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71B1 -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 Google Patents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371B1
KR101736371B1 KR1020160144854A KR20160144854A KR101736371B1 KR 101736371 B1 KR101736371 B1 KR 101736371B1 KR 1020160144854 A KR1020160144854 A KR 1020160144854A KR 20160144854 A KR20160144854 A KR 20160144854A KR 101736371 B1 KR101736371 B1 KR 10173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ampling pipe
sampling
pipe
sam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휘
이학철
김현태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 채취관과,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 채취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채취관 속에 상기 내부 채취관을 삽탈가능하게 조립하여 구성되는 곡물시료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채취관의 상단에 삽입된 채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 각형연결봉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 착탈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의 일자형 전동드라이버를 조립 형성하여 상기 전동드라이버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내부 채취관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 채취관이 내부 채취관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Grain sampler using electric screwdriver}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대형포대에 담긴 벼, 보리, 콩 등 곡물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상기 대형포대의 깊숙한 심층부에서부터 표층부에 있는 곡물을 골고루 채취할 수 있으며, 또한 곡물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자가 전동드라이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곡물시료채취기를 곡물이 담긴 대형포대의 상부에서 심층부까지 힘들이지 않고 꽂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하게 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의 채취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곡물검사용 샘플시료의 채취 공정성과 샘플시료의 품위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 쌀, 보리 등의 곡물은 수확된 후 일ㄹ정단위의 대형포대 또는 마대자루 등에 담겨져 운반되어 일정 장소에 보관된 후 공공비축용으로 비축 또는 일반 판매용으로 판매되기 전에 품질을 구분하기 위하여 품질등급 결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곡물의 품질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 같으면, 통상 곡물시료검사자는 대형포대에 담긴 곡물 중 적은 량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육안검사 등을 통해 등극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곡물을 채취하는 방법은 통상의 곡물시료채취기를 대형포대 또는 마대자루에 삽입하여 상기 곡물시료채취기에 형성되는 있는 복수의 채취홈 속으로 삽입되는 곡물을 채취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곡물시료채취기(10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양측으로 손잡이(110)가 달린 외부 채취관(120)과, 상기 외부 채취관(120)의 상단에서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 채취관(130)이 이중관 구조로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채취관(120)에는 복수의 채취공(1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외부 채취관(120)에 형성된 복수의 채취공(121)과 상기 내부 채취관(130)에 형성된 복수의 채취홈(131)은 조립했을 때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채취관(120)의 하단(122)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채취관(130)의 상단에는 회전손잡이(13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채취관(13)에 형성된 복수의 채취홈(131)은 상,하단이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각 채취홈(131) 속으로 삽입되는 곡물을 저장하였다가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곡물시료채취기(100)는 곡물시료를 채취하는 검사자의 인력으로 곡물시료를 채취하여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든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종래의 곡물시료채취기(100)는 검사자가 곡물이 담겨있는 대형포대(200) 위로 올라가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00)의 외부 채취관(120)에 형성되어 있는 뾰족한 하단(122)을 대형포대(200)의 상측에서 꽂아준 다음 양측 손잡이(110)를 잡고 있는 양손에 힘을 가하여 외부 채취관(120)의 뾰족한 하단(122)을 대형포대(200)의 바닥 가까이 깊숙이 삽입시켜야 하는데, 이때 검사자는 단순히 양손의 힘만으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00)를 깊숙이 꽂아줄 수 없기 때문에 도 13의 도시와 같이 검사자는 양손에 자신의 체중을 양측 손잡이(110)을 세게 눌러주는 동작으로 곡물시료채취기(100)를 꽂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게 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00)를 대형포대(200) 속으로 깊숙이 삽입시킨 다음에는 내부 채취관(130)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손잡이(132)를 회전시켜주는 방법으로 외부 채취관(120)에 형성되어 있는 각 채취공(121)과 내부 채취관(130)에 형성되어 있는 각 채취홈(131)이 도 12의 (나)와 같이 일치되도록 하면 곡물이 상기한 채취홈(131) 속으로 투입되게 하고, 이어서 도 12의 (가)와 같이 채취공(121)과 채취홈(131)이 서로 어긋나도록 회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00)를 대형포대(200)의 상방으로 빼내게 되면 상기 내부 채취관(130)의 각 채취홈(131) 속으로 투입된 곡물을 채취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대형포대(200)에 꽂았던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00)를 빼낼 때에도 많은 힘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곡물시료채취기(100)는 곡물시료를 채취하는데 많은 힘이 소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곡물에 등급을 메기는 관리부처인 농산물품질관리원 또는 농협 등에서 곡물시료를 채취하는 일에 종사하는 검사자들 중 여성검사자가 많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상기한 곡물시료채취기(100)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곡물시료채취기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 제10-1443024호의 곡물시료채취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외부관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부관의 하단에 형성된 원뿔형삽입콘을 곡물이 담겨있는 대형포대의 상측에서 꽂아준 다음 상기 외부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손잡이를 잡고 돌려주는 방법으로 상기 외부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스크류에 의해 대형포대 속에 담겨있는 곡물 속으로 외부관을 삽입시킬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검사자가 외부관의 상단에 형성된 양측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외부관을 눌러줌과 동시에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나선형 스크류가 곡물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이 역시 검사자가 양측 손잡이를 잡고 있는 양손에 상당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43024호(2014. 