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03B1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903B1
KR101735903B1 KR1020147035674A KR20147035674A KR101735903B1 KR 101735903 B1 KR101735903 B1 KR 101735903B1 KR 1020147035674 A KR1020147035674 A KR 1020147035674A KR 20147035674 A KR20147035674 A KR 20147035674A KR 101735903 B1 KR101735903 B1 KR 10173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ler
mounted controller
data
opera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309A (ko
Inventor
토마스 뢰벨
랄프 발렌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1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특히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는 원격 처리를 위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및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에 의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 VEHICLE MOUNTABLE CONTROLLER AND A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MOUNTABLE CONTROLLER IN A COMPUTER NETWORK}
본 발명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작동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차량을 구동하는 엔진 또는 차량을 감속시키는 브레이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컨트롤러는 차내 내비게이션 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및 차량의 다른 중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 스토리지 또는 메모리와 같은 이러한 컨트롤러의 리소스는 통상적으로, 최악의 시나리오에서의 처리 속도, 클럭 속도 또는 스토리지나 메모리 크기 및 액세스 속도와 관련하여 치수형성된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최대의 처리 속도 및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를 요구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잠김 방지 제동(anti lock braking) 시스템을 사용하는 비상 제동 상황에서는 잠김 방지 제동 컨트롤러의 최대 리소스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신규 루트를 연산할 때, 차량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컨트롤러는 최대 처리 및 스토리지 접근 시간 또는 최대 메모리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정상 작동 시에, 예를 들어 신규 루트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크루즈 주행할 때, 컨트롤러의 이용 가능한 리소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차량내 내비게이션 컨트롤러 또는 브레이크 컨트롤러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차량 제어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 동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링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특히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시키는 것이며, 여기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는 원격 처리를 위해서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및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에 의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된다.
이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이 적절한 작동 모드에 있을 때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컨트롤러 리소스가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와 공유되도록 보장한다.
유리하게, 원격 처리를 위한 데이터는 특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의해 수신되며, 원격 처리의 결과는 특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의해 송신된다. 이런 식으로 원격 처리를 위한 데이터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사이에서 전송된다.
유리하게, 차량 셧다운 요구가 검출되면, 원격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의 전송을 요구할지 또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처리 종료를 요구할지가 판정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차량의 점화 로크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셧다운 요구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컴퓨터 네트워크를 위해 데이터를 여전히 원격으로 처리하는 동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직접적인 셧다운을 초래하지 않도록 보장해준다.
유리하게, 차량 셧다운 요구가 검출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원격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의 전송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이미 처리된 데이터가 스냅샷 내에 있을 때 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유리하게, 차량 셧다운 요구가 검출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원격 처리될 데이터의 처리를 끝낼 것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처리가 끝난 후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가 송신된다. 이것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추가 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한다.
유리하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리소스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데이터는 특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며, 선택된 데이터는 선택의 결과에 따라서, 특히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원격 처리를 위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송신된다. 이런 식으로, 원격 처리에 적절한 데이터가 선택되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송신된다.
유리하게, 테스트의 결과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전력 공급이 스위칭 온될 때 또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이 테스트가 수행될 때 특히 케이블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에 연결될 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적절한 작동 모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유리하게, 작동 모드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이 테스트가 수행될 때 특히 케이블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에 연결되는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된다. 이로 인해 작동 모드를 쉽게 판정할 수 있다.
