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744B1 -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 - Google Patents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744B1
KR101734744B1 KR1020157029996A KR20157029996A KR101734744B1 KR 101734744 B1 KR101734744 B1 KR 101734744B1 KR 1020157029996 A KR1020157029996 A KR 1020157029996A KR 20157029996 A KR20157029996 A KR 20157029996A KR 101734744 B1 KR101734744 B1 KR 10173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zing
vegetation
walking
state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247A (ko
Inventor
도시미 모토시마
아키히토 가나모리
고우키 오카모토
다이지 야마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에서 방목되고 있는 가축(A)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취득한다.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식생 판정 장치(101)는, 판정한 판정 결과를, 사육자가 사용하는 휴대형의 통신 단말(103)에 송신한다.

Description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VEGETATION DETERMINATION PROGRAM, VEGETA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VEGETATION DETERM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를 사육하는 경우, 농후 사료 이외에, 생초, 사일리지, 건초, 볏짚 등의 섬유분이 많은 조사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조사료의 부여 방법으로서, 소를 방목지에서 방목하여, 조사료가 되는 풀을 소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소에는 풀의 기호가 있어, 방목지에 기호성이 낮은 풀이 증가하면, 소가 충분한 양의 풀을 먹을 수 없고,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육자는, 방목지에 맞춰 기호성이 높은 풀의 씨를 파종하여, 목초가 충분히 생육하도록 관리한다. 또한, 기후 상황이나 변동에 따라 식생이 변화하기 때문에, 사육자는, 정기적으로 방목지를 돌아보고 식생을 관찰한다. 또, 관련되는 선행 기술로는, 예컨대, 보행수에 의해 동물의 운동량을 관리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1-128210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육자가 방목지를 돌아보고 식생을 관찰하여,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를 판단하게 되어, 사육자의 작업 부하가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방목지에서 방목되고 있는 가축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한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하면,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생 판정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사육 지원 시스템(200)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식생 판정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통신 장치(203)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계측 결과 테이블(26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보행수 테이블(23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임계치 테이블(24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보정치 테이블(25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식생 판정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보행수 평균치 테이블(110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되는 정보의 화면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식생 판정 장치(101)의 취득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식생 판정 장치(101)의 식생 판정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발정 판정 처리의 구체적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식생 판정 방법의 일실시예)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생 판정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하는 컴퓨터이다. 여기서 방목지란, 가축을 풀어놓고 기르는 장소이다. 가축이란, 사육되는 소, 돼지, 말 등의 동물이다. 식생이란, 방목지에서 생육하고 있는 식물이다.
가축을 사육하는 경우, 농후 사료 이외에, 반추위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나 육질, 유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 조사료를 가축에 부여할 필요가 있다. 농후 사료란, 섬유나 물의 함량이 적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을 많이 포함하는 사료이고, 예컨대, 쌀겨,콩, 옥수수 등이다. 또한 조사료란, 섬유분이 많은 사료이고, 예컨대, 생초, 사일리지, 건초, 볏짚 등이다.
또한, 가축에는 풀의 기호가 있어, 방목지에 기호성이 낮은 풀이 증가하면, 가축이 충분한 양의 풀을 먹을 수 없고,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육자는, 가축의 기호성이 높은 풀의 씨를 방목지에 파종하고, 기후 상황이나 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방목지의 식생을 파악하면서, 기호성이 높은 풀이 충분히 생육하도록 관리한다.
그러나, 가축의 두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광대한 방목지가 필요해진다. 또한, 사육자가 관리하는 방목지가 복수 개소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육자가 기후 상황이나 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방목지의 식생을 판단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방목지를 돌아보고, 방목지의 식생을 관찰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에서 방목중인 가축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되는 보행수의 증가 경향으로부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육자가 방목지를 돌아보지 않고 식생의 상태를 판단 가능하게 한다. 이하, 식생 판정 장치(101)의 식생 판정 처리예에 관해 설명한다.
(1)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에서 방목되고 있는 가축(A)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취득한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 간격은, 예컨대, 시간 단위, 일 단위, 주 단위 등이다. 취득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는,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의 기억부(110)에 기억된다. 도 1의 예에서는,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계측된,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의 일 단위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가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다.
(2)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호성이 높은 풀이 많이 생육하고 있는 방목지에서는, 가축이 풀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축의 반추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반추란, 한번 삼킨 음식물을 입속으로 게워내어, 다시 씹어 삼키는 동작이다.
한편, 기호성이 높은 풀이 적거나, 혹은, 기호성이 높은 풀이 없어지면, 반추 시간이 짧아지고, 또한, 먹고 싶은 풀을 찾아 돌아다니기 때문에, 가축의 보행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즉,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측된 보행수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악화 경향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생 판정 장치(101)는, 예컨대, 기억부(110)를 참조하여, 일 단위의 보행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일 단위의 보행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3) 식생 판정 장치(101)는, 판정한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는, 판정한 판정 결과를 사육자가 사용하는 컴퓨터에 송신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사육자가 사용하는 휴대형의 통신 단말(103)에 판정 결과가 송신된 결과, 통신 단말(103)에 있어서,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알람 화면(120)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가축(A)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102)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육자가 방목지(H)에 일부러 가서 식생을 관찰하는 일 없이, 방목지(H)의 식생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사육자의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사육 지원 시스템(200)의 시스템 구성예)
다음으로,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육 지원 시스템(200)의 시스템 구성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축으로서, 육우, 젖소 등의 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가축의 기호성이 높은 풀을 「목초」라고 표기하며, 가축의 기호성이 낮은 풀을 「잡초」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사육 지원 시스템(200)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사육 지원 시스템(200)은, 식생 판정 장치(101)와, 클라이언트 장치(201)와, 중계 장치(202)를 포함한다. 사육 지원 시스템(200)에 있어서, 식생 판정 장치(101), 클라이언트 장치(201) 및 중계 장치(202)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210)를 통해 접속된다. 네트워크(210)는,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터넷 등이다.
