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87Y1 - 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87Y1
KR200450787Y1 KR2020080010023U KR20080010023U KR200450787Y1 KR 200450787 Y1 KR200450787 Y1 KR 200450787Y1 KR 2020080010023 U KR2020080010023 U KR 2020080010023U KR 20080010023 U KR20080010023 U KR 20080010023U KR 200450787 Y1 KR200450787 Y1 KR 200450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vegetables
fruit
receiv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292U (ko
Inventor
이중환
유규상
구수진
강우관
남지현
정환택
Original Assignee
케이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맥(주) filed Critical 케이맥(주)
Priority to KR2020080010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2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시료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시료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과실이나 채소류에 원형으로 절단하면서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10); 일측 단부에 상기 채취부(10)가 결합되며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부(20); 채취된 시료를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커팅하는 와셔부(30);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를 상기 수용부(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밀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 채취시에 채취된 시료의 커팅을 와셔부의 칼날에 의해 일정깊이로 미리 커팅하게 되므로 채취부와 수용부의 일측단부 부위를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한 상태에서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이격시키면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좌우로 비틀거나 순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시료 채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커팅면이 고르게 되어 잔류농약 농도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깊이로 시료를 채취가 가능하고, 다수개소의 시료를 연속으로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과실, 채소류, 잔류농약, 시료, 채취장치, 커팅, 일정깊이, 연속채취

