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384B1 -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384B1
KR101737384B1 KR1020150053949A KR20150053949A KR101737384B1 KR 101737384 B1 KR101737384 B1 KR 101737384B1 KR 1020150053949 A KR1020150053949 A KR 1020150053949A KR 20150053949 A KR20150053949 A KR 20150053949A KR 101737384 B1 KR101737384 B1 KR 10173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rete
tube body
reinforcing member
ex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305A (ko
Inventor
주재만
박주형
황영기
류한주
Original Assignee
황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기 filed Critical 황영기
Priority to KR102015005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3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체의 잉여수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침투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잉여수 및 침투수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체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화학적 반응 억제함으로써 시공 후 백화현상 등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체를 수직 관통하여 설치되며, 관체로 형성되어 내측에 이동로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체의 상·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하단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지수관체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 플랜지부에 콘크리트 타설체 상부면의 잉여수 및 침투수가 지수관체의 이동로로 유입되도록 다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수관체의 이동로 상에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보강부재가 일체로 다수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Cut-off bar for removal of surplus water and percolating water in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체의 잉여수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침투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잉여수 및 침투수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체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화학적 반응 억제함으로써 시공 후 백화현상 등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공법은 거푸집으로 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철근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공법으로 건축 뿐만 아니라 토목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의한 난방바닥 슬라브 등을 시공하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하부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체(150), 충격완화재(140), 기포콘크리트(130), 시멘트몰탈(120) 및 강마루(110)가 설치된다. 이때 충격완화재(140)와 기포콘크리트(130) 사이에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의 배합을 위한 화학적 반응에 사용되고 남은 잉여수나, 콘크리트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침투수 등을 외부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면, 기포콘크리트(130)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체(150) 등에서 발생된 균열부위에 누수가 발생되고, 또한 상부 강마루(110) 시공 시 습기에 의한 변색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체(150)의 외벽에 침투수 및 잉여수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피해를 입게 되며, 이에 보수공사 뿐만 아니라 관리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백화현상은 시멘트나 모래 속에 포함된 화학성분(염분 등)이 화학적 반응으로 탄산칼슘을 만들어 마치 우유를 뿌려 놓은 것처럼 흰색으로 굳는 현상을 말하며, 심한 경우에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현상까지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등록특허 제10-1233672호에서는 액상 파라핀, 단량체, 계면활성제, 가교제 및 개시제 등을 시멘트에 혼합한 흡수제를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의 잉여수를 제거하도록 한 흡수제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것으로서 혼합되는 성분들의 지속기간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보다 짧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체의 잉여수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침투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잉여수 및 침투수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체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화학적 반응 억제함으로써 시공 후 백화현상 등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체(52)를 수직 관통하여 설치되며, 관체로 형성되어 내측에 이동로(1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체(52)의 상·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하단 플랜지부(15,16)가 형성되는 지수관체(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 플랜지부(15)에 콘크리트 타설체(52) 상부면의 잉여수 및 침투수가 지수관체(10)의 이동로(12)로 유입되도록 다수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수관체(10)의 이동로(12) 상에는 배수로(22)가 형성되는 보강부재(20)가 일체로 다수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수관체(10)는 콘크리트 타설체(52) 내에서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날개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0)는 배수로(22)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22)는 보강부재(20)의 하부측으로 관체 형태의 연장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20) 중에서 하단 플랜지부(16) 측에 형성되는 보강부재(20)의 연장부(23)에 의해 지수관체(10)의 내측면 사이에 수용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2)에 우레탄폼을 충전하여 마감재(4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플랜지부(16) 측에 형성되는 보강부재(20)의 연장부(23)에 토출마개(71)가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수관체(10)는 상부관체(81) 및 하부관체(85)로 상하 분할결합되어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는 콘크리트 타설체에서 발생되는 잉여수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침투수의 흐름을 외부로 유도함으로써 잉여수 및 침투수로 인한 콘크리트 타설체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화학적 반응 억제함으로써 백화현상, 누수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피해를 방지함으로써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의 품질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되는 지수바의 높이치수 확인이 가능하므로 콘크리트 타설체의 높이 및 전체 시공높이를 쉽게 확인 가능하며, 지수(止水) 기능까지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난방바닥 슬라브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콘크리트 타설체의 외벽에 잉여수에 의한 누수 및 백화현상을 나타낸 상태 사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의 콘크리트 타설체 내에서의 사용 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수바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수바의 하부측 수용홈에 마감재가 형성된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수바의 하부측 보강부재의 연장부에 토출마개를 결합한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평면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할결합 구조를 나타낸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A)는 콘크리트 타설체의 잉여수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침투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누수 및 백화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콘크리트 타설체(52) 내에 상·하단 플랜지부(15,16)가 형성되는 지수관체(10)와, 배수로(22)가 형성되는 보강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수관체(1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통상 철근(54)이 배근된 콘크리트 타설체(52) 부근의 잉여수 및 침투수를 하부측으로 배출시켜 제거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체(52)를 수직 관통하여 설치되며, 잉여수 및 침투수가 관통되어 하부측으로 배출되는 이동로(12)가 내측에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3각형, 4각형 등의 다각형 관체로 형성된다.