09. 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곡물시료를 채취하는 사람이 전동드라이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곡물시료채취기를 곡물이 담긴 대형포대 속으로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시료를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시료채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 채취관과,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 채취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채취관 속에 상기 내부 채취관을 삽탈가능하게 조립하여 구성되는 곡물시료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채취관의 상단에 삽입된 채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 각형연결봉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 착탈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의 일자형 전동드라이버를 조립 형성하여 상기 전동드라이버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내부 채취관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 채취관이 내부 채취관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채취관의 상단에는 외부 채취관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걸림되도록 하는 환형플렌지와 상기 환형플렌지 하측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채취관의 상단에는 내부 채취관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환형플렌지가 걸림되는 회전안내면과 상기 회전안내면의 일측에 상기 내부 채취관의 돌기가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돌기안내통로 및 상기 돌기안내통로의 하단에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채취관의 돌기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걸림되도록 하는 환형안내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채취관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안내통로에는 내부 채취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채취관의 하단에는 끝단이 둥글게 형성된 채 외부 채취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상단에서부터 외부 채취관의 하단을 향해 상향으로 확관된 상태의 나팔관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채취관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스크류는 축방향 기준선을 기준하여 상향을 향해 120∼160°의 기울기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스크류는 삽입봉의 외주를 하단부분에서부터 상단부분까지 120∼180°각도의 범위 내에서 나선상으로 감겨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채취관 상단에는 수동손잡이의 수나사단부를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할 수 있도록 너트부재가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물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검사자가 곡물시료채취기의 외부 채취관 하단 끝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을 대형포대의 상부에 꽂아준 상태에서 일자형 전동드라이버의 정회전 버튼스위치를 온(on)조작하게 되면 외부 채취관이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형포대에 담긴 곡물 속으로 파고들어가게 되며, 상기 외부 채취관이 대형포대에 담긴 곡물 속에 설정된 깊이로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외부 채취관의 정회전 회전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의 역회전 버튼스위치를 온(on)조작하게 되면 상기 외부 채취관이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 채취관은 정지된 상태에서 내부 채취관만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내부 채취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이 외부 채취관에 형성되어 있는 곡물시료채취공과 연통하는 상태가 되는 동안에는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이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을 통해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 속으로 일정량 투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내부 채취관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 속으로 일정량의 곡물이 투입된 후에도 계속해서 회전하여 외부 채취관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대형포대에서 상향으로 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검사자는 상기 곡물시료채취기를 태형포대 속에 깊숙이 삽입시키는 작업과 곡물시료 채취후 상기 곡물시료채취기를 빼내는 작업을 일자형 전동드라이버의 회전력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을 표층부에서부터 심층부에 이르기까지 복수단으로 구분하여 골고루 곡물시료를 채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곡물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외부 채취관 속에 삽입된 내부 채취관의 상단에 전동드라이버를 조립하여 자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곡물시료채취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채취관 상단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수동식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곡물시료채취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 채취관과 내부 채취관을 분리하여 나타낸 곡물시료채취기의 분리 상태도
도 4의 (가)(나)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내부 채취관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부 채취관에 걸림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내부 채취관이 회전작동할 때 내부 채취관의 곡물시료채취홈이 외부 채취관의 곡물시료채취공과 일치 내지 어긋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곡물시료채취기의 외부 채취관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곡물시료채취기의 외부 채취관 하단에 형성된 나선스크류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0은 종래기술의 곡물시료채취기의 정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의 곡물시료채취기 외부 채취관과 내부 채취관 분리상태도