여기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테이블(230), 임계치 테이블(240) 및 보정치 테이블(250)을 갖고, 방목지(H1∼Hm)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한다(m : 1 이상의 자연수). 방목지(H1∼Hm)는, 사육자가 관리하는 방목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이다. 또, 각종 테이블(230, 240, 250)의 기억 내용에 관해서는, 도 7∼도 9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방목지(H1∼Hm) 중의 임의의 방목지를 「방목지(Hj)」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j=1, 2, …, m). 또한, 방목지(Hj)에서 방목되는 복수의 소를 「소(A1∼An)」라고 표기하며(n : 1 이상의 자연수), 소(A1∼An) 중의 임의의 소를 「소(Ai)」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i=1, 2, …, n).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사육자가 사용하는 컴퓨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PC(Personal Compute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C, 노트 PC 등이다. 도 1에 도시한 통신 단말(103)은,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상당한다.
중계 장치(202)는, 통신 기능을 갖는 컴퓨터이다. 중계 장치(202)는, 예컨대, 각 방목지(Hj)에 설치된다. 중계 장치(202)는, 무선 네트워크(220)를 통해 통신 장치(203)와 접속되고, 통신 장치(203)와 식생 판정 장치(101)의 통신을 중계한다.
통신 장치(203)는, 계측 결과 테이블(260)을 갖고, 무선 네트워크(220)를 통해 중계 장치(202)와 무선 통신하는 컴퓨터이다. 또한, 통신 장치(203)는, 소(Ai)의 발목 등에 장착되고, 소(Ai)의 보행수를 계측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보행수 계측 수단(102)은, 예컨대, 통신 장치(203)에 상당한다.
또한, 통신 장치(203)는, 중계 장치(202)를 통해, 계측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식생 판정 장치(10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통신 장치(203)는, 계측 결과 테이블(260)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t)으로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식생 판정 장치(101)에 송신한다. 소정의 시간 간격(t)은, 예컨대, 1시간, 1일 등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을 「1시간」으로 한다. 또한, 통신 장치(203)는, 식생 판정 장치(101)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식생 판정 장치(101)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계측 결과 테이블(260)의 기억 내용에 관해서는,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통신 장치(203)는, 예컨대, 방목지(Hj)에서 방목되는 무리의 모든 소에 장착되어도 좋고, 또한, 무리로부터 선택된 소(예컨대, 보스소)에 장착되어도 좋다. 다만, 송아지는, 다 자란 소에 비해, 뛰어다녀서 보행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통신 장치(203)의 장착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식생 판정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3은, 식생 판정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식생 판정 장치(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와, 메모리(302)와, I/F(Interface)(303)와,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304)와, 자기 디스크(305)를 갖는다. 또한, 각 구성부는, 버스(300)에 의해 각각 접속된다.
여기서, CPU(301)는, 식생 판정 장치(101)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302)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ROM 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플래시 ROM이나 ROM이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RAM이 CPU(3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된다. 메모리(30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CPU(301)에 로드됨으로써, 코딩되어 있는 처리를 CPU(301)에 실행시킨다.
I/F(303)는,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21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210)를 통해 다른 컴퓨터(예컨대, 도 2에 도시한 클라이언트 장치(201), 중계 장치(202))에 접속된다. 그리고, I/F(303)는, 네트워크(210)와 내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다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I/F(303)에는, 예컨대, 모뎀이나 LAN 어댑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304)는, CPU(301)의 제어에 따라 자기 디스크(305)에 대한 데이터의 read/write를 제어한다. 자기 디스크(305)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304)의 제어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식생 판정 장치(101)는, 전술한 구성부 외에, 예컨대, SSD(Solid State Drive),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등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중계 장치(202)에 관해서도, 전술한 식생 판정 장치(10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예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4는,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CPU(401)와, 메모리(402)와,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403)와, 자기 디스크(404)와, I/F(405)와, 디스플레이(406)와, 키패트(407)를 갖는다. 또한, 각 구성부는, 버스(400)에 의해 각각 접속된다.
여기서, CPU(401)는,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402)는, 예컨대, ROM, RAM 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ROM이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RAM이 CPU(4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된다.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403)는, CPU(401)의 제어에 따라 자기 디스크(404)에 대한 데이터의 read/write를 제어한다. 자기 디스크(404)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403)의 제어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I/F(405)는,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21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210)를 통해 다른 컴퓨터(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에 접속된다. 그리고, I/F(405)는, 네트워크(210)와 내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다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6)는, 커서, 아이콘 혹은 툴박스를 비롯하여, 문서, 화상, 기능 정보 등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406)로서,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키패트(407)는, 문자, 숫자, 각종 지시 등의 입력을 위한 키를 구비하고,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키패트(407)는, 예컨대, 터치 패널식의 입력 패드나 텐키 등이어도 좋다.
