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70B1 -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70B1
KR101735370B1 KR1020150155921A KR20150155921A KR101735370B1 KR 101735370 B1 KR101735370 B1 KR 101735370B1 KR 1020150155921 A KR1020150155921 A KR 1020150155921A KR 20150155921 A KR20150155921 A KR 20150155921A KR 101735370 B1 KR101735370 B1 KR 10173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isolation
pattern
isolation membe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원모
김영태
황이슬
김남일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5015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370B1/en
Priority to CN201610037240.8A priority patent/CN10668456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02J7/025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ntenna module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The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a first antenna, an isolation member, and a second antenna are stacked,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module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기술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antenna technology.

최근, 모바일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 NF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결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안테나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각 안테나들 간의 간섭 문제로 인해 안테나들의 방사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기존에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각 안테나들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안테나들 간의 간섭 문제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모바일 단말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In recent years, mobile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WiFi, and payment functions in addition to a simple call function. In order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 mobile terminal, a plurality of antennas must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s are degrad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s. Conventionall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the antennas by spacing the antenna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mobile terminal, but the mobile terminal becomes bulky.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7970호(2012.10.25)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17970 (Oct. 25, 20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5197호(2013.02.1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5197 (Feb. 23, 20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안테나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occupied by a plurality of antennas in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안테나 간에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module capable of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modul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제1 안테나, 격리 부재, 및 제2 안테나가 적층된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여주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게 마련된다.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an antenna module includ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first antenna, an isolation member, and a second antenna are stacked,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reduced, and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상기 제1 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일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may be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a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antenna.

상기 안테나 모듈은, 일면이 상기 적층 구조물과 대면하여 상기 적층 구조물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having one side of the laminated structure facing the laminated structure and being stacked on the laminated structure.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전자파 차폐재의 타면 측에 적층되는 제3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ntenn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ntenna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상기 제3 안테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The third antenna may be a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상기 격리 부재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격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comprises: a base member; And an isola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격리 패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 패턴;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격리 패턴 및 상기 제1 접속 패턴과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isolation patter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isolation pattern a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격리 패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 및 상기 제2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The antenna module may change at least one of a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nd a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solation pattern.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The isolation member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격리 부재; 상기 격리 부재의 일면 상부에 적층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격리 부재의 타면 하부에 적층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여준다.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n isolation member; A first antenna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isolation member; And a second antenna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solation member,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reduces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제1 안테나, 격리 부재, 및 제2 안테나가 적층된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로서,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여주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게 마련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a mobile terminal to which an antenna module includ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first antenna, an isolation member, and a second antenna are stacked is mounted,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ncludes a first antenna, 2 antennas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wearable device worn by a user.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결제 수단용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결제 수단용 안테나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 상기 제1 결제 수단용 안테나 및 상기 제2 결제 수단용 안테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ntenna is an antenna for a first payment means and the second antenna is an antenna for a second payment means and the antenna for the first payment means and the second payment means for the second payment means Any one of the antennas may be selectively used.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일면이 상기 적층 구조물과 대면하여 상기 적층 구조물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having one side thereof stacked on the stacked structure facing the stacked structure.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전자파 차폐재의 타면 측에 적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제3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ntenna stack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안테나, 격리 부재, 및 제1 안테나의 순서로 적층시킴으로써,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면서 안테나 모듈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는 무선 통신 기기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cking the second antenna, the isolation member, and the first antenna in this order, the volume of the antenna module can be reduced while reduc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s a result, the siz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n which the antenna module is mounted can be reduced.

또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가 전자파 차폐재의 일측 상부에서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는 바, 전자파 차폐재를 하나만 사용하고도 전자파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안테나 모듈의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stacked on one 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only one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is us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antenna module, Can be sav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100)은 제1 안테나(102), 제2 안테나(104), 격리 부재(106), 및 전자파 차폐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테나 모듈(100)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 모듈(100)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이외의 다양한 전자 기기 내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antenna module 100 may include a first antenna 102, a second antenna 104, an isolation member 106,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00 may be mounted within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ntenna module 100 may be mount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and various other electronic devices.