도 12의 (가)(나)는 종래기술의 내부 채취관을 회전시킨 상태의 작동상태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곡물시료채취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는 외부 채취관(2)과, 상기 외부 채취관(2) 속으로 삽입 조립되는 내부 채취관(3) 및 상기 내부 채취관(3)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채취관(3)은 외부 채취관(2) 속으로 삽입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외부 채취관(2) 속에서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는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를 연결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는 고정 각형연결봉(31)이 부착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에는 내부 채취관(3) 상단의 고정 각형연결봉(3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되는 착탈연결부재(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각형연결봉(31)은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연결부재(41)의 중심에는 상기한 고정 각형열결봉(31)이 끼워질 수 있는 각형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상기한 고정 각형연결봉(31)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용 환형홈(31a)에 걸림되는 볼(ball : 미도시) 등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는 기존에 사용되고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할 것 같으면,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착탈연결부재(41)는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 각형연결봉(3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정회전 버튼스위치(42)와 역회전 버튼스위치(43)를 선택하여 눌러주는 조작으로 착탈연결부재(41)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채취관(3)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의 외부 채취관(2)의 상단 양측에는 복수의 너트부재(21)가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채취관(2)의 상단 내면에는 내부 채취관(3)이 삽입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내부 채취관(3)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안내면(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안내면(22)의 일측에 축방향으로 돌기안내통로(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채취관(2)에는 축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부(25)와 삽입봉(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봉(26)은 외부 채취관(2)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하단 끝부분이 둥글게 라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25)는 삽입봉(26)의 상단에서부터 외부 채취관(3)의 하단을 향해 점차로 확관되는 나팔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봉(26)의 외주에는 나선상으로 돌출되는 나선스크류(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스크류(27)는 삽입봉(27)의 축방향 기준선(P)을 기준하여 상향을 향해 120∼160。의 기울기 각도(q)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나선스크류(17)는 삽입봉(26)의 외주를 120∼160°의 각도범위 내에서 나선상으로 감아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나선스크류(27)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금속봉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금속봉은 코일스프링 소재로 사용되는 강철봉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사용되는데, 이는 상기 나선스크류(27)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형포대(미도시)에 담겨있는 곡물 속으로 파고들어가거나 또는 빠져나오게 될 때 접촉하게 되는 곡물에는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곡물을 밀어올리는 작용으로 파고들어가거나 또는 곡물을 눌러주는 작용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나선스크류(27)의 기울기 각도(q)를 축방향 기준선(P)을 기준하여 120∼160°의 각도로 형성하였는데, 이는 상기한 기울기 각도(q)가 120°이하의 각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곡물을 파고들어가거나 빠져나올 때 곡물의 누르거나 밀어내는 힘이 세져 곡물에 상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며, 또 상기한 기울기 각도(q)가 160°이상의 각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곡물을 파고들어가거나 빠져나오는 힘이 약해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나선스크류(27)는 곡물을 파고들어가는 작용 및 빠져나오는 작용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120∼160°의 기울기 각도(q)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채취관(3)은 외부 채취관(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안내면(22) 속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는 고정 각형연결봉(31)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각형연결봉(31)의 하측에는 내부 채취관(3)의 외주에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환형플렌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채취관(3)의 환형플렌지(32) 하부 일측에는 돌기(3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기(33)는 외부 채취관(2)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회전안내면(22)의 일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안내통로(23)를 통해 회전안내면(22)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빼낼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채취관(3)에는 축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34)은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된 곡물시료채취공(24)과 같은 위치에 같은 갯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34) 각각의 상,하단은 막혀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물시료채취홈(34) 각각의 하단은 경사면(35)으로 형성되어 채취된 곡물의 배출이 잘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상기 외부 채취관(2)의 상단내면에 형성된 회전안내면(22)에는 돌기안내통로(28)의 끝부분을 기준하여 상기 회전안내면(22)의 하측부분에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환형안내통로(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안내통로(28)의 일측 즉, 돌기안내통로(23)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된 돌기(33)가 걸림되도록 하는 스토퍼돌기(2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상기 외부 채취관(2)의 상단 양측에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양측 