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194A - 건초 시료 채취기 - Google Patents

건초 시료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194A
KR20140117194A KR1020130032324A KR20130032324A KR20140117194A KR 20140117194 A KR20140117194 A KR 20140117194A KR 1020130032324 A KR1020130032324 A KR 1020130032324A KR 20130032324 A KR20130032324 A KR 20130032324A KR 20140117194 A KR20140117194 A KR 2014011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ay
hole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이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찬 filed Critical 이병찬
Priority to KR102013003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7194A/ko
Publication of KR2014011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초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초 더미로의 채취기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시료 채취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되며 마주보는 양측 벽에 홀(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각 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내부에 공간(21)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22)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벽의 일부분은 상기 각 공간(11)(21)을 상호 연통하게 하는 구멍 형태의 배출구(23)가 형성된 천공관(20)과; 상기 천공관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샤프트(30);를 포함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초 시료 채취기{HAY PROBE SAMPLER}
본 발명은 건초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볏짚과 같은 건초의 상태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초더미로부터 일부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와 같은 곡물의 추수가 끝난 후에 탈곡을 하고 나면 볏짚이 남게 되며, 이러한 볏짚을 소와 같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 논에 펼쳐 놓고 태양 볕에 말려서 자연 건조한 다음, 이를 모아서 일정한 양의 더미 단위로 개별 포장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때 건초 더미 내용물의 건조 상태가 좋지 않거나 오염이 심한 경우 곰팡이 등이 번식하여 사료 등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건초 더미의 일부를 채취하여 그 상태를 확인한 다음 건조상태나 오염 정도에 따라 그 품질을 등급으로 표시하는 등급 표시제가 시행되고 있다.
건초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종래에는 끝이 뾰족하고 속이 비어 있는 채취봉을 건초 더미의 불특정한 부분에 삽입하여 꺼낸 다음 채취봉 내부에 채집된 시료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러나 건초더미는 볏짚이 서로 엉켜있기 때문에 채취봉을 삽입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채취봉 내부로 시료가 쉽게 들어오지 않아서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하며, 또한 채취봉 내부에 시료가 채집되었더라도 그 시료를 채취봉에서 꺼내는 작업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건초 더미의 시료 채취 작업이 내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초 더미로의 채취기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시료 채취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되며 마주보는 양측 벽에 홀(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각 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내부에 공간(21)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22)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벽의 일부분은 상기 각 공간(11)(21)을 상호 연통하게 하는 구멍 형태의 배출구(23)가 형성된 천공관(20)과; 상기 천공관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샤프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천공관(20)의 블레이드 측을 통해 공간(21)으로 삽탈 가능하게 된 푸쉬바(40)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단 테두리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시료를 채집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채집주머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 또는 수작업에 의한 회전 방식으로 건초 더미에 천공관을 삽입하므로 천공관 내부로의 시료 유입이 용이할 뿐 아니라, 푸쉬바를 이용하여 천공관 내부에 채집된 시료를 곧바로 채집주머니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시료 채취 작업을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건초 시료 채취기는, 하우징(10), 천공관(20), 샤프트(30)를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천공관(20) 내부로 삽탈되는 푸쉬바(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된 함체로서 마주보는 양측 벽에는 각각 홀(12)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천공관(20)은 상기 하우징(10)의 각 홀(12)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 것으로, 내부에 공간(21)이 형성된 원통형 관체일 수 있고, 도 1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일측 단부에는 원통형으로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22)가 구비된다.
이때 천공관(20) 중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위치한 벽의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간(11)과 상기 천공관(20)의 공간(21)을 상호 연통하게 하는 구멍 형태의 배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30)는 일종의 핀 형태로서 상기 천공관(20)의 타측 단부, 즉 블레이드(22)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천공관(20)과 샤프트(30)의 고정 방식은, 예를 들어 도 2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상기 천공관(20)의 타측 개방 단부를 통해 천공관(20)의 공간(21) 측으로 상기 샤프트(30)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 등의 고정구(31)가 천공관(20)의 외면에서 중심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샤프트(30)에 나사 체결되는 형태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31)를 하우징(10) 벽면의 내측과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천공관(2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하면, 돌출된 고정구(31)에 의해서 천공관(20)이 하우징(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천공관(20)이 하우징(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천공관(20)이 회전할 때 고정구(31)와 하우징(10) 벽면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홀(12)의 내측과 외측에는 와셔(washer)와 같이 도넛 형태로 된 금속재의 플레이트(32)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을 합성수지재로 제조하더라도 금속재의 고정구(31)가 직접 하우징(10) 벽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하우징(10) 벽면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30)의 내측 단부, 즉 천공관(20)으로 삽입된 부분의 단부는 상기 배출구(23) 측으로 경사진 경사단부(33)가 형성되는데, 이에 관한 작용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푸쉬바(40)는, 상기 천공관(20)의 블레이드(22) 단부를 통해 내측 공간(21)으로 삽탈 가능하게 된 봉 형태의 것으로, 상기 푸쉬바(40)의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0) 일측에는 손으로 상기 샤프트(30)를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브(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노브(34)를 잡고 샤프트(30)를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상기 천공관(20)이 회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초 시료 채취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이 도면에 관한 작용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 구체화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건초 더미(60) 내부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하우징(10)의 하단 개방부에 채집주머니(5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천공관(20)의 블레이드(22)를 건초 더미(60) 표면에 대고 밀면서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채집주머니(50)는 예를 들어 비닐봉투와 같은 것으로, 그 상단 테두리가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하며, 내부에는 시료를 채집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채집주머니(50)가 하우징(10)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 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3)를 형성하여, 상기 채집주머니(5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이 상기 플랜지(13)의 상단에 걸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상기 샤프트(30)의 회전 방식은, 도 1과 같이 샤프트(30)가 축 형태로 된 경우 드릴(미도시)과 같은 전동 공구를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노브(34)가 구비된 경우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천공관(20)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 블레이드(22)가 건초 더미(60)를 절단하면서 파고들기 때문에 천공관(20)이 건초 더미(60) 내부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건초 더미(60)에서 천공관(20)을 빼내면, 내측 공간(21)에는 천공관(20) 삽입시 유입된 시료(61)가 잔존하는데, 이때의 시료(61)는 건초들이 서로 엉켜서 단단하게 결집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관(20)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푸쉬바(40)를 브레이드(22) 측의 단부를 통해 공간(21)으로 삽입하면 푸시바(40)에 의해 시료(61)가 밀리면서 배출구(23)(도 2 참조)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는 시료(61)는 상기 채집주머니(50) 내부 공간으로 채집됨으로써 그 품질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도 2와 같이 샤프트(30)의 내측 단부에 경사단부(33)가 형성된 경우, 천공관(20) 내부 공간(21)의 시료(61) 전부가 배출구(23)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일부 배출되지 않은 잔여물과 다른 건초 더미의 시료가 혼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하우징 11... 공간 12... 홀
13... 플랜지 20... 천공관 21... 공간
22... 블레이드 23... 배출구 30... 샤프트
31... 고정구 32... 플레이트 33... 경사단부
34... 노브 40... 푸쉬바 41... 손잡이
50... 채집주머니 60... 더미 61... 시료

