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522B1 -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 Google Patents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522B1
KR101734522B1 KR1020160084864A KR20160084864A KR101734522B1 KR 101734522 B1 KR101734522 B1 KR 101734522B1 KR 1020160084864 A KR1020160084864 A KR 1020160084864A KR 20160084864 A KR20160084864 A KR 20160084864A KR 101734522 B1 KR101734522 B1 KR 10173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shoe
floor
bottom contac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운
조휘영
박종현
김동혁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63Overshoes specially adapted for health or hygienic purposes, e.g.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llowing the discharge of electrostatic char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04Cleats; Simple studs; Screws; Hob-nail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는 외출시 깜박하고 놔두고 온 물품을 가져와야 되는 상황 등에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가정의 실내 바닥이나 군부대 침상 바닥을 더럽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는 실내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접촉판(10)과;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배치되어 외출용 신발(1)을 고정시키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의 외출용 신발(1)이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실내 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Shoes bottom device for indoor easy movement}
본 발명은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외출시 깜박하고 놔두고 온 물품을 가져와야 되는 상황 등에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가정의 실내 바닥이나 군부대 침상 바닥을 더럽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 관한 것이다.
군화 타입의 신발은 신발끈 매듭의 패턴이 복잡하여 신발끈 매듭을 묶어 신발을 신은 다음에는 신발을 다시 벗는데 번거로움이 많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군부대 등에서 군화 타입의 신발을 신은 후, 깜박하고 놔두고 온 물품 등을 가지러 가정의 실내로 다시 들어와야 되거나 군부대의 침상 위로 올라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번거롭게 신발끈 매듭을 풀어 신발을 벗어야 하는 불편함과 일정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9525호 "실내 운동용 쿠션신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바닥접촉판 상부면에 배치되는 고정구에 의해 외출용 신발이 간편하고 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출용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가정의 실내 바닥이나 군부대 침상 바닥을 더럽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군화 타입의 외출용 신발 치수에 상관없이 외출용 신발이 착탈가능하게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가정이나 군부대에서 비용부담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실내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닥접촉판(10)과;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배치되어 외출용 신발(1)을 고정시키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의 외출용 신발(1)이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실내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서 바닥접촉판(10)은, 실내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을 이루고,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부 베이스(11)와; 하부 베이스(11) 상부에 적층 결합되어 외출용 신발(1)의 밑창이 접촉하는 상부면을 이루고,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 베이스(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서 고정구(20)는, 바닥접촉판(10) 선단부위에 배치되고, "∩"형 수직단면 형상을 가져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관통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선단부 고정체(21)와; 바닥접촉판(10) 후단부위에 배치되고, "⊃"형 수평단면 형상을 가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가 밀착되게 끼워지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후단부 고정체(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서 선단부 고정체(21)는, 바닥접촉판(10) 선단부위 좌우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정간격만큼 이격 형성된 체결홈(1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고정대(211)와; 각 수직고정대(211)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212)과; 각 인장스프링(212)의 상단부에 좌우 양단부가 고정되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아치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 가압편(213)을 포함하여, 신발 가압편(213) 하측 공간으로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관통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서 후단부 고정체(22)는, 바닥접촉판(10) 후단부위 중앙부에 배치되고, 아치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 밀착면체(221)와; 신발 밀착면체(221)의 좌측으로 연장형성되고, ")"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 좌측면을 가압하게 되는 좌측 가압편(222)과; 신발 밀착면체(221)의 우측으로 연장형성되고, "("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 우측면을 가압하게 되는 우측 가압편(22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서 고정구(20)는, 선단부 고정체(21)와 후단부 고정체(22) 사이의 바닥접촉판(10) 중단부위 좌우측에 배치되고, 벨크로 부착면(231)(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위를 통해 서로 착탈 결합되는 고정밴드(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 의하면, 바닥접촉판 상부면에 배치되는 고정구에 의해 외출용 신발이 간편하고 장착되면서 