너트부재(21) 각각에 양측 수동손잡이(5)의 끝단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단부(51)를 나사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양측 너트부재(21)의 하측에는 외부 채취관(2)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붙잡아줄 수 있게 하는 손잡이(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잡이(20)는 검사자가 곡물시료채취기(1)로 곡물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한 손으로는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회전하는 외부 채취관(2)을 붙잡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에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하여 곡물시료채취기(1)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될 때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외부 채취관(2)의 상단에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측 너트부재(21)에 수동손잡이(5)를 나사조립으로 부착하여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곡물시료를 수동으로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곡물시료채취기(1)로 대형포대(미도시)에 담겨있는 곡물(벼, 보리, 콩, 쌀 등)의 시료를 채취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는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에 형성되어 있는 정회전 버튼스위치(42)를 눌러주게 되면 전동드라이버가 작동하여 착탈연결부재(41)를 정회전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착탈연결부재(41)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각형연결봉(31)과 상기 고정 각형연결봉(31)이 고정된 상태로 끼워져 있는 내부 채취관(3)은 도 4의 (가)와 같이 화살표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공회전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내부 채취관(3)이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될 때에는 내부 채취관(3) 외주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33)는 외부 채취관(2)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안내통로(28)를 따라 공회전하는 상태로 회전 이동하다가 상기 환형안내통로(28)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돌기(29)에 걸림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내부 채취관(3)의 돌기(33)가 공회전하는 상태로 회전하다가 스토퍼돌기(29)에 걸림되는 시점에서부터는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로부터 내부 채취관(3)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돌기(33)를 통해 스토퍼돌기(29)에 전달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회전력은 내부 채취관(30을 통해 외부 채취관(2)으로 전달되며, 따라서 상기 외부 채취관(2)은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돌기(33)가 스토퍼돌기(29)에 걸림될 때에는 상기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된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24)은 도 5의 (나) 도시와 같이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34)과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되어 있는 곡물시료채취공(24)과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곡물이 담긴 대형포대의 상측 곡물표층부에서부터 곡물심층부를 향해 삽입시킬 때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24)이 닫힌 상태가 되어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대형포대에 삽입시킬 때에는 곡물시료채취홈(34)에 곡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24)이 닫혀있는 상태로 곡물시료채취기(1)를 곡물이 담겨있는 대형포대의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삽입봉(26)과 이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스크류(27)가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의 표층부에 삽입되도록 꽂아준 상태에서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정회전 버튼스위치(42)를 온(on)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착탈연결부재(41)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채취관(3)과 외부 채취관(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 돌출되어 대형포대의 상부 표층부에 꽂혀있는 삽입봉(26)이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삽입봉(26)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스크류(27)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류작용으로 곡물을 파고들어가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로 곡물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검사자는 한 손으로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20)를 붙잡아주는 동작으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수직상으로 똑바르게 외부 채취관(2)이 대형포대 속으로 삽입되도록 붙잡아주게 되면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의 외부 채취관(2)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검사자가 붙잡고 있는 손잡이(20)는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곡물사료채취기(1)를 수직상으로 똑바르게 붙잡아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곡물시료채취기(1)는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회전력에 의하여 대형포대에 담긴 곡물의 깊숙한 위치까지 스크류식으로 파고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시료채취 검사자가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대형포대에 담긴 곡물의 깊숙한 심층부 위치까지 삽입시킬 때에는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채취공(24) 각각은 도 5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채취관(3)에 의하여 막힌 상태가 되므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의 외부 채취관(2)이 대형포대의 깊숙한 심층부 위치까지 파고들어갈 동안에는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이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된 복수의 곡물채취홈(34)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곡물시료채취 검사자는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대형포대의 깊숙한 위치까지 삽입시키는 작업이 완료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정방향 회전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이어서 상기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역회전 버튼스위치(43)를 