유리하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1 메시지 또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2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런 식으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는 컴퓨터 네트워크로부터 원격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며,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 가능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며, 상기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는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고,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특히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고,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며,
-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판정하고,
- 특히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서, 특히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원격 처리를 위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송신하도록
작동 가능한 컨트롤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발전은 종속항 및 하기 설명으로부터 추측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 1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제 2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네트워크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 서버(110)를 포함한다. 중앙 서버(110)는 데이터 링크를 거쳐서 데이터 베이스(115)에 연결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데이터 링크를 거쳐서 제 1 송수신기(130)에 연결된다. 중앙 서버(110)와 데이터 베이스(115) 또는 제 1 송수신기(130) 사이의 데이터 링크는 직접 데이터 링크일 수도 있고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다중 노드를 경유하는 링크일 수도 있다. 중앙 서버(110), 데이터 베이스(115) 및 제 1 송수신기(130)는 IMS로 주지되어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의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네트워크는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제 2 송수신기(125)를 거쳐서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포함한다.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은 예를 들어 제 2 송수신기(125)와 제 1 송수신기(130)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은 예를 들어 LTE로 주지되어 있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표준 또는 IEEE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연결이다.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차량에 장착된 컨트롤러가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엔진, 차량의 브레이크 또는 차량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어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차량은,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고 전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차이다. 이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사용 시에 전기차의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데이터의 원격 처리를 위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 가능하다. 이것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컴퓨터 네트워크의 임의의 다른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와 같이 데이터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라는 지령을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지령은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스토리지 내의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사전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원격 처리를 위한 데이터 및 지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특정 형태 또는 크기의 데이터만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의해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는 사전판정되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스토리지에, 예를 들면 리스트로 저장될 수 있다.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서 이용 가능한 프리(free)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의 아이들 시간 또는 크기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들 시간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 처리 시간 또는 사이클 시간이다. 이용 가능한 프리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의 아이들 시간 또는 크기 및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점화 로크(122)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점화 로크가 로크 위치에 있는지 언로크 위치에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차량의 점화 로크(122)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동일 차량의 임의의 기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차량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부분일 때, 이것은 동일 차량의 엔진 컨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판정하기 위해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차의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도 1에 도시하듯이 전기차가 특히 케이블(145)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140)에 플러그 연결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플러그(121)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케이블(145)이 플러그(121)에 플러그 연결되는지 또는 전력이 케이블(145)을 거쳐서 전달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플러그(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연결되는 전기차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서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121) 또는 플러그(121)에 대한 연결은 선택적이다.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전기차에 설치되도록 제작될 때만 플러그(12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점화 로크(122)의 상태("ON", "ACC", "LOCK")로서 판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는 충전 상태("ON", "OFF")로서 판정될 수 있다. 충전 상태는 예를 들어 케이블(145)이 전기차의 플러그(121)에 플러그 연결될 때 "ON"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을 때 "OFF"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전기 신호가 평가된다. 전기 신호를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가 동일 차량의 다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메시지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와 다른 컨트롤러 사이에서 CAN으로 주지되어 있는 컨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를 거쳐서 교환될 수 있다.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차량들 사이에서 교환하기 위한 방법도 주지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아이들 시간 또는 이용 가능한 프리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의 크기 및 점화 로크의 상태 또는 충전 상태는 데이터 링크를 거쳐서 중앙 서버(110)에 송신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로부터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작동 모드는 점화 로크(122)가 "ON" 또는 "ACC" 상태를 갖는 경우에 "ON"으로서 판정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작동 모드는 점화 로크(122)가 "OFF" 상태를 갖는 경우에 "OFF"로서 판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작동 모드는 충전 상태가 "ON"일 때 "ON"으로서 판정될 수 있으며 작동 모드는 그렇지 않을 때 "OFF"로서 판정될 수 있다. 플러그(121) 및 점화 로크(122)에 대한 정보 양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작동 모드는 충전 상태가 "ON"을 나타낼 때마다 점화 로크(122)의 상태에 관계없이 "ON"으로서 판정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를 예를 들어 아이들 시간 또는 이용 가능한 프리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의 크기에 따라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기 위한 지령을 송신할지 여부를 마찬가지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는 예를 들어 제 1 송수신기(130)를 거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판정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이용 가능한 리소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115)에 저장되고, 현재 사용되는 처리 시간,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가 정보로서 수신된다. 