(통신 장치(203)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5는, 통신 장치(203)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통신 장치(203)는, CPU(501)와, 메모리(502)와, I/F(503)와, 센서(504)와, 타이머(505)를 갖는다. 또한, 각 구성부는, 버스(500)에 의해 각각 접속된다.
여기서, CPU(501)는, 통신 장치(203)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502)는, ROM, RAM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ROM이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RAM이 CPU(5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된다.
I/F(503)는, 무선 네트워크(220)에 접속되고, 무선 네트워크(220)를 통해 다른 컴퓨터(예컨대, 중계 장치(202))에 접속된다. 그리고, I/F(503)는, 무선 네트워크(220)와 내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다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센서(504)는, 통신 장치(203)의 거동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컨대, 센서(504)는, 자이로 센서나 3축 가속도 센서 등에 의해 실현되고, 통신 장치(203)에 가속도가 생긴 경우에, 생긴 가속도에 따른 정보를 출력한다. 타이머(505)는, 계시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타이머(505)는, 실시간을 계시한다. 또한, 타이머(505)는, 소정의 타이밍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시해도 좋다.
또, 통신 장치(203)는, 전술한 구성부 외에,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자(自)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를 출력하는 GPS 유닛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계측 결과 테이블(260)의 기억 내용)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계측 결과 테이블(260)의 기억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계측 결과 테이블(260)은,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통신 장치(203)의 메모리(502)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는, 방목지(H1)의 어느 소에 장착된 통신 장치(203)가 갖는 계측 결과 테이블(26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계측 결과 테이블(26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계측 결과 테이블(260)은, 방목지 ID, 방목소 ID, 날짜, 시간대 및 보행수의 필드를 갖고, 각 필드에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최근 5회분의 계측 데이터(예컨대, 계측 데이터(600-1∼600-5))를 레코드로서 기억한다.
여기서, 방목지 ID는, 통신 장치(203)가 장착된 소(Ai)가 방목되고 있는 방목지(Hj)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방목소 ID는, 통신 장치(203)가 장착된 소(Ai)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날짜는, 통신 장치(203)가 장착된 소(Ai)의 보행수가 계측된 년월일이다.
시간대는, 통신 장치(203)가 장착된 소(Ai)의 보행수가 계측된 시간대이다. 예컨대, 00시는, 00시 00분 00초∼00시 59분 59초의 시간대를 나타낸다. 보행수는, 통신 장치(203)에 의해 계측된 소(Ai)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이다. 예컨대, 계측 데이터(600-1)는, 방목지(H1)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x1)의 2012년 1월 1일의 00시대의 보행수 「100」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소(Ai)의 보행수를 계측하는 통신 장치(203)의 처리 내용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통신 장치(203)는, 타이머(505)(도 5 참조)에 의해 계시된 실시간이 기준 시각이 되면, 계측치(C)를 「C=0」으로 초기화한다. 기준 시각은, 예컨대, 각 시간대의 00분 00초로 설정된다. 또, 각 통신 장치(203)의 타이머(505)에 의해 계시되는 실시간은 동기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203)는, 센서(504)(도 5 참조)에 의해 소(Ai)가 1보 보행할 때마다 순간적으로 생기는 가속도를 검출하면, 계측치(C)를 인크리멘트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203)는, 타이머(505)에 의해 계시된 실시간이 기준 시각이 되면, 날짜, 시간대 및 계측치(C)를 계측 결과 테이블(260)의 날짜, 시간대 및 보행수의 각 필드에 설정하고, 계측치(C)를 「x=0」으로 초기화한다.
이 결과,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새로운 계측 데이터가 레코드로서 기억된다. 이 때, 통신 장치(203)는,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기억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계측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203)는, 1시간마다의 소(Ai)의 보행수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203)는, 중계 장치(202)를 통해, 예컨대,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기억되어 있는 계측 결과를 식생 판정 장치(101)에 송신한다. 이 때, 통신 장치(203)는,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기억되어 있는 최근 5회분의 계측 데이터(예컨대, 계측 데이터(600-1∼600-5))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또한, 최근 1회분의 계측 데이터(예컨대, 계측 데이터(600-5))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계측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통신 장치(203)는,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새로운 계측 데이터가 기억된 경우에,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기억되어 있는 계측 데이터를 식생 판정 장치(101)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1시간마다 소(Ai)의 보행수의 계측 데이터를 식생 판정 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최근 5회분의 계측 데이터를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기억하는 것으로 했지만, 계측 결과 테이블(260)에 최근 몇회분의 계측 데이터를 기억할 것인지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보행수 테이블(230)의 기억 내용)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보행수 테이블(230)의 기억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보행수 테이블(230)은,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식생 판정 장치(101)의 메모리(302)에 의해 실현된다.
도 7은, 보행수 테이블(23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보행수 테이블(230)은, 방목지 ID, 방목소 ID, 날짜, 보행수 및 총보행수의 필드를 갖고, 각 필드에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보행수 데이터(예컨대, 보행수 데이터(700-1, 700-2))를 레코드로서 기억한다.