Description

시료 채취장치{Sample Extrac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이나 채소류의 내부에 잔존하는 잔류농약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채소류는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살포된 농약은 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로 침투하게 되므로 잔류농약성분이 어느 부분까지 침투하였는지를 분석하여야 한다.
이때,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하고 채취된 시료는 착즙과정을 거치고 이 착즙에 함유된 잔류농약의 농도를 분석하게 된다.
대부분의 시료 채취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칼날을 이용하여 과일이나 채소류에 측정하고자 하는 깊이로 삽입하고 채취된 시료를 직경방향으로 커팅하기 위해서는 시료 채취장치를 좌우로 비틀거나 순간적인 힘을 가하여 채취된 시료를 커팅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커팅이 용이하지 않아 채취된 시료가 시료 채취장치 내부로 수 용되지 못하고 과실이나 채소류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커팅면이 고르지 않아 정확한 깊이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잔류농약 농도 측정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 채취시 잔류농약 농도 측정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다수개소의 시료를 채취하게 되는데, 전술한 시료 채취장치는 채취된 시료의 커팅면이 고르지 않아 다수개소의 시료를 연속으로 채취하는 경우 고르지 못한 커팅면이 누적되게 되어 잔류농약 농도 측정의 신뢰도가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 채취시에 채취된 시료의 커팅을 용이하게 하고 커팅면을 고르게 하여 잔류농약 농도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깊이로 시료를 채취하도록 하며, 다수개소의 시료를 연속으로 채취가능하도록 하는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으로 되고 과실이나 채소류에 원형으로 절단하면서 삽입되며 원통의 내부로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10); 내부가 중공된 원통으로 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채취부(10)가 결합되며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부(20);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수용부(20) 사이에 결합되며 중앙이 관통된 링형상으로 되며 내주연에 채취된 시료를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커팅하는 다수개의 칼날(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구비된 와셔부(30); 상기 수용부(20) 타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20)로부터 상기 채취부(10)와 와셔부(3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를 상기 수용부(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밀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20) 외부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와셔부(30)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의 상부에 과실이나 채소류의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20)의 삽입을 제한하는 삽입제한판(51)이 구비되어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 채취깊이를 조절하는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는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20)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의 이동거리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0)에는 눈금(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셔부(30)는 원추형으로 되되, 상기 와셔부(30)는 커팅된 시료가 상기 채취부(1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칼날(31)이 수용부(20)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와셔부(30)는 채취된 시료가 상기 와셔부(30)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부(20) 내부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탄성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시료 채취장치는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 채취시에 채취된 시료의 커팅을 와셔부의 칼날에 의해 일정깊이로 미리 커팅하게 되므로 채취부와 수용부의 일측단부 부위를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한 상태에서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이격시키면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좌우로 비틀거나 순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시료 채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커팅면이 고르게 되어 잔류농약 농도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깊이로 시료를 채취가 가능하고, 다수개소의 시료를 연속으로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의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료 채취장치(100)는 과실이나 채소류에 원형으로 절단하면서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10); 일측 단부에 상기 채취부(10)가 결합되며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부(20); 채취된 시료를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커팅하는 와셔부(30);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를 상기 수용부(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밀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채취부(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으로 되고 과실이나 채소류에 원형으로 절단하면서 삽입되며 원통의 내부로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를 채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부(2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으로 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채취부(10)가 결합되며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20)의 일측단부 부위는 상기 채취부(10)와 함께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20) 외부에는 시료 채취시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채취부(10)가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20)의 일측단부 부위가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될 때 과실이나 채소류로의 삽입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시료 채취깊이를 조절하는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는 상기 채취부(10) 및 상기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과실이나 채소류의 표면과 접촉하는 삽입제한판(5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제한판(51)은 상기 채취부 및 상기 수용부(20)의 일측단부 부위를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하게 될 때 과실이나 채소류의 표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삽입된 채취부 및 상기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삽입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 내측에는 나사결합부(5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20) 외측에는 나사부(21)가 구비되어 이들이 서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는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와 상기 수용부(20)가 서로 나사결합되면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되는 상기 채취부(10) 및 상기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의 이동거리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0)에는 눈금(22)이 구비되어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되는 상기 채취부(10) 및 상기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의 삽입깊이조절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 다.
상기 와셔부(30)는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수용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채취부(10)가 상기 수용부(20)에 결합될 때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수용부(20)가 맞물리는 결합력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와셔부(30)는 중앙이 관통된 링형상으로 되며 내주연에 채취된 시료를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커팅하는 다수개의 칼날(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가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되어 시료를 채취하게 될 때, 채취된 시료는 와셔부(3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되게 되고 수용된 후에 시료 채취장치를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이격시키면 다수개의 칼날(31)이 채취된 시료를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커팅하게 되어 시료 채취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시료 채취장치를 좌우로 비틀거나 순간적인 힘을 주어 시료를 채취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를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한 후에 시료 채취장치를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이격시키기만 하면 시료가 과실이나 채소류에 그대로 남아 있지 않고 칼날(31)에 의해 커팅되어 시료가 채취되므로 채취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와셔부(30)의 설치위치는 상기 삽입제한판(51)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야 상기 채취부(10)에 의해 채취된 시료가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셔부(30)는 원추형으로 되되, 시료 채취 후 시료 채취장치를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이격시킬 때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되어 상기 와셔부(30) 의 칼날(31)에 의해 커팅된 시료가 상기 수용부(20)로부터 상기 채취부(1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칼날(31)이 수용부(20)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셔부(30)는 상기 채취부(10)에 의해 채취된 시료가 상기 와셔부(30)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부(20) 내부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탄성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대(40)는 상기 수용부(20) 타측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상기 밀대(40)는 시료 채취가 완료된 후에 채취된 시료를 착즙하기 위해 채취된 시료를 착즙기로 공급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20)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를 상기 수용부(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밀대(40)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1)를 상기 수용부(20)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20)로부터 상기 채취부(10)와 와셔부(30)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를 채취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초기상태(도 3a)에서 수용부(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를 회전시켜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의 삽입제한판(5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채취될 시료의 깊이를 조절한다(도 3b). 이때, 시료 채취깊이 조절 부(50)를 고정한 상태에서 수용부(20)를 회전시켜도 무방하다.
채취될 시료의 깊이를 조절한 후에는 시료 채취장치를 잡고 채취부(10) 및 수용부(20) 일측단부 부위를 과실이나 채소류에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채취부(10) 내부로 시료가 삽입되고 수용부(20)의 일측단부 부위로는 와셔부(30)를 통과하여 수용부(20) 내부로 시료가 삽입되게 된다(도 3c). 이러한 상태에서 과실이나 채소류로부터 시료 채취장치를 이격시키면 상기 수용부(20) 내부로 삽입된 시료가 상기 와셔부(30)의 칼날(31)에 의해 커팅되어 수용부(20) 내부에 삽입된 시료만 채취되고 상기 채취부(10)로 삽입된 시료는 과실이나 채소류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도 3d).
하나의 과실이나 채소류에 대하여 다수개소의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도 3c와 도 3d의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채취되어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가 적층되어 수용부(20)에 수용되게 된다(도 3e).
채취된 시료(1)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채취부(10)와 와셔부(30)를 분리시킨 후에 밀대(40)를 수용부(20) 일측으로 밀어 채취된 시료를 하나씩 배출하게 된다(도 3f, 도 3g). 배출된 시료(1)는 착즙과정을 거쳐 잔류농약을 분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의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채취부 20: 수용부
21: 나사부 22: 눈금
30: 와셔부 31: 칼날
40: 밀대 50: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
51: 삽입제한판 52: 나사결합부