이 경우에 사용된 것과 이용 가능한 것 사이의 차이가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이용 가능한 프리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의 아이들 시간 또는 크기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중앙 서버(11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차량의 작동 모드,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테스트의 결과는 차량의 작동 모드가 "ON"일 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앙 서버(110)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작동 모드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작동 모드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이 이런 식으로 배터리 충전 케이블(145)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140)에 연결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는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소정 데이터로부터, 특히 데이터 베이스(115)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특히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 및 수신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원격 처리를 위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110)는 데이터 베이스(115)에서 이용 가능한 소정 데이터를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 및 차량의 아이들 시간 또는 작동 모드와 같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적합한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 또는 작동 모드에 매핑시키는 중앙 서버(110) 또는 데이터 베이스(115)에 저장된 표의 검색에 의해 소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이 정상 작동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아이들 시간이 거의 없이 신속히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서 원격 처리되도록 송신된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아이들 시간과 더 긴 존재 처리 시간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대부분은 차량이 케이블(145)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140)에 플러그 연결되는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차량의 작동 모드가 "OFF"이거나 이용 가능한 리소스가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데 필요한 것에 못미치는 경우에 데이터는 전혀 송신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차량의 작동 모드,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다른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의 결과는 차량의 작동 모드가 "ON"일 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이 다른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서 원격 처리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도록, 즉 상기 결과가 차량의 작동 모드가 "ON"임을 나타낼 때는 요구를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을 때는 요구를 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로부터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차의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연결되는 전기차의 작동 모드를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작동 모드는 점화 로크(122)가 "ON" 또는 "ACC" 상태를 갖는 경우에 "ON"으로서 판정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작동 모드는 점화 로크(122)가 "OFF" 상태를 갖는 경우에 "OFF"로서 판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작동 모드는 케이블(145)이 차량의 플러그(121)에 플러그 연결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ON"으로서 판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OFF"로서 판정될 수 있다. 플러그(121) 및 점화 로크(122)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작동 모드는 케이블(145)이 차량의 플러그(121)에 플러그 연결되는 것으로 판정될 때마다 점화 로크(122)의 상태에 관계없이 "ON"으로서 판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동 모드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에 추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중앙 서버(110)에 송신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중앙 서버(110)는 수신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입증하기 위해 작동 모드 정보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작동 모드는 중앙 서버(110)에서 판정되지 못할 수 있지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수신된 작동 모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1 메시지(200)를 전송하거나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2 메시지(211)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메시지와 기타 메시지는 도 2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의해 점화 로크(122)의 점화 "ON" 또는 "OFF"가 검출될 때 및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제 1 송수신기(130) 및 제 2 송수신기(125)를 거쳐서 중앙 서버(110)와의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립한 후에 시작된다.
중앙 서버(110)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양자는, 송수신기를 경유한 메시지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지령을 포함한다. 이들 지령은 예를 들어 각각의 서버 또는 컨트롤러의 스토리지에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실행가능한 코드로서 저장되며, 둘 사이에 데이터 링크를 설립하기 위한 지령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중앙 서버(110)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링크를 경유한 중앙 서버(110)에 대한 연결을 요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로부터 연결 요구를 수용하고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연결을 연결 요구에 수용되거나 중앙 서버(110)에 저장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수립하도록 구성된다.
시작 이후,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1 메시지(200)가 중앙 서버(110)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로 각각의 송수신기(125, 130)를 거쳐서 송신된다.
이후, 단계 201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는 점화 로크(122) 또는 플러그(121)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작동 모드를 판정한다.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전술한 점화 로크(122)의 상태("ON", "ACC", "LOCK") 또는 충전 상태("ON" 또는 "OFF")이다.
이후, 단계 202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한다. 또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테스트는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작동 모드가 "ON"인 경우에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작동 모드가 "OFF"인 경우에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될 수 없다.
이후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가 응답(203)으로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서 중앙 서버(110)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컴퓨터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는 전술한 아이들 처리 시간 또는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일 수 있다.
응답(203)이 수신되면, 중앙 서버(110)는 단계 204에서, 원격 처리를 위해 어떤 데이터를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사용할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할 데이터는 데이터의 이용 가능한 아이들 리소스 크기 및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소정 데이터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110)는 이용 가능한 아이들 리소스에 적합한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소정 데이터의 표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검색한다. 데이터가 선택되면 중앙 서버(110)는 요구(205)를 데이터 베이스(115)에 송신한다. 데이터 요구가 수신되면, 데이터 베이스(115)는 요구된 데이터를 응답(206)에서 리턴시킨다.
응답(206)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중앙 서버(110)는 메시지(207)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한다.
메시지(207)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단계 208에서 데이터를 원격으로 처리한다.
처리가 완료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메시지(209)에서 처리 결과를 중앙 서버(110)에 송신한다.
메시지(209)에서의 결과가 수신되면, 중앙 서버(110)는 스토리지(210)에 대한 요구에서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115)에 송신한다. 데이터 베이스(115)는 메시지(210)에서 저장 요구가 수신되면 결과를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209)에서의 결과가 수신되면 중앙 서버(11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2 메시지(211)를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한다.