지수관체(10)는 콘크리트 타설체(52)의 상·하부면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체(52)의 상·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하단 플랜지부(15,16)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단 플랜지부(15,16)는 지수관체(10)의 면적보다 넓게 확장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체(52)의 상·하부면에 밀착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단 플랜지부(15)는 콘크리트 타설체(52)의 상부면에 얹혀지도록 구성되고, 도 3에서와 같이 난방바닥 슬라브, 벽체, 바닥 등의 시공시에는 충격완화재(91)와 기포콘크리트(92), 시멘트몰탈(93), 강마루(94) 등이 상부에 차례로 얹혀지게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하단 플랜지부(15)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면서 자중에 의해 하부측으로 쳐지거나 흔들리게 되므로 하단 플랜지부(15) 상에 다수 통공(17)을 형성하고, 피스(19) 등을 사용하여 타설 전 슬라브 합판이나 철물 등에 고정하여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수관체(10)는 강성을 요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금속재나 기타 다른 재질의 것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지수관체(10)는 콘크리트 타설체(52) 내에서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날개부(3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수날개부(30)는 지수관체(1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므로 통상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며, 지수날개부(30)의 구성으로 인해 지수(止水) 기능까지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지수관체(10)의 상단 플랜지부(15)에는 콘크리트 타설체(52) 상부면 부근의 잉여수 및 침투수가 지수관체(10)의 이동로(12)로 유입되도록 다수 관통공(14)이 형성된다. 이때 상단 플랜지부(15)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수관체(10)의 외측 확장형태 뿐만 아니라 배수로(12) 상을 폐쇄하도록 전체가 판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관통공(14)은 배수로(12)가 연결된 상단 플랜지부(15)의 판 상에 형성된다.
또한 이때, 콘크리트 타설체(52)는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체(52) 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수관체(10)의 상단 플랜지부(15)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S)지게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체(52) 상의 잉여수 및 침투수가 관통공(14) 측으로 안내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수관체(10)의 이동로(12) 상에는 지수관체(10)의 길이에 따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20)를 형성한다. 보강부재(20)는 이동로(12)가 형성되는 지수관체(10)의 내측면 둘레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단 플랜지부(15)의 관통공(14)을 통과한 잉여수 및 침투수의 배출이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앙부측에 배수로(22)를 형성한다. 이때 보강부재(20)는 지수관체(10)의 길이에 따른 보강용이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잉여수 및 침투수의 배출이 배수로(22) 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상기 보강부재(20)는 배수로(22)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배수로(22)는 보강부재(20)의 하부측으로 관체 형태의 연장부(23)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다수의 보강부재(20) 중에서 하단 플랜지부(16) 측에 형성되는 보강부재(20), 즉 맨하단의 보강부재(20)는 배수로(22)와 지수관체(10)의 내측면 사이에 수용홈(42)이 형성되도록 하단 플랜지부(16)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42)에는 마감재(45)로서 우레탄폼을 충전하여 사춤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마감재(45)인 우레탄폼은 경화제가 섞이지 않은 일액형 또는 경화제가 섞인 이액형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액형을 사용하여 수용홈(42) 내에 주입하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통상 콘트리트 타설체(52)의 바닥측은 사용자의 관측시 천장면일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자가 천장에 구비된 지수관체(10)의 하단 플랜지부(16) 측을 보면 지수관체(10)의 내측면 또는 수용홈(42)이 보이게 되는데 이는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감재(45)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맨하단의 보강부재(20)의 배수로(22)에는 배수호스(62)를 연결하여 배출되는 잉여수 및 침투수가 측벽 등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 플랜지부(16) 측에 형성되는 맨하단 보강부재(20)의 연장부(23)에 토출마개(71)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토출마개(71)는 기포콘크리트 타설이나 기타 잉여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누수에 의한 하부 오염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해 구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수관체(10)는 일정한 높이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9에서와 같이 상부관체(81) 및 하부관체(85)로 상하 분할 구성되어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부관체(81) 및 하부관체(85)는 일실시예로서 나사(82,86) 결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방식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높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수관체(10)의 구성으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체(52)에 사용된 지수바(A)의 높이치수 확인이 가능하므로 시공된 콘크리트 타설체(52)의 높이 및 전체 시공높이를 쉽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A)는 콘크리트 타설체(52)에서 발생되는 잉여수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침투수의 흐름을 외부로 유도함으로써 잉여수 및 침투수로 인한 콘크리트 타설체(52) 및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화학적 반응 억제함으로써 백화현상, 누수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A)의 품질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 : 지수관체 12 : 이동로