온(on)조작하여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를 역회전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가 정방향으로 회전작동하다가 정지하게 될 때에는 내부 채취관(3)은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기(33)가 외부 채취관(2)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돌기(29)의 도면상 좌측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4의 (나)도시의 화살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이때에는 외부 채취관(2)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며, 상기 내부 채취관(3)만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돌기(29)에 걸림될 때까지 공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가 대형포대의 담긴 곡물 속으로 삽입되는 동안에는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일시 정지된 후 곧바로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이 개시되는데, 이때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의 내부 채취관(3)이 역회전 방향으로 한바퀴 회전(1회전)하는 동안에는 외부 채취관(2)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내부 채취관(3)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채취홈(34)들이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된 복수의 곡물채취공(24)들과 반드시 일치하게 되는 시점(도 5의 (가) 참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내부 채취관(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곡물채취홈(34)들이 정지해 있는 외부 채취관(2)의 각 곡물채취공(24)과 일치하게 되는 순간에는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이 복수의 곡물채취홈(34) 속으로 일정량씩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부 채취관(3)이 역방향으로 한바퀴 공회전하는 동안 복수의 곡물채취홈(34)이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된 복수의 곡물채취공(24)과 일치하게 되므로 상기 복수의 곡물채취홈(34)으로 곡물이 일정량씩 투입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내부 채취관(3)이 역방향으로의 1회전작동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3)가 외부 채취관(2)에 형성된 스토퍼돌기(29)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며(도 4의 (나)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채취관(3)과 외부 채취관(2)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역회전 작동에 의해 내부 채취관(3)이 외부 채취관(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때에는 상기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삽입봉(26)의 외주에 나선상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나선스크류(27)가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나선스크류(2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외부 채취관(2)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곡물시료채취 검사자는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회전력으로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의 깊숙한 심층부까지 삽입시켰던 곡물시료채취기(1)를 신속하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의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34) 각각에 곡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로 채취하고자 할 때에는 곡물시료채취기(1)를 곡물이 담긴 대형포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정회전 버튼스위치(42)와 역회전 버튼스위치(43)를 교대적으로 조작하는 방법으로 내부 채취관(3)을 역방향으로 1회전 작동시킨 다음, 이어서 상기 내부 채취관(3)을 정방향으로 1회전 작동시킨 후, 다시 내부 채취관(3)을 역방향으로 1회전 작동시키는 수차례 반복하게 되면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을 내부 채취관(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곡물채취홈(34)에 국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로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시료채취기(1)는 곡물시료채취 검사자의 수동적인 힘에 의존하지 않고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회전력으로 곡물시료채취기(1)의 내,외부 채취관(3)(2)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곡물이 담겨있는 대형포대 속에 깊숙히 삽입시키고 빼내는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의 외부 채취관(2)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스크류(27)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하면서 외부 채취관(2)을 대형포대에 삽입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빼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곡물시료채취기(1)를 사용하는 도중에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의 배터리 용량이 부족하게 될 경우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외부 채취관(2)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양측 너트부재(21)에 양측 수동손잡이(5)를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수동으로 사용하여 곡물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곡물시료채취기(1)를 수동으로 사용할 때에도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봉(26)을 대형포대의 상부에 꽂아주고 양측 수동손잡이(5)를 잡고 외부 채취관(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외부 채취관(2)을 대형포대의 깊숙한 위치까지 삽입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삽입작업을 완료한 후 곡물시료를 채취하고자 할 때에는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를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내부 채취관(3)을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곡물시료채취홈(34) 속으로 곡물이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곡물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수동손잡이(5)를 잡고 외부 채취관(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향으로 잡아 당겨주면 대형포대속에 깊숙이 삽입되어 있는 상기 외부 채취관(2)을 간편하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시료채취기(1)는 대형포대에 담겨 있는 곡물등급을 판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하고자 할 때 곡물시료채취 검사자가 자신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일자형 전동드라이버(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대형포대에 담겨있는 곡물시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 : 곡물시료채취기 2 : 외부 채취관
