold unit 100. [ Smart climbing facility equipped with safety pad display and climbing route guidance display
삭제delete
KR1020160035063A 2016-03-24 2016-03-24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KR101737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63A KR101737868B1 (en) 2016-03-24 2016-03-24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63A KR101737868B1 (en) 2016-03-24 2016-03-24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868B1 true KR101737868B1 (en) 2017-05-19

Family

ID=5904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063A KR101737868B1 (en) 2016-03-24 2016-03-24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86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963B1 (en) * 2018-11-26 2019-06-04 손지혁 Climbing System on an artificial wall
KR102060820B1 (en) * 2018-07-31 2020-02-11 주식회사 이노테크미디어 Sports climbing mission game system using human body detection image
KR20200080873A (en) 2018-12-27 2020-07-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limbing assistant system
KR20200120086A (en) 2019-04-11 2020-10-21 주수정 Rotation climbing game system
KR102301954B1 (en) 2020-04-23 2021-09-15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Indoor Rock Climbing Simulator With Variable Climbing Angle and Climbing Spee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820B1 (en) * 2018-07-31 2020-02-11 주식회사 이노테크미디어 Sports climbing mission game system using human body detection image
KR101985963B1 (en) * 2018-11-26 2019-06-04 손지혁 Climbing System on an artificial wall
KR20200080873A (en) 2018-12-27 2020-07-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limbing assistant system
KR20200120086A (en) 2019-04-11 2020-10-21 주수정 Rotation climbing game system
KR102301954B1 (en) 2020-04-23 2021-09-15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Indoor Rock Climbing Simulator With Variable Climbing Angle and Climbing Spe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868B1 (en) Smart climbing facilities equipped with climb route guidance and safety pad
Fajen Calibr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strategies for braking to avoid a collision.
Plumert Relations between children's overestimation of their physical abilities and accident proneness.
US10105564B2 (en) Challenge course with return track
US20120265480A1 (en) Body movement detection device
US20060135297A1 (en) Goal detection equipment for football
KR100879052B1 (en) Apparatus for training balance
US20120021874A1 (en) Elevated adventure course with fall arrest system
SK288743B6 (en) Integrated multipurpose hockey trainer and method its controlling/managing for individual coaching and testing of the skating and hockey skills
US20180326256A1 (en) Exercise Device
US20170224265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agnosing and exercising an individual's functionalities
GB2475696A (en) A bouncy castle with electronic games
Thomas et al. Optimal lighting levels for stair safety: Influence of lightbulb type and brightness on confidence, dynamic balance and stepping characteristics
US20020046903A1 (en) Sport climbing structure
KR102147595B1 (en) Balance motion system using active balance border and method thereof
CN108261715B (en) High jump training equipment for physical training
US20190176011A1 (en) Automatic Judging System for Climbing Wall Competition
CN203494151U (en) Amusement park equipment for rope adventure
CN206631027U (en) High altitude rescue runner device
CN205645078U (en) Standardized building safety in utilization comprehensive testing device
CN108744329A (en) A kind of skyscraper technique equipped with safe escape spiral slide
Clocksin Sequencing High Adventure Activitie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R100973146B1 (en) A golf swing simulation device
KR200454080Y1 (en) Portable Container Screen Golf Practice Device
US20190118101A1 (en) Obstacle course with illuminated ball p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