14 : 관통공 15 : 상단 플랜지부
16 : 하단 플랜지부 20 : 보강부재
22 : 배수로 23 : 연장부
30 : 지수날개부 42 : 수용홈
45 : 마감재

Claims (6)

  1. 콘크리트 타설체(52)를 수직 관통하여 설치되며, 관체로 형성되어 내측에 이동로(1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체(52)의 상·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하단 플랜지부(15,16)가 형성되는 지수관체(10)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 플랜지부(15)에 콘크리트 타설체(52) 상부면의 잉여수 및 침투수가 지수관체(10)의 이동로(12)로 유입되도록 다수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수관체(10)의 이동로(12) 상에는 배수로(22)가 형성되는 보강부재(20)가 일체로 다수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20)는 배수로(22)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22)는 보강부재(20)의 하부측으로 관체 형태의 연장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플랜지부(16) 측에 형성되는 보강부재(20)의 연장부(23)에 토출마개(71)가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관체(10)는 콘크리트 타설체(52) 내에서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수날개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20) 중에서 하단 플랜지부(16) 측에 형성되는 보강부재(20)의 연장부(23)에 의해 지수관체(10)의 내측면 사이에 수용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2)에 우레탄폼을 충전하여 마감재(4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5. 삭제
  6.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관체(10)는 상부관체(81) 및 하부관체(85)로 상하 분할결합되어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KR1020150053949A 2015-04-16 2015-04-16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KR10173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49A KR101737384B1 (ko) 2015-04-16 2015-04-16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49A KR101737384B1 (ko) 2015-04-16 2015-04-16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05A KR20160124305A (ko) 2016-10-27
KR101737384B1 true KR101737384B1 (ko) 2017-05-19

Family

ID=5724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49A KR101737384B1 (ko) 2015-04-16 2015-04-16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612B (zh) * 2018-05-12 2023-07-14 深圳市普赛特建筑工程技术有限公司 止水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333A (ja) 2006-10-17 2008-05-01 Maezawa Kasei Ind Co Ltd 排水装置
KR200452034Y1 (ko) 2008-10-28 2011-01-26 이호석 교량용 초기 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333A (ja) 2006-10-17 2008-05-01 Maezawa Kasei Ind Co Ltd 排水装置
KR200452034Y1 (ko) 2008-10-28 2011-01-26 이호석 교량용 초기 우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05A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662B1 (en)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KR101758023B1 (ko) 차수시트와 콘크리트 매트를 이용한 표면 차수형 댐
KR101050947B1 (ko)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345183B1 (ko) 우수 저류조
KR1017373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잉여수 및 침투수 제거용 지수바
KR200443194Y1 (ko) 경화시간 조절이 가능한 그라우팅장치의 주입관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AU2020273318B8 (en) Formwork system and method
KR101027435B1 (ko) 스터드 그립이 부착된 시트를 이용한 지하 저수조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851686B2 (ja) 梁の構築方法
KR10209810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조인트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200447273Y1 (ko) 유로폼 거푸집용 줄눈 성형장치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EP2905396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lope in a cast floor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CN209907605U (zh) 装配式外墙板连接节点
KR200408429Y1 (ko) 건축용 방수턱 거푸집
KR200469738Y1 (ko) 황토판 및 황토판이 결합된 벽체
JP2006193985A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JP6424044B2 (ja) 補強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耐震構造物
KR200494219Y1 (ko) 매립관용 지수판
KR101512031B1 (ko) 그라우팅을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20080006387U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JP2017206920A (ja) コンクリート打継方法
KR200369409Y1 (ko) 옹벽용 배수파이프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