제1 안테나(102)는 제1 베이스 부재(102a) 및 제1 안테나 패턴(10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102a)는 제1 안테나 패턴(102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베이스 부재(102a)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절연 부재일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102b)은 제1 베이스 부재(102a)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102b)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102b)은 루프(Loop) 또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antenna 102 may include a first base member 102a and a first antenna pattern 102b. The first base member 102a serves to support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The first base member 102a may be an insula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member 102a.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may be formed in a loop shape or a spir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안테나(102)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102)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102)는 13.56 MHz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테나(102)는 안테나 모듈(100)이 장착된 웨어러블 기기(미도시)가 결제 단말기(Point of Sales : POS)에 근접하는 경우, NFC 통신을 통해 결제 정보를 결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102)는 NFC 통신을 통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an antenna for a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For example,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the 13.56 MHz band. The first antenna 102 can transmit the payment information to the payment terminal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equipped with the antenna module 100 approaches the point of sale (POS). That is, the first antenna 102 can be used as a payment means through NFC communication.

한편, 제1 안테나(102)는 NFC 통신을 통한 결제 수단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NFC 통신을 통해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인접 기기간 페어링 기능 또는 태그-리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에서 NFC 통신을 온(ON) 시켜 놓은 경우, 제1 안테나(102)에서는 주기적으로(또는 상시적으로)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ntenna 102 is not only used as a payment means through NFC communication, bu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e.g., a pairing function between neighboring devices or a tag-reader function, etc.) through NFC communication have. When NFC communication is turned on in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the first antenna 102 may periodically (or regularly) emit radiation.

제2 안테나(104)는 제2 베이스 부재(104a) 및 제2 안테나 패턴(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104a)는 제2 안테나 패턴(104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베이스 부재(104a)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절연 부재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104b)은 제2 베이스 부재(104a)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104b)은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104b)은 루프(Loop) 또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antenna 104 may include a second base member 104a and a second antenna pattern 104b. The second base member 104a serves to support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The second base member 104a may be an insula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member 104a.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in a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frequency band.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may be formed in a loop shape or a spir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안테나(104)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안테나(104)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일 수 있다. 이때, 제2 안테나(104)는 100 KHz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테나(104)는 안테나 모듈(100)이 장착된 웨어러블 기기(미도시)가 결제 단말기(Point of Sales : POS)에 근접하는 경우, MST 통신을 통해 결제 정보를 결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 안테나(104)는 MST 통신을 통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104)는 제1 안테나(102)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an antenna for the seco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a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antenna. At this time,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the 100 KHz band. The second antenna 104 can transmit the payment information to the payment terminal through the MST communica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equipped with the antenna module 100 is close to the point of sale (POS). That is, the second antenna 104 can be used as a payment means through MST communication. The second antenna 104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antenna 102.

상기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에서 제1 안테나(102)를 통한 NFC 결제 방식과 제2 안테나(104)를 통한 MST 결제 방식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웨어러블 기기(미도시)는 NFC 결제 방식과 MST 결제 방식을 모두 제공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NFC 결제 방식과 MST 결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제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다. An NFC payment method through the first antenna 102 and an MST payment method through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selectively used in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That is,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provides both the NFC settlement method and the MST settlement method, and can settle the payment using any one of the NFC settlement type and the MST settlement typ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격리 부재(106)는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격리 부재(106)의 상부에 제1 안테나(102)가 위치하고, 격리 부재(106)의 하부에 제2 안테나(104)가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격리 부재(106)의 일면(즉, 상면)은 제1 안테나(102)의 하면에 접촉되고, 격리 부재(106)의 타면(즉, 하면)은 제2 안테나(104)의 상면에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안테나(104), 격리 부재(106), 및 제1 안테나(102)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리 부재(106)의 상부에 제2 안테나(104)가 위치하고, 격리 부재(106)의 하부에 제1 안테나(102)가 위치할 수도 있다.The isolation member 10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positioned above the isolation member 106 and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located below the isolation member 106. One surface (i.e., top surface) of the isolation member 106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other surface (i.e., bottom surface) of the isolation member 106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104.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econd antenna 104, the isolation member 106, and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stacked in this ord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disposed on the isolation member 106, and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solation member 106.