이후 방법이 종료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추가 데이터가 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계속된다.
이상에서 상기 방법은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데 필요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와 함께 설명되었다. 상기 방법은 메시지(203)에서 작동 모드를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서 중앙 서버(110)로 송신하는 대신에 단계(202)를 실행하고 메시지(203)를 송신하는 순서를 바꾸어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중앙 서버(110)가 이들 단계를 수행하게 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특히 인터럽트 핸들링(interrupt handling)을 위한 상기 방법에 대한 추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터럽트 핸들링은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차량의 작동 모드에서의 상당한 변화를 판정할 때마다 시작된다. 예를 들어, 점화 로크(122)가 터닝되면 점화 로크 상태가 "ON" 또는 "ACC" 위치에서 "OFF" 위치로 변경되며, 이는 차량의 사용자가 차량을 셧다운시키려고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전기차의 경우에, 인터럽트 핸들링은 예를 들어 충전 상태가 "ON"에서 "OFF"로 변경될 때마다 시작되며, 이는 플러그(121)로부터 케이블(145)을 뽑아버림으로써 전기차가 배터리 충전 장치(14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나타낸다.
작동 모드를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판정할지 중앙 서버(110)가 판정할지에 따라서, 인터럽트 핸들링은 신규 작동 모드를 중앙 서버(110)에 전송함으로써 또는 작동 모드에 대한 신규 정보를 중앙 서버(110)에 전송함으로써 시작된다. 전자의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작동 모드에 대해 전술한 작동 모드에 대한 신규 정보로부터 신규 작동 모드를 판정하고, 그 작동 모드를 중앙 서버(110)에 송신한다. 후자의 경우에, 중앙 서버(110)는 전술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로부터 수신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신규 정보로부터 작동 모드를 판정한다.
상기 신규 작동 모드를 나타내거나 작동 모드에 대한 상기 신규 정보를 담고 있는 메시지(301)가 수신되면, 단계 302가 실행된다.
단계 302에서는, 작동 모드가 특히 "ON"에서 "OFF" 모드로, 즉 차량 셧다운 요구를 나타내는 모드로 변경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원격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을 전송하도록 요구할지 또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처리를 끝내도록 요구할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메시지(303)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303)는 예를 들어 스트링 "스냅샷" 또는 "최종 결과"와 같은 지령을 담고 있다.
결과를 담고 있는 메시지(303)가 수신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데이터를 원격으로 처리하거나, 메시지(303)에서 요구가 수신될 때까지 원격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을 판정한다. 양자의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이거나 또는 메시지(304)에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처리를 끝낸 후의 처리 결과인 요구된 데이터를 중앙 서버(110)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예를 들어 스트링 "스냅샷" 또는 "최종 결과"와 같은 지령을 담고 있는 메시지(303)를 해석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처리가 끝나거나 셧다운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셧다운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전력을 유지하고 중앙 서버(110)로의 성공적인 데이터 전송의 확인이 수신된 후에만 스위치 오프시키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 캐패시터 또는 차량 배터리에 대한 직접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304)에서 스냅샷 또는 결과가 수신되면, 중앙 서버(110)는 스토리지 요구(305)에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115)에 송신한다. 이는 인터럽트가 데이터 손실을 초래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또한, 중앙 서버(110)는 메시지(304)에서 결과 또는 스냅샷이 수신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제 2 메시지(211)를 송신한다. 이는 인터럽트의 검출 시에 데이터가 보존되기 전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셧다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비활성화시키기 전에 제 2 메시지를 기다리고 셧다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일부가 컴퓨터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서 분포된다. 특히, 제 1 실시예의 중앙 서버(110)의 기능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들을 연결하고 데이터 처리를 위해 개별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상의 아이들 상태인 리소스를 공유하는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데이터 베이스(115)는 하나 이상의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상에 마찬가지로 배치되는 분산 데이터 베이스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의 중앙 서버(110)뿐 아니라 데이터 베이스(115)는 각종 차량의 컴퓨터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서 분포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방법의 모든 단계는 하나의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서 중앙 서버(110)로 송신되지 않고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중 하나로부터 동일 컴퓨터 네트워크의 다른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로 송신된다. 제 2 실시예에서 개별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추적은 참여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정적 리스트(static list),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의 리스트를 거쳐서 이루어지거나,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의 분산 해쉬 표(hash table)에 트랙커(tracker) 등과 같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시스템을 거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중앙 서버(110) 또는 데이터 베이스(115)의 임무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지령 및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련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점화 로크(122) 또는 플러그(121)의 모니터링은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컨트롤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차량의 다른 컨트롤러를 액세스 또는 모니터링함으로써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형태와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특정 크기 또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처리될 데이터와 함께 지령이 담겨있거나 데이터만 담겨있는 프로그램 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사전-설치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할 뿐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고 그 취지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임을 알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거론되는 모든 예는 주로 단지 교육적인 목적으로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기술 촉진을 위해 본 발명자(들)에 의해 구성되는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명확히 의도되며, 이러한 구체적으로 거론되는 예와 조건에 제한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원리, 양태 및 실시예뿐 아니라 그 특정 예를 거론하는 본 명세서의 모든 설명은 그 등가물을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서'로 명명된 임의의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각종 요소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서,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서, 또는 그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또는 '컨트롤러'라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묵시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비휘발성 스토리지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전통적 및/또는 관습적인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블록선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 회로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을 알 것이다.