외출용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가정의 실내 바닥이나 군부대 침상 바닥을 더럽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에 의하면, 군화 타입의 외출용 신발 치수에 상관없이 외출용 신발이 착탈가능하게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되는 구조가 제공되어 가정이나 군부대에서 비용부담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의 착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이루는 선단부 고정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이루는 후단부 고정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신발, 외출용 신발, 인장스프링, 벨크로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바닥접촉판(10), 고정구(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의 외출용 신발(1)이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실내 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바닥접촉판(10)은 실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 발바닥 형상의 수평단면을 갖는 평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접촉판(10)의 크기는 평균적인 신발치수를 고려하여 300mm 이하의 신발치수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400~500mm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접촉판(10)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베이스(11)와 상부 베이스(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베이스(11)는 실내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을 이루는 것으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외출용 신발(1)을 본 발명의 신발 바닥체(100)에 장착시킨 후, 실내를 이동하게 될 시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는 한편, 실내 바닥면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부 베이스(12)는 하부 베이스(11) 상부에 적층 결합되어 외출용 신발(1)의 밑창이 접촉하는 상부면을 이루는 것으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부 베이스(12)는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20)는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배치되어 외출용 신발(1)을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20)는 선단부 고정체(21), 후단부 고정체(22), 고정밴드(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선단부 고정체(21)는 바닥접촉판(10) 선단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형 수직단면 형상을 가져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관통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단부 고정체(21)는 도 4에서와 같이 한쌍의 수직고정대(211), 한쌍의 인장스프링(212), 신발 가압편(2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수직고정대(211)는 바닥접촉판(10) 선단부위 좌우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정간격만큼 이격 형성된 체결홈(1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외출용 신발()의 치수에 맞추어 후단부 고정체(22)로부터 적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체결홈(1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한쌍의 수직고정대(211)는 ")"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 좌측면을 가압하게 되는 좌측 수직고정대(211a)와 "("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 우측면을 가압하게 되는 우측 수직고정대(211b)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인장스프링(212)은 각 수직고정대(211)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신발 가압편(213)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것으로, 신발 가압편(213)에 하측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신발 가압편(213)은 각 인장스프링(212)의 상단부에 좌우 양단부가 고정되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아치 형상의 연성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선단부 고정체(21)의 신발 가압편(213) 하측 공간으로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관통 삽입되면서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고정된다. 여기서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신발 가압편(213) 하측 공간으로 관통 삽입될 시 신발 가압편(213)이 상승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신발 가압편(213) 상승 이동시 인장스프링(212)에 의해 신발 가압편(213)에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가되면서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후단부 고정체(22)는 바닥접촉판(10) 후단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형 수평단면 형상을 가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가 밀착되게 끼워지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단부 고정체(22)는 도 5에서와 같이 신발 밀착면체(221), 좌측 가압편(222), 우측 가압편(223)이 일체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신발 밀착면체(221)는 바닥접촉판(10) 후단부위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아치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 뒤꿈치 부위가 밀착되게 된다.
좌측 가압편(222)은 신발 밀착면체(221)의 좌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 좌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우측 가압편(223)은 신발 밀착면체(221)의 우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 우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고정밴드(23)는 선단부 고정체(21)와 후단부 고정체(22) 사이의 바닥접촉판(10) 중단부위 좌우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벨크로 부착면(231)(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위를 통해 서로 착탈 결합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23)에 의해 선단부 고정체(21)와 후단부 고정체(22)에 고정된 외출용 신발(1)이 바닥접촉판(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100)는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배치되는 고정구(20)에 의해 외출용 신발(1)이 간편하고 장착되도록 하므로, 외출용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가정의 실내 바닥이나 군부대 침상 바닥을 더럽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100)는 군화 타입의 외출용 신발(1)의 치수에 상관없이 외출용 신발(1)이 착탈가능하게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가정이나 군부대에서 비용부담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외출용 신발
