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730B1 -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730B1
KR101734730B1 KR1020150184259A KR20150184259A KR101734730B1 KR 101734730 B1 KR101734730 B1 KR 101734730B1 KR 1020150184259 A KR1020150184259 A KR 1020150184259A KR 20150184259 A KR20150184259 A KR 20150184259A KR 101734730 B1 KR101734730 B1 KR 10173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martphone
projector
out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25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 dielectric deformable layer controlled by an electron beam, e.g. eidophor proj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25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 dielectric deformable layer controlled by an electron beam, e.g. eidophor projector
    • H04N2005/7433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10); 상기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연동하는 연동단계(20); 상기 연동된 스마트폰의 제어부에서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30); 상기 확인단계(30)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통해 출력될 영상데이터를 결정하는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50); 상기 영상전송단계(5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60);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은 스마트폰과 빔 프로젝터를 연동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출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자기,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한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귀신처럼 갑자기 화면과 소리를 통해 출력하여 공포감을 심어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 space shape output method through a beam projector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빔 프로젝터를 연동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출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자기,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한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빔 프로젝터는 가상의 화면을 전방의 렌즈를 통해 스크린 위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광학장치이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65375호의 빔프로젝터의 사용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빔프로젝터에 공급되는 입력전류(I1)를 감지 및 판별하기 위한 감지/판별유니트; 상기 감지/판별유니트에서 감지 및 판별된 상기 빔프로젝터에 공급되는 입력전류(I1)가 설정부에서 설정된 판별 전류범위(Ix)로 판별되면;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판별전류범위(Ix)로 상기 빔프로젝터가 동작한 그 시점부터의 사용시간에 대해 누적으로 연산처리하고; 상기 연산처리된 빔프로젝터가 동작한 사용시간을 근거로 상기 빔프로젝터에 대한 사용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프로젝터의 사용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14140호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빔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영상을 주사하는 빔 프로젝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을 하는 디스플레이 동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동글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좌표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터치 좌표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터치 좌표와 매핑하여 상기 터치좌표를 재설정하는 동글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프로젝터를 가상의 영상을 출력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의 센서를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를 후레쉬처럼 사용하다가 해당위치에 정해진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갑작스런 영상을 출력해서 보여주지 못하며, 동시에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빔 프로젝터를 연동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출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자기,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한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10); 상기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연동하는 연동단계(20); 상기 연동된 스마트폰의 제어부에서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30); 상기 확인단계(30)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통해 출력될 영상데이터를 결정하는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50); 상기 영상전송단계(5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은 스마트폰과 빔 프로젝터를 연동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출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자기,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한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귀신처럼 갑자기 화면과 소리를 통해 출력하여 공포감을 심어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영상출력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등록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10); 상기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연동하는 연동단계(20); 상기 연동된 스마트폰의 제어부에서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30); 상기 확인단계(30)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통해 출력될 영상데이터를 결정하는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50); 상기 영상전송단계(5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초기 실행 후 재반복 실행시는 상기 출력단계(60) 이후 다시 확인단계(30),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영상전송단계(50), 출력단계(60)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단계에서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을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무선 연동되어, 서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에서는 회전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확인하여 출력될 영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에서 조건이 충족하면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스마트폰의 스피커에서 해당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전송단계는 영상처리방식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되어, 프로젝터에서 압축된 영상을 해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영상출력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의 등록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은 내부의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와 방위변화를 파악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을 결합 또는 거치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프로젝터는 사용자가 들고 다닐 수 있는 크기의 프로젝터를 사용하며, 영상을 출력하는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폰의 센서를 통해 위치 값과, 회전 값을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는 지자기 센서, 자리로 센서, 나침반 센서 또는 나침반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프로젝터와 스마트폰은 케이블을 통한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무선 연동되어, 프로젝터를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젝터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면으로 빛을 비추어지고, 지정된 범위 내의 위치에서 지정된 범위 방향으로 영상을 비추면, 빛과 함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 출력 시 영상에 해당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모듈,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설치된 인터넷과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일반적으로 나침반이 지구상에서 항상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는 것은 지구가 자기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상기 지구가 가지고 있는 자기장을 지자기라고 하며, 상기 지자기를 통해 각 지점에서 측정되는 수평자기력, 복각, 편각을 측정하고, 지자기센서(11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통해 방위를 측정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자기센서(110) 내부에는 지자기 세기를 감지하는 x축 센서와, y축 센서와, z축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x축 센서와, y축 센서와, z축 센서 각각에 측정되는 지자기 세기를 통해 스마트폰의 절대좌표와 사용자의 진행방위를 제어부에서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10); 상기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연동하는 연동단계(20); 상기 연동된 스마트폰의 제어부에서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30); 상기 확인단계(30)에서 확인된 데이터를 통해 출력될 영상데이터를 결정하는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50); 상기 영상전송단계(5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6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출력단계(60) 이후 다시 확인단계(30)를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단계에서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을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무선 연동되어, 서로 통신하는 것이다.