당업자는 다양한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여기에서, 일부 실시예는 또한, 기계 또는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고 지령의 기계-실행 가능하거나 컴퓨터-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프로그램 저장 장치, 예를 들면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커버하도록 의도되며, 상기 지령은 상기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전술한 방법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특히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는 원격 처리를 위해서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201), 및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202)에 의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원격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특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207), 및
    - 원격 처리의 결과를 특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20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 작동 모드 변경(301), 특히 차량 셧다운 요구(301)가 검출되면, 원격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의 전송을 요구할지 또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처리를 끝낼지를 판정하는(302)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 작동 모드 변경(301), 특히 차량 셧다운 요구(301)가 검출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원격 처리된 데이터의 스냅샷의 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 작동 모드 변경(301), 특히 차량 셧다운 요구(301)가 검출되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셧다운시키기 전에 원격 처리될 데이터의 처리를 끝낼 것을 요구하는 단계(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를 특히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특히 데이터 베이스(115)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선택하고(204, 205, 206) 선택된 데이터를 선택의 결과에 따라서, 특히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원격 처리를 위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하는(20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스트의 결과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스위칭 온될 때 또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이 테스트가 수행될 때 특히 케이블(145)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140)에 연결될 때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작동 모드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이 테스트가 수행될 때 특히 케이블(145)을 거쳐서 배터리 충전 장치(140)에 연결되는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되는(20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1 메시지(200)를 전송하거나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2 메시지(211)를 전송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작동 방법.
  12.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며,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 가능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는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고,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13.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 특히 차량에 장착되고 사용 시에 차량 작동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관리하기 위한 장치(120, 110)에 있어서,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고,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특히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며,
    -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판정하고,
    - 특히 데이터 베이스(115)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서, 특히 데이터의 크기 또는 형태와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원격 처리를 위해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에 송신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관리 장치.