Claims (6)

  1. 삭제
  2. 내부가 중공된 원통으로 되고 과실이나 채소류에 원형으로 절단하면서 삽입되며 원통의 내부로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10);
    내부가 중공된 원통으로 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채취부(10)가 결합되며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부(20);
    상기 채취부(10)와 상기 수용부(20) 사이에 결합되며 중앙이 관통된 링형상으로 되며 내주연에 채취된 시료를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커팅하는 다수개의 칼날(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구비된 와셔부(30);
    상기 수용부(20) 타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20)로부터 상기 채취부(10)와 와셔부(3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20)에 수용된 시료를 상기 수용부(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밀대(40);
    상기 수용부(20) 외부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와셔부(30)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의 상부에 과실이나 채소류의 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20)의 삽입을 제한하는 삽입제한판(51)이 구비되어 과실이나 채소류의 시료 채취깊이를 조절하는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는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20)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채취깊이 조절부(50)의 이동거리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0)에는 눈금(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30)는 원추형으로 되되, 상기 와셔부(30)는 커팅된 시료가 상기 채취부(1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칼날(31)이 수용부(20)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30)는 채취된 시료가 상기 와셔부(30)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부(20) 내부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탄성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장치.
KR2020080010023U 2008-07-28 2008-07-28 시료 채취장치 KR200450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23U KR200450787Y1 (ko) 2008-07-28 2008-07-28 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23U KR200450787Y1 (ko) 2008-07-28 2008-07-28 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292U KR20100001292U (ko) 2010-02-08
KR200450787Y1 true KR200450787Y1 (ko) 2010-11-01

Family

ID=4419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023U KR200450787Y1 (ko) 2008-07-28 2008-07-28 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9119A (zh) * 2016-03-30 2016-06-22 罗叶叶 一种便于掌握西瓜成熟度的装置
CN106501019A (zh) * 2016-11-01 2017-03-15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食品检测车用水果采样器
CN109520769A (zh) * 2019-01-17 2019-03-26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便携水果定量取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9092U (ko) 1971-07-13 1973-03-03
JPS6217634A (ja) * 1985-07-17 1987-01-26 Mitsui Petrochem Ind Ltd 放射性廃棄物のアスフアルト固化体からのサンプリング方法
JP3421331B2 (ja) 1999-12-17 2003-06-30 ビオ−ラド・パストゥール 生物学的試料を得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9092U (ko) 1971-07-13 1973-03-03
JPS6217634A (ja) * 1985-07-17 1987-01-26 Mitsui Petrochem Ind Ltd 放射性廃棄物のアスフアルト固化体からのサンプリング方法
JP3421331B2 (ja) 1999-12-17 2003-06-30 ビオ−ラド・パストゥール 生物学的試料を得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292U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895B1 (ko) 매실 씨 제거방법 및 매실씨 제거장치
AU2014335730B2 (en) A biopsy collector
KR200450787Y1 (ko) 시료 채취장치
US102129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ineapple
CA2516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ermal tissue
US20140109738A1 (en) Watermelon Slicer
AU2015308094A1 (en) Produce preparation
US4246700A (en) Apparatus for cutting out and extracting the pulp of a fruit or vegetable without ruining its peel or rind
CN108444756B (zh) 一种土壤检测用快捷取样装置
KR100956021B1 (ko) 매실과육 분리장치
GB2488597A (en) Hand-held corer
US20030037440A1 (en) Coring device
US20060117966A1 (en) Fruit slicing and core removing device
EP3230710B1 (en) A sampling apparatus
KR20210058348A (ko) 시료 채취장치
CN202403937U (zh) 一种可更换钻杆的土壤取样装置
CN103398872B (zh) 大田测定样品取汁器
RU2651175C2 (ru) Способ отбора растительных пр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2059425U (zh) 一种甜菜块根取样压汁器
CN214483158U (zh) 苹果去皮分瓣机
CN213456877U (zh) 一种便携式食品农药残留快速检测仪
DE102015109401A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Lebensmitteln und zum Entsteinen von Steinobst
CN208953307U (zh) 一种食品检测用快速取样器
KR101062033B1 (ko) 조사료 곤포사일리지용 시료채취기 및 채취공이
CN211532683U (zh) 一种刺梨除籽去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