격리 부재(106)는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사이에서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의 방사 특성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격리 부재(106)는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102)가 결제 기능 이외의 NFC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제2 안테나(104)를 통한 MST 결제가 이루어지더라도, 격리 부재(106)로 인해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상호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각각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isolation member 106 serves to separat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That is, the isolation member 106 serv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For example, even if the MST settlement is made through the second antenna 104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tenna 102 performs NFC communication other than the settlement function, the isolation member 106 causes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are minimized, so that the respective functions can be normally performed.

격리 부재(106)는 제3 베이스 부재(106a) 및 격리 패턴(10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부재(106a)는 격리 패턴(106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 베이스 부재(106a)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절연 부재일 수 있다. 격리 패턴(106b)은 제3 베이스 부재(106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격리 패턴(106b)은 제3 베이스 부재(106a)의 일면에서 소정 면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격리 패턴(106b)은 전도성 재질(예를 들어, 금속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solation member 106 may include a third base member 106a and an isolation pattern 106b. The third base member 106a serves to support the isolation pattern 106b. The third base member 106a may be an insula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solation pattern 106b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base member 106a. The isolation pattern 106b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one surface of the third base member 106a. The isolation pattern 106b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e.g., metal or the like).

격리 부재(106)는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간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격리 부재(106)에서 격리 패턴(106b)의 면적이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의 안테나 패턴(102b, 104b)을 최대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격리 패턴(106b)의 형상에 따라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의 방사 빔 패턴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격리 패턴(106b)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제1 안테나(102)의 방사 빔 패턴 방향과 제2 안테나(104)의 방사 빔 패턴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간의 간섭을 더욱 줄일 수도 있다. The isolation member 106 may be siz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to minimiz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 have. That is, the area of the isolation pattern 106b in the isolation member 106 may be designed to cover the antenna patterns 102b and 104b of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as much as possible. Here, the radiation beam pattern directions of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solation pattern 106b. The shape of the isolation pattern 106b is chang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direction of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10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antenna 104 may be further reduced.

또한, 격리 부재(106)에는 접속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 패턴(110)은 제3 베이스 부재(106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패턴(110)은 격리 패턴(106b)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패턴(110)은 제1 접속 패턴(110-1) 및 제2 접속 패턴(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패턴(110-1) 및 제2 접속 패턴(110-2)은 격리 패턴(106b)과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ttern 110 may be formed on the isolation member 106. The connection pattern 11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base member 106a.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ttern 110 may b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isolation pattern 106b,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pattern 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solation pattern 106b.

제1 접속 패턴(110-1)은 제1 안테나 패턴(10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패턴(110-1)과 제1 안테나 패턴(102b)은 제1 베이스 부재(102a)를 관통하는 제1 비아홀(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패턴(110-1)은 웨어러블 기기(미도시) 내의 메인 보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 패턴(110-1)의 일단부는 제1 안테나 패턴(10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접속 패턴(110-1)의 타단부는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and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first via hole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first base member 102a.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in board or the like in a wearable device (not shown).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pattern 102b,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of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2 접속 패턴(110-2)은 제1 접속 패턴(110-1)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 패턴(110-2)은 제2 안테나 패턴(10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패턴(110-2)과 제2 안테나 패턴(104b)은 제3 베이스 부재(106a)를 관통하는 제2 비아홀(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 패턴(110-2)은 웨어러블 기기(미도시) 내의 메인 보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접속 패턴(110-2)의 일단부는 제2 안테나 패턴(10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접속 패턴(110-2)의 타단부는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1.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and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econd via hole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third base member 106a. Also,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in board or the like in a wearable device (not shown).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pattern 104b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1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of the wearable devic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이, 격리 부재(106)는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사이에서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간의 간섭을 줄이는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를 웨어러블 기기(미도시) 내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도 하게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접속 부재가 없어도 되므로 웨어러블 기기(미도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isolation member 106 not only serves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to the main board in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wearable device (not shown) can be increased.