여기서, 방목지 ID는, 방목지(Hj)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방목소 ID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날짜는, 소(Ai)의 보행수가 계측된 년월일이다. 보행수는, 00시∼23시의 시간대마다 계측된 소(Ai)의 보행수이다. 총보행수는, 소(Ai)의 1일의 총보행수이다. 총보행수는, 00시∼23시의 각 시간대의 보행수를 누적함으로써 얻어진다.
예컨대, 보행수 데이터(700-1)에 의하면, 방목지(H1)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x1)의 2012년 1월 1일의 00시∼23시의 각 시간대의 보행수 및 총보행수 「2000」을 특정할 수 있다. 또, 보행수 테이블(230)에 며칠분의 보행수 데이터를 기억할 것인지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임계치 테이블(240)의 기억 내용)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임계치 테이블(240)의 기억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임계치 테이블(240)은,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의 메모리(302)에 기억된다.
도 8은, 임계치 테이블(24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임계치 테이블(240)은, 계절마다의 임계치(X)를 기억한다. 여기서는, 3월∼5월의 기간을 「봄」으로 하고, 6월∼8월의 기간을 「여름」으로 하고, 9월∼11월의 기간을 「가을」로 하고, 12월∼2월의 기간을 「겨울」로 한다.
여기서, 임계치(X)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값이다. 여기서는, 식물이 크게 자라 걷기 어려워지는 여름의 임계치(X)와, 눈이 쌓이면 걷기 어려워지는 겨울의 임계치(X)가, 봄이나 가을의 임계치(X)에 비해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임계치(X)로서, 1년 내내 공통의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보정치 테이블(250)의 기억 내용)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보정치 테이블(250)의 기억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보정치 테이블(250)은,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의 메모리(302)에 기억된다.
도 9는, 보정치 테이블(25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보정치 테이블(250)은, 방목지 ID, 지형 및 보정치의 필드를 갖고, 각 필드에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보정치 데이터(900-1∼900-m)를 레코드로서 기억한다.
여기서, 방목지 ID는, 방목지(Hj)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지형은, 방목지(Hj)의 지형의 특징이다. 보정치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의 보행수를, 방목지(Hj)의 지형의 특징에 맞춰 보정하기 위한 값이다. 예컨대, 보정치 데이터(900-1)는, 방목지(H1)의 지형 「급경사면이 다수 있음」 및 보정치 「0.70」을 나타내고 있다.
(식생 판정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예)
도 10은, 식생 판정 장치(101)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식생 판정 장치(101)는, 취득부(1001)와, 판정부(1002)와, 출력부(100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취득부(1001)∼출력부(1003)는 제어부가 되는 기능이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메모리(302), 자기 디스크(305)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301)에 실행시킴으로써, 또는, I/F(303)에 의해, 그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각 기능부의 처리 결과는, 예컨대, 메모리(302), 자기 디스크(305)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취득부(1001)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에 장착된 통신 장치(203)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보행수의 계측 결과는, 예컨대, 소정의 시간 간격(t)으로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치(C)이다. 또한, 계측 데이터에는, 보행수의 계측 결과 외에, 예컨대, 보행수가 계측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 소(Ai)의 방목소 ID, 소(Ai)의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소(Ai)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소(Ai)가 방목되고 있는 방목지(Hj)의 방목지 ID이다. 또, 통신 장치(203)가 GPS 유닛을 갖는 경우에는, 소(Ai)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통신 장치(203)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가 계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계측 데이터는,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계측 데이터(600-1∼600-5)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취득부(1001)는, 네트워크(210)를 통해, 중계 장치(202)로부터 통신 장치(203)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예컨대, 취득부(1001)는,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통신 장치(203)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취득부(1001)는, 취득한 계측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Ai)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분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취득부(1001)는, 소(Ai)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방목지(Hj)별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분류한다. 또, 취득된 계측 데이터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보행수 테이블(230)에 기억된다.
판정부(1002)는, 취득부(1001)에 의해 취득된 계측 데이터에 포함되는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판정부(1002)는, 소정의 시간 간격(T)마다의 보행수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소정의 시간 간격(T)은, 예컨대, 1시간, 1일, 1주일, 1개월 등이다. 다만, 방목소는, 목초를 섭취하면 반추하고, 반추를 끝내면, 수면을 취한다는 행동을 1일 중에 복수회 행하는 경향이 있다. 반추 시간은, 예컨대, 1시간이다. 또한, 수면 시간은, 예컨대, 2시간이다.
즉, 방목소가 반추를 시작하고 나서 일어나기까지의 수시간은, 방목소의 보행수가 거의 증가하지 않는 시간대가 된다. 또한, 1일 중 방목소가 반추하고 수면을 취한다는 일련의 행동을 하는 시간대는, 날에 따라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시간 간격(T)은, 예컨대, 1일 혹은 1주일 정도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판정부(1002)는, 제1 기간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로부터 제1 기간 이전의 제2 기간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감산한 값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기간은, 소정의 시간 간격(T)으로 구획된 기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간 간격(T)으로서, 「1일(24시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날을 「판정 대상일」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판정부(1002)는, 예컨대,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S)로부터 기준 보행수(Sb)를 감산한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판정부(1002)는, 감산치(d)가 임계치(X) 미만인 경우에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보행수(S)는, 예컨대,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의 1일 총보행수의 평균이어도 좋고, 또한, 소(A1∼An)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소의 1일 총보행수의 평균이어도 좋다. 또한, 보행수(S)는, 예컨대, 소(A1∼An) 중의 특정한 소의 1일 총보행수여도 좋다. 특정한 소는, 예컨대, 무리 중에서의 지위가 최상위인 보스소여도 좋고, 또한, 무리 중에서의 지위가 최하위인 소여도 좋다.