Claims (7)

  1.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되며 마주보는 양측 벽에 홀(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각 홀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내부에 공간(21)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원통형으로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22)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벽의 일부분은 상기 각 공간(11)(21)을 상호 연통하게 하는 구멍 형태의 배출구(23)가 형성된 천공관(20)과; 상기 천공관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 샤프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관(20)의 블레이드 측을 통해 공간(21)으로 삽탈 가능하게 된 푸쉬바(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의 일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 테두리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시료를 채집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채집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일측에 노브(34)가 구비되어 상기 천공관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관의 타측 단부를 통해 상기 공간(21)으로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되, 상기 샤프트의 내측 단부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시료를 배출하도록 경사진 경사단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초 시료 채취기.
KR1020130032324A 2013-03-26 2013-03-26 건초 시료 채취기 KR20140117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324A KR20140117194A (ko) 2013-03-26 2013-03-26 건초 시료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324A KR20140117194A (ko) 2013-03-26 2013-03-26 건초 시료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94A true KR20140117194A (ko) 2014-10-07

Family

ID=5199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324A KR20140117194A (ko) 2013-03-26 2013-03-26 건초 시료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71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4222A (zh) * 2021-02-04 2021-06-08 徐成辰 一种农田农药成分检测用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KR20230143769A (ko) 2022-04-06 2023-10-13 (주)애니텍 시료 채취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4222A (zh) * 2021-02-04 2021-06-08 徐成辰 一种农田农药成分检测用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CN112924222B (zh) * 2021-02-04 2022-04-12 徐成辰 一种农田农药成分检测用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KR20230143769A (ko) 2022-04-06 2023-10-13 (주)애니텍 시료 채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0186C2 (ru) Биопсийный пробоотборник и коллектор образца
JP5452286B2 (ja) 土壌採取器
WO2010070130A3 (fr) Dispositif de prelevement de tissu d'un animal et moyens de stockage correspondants
JP4448984B2 (ja) 畜産飼料用ドリル式コアサンプラー
US20070016101A1 (en) Core Biopsy Device
JP2005315897A (ja) 土壌採取器及び土壌採取方法
JP2016524714A (ja) 組織試料採取における改良および組織試料採取に関連する改良
FR2917574B1 (fr) Boucle auriculaire de marquage avec dispositif de prelevement de tissus
KR20140117194A (ko) 건초 시료 채취기
CN208091749U (zh) 一种土壤分段取样器
CN207396085U (zh) 一种机械式农业土壤采集装置
KR101736371B1 (ko)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곡물시료채취기
CN207231818U (zh) 钻孔取土装置
KR101062033B1 (ko) 조사료 곤포사일리지용 시료채취기 및 채취공이
CN210322376U (zh) 一种肉类快检取样器
RU2306543C1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
KR101667527B1 (ko) 시료 채취기
JP2005330732A (ja) 試料土の採取器
JP2016017788A (ja) 採便容器
CN204085928U (zh) 一种定量堆肥采样器
CN103431878A (zh) 一种动物组织取样器
CN107664585A (zh) 一种机械式农业土壤采集装置
CN213044240U (zh) 一种新鲜玉米脱粒割刀
CN214149905U (zh) 一种松材线虫病监测采样工具
CN206281674U (zh) 一种螺旋分体式土壤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