전자파 차폐재(108)는 제2 안테나(104)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재(108)는 제2 안테나(104)의 하면에 접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모듈(100)은 전자파 차폐재(108), 제2 안테나(104), 격리 부재(106), 및 제1 안테나(102)의 순서로 적층된 일종의 적층 구조물이 된다. 전자파 차폐재(108), 제2 안테나(104), 격리 부재(106), 및 제1 안테나(102)는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안테나 모듈(100)이 장착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antenna 104.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ntenna 104. In this case, the antenna module 100 becomes a kind of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the second antenna 104, the isolation member 106, and the first antenna 102 are stacked in this order.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108, the second antenna 104, the isolation member 106, and the first antenna 102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similar size, And the like.

전자파 차폐재(108)는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자파 차폐재(108)는 제2 안테나(10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재(108)는 페라이트 시트 또는 메탈 자성 박판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페라이트 시트는 페라이트 분말과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페라이트 분말로는 예를 들어, Mn-Zn 페라이트, Ni-Zn-Cu 페라이트, Mn-Mg 페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자성 박판 시트는 Fe계 자성 합금 또는 Co계 자성 합금의 리본 또는 스트립이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또는 다수의 크랙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Fe계 자성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Fe-Si-B 합금 또는 Fe-Si-B-Co 합금을 사용할 수 있고, Co계 자성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Co-Fe-Ni-Si-B 합금 또는 Co-Fe-Cr-Si-B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shield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may be provid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antenna 104.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may be a ferrite sheet or a metal magnetic thin plate sheet. For example, Mn-Zn ferrite, Ni-Zn-Cu ferrite, Mn-Mg ferri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ferrite powder. The ferrite powder is prepared by mixing a ferrite powder and a binder resin. The metal magnetic thin plate sheet may be one in which a ribbon or strip of a Fe-based magnetic alloy or a Co-based magnetic alloy is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or a plurality of cracks are formed). As the Fe-based magnetic alloy, for example, an Fe-Si-B alloy or an Fe-Si-B-Co alloy can be used. Or a Co-Fe-Cr-Si-B alloy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안테나(104), 격리 부재(106), 및 제1 안테나(102)의 순서로 적층시킴으로써, 제1 안테나(102)와 제2 안테나(104)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면서 안테나 모듈(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안테나 모듈(100)이 장착되는 무선 통신 기기를 소형화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is achieved by stacking the second antenna 104, the isolation member 106, and the first antenna 102 in this order The volume of the antenna module 100 can be reduced. Thu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n which the antenna module 100 is mounted can be downsized.

또한, 제1 안테나(102) 및 제2 안테나(104)가 전자파 차폐재(108)의 일측 상부에서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는 바, 전자파 차폐재를 하나만 사용하고도 전자파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안테나 모듈(100)의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Also, since the first antenna 102 and the second antenna 104 are stacked on one 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108,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only on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is us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while the volume of the antenna module 100 is reduced.

표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에서,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와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의 제1 안테나(102)(즉, NFC 안테나)의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Table 1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antenna 102 (i.e., the NFC antenna) when the isolation member 106 is absent and the isolation member 106 is present, in the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t is a table.