또한, 기준 보행수(Sb)는, 판정 대상일 이전의 다른 날의 보행수(S)에 기초하는 값이다. 기준 보행수(Sb)는, 예컨대, 판정 대상일의 전날의 보행수(S)여도 좋고, 또한, 방목지(Hj)에서 방목을 시작한 날의 보행수(S)여도 좋다. 또한, 기준 보행수(Sb)는, 판정 대상일 이전의 날 중, 방목지(Hj)에서 방목을 시작하고 나서 수일간의 보행수(S)의 평균치여도 좋다.
또한, 방목지(Hj)에서의 방목 직후에는, 방목지(Hj)의 관찰을 위해 소(Ai)의 보행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방목을 시작하고 나서 2, 3일 경과하면 소(Ai)의 보행수의 변동은 안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기준 보행수(Sb)는, 판정 대상일 이전의 날 중, 방목지(Hj)에서 방목을 시작하고 나서 수일 후의 보행수(S)여도 좋다.
또한, 임계치(X)는, 예컨대,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S)가, 기준 보행수(Sb)에 대하여 임계치(X) 이상 증가해 있으면, 방목지(Hj)의 목초가 적거나, 혹은, 목초가 없기 때문에, 방목소가 먹고 싶은 풀을 찾아 돌아다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된다. 이 임계치(X)는,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임계치 테이블(240)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판정 대상일이 3월∼5월의 기간 내인 경우, 판정부(1002)는, 임계치 테이블(240)을 참조하여, 계절 「봄」의 임계치(X) 「X=200」을 특정한다. 이에 따라, 방목지(Hj)의 목초가 적어졌거나, 혹은, 목초가 없어져, 방목소의 보행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002)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 중, 특정한 상태의 소를 제외한 나머지 소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특정한 상태의 소란, 예컨대, 발정 상태의 소나 질병 상태의 소이다.
특정한 상태의 소는, 통상적인 상태의 소에 비해, 단위 시간당의 보행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발정 상태의 소는, 통상적인 상태의 소에 비해, 단위 시간당의 보행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질병 상태의 소는, 통상적인 상태의 소에 비해, 단위 시간당의 보행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판정부(1002)는, 특정한 상태의 소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처리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특정한 상태의 소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판정부(1002)가, 보행수 테이블(230)을 참조하여, 소(Ai)가 특정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판정부(1002)는, 소(Ai)의 보행수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소(Ai)가 특정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소정의 조건은, 발정, 질병 등의 상태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소(Ai)가 발정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발정한 암소의 보행수가 증가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을, 「소(Ai)의 보행수가 임계치(α) 이상」이라는 조건으로 설정한다. 여기서의 소(Ai)의 보행수는, 예컨대, 1일 중의 소(Ai)의 단위 시간당의 보행수의 평균치이다. 또한, 예컨대, 소(Ai)가 질병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발병한 소의 보행수가 감소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을, 「소(Ai)의 보행수가 임계치(β) 미만」이라는 조건으로 설정한다.
또한, 판정부(1002)는,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S)로부터 기준 보행수(Sb)를 감산한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 경우에, 판정 대상일의 시간대마다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P) 이상 계속해서 보행수가 소정수(Q) 이하가 되는 시간대(TZ)를 검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방목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추하고 수면을 취한다는 일련의 행동을 1일 중에 복수회 행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방목지(Hj)에 목초가 적은 경우에는, 방목소가 반추하고 수면을 취한다는 일련의 행동의 횟수가 적어지는 것이 상정된다. 즉, 반추하고 수면을 취한다는 일련의 행동의 횟수가 적어지면,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판정부(1002)는, 검출한 시간대(TZ)의 개수(k)가 소정수(K) 미만인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판정부(1002)는, 검출한 시간대(TZ)의 개수(k)가 소정수(K) 이상인 경우에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소정 시간(P)은, 평균적인 반추 시간과 평균적인 수면 시간을 더한 시간, 예컨대, 3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반추중 및 수면중인 방목소의 보행수는 0에 가까운 값이 된다. 이 때문에, 소정수(Q)는, 예컨대, 10∼30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소정수(K)는, 1일 중에 방목소가 반추하고 수면을 취한다는 일련의 행동을 하는 평균적인 횟수, 예컨대, 3회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T)마다의 보행수의 증가 정도만을 고려하는 경우에 비해,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하는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벼락이나 천적의 출현 등의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소(Ai)의 보행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라도, 시간대(TZ)의 개수(k)가 소정수(K) 이상인 경우에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002)는, 취득부(1001)에 의해 분류된 방목지(Hj)마다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j)마다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복수 개소에 존재하는 방목지(Hj)마다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 판정부(1002)의 구체적인 처리 내용에 관해서는, 도 11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출력부(1003)는, 판정부(1002)에 의해 판정된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출력부(1003)의 출력 형식으로는, 예컨대, 메모리(302), 자기 디스크(305) 등의 기억 장치에 대한 기억,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표시, 도시되지 않은 인쇄 출력, I/F(303)에 의한 외부 컴퓨터에 대한 송신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출력부(1003)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있어서,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된다.