10 : 바닥접촉판
11 : 하부 베이스
12 : 상부 베이스
13 : 체결홈
20 : 고정구
21 : 선단부 고정체
211 : 수직고정대
211a : 좌측 수직고정대
211b : 우측 수직고정대
212 : 인장스프링
213 : 신발 가압편
22 : 후단부 고정체
221 : 신발 밀착면체
222 : 좌측 가압편
223 : 우측 가압편
23 : 고정밴드
231, 232 : 벨크로 부착면
100 :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Claims (6)

  1. 실내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을 이루고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부 베이스(11)와, 하부 베이스(11) 상부에 적층 결합되어 외출용 신발(1)의 밑창이 접촉하는 상부면을 이루고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 베이스(12)로 이루어지는 바닥접촉판(10)과;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배치되어 외출용 신발(1)을 고정시키되, 바닥접촉판(10) 선단부위에 배치되고 "∩"형 수직단면 형상을 가져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관통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선단부 고정체(21)와, 바닥접촉판(10) 후단부위에 배치되고 "⊃"형 수평단면 형상을 가져 외출용 신발(1)의 후단부위가 밀착되게 끼워지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후단부 고정체(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의 외출용 신발(1)이 바닥접촉판(10)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용자의 실내 이동이 수행되도록 하되,
    선단부 고정체(21)는,
    바닥접촉판(10) 선단부위 좌우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정간격만큼 이격 형성된 체결홈(1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고정대(211)와; 각 수직고정대(211)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212)과; 각 인장스프링(212)의 상단부에 좌우 양단부가 고정되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아치 형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 가압편(213)을 포함하여, 신발 가압편(213) 하측 공간으로 외출용 신발(1)의 선단부위가 관통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20)는,
    선단부 고정체(21)와 후단부 고정체(22) 사이의 바닥접촉판(10) 중단부위 좌우측에 배치되고, 벨크로 부착면(231)(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위를 통해 서로 착탈 결합되는 고정밴드(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KR1020160084864A 2016-07-05 2016-07-05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KR10173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64A KR101734522B1 (ko) 2016-07-05 2016-07-05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64A KR101734522B1 (ko) 2016-07-05 2016-07-05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522B1 true KR101734522B1 (ko) 2017-05-11

Family

ID=5874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64A KR101734522B1 (ko) 2016-07-05 2016-07-05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013A (zh) * 2018-03-29 2018-06-29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方便防滑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794A (en) 1993-04-01 1994-11-29 Adelstein; Stephen Cleated shoe protector
JP2003000512A (ja) 2001-06-25 2003-01-07 Sowa:Kk 履物装着用拭き具
US20030154626A1 (en) 2000-08-25 2003-08-21 Larson Jon C. Anti-slip oversho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794A (en) 1993-04-01 1994-11-29 Adelstein; Stephen Cleated shoe protector
US20030154626A1 (en) 2000-08-25 2003-08-21 Larson Jon C. Anti-slip overshoe
JP2003000512A (ja) 2001-06-25 2003-01-07 Sowa:Kk 履物装着用拭き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013A (zh) * 2018-03-29 2018-06-29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方便防滑鞋
CN108209013B (zh) * 2018-03-29 2021-06-01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方便防滑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0009A3 (en) Article of footwear
BRPI0512929B8 (pt) artigo de calçados com almofada de calcanhar removível
WO2011163501A3 (en) Contoured support insole
US20100037485A1 (en) Slippers
KR20160073676A (ko)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KR101734522B1 (ko) 실내 간이이동용 착탈식 신발 바닥체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DE602006021781D1 (de) Schuhwerk als mattensocken
KR200478350Y1 (ko) 신발형 청소 기구
KR101357823B1 (ko)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AU2012201805A8 (en) Foot balance device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CN204600117U (zh) 一种新型穿鞋凳
KR20150004425U (ko) 3중 쿠션구조 신발
JP2016013231A (ja) 履物
KR102626233B1 (ko) 운동용 뒤꿈치 받침대
KR102234502B1 (ko) 양방향 착용이 가능한 슬리퍼
UA91723C2 (ru) Обувь как носки со стелькой
KR20130089421A (ko)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CN210143931U (zh) 一种抑菌拖鞋
CN215603528U (zh) 一种舒适脚床
CN215737185U (zh) 一种具有透气功能的儿童运动鞋
KR101535470B1 (ko)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1364273B1 (ko) 바지밑단 끌림방지용 클립
JP5686973B2 (ja) サンダ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