상기 유선 연결은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케이블로 연결하면, 케이블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동되는 것이며, 무선 연동은 스마트폰과 프로젝터의 각자의 블루투스 모듈이 서로 연동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선 없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확인단계에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데이터, 방위데이터, 또는 위치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사용한다.
상기 회전데이터는 스마트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x축, y축, z축으로 방향으로 어느정도 회전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상기 방위데이터는 스마트폰의 방위(azimuth), 경사도(pitch), 그리고 좌우회전(roll)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상기 위치데이터는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그리고 정확도(Altitude)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에서는 확인단계에서 회전데이터, 방위데이터, 또는 위치데이터를 통해 해당위치에 영상을 출력하는 여부를 확인하고, 조건에 따라 영상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은 등록된 영상을 사용하여 등록된 데이터와 현재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춰질 영상을 확대 및 축소, 회전, 출력위치 조정하여 등록된 위치에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영상을 등록하는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실시예로서, A범위의 위치에서 a의 방향으로 스마트폰이 연동된 프로젝터를 비추면, 스마트폰의 센서가 스마트폰의 위치, 방위, 그리고 회전 각도를 확인하여, 비춰지는 위치에 따라 연산하고, 확인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영상이 출력되며, 동시에 스마트폰의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며, 설정된 위치가 아닐 경우 영상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로 빛만 출력되어 후레쉬처럼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는 위치데이터, 방위데이터, 또는 회전데이터를 확인하여 출력될 영상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스마트폰에서는 영상과 같이 등록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으로, 영상 하나에 소리 하나가 매칭되는 것이다. 상기 소리를 등록하는 방법은 영상을 등록하는 방법과 같이 후술하도록 한다.
실시예로써, 프로젝터에 위치에 따른 영상(예시로 유령)을 출력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스피커부에서 영상에 따라 등록된 소리(예시로 유령으로 추정되는 으스스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전송단계는 영상처리방식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되어, 프로젝터에서 압축된 영상을 해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은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시 연산의 속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영상이 깨지거나, 또는 영상이 모두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영상은 중앙처리장치에서 압축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압축방식은 일반적으로 오픈된 압축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통해 영상을 등록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위치에 영상을 등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등록화면을 실행시키면, 스마트폰의 센서가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서 영상종류, 영상크기, 소리종류, 소리크기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통해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 등록 시에는 프로젝터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어 미리 어떻게 출력될 것인지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영상종류는 동영상처럼 영상이 움직이는 동적이미지, 사진처럼 움직이지 않는 정적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를 저장공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크기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선택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리종류는 영상이 나타났을 때, 어떤 소리를 출력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판단하여 하나의 음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크기는 음성의 소리를 설정해둘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범위는 사람이 움직이는 것은 정확할 수 없으므로, 영상 및 소리가 출력될 수 있는 범위를 오차범위를 주어 센서의 값이 오차범위 내에 들어가게 되면, 오차범위에 따라 영상이 상하좌우로 이동되어 영상이 등록된 자리에 출력된다.
상기 오차범위에 따라 스마트폰의 제어부에서 연산되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영상크기 또는 소리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등록된 위치에서 등록된 방향으로 스마트폰이 연동 및 결합된 프로젝터를 비추면 프로젝터는 등록된 영상을 등록된 크기로 출력하며 스마트폰에서는 소리를 등록된 크기로 출력한다.
그리고 등록된 위치에서 등록된 방향으로 가까워지면 스마트폰이 등록된 위치와 현재 위치의 오차범위를 통해, 프로젝터에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같은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크게 출력하며 스마트폰의 소리 또한 크게 하여 사용자에게 물체와 가까워진 것 같은 감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대로 등록된 방향에서 멀어지면 스마트폰이 등록된 위치와 현재 위치의 오차범위를 통해, 프로젝터에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같은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작게 출력하며 스마트폰의 소리도 작게 하여 사용자에게 물체와 멀어진 것 같은 감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은 스마트폰과 빔 프로젝터를 연동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프로젝터로 출력하고자 하는 위치를 GPS, 지자기, 자이로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한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귀신처럼 갑자기 화면과 소리를 통해 출력하여 공포감을 심어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실행단계
20 : 연동단계
30 : 확인단계
40 :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
50 : 영상전송단계
60 : 출력단계
100 : 스마트폰
200 : 프로젝터

Claims (5)

  1.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10); 상기 스마트폰(100)과 프로젝터(200)를 연동하는 연동단계(20); 상기 연동된 스마트폰(100)의 제어부에서 스마트폰(100)의 위치와 방위변화를 파악하는 스마트폰(100) 내부의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30); 상기 확인단계(30)에서 스마트폰(100)의 제어부가 확인된 데이터를 통해 출력될 영상데이터를 결정하는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스마트폰(100)에서 프로젝터(200)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50); 상기 영상전송단계(5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200)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단계(60); 로 이루어지되,