또한, 출력부(1003)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결과,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있어서,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되는 정보의 화면예에 관해서는, 도 12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송신처가 되는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어드레스는,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201)를 사용하는 사육자가 관리하는 방목지(Hj)의 방목지 ID와 대응시켜 메모리(302), 자기 디스크(305)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다.
또, 기준 보행수(Sb)는, 방목지(H1∼Hm)에 공통의 값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일 때에 계측된 과거 1일의 평균적인 소(Ai)의 총보행수를, 방목지(H1∼Hm)에 공통의 기준 보행수(Sb)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만, 각 방목지(Hj)의 지형에 따라 소(Ai)의 보행수의 증가 경향에 편향이 생기기 때문에,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보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판정부(1002)는, 도 9에 도시한 보정치 테이블(250)을 참조하여, 각 방목지(Hj)에 고유의 보정치를 소(Ai)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에 곱셈함으로써, 소(Ai)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보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각 방목지(Hj)의 지형에 따른 소(Ai)의 보행수의 증가 경향의 변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판정부(1002)의 구체적인 처리 내용)
다음으로, 도 11을 이용하여, 판정부(1002)의 구체적인 처리 내용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보행수(S)를,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의 1일 총보행수의 평균치(이하, 「보행수 평균치」라고 함)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판정부(1002)는, 보행수 테이블(230)을 참조하여, 방목지(Hj)마다,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의 날마다의 보행수 평균치를 산출한다. 산출된 날마다의 보행수 평균치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보행수 평균치 테이블(1100)에 기억된다.
도 11은, 보행수 평균치 테이블(1100)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보행수 평균치 테이블(1100)은, 방목지 ID, 날짜 및 보행수 평균치의 필드를 갖고, 각 필드에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방목지(Hj)마다의 날마다의 보행수 평균치를 기억한다.
여기서, 판정 대상일을 「2012년 1월 5일」로 하고, 기준 보행수(Sb)를 「판정 대상일의 전날의 보행수 평균치」로 하여, 방목지(H1, H2)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판정부(1002)는, 방목지(H1)에 관해,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 평균치 「2200」으로부터 기준 보행수(Sb) 「2020」을 감산한 감산치(d)를 산출한다. 여기서는, 감산치(d)는 「d=180」이 된다.
또한, 판정부(1002)는, 임계치 테이블(240)을 참조하여, 판정 대상일에 대응하는 계절의 임계치(X)를 특정한다. 여기서는, 판정 대상일에 대응하는 계절은 겨울이기 때문에, 임계치(X)는 「X=150」이 된다. 다음으로, 판정부(1002)는,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판정부(1002)는, 방목지(H1)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1002)는, 방목지(H2)에 관해,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 평균치 「1860」으로부터 기준 보행수(Sb) 「1850」을 감산한 감산치(d)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판정부(1002)는,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임계치(X)가 「X=150」이기 때문에, 감산치(d)가 임계치(X) 미만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판정부(1002)는, 방목지(H2)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되는 정보의 화면예)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되는 정보의 화면예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화면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디스플레이(406)에 표시되는 정보의 화면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201)의 디스플레이(406)에, 방목지(H1)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알람 화면(1200)이 표시되어 있다. 알람 화면(1200)에 의하면, 사육자는, 2012년 1월 5일의 시점에서, 방목지(H1)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식생 판정 장치(101)의 각종 처리 순서)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의 각종 처리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취득 처리 순서>
우선, 식생 판정 장치(101)의 취득 처리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취득 처리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의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이다. 취득 처리는, 예컨대, 방목지(Hj)마다 정기적(예컨대, 1시간마다)으로 실행된다.
도 13은, 식생 판정 장치(101)의 취득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우선, 식생 판정 장치(101)는, 네트워크(210)를 통해,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의 계측 데이터를 중계 장치(202)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01).
여기서, 식생 판정 장치(101)는, 소(Ai)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1301 : No). 그리고, 식생 판정 장치(101)는, 소(Ai)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스텝 S1301 : Yes),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보행수 테이블(230)에 등록한다(스텝 S1302).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의 무리 전체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03). 여기서, 무리 전체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1303 : No), 식생 판정 장치(101)는, 스텝 S1301로 되돌아간다. 한편, 무리 전체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스텝 S1303 : Yes),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본 플로우차트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식생 판정 처리 순서>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의 식생 판정 처리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식생 판정 처리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식생 판정 처리는, 예컨대, 임의의 타이밍, 또는, 정기적으로 실행된다.
도 14는, 식생 판정 장치(101)의 식생 판정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우선,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의 「j」를 「j=1」로 하고(스텝 S1401), 방목지(H1∼Hm)로부터 방목지(Hj)를 선택한다(스텝 S1402).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발정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403). 또, 발정 판정 처리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의 발정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처리이다. 발정 판정 처리의 구체적인 처리 순서에 관해서는, 도 1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 중 발정의 가능성이 있는 소를 제외한 나머지 소의 판정 대상일의 총보행수에 기초하여,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 평균치를 산출한다(스텝 S1404). 그리고, 식생 판정 장치(101)는, 산출한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 평균치를 보행수 평균치 테이블(1100)에 등록한다(스텝 S1405).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평균치 테이블(1100)을 참조하여,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 평균치로부터, 판정 대상일의 전날의 보행수 평균치를 감산한 감산치(d)를 산출한다(스텝 S1406). 그리고, 식생 판정 장치(101)는, 산출한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07).