Card Mode(mm)
Card Mode (mm)
EMV(mm Volt)EMV (mm Volt)
타입 AType A 타입 BType B ACRACR OmmOmm 10mm10mm 20mm20mm 0mm0mm 10mm10mm 20mm20mm 격리부재 무Isolation member 3030 12.812.8 7.57.5 4.54.5 12.312.3 7.77.7 4.44.4 격리부재 유Isolation member oil 3333 14.014.0 9.19.1 5.85.8 13.813.8 8.48.4 5.65.6

표 1을 참조하면,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와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특성을 2가지 항목 즉, 카드 모드(Card Mode) 및 EMV(Europay Mastercard Visa)의 2가지 항목에 대해 측정하였다. Referring to Table 1,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 the case where the isolation member 106 is not provided and the case where the isolation member 106 is present are divided into two items: card mode and Europay Mastercard Visa (EMV) Were measured.

여기서, 카드 모드(Card Mode)는 제1 안테나(102)가 태그로서 작동하는 경우의 인식 거리(mm)를 측정한 것이다. 이때, 리더기로는 AC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카드 모드의 경우,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의 인식 거리는 30mm인데 반하여,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의 인식 거리는 33mm인 것을 볼 수 있다. Here, the card mode (Card Mode) measures the recognition distance (mm) when the first antenna 102 operates as a tag. At this time, ACR was used as a reader. In the case of the card mode, the recognition distance when the isolation member 106 is absent is 30 mm, whereas the recognition distance when the isolation member 106 is present is 33 mm.

EMV(Europay Mastercard Visa)는 EMV 규격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 지점(즉, 0mm), 기준 지점에서 10mm 이격된 거리, 및 기준 지점에서 20mm 이격된 거리에서 자기 세기(mmV)를 측정한 것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가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모든 거리에서 자기 세기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EMV (Europay Mastercard Visa) is intended to measure whether the EMV conforms to the EMV standard. It measures the magnetic strength (mmV) at a reference point (ie 0 mm), a distance of 10 mm from the reference point and a distance of 20 mm from the reference point Respectively. 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where the isolating member 106 is provided has a larger magnetic intensity at all distances than the case where the isolating member 106 is not provided.

표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에서,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와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의 제2 안테나(104)(즉, MST 안테나)의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Table 2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antenna 104 (i.e., the MST antenna) when the isolation member 106 is absent and the isolation member 106 is present, in the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t is a table.

구분
division
MST 테스트MST test
Z=0mmZ = 0 mm Z=10mmZ = 10 mm Z=20mmZ = 20 mm 테스트 포인트Test Point 77 4949 3030 격리 부재 무Isolation member 55 3232 1818 격리 부재 유Isolation member oil 66 3737 2222

표 2에서는, MST 리더 단말기와의 거리가 0mm인 7개의 테스트 포인트, MST 리더 단말기와의 거리가 10mm인 49개의 테스트 포인트, 및 MST 리더 단말기와의 거리가 20mm인 30개의 테스트 포인트에서,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와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의 인식되는 개수를 측정하였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리 부재(106)가 있는 경우가 격리 부재(106)가 없는 경우보다 더 많은 인식 개수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In Table 2, seven test points with a distance of 0 mm from the MST reader terminal, 49 test points with a distance of 10 mm from the MST reader terminal, and 30 test points with a distance of 20 mm from the MST reader terminal,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re is no separator 106 and the number of separator 106 is measured. As can be seen from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ce of the isolation member 106 results in a greater recognition number than if the isolation member 106 were not present.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200)은 제1 안테나(202), 제2 안테나(204), 격리 부재(206), 전자파 차폐재(208), 및 제3 안테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테나(202), 제2 안테나(204), 격리 부재(206), 및 전자파 차폐재(20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the antenna module 200 may include a first antenna 202, a second antenna 204, an isolation member 206,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208, and a third antenna 220 . Here, the first antenna 202, the second antenna 204, the isolation member 206,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208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and 2, .