    초기 실행 후 재반복 실행시는 상기 출력단계(60) 이후 다시 확인단계(30),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 영상전송단계(50), 출력단계(60)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되는 빔 프로젝터(200)와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00)은 내부의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100)의 위치와 방위변화를 파악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200)는 스마트폰(100)을 결합 또는 거치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0)과 연동되어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젝터(200)는 영상을 출력하는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스마트폰(100)을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프로젝터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면으로 빛을 비추어지고, 지정된 범위 내의 위치에서 지정된 범위 방향으로 영상을 비추면, 빛과 함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연동단계(20)에서는 프로젝터(200)와 스마트폰(100)을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무선 연동되어,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유선 연결은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를 케이블로 연결하면 케이블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동되는 것이며, 상기 무선 연동은 스마트폰과 프로젝터의 각자의 블루투스 모듈이 서로 연동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선 없이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확인단계(30)에서는 스마트폰(100)의 제어부가 스마트폰(1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데이터, 방위데이터, 또는 위치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회전데이터는 스마트폰(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x축, y축, z축으로 방향으로 어느정도 회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이며, 상기 방위데이터는 스마트폰(100)의 방위(azimuth), 경사도(pitch), 그리고 좌우회전(roll)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위치데이터는 스마트폰(100)의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그리고 정확도(Altitude)를 포함하는 데이터인 것이며,
    상기 영상출력여부결정단계(40)에서는 스마트폰(100)의 제어부가 확인단계(30)에서 확인된 위치데이터, 방위데이터, 또는 회전데이터를 통해 출력될 영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100)의 제어부는 등록된 영상을 사용하며, 등록된 영상의 데이터와 현재 스마트폰(100)의 데이터를 비교한 후, 등록된 영상을 확대 및 축소, 회전, 출력위치 조정하여 등록된 위치에 출력될 영상을 결정하고,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스마트폰(100)에서 등록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영상 하나에 소리 하나를 매칭하는 것이며,
    상기 영상전송단계(50)는 스마트폰(100)의 제어부가 영상처리방식을 통해 출력될 영상이 압축되어 프로젝터(200)로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프로젝터(200)는 압축된 영상을 압축해제한 후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출력단계(60)에서 프로젝터(200)로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스피커에서 해당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등록된 영상은 상기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위치에서 등록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의 등록화면을 실행시키면, 상기 스마트폰(100)의 센서가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서 영상종류, 영상크기, 소리종류, 또는 소리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통해 등록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등록할 시에는 프로젝터(200)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어 미리 어떻게 출력될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영상종류는 영상이 움직이는 동적이미지와, 움직이지 않는 정적이미지 중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저장공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크기는 프로젝터(200)를 통해 출력되는 선택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소리종류는 영상이 나타났을 때, 어떤 소리를 출력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판단하여 하나의 음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크기는 음성의 소리를 설정해둘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영상 및 소리가 출력될 수 있는 오차범위를 주어 센서의 값이 오차범위 내에 들어가게 되면, 상기 오차범위에 따라 스마트폰(100)의 제어부에서 연산되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크기 또는 소리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84259A 2015-12-22 2015-12-22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KR10173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59A KR101734730B1 (ko) 2015-12-22 2015-12-22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259A KR101734730B1 (ko) 2015-12-22 2015-12-22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730B1 true KR101734730B1 (ko) 2017-05-24

Family

ID=5905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259A KR101734730B1 (ko) 2015-12-22 2015-12-22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11A (ko) 2018-11-15 2020-05-25 송현준 카메라 및 빔 프로젝터를 장착한 스마트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tilizing a Bluetooth remote lock system for a smartphone, Pervasive and Mobile Computing 24(2015.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11A (ko) 2018-11-15 2020-05-25 송현준 카메라 및 빔 프로젝터를 장착한 스마트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183B2 (en) Head-mounted display
CN104024984B (zh) 便携式设备、虚拟现实系统及方法
KR101259598B1 (ko) 로드뷰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610564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WO201817964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20017293A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600677B2 (en) Method for feature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9886208B (zh) 物体检测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690311B1 (ko) 증강현실객체 배치, 공유 및 전시 시스템 및 배치, 공유 및 전시 방법
US10192332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4240754A5 (ko)
CN113590070A (zh) 导航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932604A (zh) 人耳特征距离测量的方法和装置
KR20120009638A (ko) 미인식 실제객체에 대한 가상객체 데이터 운용방법 및 이를 위한 증강현실 장치와, 기록매체
JP2016122277A (ja)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表示端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KR101734730B1 (ko) 빔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간 형상 출력방법
JP2013068482A (ja) 方位補正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方位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08671B (zh) 数据校验方法及装置
JP2023075236A (ja) 軌跡表示装置
CN112817337B (zh) 获取路径的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671943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209610A (zh) 虚拟场景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6523353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1200187A1 (ja) 携帯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2015006476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