여기서,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 경우(스텝 S1407 : Yes),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스텝 S1408). 그리고, 식생 판정 장치(101)는, 알람 화면의 화면 정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송신한다(스텝 S1409). 알람 화면은,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알람 화면(1200)이다.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의 「j」를 인크리멘트하고(스텝 S1410), 「j」가 「m」보다 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11). 여기서, 「j」가 「m」 이하인 경우(스텝 S1411 : No), 식생 판정 장치(101)는, 스텝 S1402로 되돌아간다.
한편, 「j」가 「m」보다 커진 경우(스텝 S1411 : Yes),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본 플로우차트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407에 있어서, 감산치(d)가 임계치(X) 미만인 경우(스텝 S1407 : No),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고(스텝 S1412), 스텝 S1410으로 이행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소에 존재하는 방목지(Hj)마다의 소(Ai)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방목지(Hj)마다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발정 판정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한 스텝 S1403의 발정 판정 처리의 구체적인 처리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발정 판정 처리의 구체적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우선, 식생 판정 장치(101)는,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의 「i」를 「i=1」로 하고(스텝 S1501),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로부터 소(Ai)를 선택한다(스텝 S1502).
그리고,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테이블(230)로부터, 판정 대상일의 소(Ai)의 보행수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S1503).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추출한 판정 대상일의 소(Ai)의 보행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의 보행수의 평균치를 산출한다(스텝 S1504).
그리고, 식생 판정 장치(101)는, 산출한 보행수의 평균치가 임계치(α)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소(Ai)에 발정의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05). 여기서, 소(Ai)에 발정의 가능성이 없는 경우(스텝 S1505 : No), 식생 판정 장치(101)는, 스텝 S1507로 이행한다.
한편, 소(Ai)에 발정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스텝 S1505 : Yes), 식생 판정 장치(101)는, 소(Ai)의 보행수 데이터를 처리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스텝 S1506).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보행수 테이블(230)로부터, 발정의 가능성이 있는 소(Ai)의 보행수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식생 판정 장치(101)는, 소(Ai)의 「i」를 인크리멘트하고(스텝 S1507), 「i」가 「n」보다 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08). 여기서, 「i」가 「n」 이하인 경우(스텝 S1508 : No), 식생 판정 장치(101)는, 스텝 S1502로 되돌아간다.
한편, 「i」가 「n」보다 커진 경우(스텝 S1508 : Yes), 식생 판정 장치(101)는, 본 플로우차트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고, 발정 판정 처리를 호출한 스텝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 중 발정의 가능성이 있는 소(Ai)의 보행수 데이터를,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할 때의 처리 대상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에 장착된 통신 장치(203)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판정한 판정 결과를, 사육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1)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육자는, 방목지(Hj)에 일부러 가서 식생을 관찰하는 일 없이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사육자의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육자는, 초지의 식생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방목지(Hj)의 관리에 드는 인적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소정의 시간 간격(T)마다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목지(Hj)에 목초가 적거나, 혹은, 목초가 없어졌기 때문에 소(Ai)가 먹고 싶은 풀을 찾아 돌아다님으로써 보행수가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소(Ai)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방목지(Hj)별로,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방목지(Hj)마다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j)마다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소에 존재하는 방목지(Hj)마다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1∼An) 중, 특정한 상태의 소를 제외한 나머지 소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초에 대한 기호 이외의 발정이나 질병 등의 요인에 의해, 통상의 상태에 비해 단위 시간당의 보행수가 증감한 소의 보행수 데이터를 처리 대상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어,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할 때의 정밀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판정 대상일의 보행수 평균치로부터 판정 대상일의 전날의 보행수 평균치를 감산한 감산치(d)가 임계치(X) 이상인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목지(Hj)에서 방목되고 있는 소(Ai)의 보행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판정 대상일의 시간대마다의 소(Ai)의 보행수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P) 이상 계속해서 보행수가 소정수(Q) 이하가 되는 시간대(TZ)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식생 판정 장치(101)에 의하면, 검출한 시간대(TZ)의 개수(k)가 소정수(K) 미만인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T)마다의 보행수의 증가 정도만을 고려하는 경우에 비해,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판정하는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벼락이나 천적의 출현 등의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소(Ai)의 보행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실시형태에 관련된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에 의하면, 사육자는,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를 파악하여,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에 따른 대응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방목지(Hj)의 식생의 상태가 나빠졌을 때에, 소(Ai)의 기호성이 높은 풀의 씨를 방목지(Hj)에 파종하거나, 방목처인 방목지를 변경하는 등의 대응을 신속히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식생 판정 방법은,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퍼스널·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식생 판정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MO, DV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본 식생 판정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해도 좋다.
101 : 식생 판정 장치 102 : 보행수 계측 수단
103 : 통신 단말 200 : 사육 지원 시스템
201 : 클라이언트 장치 202 : 중계 장치
203 : 통신 장치 1001 : 취득부
1002 : 판정부 1003 : 출력부

Claims (8)

  1. 컴퓨터에,
    방목지에서 방목되고 있는 가축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한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판정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처리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의 상기 보행수의 계측 결과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한 경우에, 상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판정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보행수의 계측 결과를, 가축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방목지마다의 상기 보행수의 계측 결과로 분류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고,
    분류한 상기 방목지마다의 상기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방목지마다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판정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처리는,
    상기 보행수가 계측된 복수의 가축 중, 특정한 상태의 가축을 제외한 나머지 가축의 상기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판정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 방목지에서 방목되고 있는 가축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판정 장치.