제3 안테나(220)는 전자파 차폐재(208)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모듈(200)은 제3 안테나(220), 전자파 차폐재(208), 제2 안테나(204), 격리 부재, 및 제1 안테나(202)의 순서로 적층된 일종의 적층 구조물이 된다. 여기서, 제3 안테나(220)는 안테나 모듈(200)이 장착되는 무선 통신 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The third antenna 220 may be provided under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208. In this case, the antenna module 200 is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antenna 220,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208, the second antenna 204, the isolation member, and the first antenna 202 are stacked in this order. Here, the third antenna 220 may be an antenna for wirelessly charg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antenna module 200 is mounted.

제3 안테나(220)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자기 유도 방식(예를 들어,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의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방식이 WPC인 경우, 제3 안테나(220)는 100 ~ 205 kHz 대역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이 PMA인 경우, 제3 안테나(220)는 277 ~ 357 kHz 대역 또는 118 ~ 153 kHz 대역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제3 안테나(220)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예를 들어, 자기 공명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의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The third antenna 220 may be provided to satisfy a frequency band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for example,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or Power Matrix Alliance (PMA)) among the wireless charging methods.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WPC, the third antenna 2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100 to 205 kHz band. Whe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PMA, the third antenna 2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277 to 357 kHz band or the 118 to 153 kHz ba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antenna 220 may be provided to satisfy the frequency band of various wireless charging methods (e.g., magnetic resonance method, magnetic induction method, etc.).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200 : 안테나 모듈
102, 202 : 제1 안테나
104, 204 : 제2 안테나
106, 206 : 격리 부재
108, 208 : 전자파 차폐재
102a : 제1 베이스 부재
102b : 제1 안테나 패턴
104a : 제2 베이스 부재
104b : 제2 안테나 패턴
106a : 제3 베이스 부재
106b : 격리 패턴
110 : 접속 패턴
110-1 : 제1 접속 패턴
110-2 : 제2 접속 패턴
220 : 제3 안테나
100, 200: Antenna module
102, 202: first antenna
104, 204: second antenna
106, 206: isolation member
108, 208: EMI shielding material
102a: a first base member
102b: first antenna pattern
104a: second base member
104b: second antenna pattern
106a: a third base member
106b: isolation pattern
110: connection pattern
110-1: First connection pattern
110-2: second connection pattern
220: Third antenna

Claims (15)

제1 안테나, 격리 부재, 및 제2 안테나가 적층된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여주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며,
상기 격리 부재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형상을 갖는 격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 패턴의 형상은,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과 상기 제2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 모듈.
An antenna module compris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first antenna, an isolation member, and a second antenna are stacked,
The iso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ncludes a base member and an isola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the shape of the isolation pattern is such that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인,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tenna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Wherein the second antenna is a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antenn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일면이 상기 적층 구조물과 대면하여 상기 적층 구조물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enna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having one surface thereof laminated on the laminated structure facing the laminated structur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전자파 차폐재의 타면 측에 적층되는 제3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antenna module includes:
And a third antenna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안테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인, 안테나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hird antenna is a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격리 패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 패턴;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서 상기 격리 패턴 및 상기 제1 접속 패턴과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패턴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connec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isolation patter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isolation pattern a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respective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안테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siz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격리 부재;
상기 격리 부재의 일면 상부에 적층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격리 부재의 타면 하부에 적층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여주고,
상기 격리 부재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형상을 갖는 격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 패턴의 형상은,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과 상기 제2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 모듈.
Isolation member;
A first antenna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isolation member; And
And a second antenna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solation member,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reduces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ncludes a base member and an isola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the shape of the isolation pattern is such that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제1 안테나, 격리 부재, 및 제2 안테나가 적층된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이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로서,
상기 격리 부재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간의 간섭을 줄여주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며,
상기 격리 부재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형상을 갖는 격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 패턴의 형상은,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과 상기 제2 안테나의 방사 빔 패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모바일 단말기.
A mobile terminal to which an antenna module includ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first antenna, an isolation member, and a second antenna are stacked is mounted,
The iso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Wherein the isolation member includes a base member and an isolat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the shape of the isolation pattern is such that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radiation beam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인,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by a us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결제 수단용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결제 수단용 안테나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 상기 제1 결제 수단용 안테나 및 상기 제2 결제 수단용 안테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ntenna is an antenna for a first payment means,
The second antenna is an antenna for a second payment means,
Wherein one of the antenna for the first payment means and the antenna for the second payment means is selectively used at the time of payment using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일면이 상기 적층 구조물과 대면하여 상기 적층 구조물에 적층되는 전자파 차폐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laminated structure so as to face the laminated structur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전자파 차폐재의 타면 측에 적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제3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nd a third antenna stack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nd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150155921A 2015-11-06 2015-11-06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KR101735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21A KR101735370B1 (en) 2015-11-06 2015-11-06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CN201610037240.8A CN106684563B (en) 2015-11-06 2016-01-20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921A KR101735370B1 (en) 2015-11-06 2015-11-06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370B1 true KR101735370B1 (en) 2017-05-15