20 : 손잡이 21 : 너트부재
22 : 회전안내면 23 : 돌기안내통로
24 : 곡물시료채취공 25 : 경사부
26 : 삽입봉 27 : 나선스크류
28 : 환형안내통로 29 : 스토퍼돌기
3 : 내부 채취관 31 : 고정 각형연결봉
31a : 연결용 환형홈 32 : 환형플렌지
33 : 돌기 34 : 곡물시료채취홈
35 : 경사면 4 : 일자형 전동드라이버
41 : 착탈연결부재 42 : 정회전 버튼스위치
43 : 역회전 버튼스위치 5 : 수동손잡이

Claims (8)

  1. 복수의 곡물시료채취공(2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 채취관(2)과, 복수의 곡물시료채취홈(3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 채취관(3)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채취관(2) 속에 상기 내부 채취관(3)이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 삽입된 채로 고정 부착되는 고정 각형연결봉(3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 착탈연결부재(41)가 형성되어 있는 공지의 일자형 전동드라이버(4)를 조립 형성하여 상기 전동드라이버(4)의 회전작동으로 상기 내부 채취관(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 채취관(2)이 내부 채취관(3)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곡물시료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채취관(3)의 상단에는 외부 채취관(2)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걸림되도록 하는 환형플랜지(32)와 상기 환형플랜지 하측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채취관(2)의 상단에는 내부 채취관(3)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환형플랜지(32)가 걸림되는 회전안내면(22)과 상기 회전안내면의 일측에 상기 내부 채취관(3)의 돌기(33)가 삽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돌기안내통로(23) 및 상기 돌기안내통로의 하단에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채취관(3)의 돌기(3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걸림되도록 하는 환형안내통로(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26)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스크류(27)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채취관(2)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26)의 외주 하단에서부터 외주 상단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스크류(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44854A 2016-11-02 2016-11-02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KR10173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54A KR101736371B1 (ko) 2016-11-02 2016-11-02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54A KR101736371B1 (ko) 2016-11-02 2016-11-02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371B1 true KR101736371B1 (ko) 2017-05-29

Family

ID=5905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854A KR101736371B1 (ko) 2016-11-02 2016-11-02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3801A (zh) * 2020-09-02 2020-12-22 界首市金龙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机器人扦样机
EP4067858A1 (de) * 2021-04-01 2022-10-05 Hecht Technologie GmbH Probenehmer für eine entnahme einer probe eines produktes aus einem flexiblen behältnis
CN115575166A (zh) * 2022-09-27 2023-01-06 陕西地矿第六地质队有限公司 一种地质分层取样器械
WO2023062402A1 (en) * 2021-10-11 2023-04-20 Akbari Leila Sampling gauge for collecting samples from different parts of a large ba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24B1 (ko) * 2014-07-14 2014-09-22 주식회사 동일이앤지 곡물 시료 채취기
JP2014527433A (ja) * 2011-08-11 2014-10-16 オステムインプラ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ドリル、ドリルカバー及びそれらを採用した自家骨採取用施術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7433A (ja) * 2011-08-11 2014-10-16 オステムインプラ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ドリル、ドリルカバー及びそれらを採用した自家骨採取用施術器具
KR101443024B1 (ko) * 2014-07-14 2014-09-22 주식회사 동일이앤지 곡물 시료 채취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3801A (zh) * 2020-09-02 2020-12-22 界首市金龙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机器人扦样机
EP4067858A1 (de) * 2021-04-01 2022-10-05 Hecht Technologie GmbH Probenehmer für eine entnahme einer probe eines produktes aus einem flexiblen behältnis
WO2023062402A1 (en) * 2021-10-11 2023-04-20 Akbari Leila Sampling gauge for collecting samples from different parts of a large bag
CN115575166A (zh) * 2022-09-27 2023-01-06 陕西地矿第六地质队有限公司 一种地质分层取样器械
CN115575166B (zh) * 2022-09-27 2024-03-26 陕西地矿第六地质队有限公司 一种地质分层取样器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371B1 (ko)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US7159493B1 (en) Driving bit linking device in a box wrench
CN102879222B (zh) 一种双层筒壁土柱取土器
US8739347B2 (en) Spiral drive mechanism and spin mop with the same
KR101443024B1 (ko) 곡물 시료 채취기
CN205538312U (zh) 农业土壤取样装置
US6439629B1 (en) Post hole digger
US5474141A (en) Apparatus for obtaining a soil core sample
CN112284789B (zh) 一种基于快速采集土壤的土壤检测装置
CA1255514A (en) Grain probe
US5289727A (en) Bulk material sampling device
KR102015350B1 (ko)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WO2013040631A1 (en) Tissue sampling device
US2653638A (en) Nut opener
CN215767745U (zh) 一种用于工程勘察的取土装置
KR101062033B1 (ko) 조사료 곤포사일리지용 시료채취기 및 채취공이
KR200450787Y1 (ko) 시료 채취장치
US20150250376A1 (en) Adhesive cleaner
CN106493671B (zh) 单手快脱夹头
US20180147644A1 (en) Thread die retaining method and apparatus
CN211422048U (zh) 一种螺旋地钉
US20180370001A1 (en) End cap remover
KR20140117194A (ko) 건초 시료 채취기
KR20100039611A (ko) 감지기의 보호 커버용 작업구
CN214911911U (zh) 一种便于使用的胰岛素针头取针利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