  6. 컴퓨터가,
    방목지에서 방목되고 있는 가축에 장착된 보행수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된 보행수의 계측 결과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방목지의 식생의 상태가 방목에 적합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한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판정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57029996A 2013-04-18 2013-04-18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 KR101734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1549 WO2014170996A1 (ja) 2013-04-18 2013-04-18 植生判定プログラム、植生判定装置および植生判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247A KR20150133247A (ko) 2015-11-27
KR101734744B1 true KR101734744B1 (ko) 2017-05-11

Family

ID=5173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996A KR101734744B1 (ko) 2013-04-18 2013-04-18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29601A1 (ko)
EP (1) EP2987397B1 (ko)
JP (1) JP5962852B2 (ko)
KR (1) KR101734744B1 (ko)
CN (1) CN105101781A (ko)
PL (1) PL2987397T3 (ko)
WO (1) WO2014170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563B2 (en) * 2017-05-12 2019-07-16 HKC Corporation Limited Curved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20230337631A1 (en) * 2020-02-07 2023-10-26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111672A (zh) * 2021-04-13 2021-07-1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真湿地植物的判定方法
CN113222453B (zh) * 2021-05-28 2024-01-16 中国农业科学院草原研究所 一种基于北斗导航的天然草地草畜平衡评估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571221B1 (ko) * 2021-06-02 2023-08-29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569A (ja) 2006-12-14 2008-07-03 Oki Electric Ind Co Ltd 飼育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8350A (en) * 1987-09-30 1989-04-03 Sochi Shikenjo Measuring method for existing quantity of plant by radiating microwave from side face
JPH11128210A (ja) * 1997-10-29 1999-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動物の運動量管理装置及び運動量管理システム並びに動物の運動量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34572A (ja) * 2003-05-08 2004-11-25 Seiko Epson Corp 生産物販売仲介システム及び方法、生産物販売仲介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63083A (ja) * 2003-08-11 2005-03-10 Kyocera Mita Corp 状態変化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状態変化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02217468B (zh) * 2010-04-14 2013-02-27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高寒草原地区适应气候变化的草地保护方法
CN101894220A (zh) * 2010-07-28 2010-11-24 江南大学 一种畜禽健康状况数据采集系统
JP5510833B2 (ja) * 2011-02-16 2014-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598970A (zh) * 2011-12-08 2012-07-25 新疆畜牧科学院草业研究所 牲畜追耕法退化草地改良技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569A (ja) 2006-12-14 2008-07-03 Oki Electric Ind Co Ltd 飼育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987397T3 (pl) 2017-03-31
EP2987397B1 (en) 2016-12-07
WO2014170996A1 (ja) 2014-10-23
US20160029601A1 (en) 2016-02-04
JPWO2014170996A1 (ja) 2017-02-16
EP2987397A4 (en) 2016-04-13
JP5962852B2 (ja) 2016-08-03
KR20150133247A (ko) 2015-11-27
CN105101781A (zh) 2015-11-25
EP2987397A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opy et al. A new approach for improving emission factors for enteric methane emissions of cattle in smallholder systems of East Africa–Results for Nyando, Western Kenya
Fonseca et al. Management targets for maximising the short-term herbage intake rate of cattle grazing in Sorghum bicolor
Elischer et al. Validating the accuracy of activity and rumination monitor data from dairy cows housed in a pasture-based automatic milking system
Maselyne et al. Daily lying time, motion index and step frequency in dairy cows change throughout lactation
Goetsch et al. Invited review: Feeding behavior of goats
US9538730B1 (en) Mating sensor device for livestock
AU2017276810B2 (en) System for monitoring pasture intake
KR101734744B1 (ko) 식생 판정 프로그램, 식생 판정 장치 및 식생 판정 방법
Bailey et al. Opportunities to apply precision livestock management on rangelands
Stadig et al. An automated positioning system for monitoring chickens’ location: Effects of wearing a backpack on behaviour, leg health and production
Andonovic et al. Precision livestock farming technologies
Rutter Advanced livestock management solutions
JP6635968B2 (ja) 行動特定装置、行動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Dahlan et al. Grow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ambar deer in Sabal Forest Reserve of Sarawak, Malaysia
Tarugara et al. Measuring body dimensions of leopards (Panthera pardus) from camera trap photographs
CN207733437U (zh) 一种草食动物采食与游走行为记录仪
JP7410200B2 (ja) 特定装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Swain et al. Opportunities for telemetry techniques in studies on the nutritional ecology of free-ranging domesticated ruminants
Baig et al. Ewe Health Monitoring Using IoT simulator
Fraschina et al. Foraging efficiency of Akodon azarae under different plant cover and resource levels
Tyler et al. Effects of weather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Corncrake Crex crex chicks
Hirata et al. Mother–young distance in Japanese Black cattle at pasture
JP2020036627A (ja) 行動特定装置、行動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6204B2 (ja) 行動特定装置、行動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Bugler Monitoring the ‘original’panda: Impacts and outcomes of using infra-red trail cameras on captive red panda (Ailurus fulgens) behaviour: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at Lincoln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