  14. 삭제
  15.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120)를 컴퓨터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로서 작동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의 아이들 컨트롤러 리소스를 원격 처리를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차량의 작동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및
    -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네트워크 요소로서 사용할지 여부를, 테스트가 수행될 때의 차량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47035674A 2012-06-21 2013-05-15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3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706.9A EP2677720B1 (en) 2012-06-21 2012-06-21 A method, a vehicle mountable controller and a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mountable controller in a computer network
EP12305706.9 2012-06-21
PCT/EP2013/060058 WO2013189667A1 (en) 2012-06-21 2013-05-15 A method, a vehicle mountable controller and a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mountable controller in a compute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309A KR20150012309A (ko) 2015-02-03
KR101735903B1 true KR101735903B1 (ko) 2017-05-15

Family

ID=4848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674A KR101735903B1 (ko) 2012-06-21 2013-05-15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23081B2 (ko)
EP (1) EP2677720B1 (ko)
JP (1) JP6165243B2 (ko)
KR (1) KR101735903B1 (ko)
CN (1) CN104396218B (ko)
WO (1) WO2013189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2724B1 (en) * 2015-04-30 2017-03-14 Horizon Hobby, LLC Chassis for a remotely controlled vehicle
DE102017008956A1 (de) 2017-09-25 2018-03-01 Daimler Ag Verfahren zur Nutzung einer Rechnereinheit
SE1830044A1 (en) * 2018-02-08 2019-08-09 Charles Ramberg Distributed Computing Using Self-Driving Vehicles
US11197136B2 (en) 2018-09-26 2021-12-07 Micron Technology, Inc. Accessing a memory resource at one or more physically remote entities
DE102020201279A1 (de) * 2019-02-20 2020-08-20 Zf Friedrichshafen Ag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m maschinellen Lernen einer Auslastung von Rechenressourcen und/oder Speicherressourcen eines Rechensystems für automatisierte Fahrfunktionen, Steuergerät für ein automatisiert betreibbares Fahrzeug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mobilen Verarbeitung von Nutzerdaten
EP3816799A1 (en) * 2019-10-29 2021-05-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ircuit, charging circuit, apparatus for a server, and circuit for a device for sharing processing resources of a vehicle,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DE102020126282A1 (de) 2020-10-07 2022-04-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 zur Ausführung von Rechenaufgaben in einem Fahrzeug
DE102022212889A1 (de) 2022-11-30 2024-06-06 Zf Friedrichshafen Ag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Rechenleistung einer Recheneinheit eines Fahrzeugs, Steuereinheit und Fahrzeug
US11924579B1 (en) * 2023-09-26 2024-03-05 N.S. International, Ltd. FPD-link IV video generato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273A (ja) * 2005-09-26 2007-04-05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分散処理システム及び車載端末
JP2007139478A (ja) * 2005-11-16 2007-06-07 Fujitsu Ten Ltd 車両診断装置及び車両診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3457B1 (en) * 1999-08-26 2002-10-08 Parabon Comput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utilization of networked idle computational processing power
US8706348B2 (en) * 2004-12-13 2014-04-22 Geotab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periodic nonrandom triggers for vehicular telematics data queries
US20060184296A1 (en) * 2005-02-17 2006-08-17 Hunter Engineering Company Machine vision vehicle wheel alignment systems
US20070094491A1 (en) * 2005-08-03 2007-04-26 Teo Lawrence C S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learning network environments to achieve adaptive security
US20070185624A1 (en) * 2006-02-07 2007-08-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remote reprogramming of vehicle flash memo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273A (ja) * 2005-09-26 2007-04-05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分散処理システム及び車載端末
JP2007139478A (ja) * 2005-11-16 2007-06-07 Fujitsu Ten Ltd 車両診断装置及び車両診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309A (ko) 2015-02-03
JP6165243B2 (ja) 2017-07-19
CN104396218A (zh) 2015-03-04
CN104396218B (zh) 2017-12-26
WO2013189667A1 (en) 2013-12-27
US9723081B2 (en) 2017-08-01
EP2677720B1 (en) 2015-12-30
US20150112507A1 (en) 2015-04-23
EP2677720A1 (en) 2013-12-25
JP2015526792A (ja)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903B1 (ko)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 차량 장착형 컨트롤러를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36484B2 (en) Software update management
US10601606B2 (en) Communications on vehicle data buses
US10142420B2 (en) On-board web server telematics systems and methods
US10850685B2 (en) Onboard re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re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140116B2 (en) In-vehicle auxiliary memory storage
WO2018096755A1 (ja) 並行処理装置及び並行処理プログラム
US10850703B2 (en) Control de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20075695A5 (ko)
JP6962258B2 (ja) 制御装置、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20508595A (ja) データソースの動作状態に基づくテレメトリデータの処理
JP6418217B2 (ja) 通信システムで実行される情報集約方法
US9299198B2 (en) Fleet vehicle aftermarket equipment monitoring
US20190173952A1 (en) In-vehicle re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xecutable by re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vehicle, and external device
JP2017178127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EP4346187A1 (en) Ota upgrade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4246844A1 (en) Data packe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4017588A (ja) 情報処理装置
JP2020086522A (ja) 車載システム
US11089636B2 (en) Vehicle-based wireless hotspot management
JP2020188407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移動体制御システム
WO2024105946A1 (ja) 車両データ収集装置及び車両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2022138692A (ja) 情報処理装置
CN118101700A (zh) 分布式充电桩的通信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331612A (zh) 发现远程资源提供者以卸载计算过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