Family

ID=5873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921A KR101735370B1 (en) 2015-11-06 2015-11-06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5370B1 (en)
CN (1) CN106684563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457A (en) * 2017-07-10 2019-01-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Multilayer antenna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9124756A1 (en) * 2017-12-22 2019-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230105109A (en) * 2022-01-03 2023-07-11 한솔테크닉스(주) Antenna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3068B (en) * 2016-02-01 2018-09-21 上海英内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nti-interference type NFC antenn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382A (en) * 2005-08-25 2007-03-08 Toshiba Tec Corp Compound antenna
KR101554129B1 (en) 2015-01-23 2015-09-21 주식회사 아이엠텍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9624A (en) * 1995-11-15 1997-05-27 Hitachi Cable Ltd Antenna
JP4826195B2 (en) * 2005-09-30 2011-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RFID tag
CN102780070A (en) * 2011-05-09 2012-11-14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Multiple-frequency-band antenna devic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 system thereof
JP5660254B2 (en) * 2012-05-28 2015-0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203026638U (en) * 2012-12-20 2013-06-26 蒋石正 Wireless near-field communication antenna
CN103915681B (en) * 2013-01-02 2017-05-03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Antenn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0382A (en) * 2005-08-25 2007-03-08 Toshiba Tec Corp Compound antenna
KR101554129B1 (en) 2015-01-23 2015-09-21 주식회사 아이엠텍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457A (en) * 2017-07-10 2019-01-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Multilayer antenna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40096B1 (en) * 2017-07-10 2019-11-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Multilayer antenna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9124756A1 (en) * 2017-12-22 2019-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230105109A (en) * 2022-01-03 2023-07-11 한솔테크닉스(주) Antenna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2613445B1 (en) * 2022-01-03 2023-12-13 한솔테크닉스(주) Antenna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84563B (en) 2020-04-10
CN106684563A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8870B2 (en)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US9685995B2 (en) Thin chassi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integration
US10325708B2 (en) Spiral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coil
KR101865540B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portable auxili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735370B1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with the same
CN107851893B (en) Conducting plate used as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and terminal
KR101795546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2804499A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wireless device provided with same
CN106252874B (en) Combined antenna
US9819085B2 (en) NFC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same
KR101715901B1 (en) Antenna module
KR20160100786A (en)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2020013666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US9208427B2 (en) Contactless communication medium, antenna pattern arrangement mediu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50105513A (en) Metal card with antenna
US9905925B2 (en) NFC antenn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same
KR101725042B1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with the same
KR20140120671A (en) Sheet structure for NFC or wireless charging
KR101709477B1 (e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EP2621018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parallel nfc loop antenna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787021B1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539659B (en) Antenna structure with double coil
EP2688147A1 (en) Antenna device, communication modul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5305081A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205355246U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