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483B1 -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483B1
KR101734483B1 KR1020150110251A KR20150110251A KR101734483B1 KR 101734483 B1 KR101734483 B1 KR 101734483B1 KR 1020150110251 A KR1020150110251 A KR 1020150110251A KR 20150110251 A KR20150110251 A KR 20150110251A KR 101734483 B1 KR101734483 B1 KR 10173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signal
network device
transmitted
md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759A (ko
Inventor
박노욱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1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4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6Digital 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digital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전화국사, 그리고 MDF(주배선반)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선택부, 그리고 전화국사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 선택부를 통해 출력된 제1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통합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SUBSCRIBER LINE}
본 발명은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가 인터넷(Giga internet)이 상용화되어 확대됨에 따라 기존의 100Mbps급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로 변경하고 있다.
아파트, 빌딩, 또는 연립 주택과 같은 밀집 주거 형태의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가입자 선로가 연결되어 있는 건물의 MDF(주배선반, Main Distribution Frame)를 거쳐 복수의 가입자 단말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가입자가 신청한 인터넷 상품과 가입자 선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된다.
신규 네트워크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신규 네트워크 장치의 가입자 단자와 MDF(주배선반)의 새로운 단자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장치가 추가될 때마다 인터넷 설치 기사가 네트워크 장치와 MDF(주배선반)를 일일이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 장치를 철거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와 MDF를 연결하고 있던 케이블의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케이블 폐기 및 구매로 인하여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네트워크 장치와 MDF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면, 기존 네트워크 장치와 신규 네트워크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건물의 MDF(주배선반)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MDF(주배선반) 단자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포트는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가입자 단말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기존 네트워크 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MDF(주배선반)의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신규 네트워크 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MDF(주배선반)의 제2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각 포트는 제3 단자의 포트와 연결되며 제3 단자의 포트는 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기존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던 가입자가 신규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일단이 가입자 단말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단이 MDF(주배선반)의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케이블을 찾는다. 이후, 가입자 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단말과 MDF(주배선반)의 제2 단자를 연결한다. 그러나, MDF(주배선반)는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및 복수의 가입자가 사용하는 장치라는 점에서 내부가 매우 복잡하여 가입자 케이블 및 신규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MDF(주배선반)의 빈 단자를 찾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건물 내 복수의 가입자 단말에 기존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또는 신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전화국사, 그리고 MDF(주배선반)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선택부, 그리고 전화국사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 선택부를 통해 출력된 제1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통합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며, 제1 통합 신호는 MDF(주배선반)을 통해 가입자 단말로 전송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통합 신호를 제2 음성 신호와 제2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분리부, 그리고 제2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리부는 스플리터(spl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 전달부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가 수신되는 경우 인에이블 신호를 전송한 네트워크 장치로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 전달부는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신호 선택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데이터 신호 선택부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 선택부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exclusive 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신호 생성부는 다중화기(multiplexer, MUX)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네트워크 장치와 신규 네트워크 장치 및 MDF(주배선반)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네트워크 장치와 MDF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와 MDF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선택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 칩(one chip) 형태의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설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와 MDF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면,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이하, '선로 연결 장치'라고 함)(200)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 제2 네트워크 장치(300), 전화국사(telephone office)(400), 그리고 MDF(주배선반)(50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MDF(주배선반)(500)의 단자는 가입자 단말(600)과 연결되어 있고 선로 연결 장치(200)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가입자 단말(6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선로 연결 장치(200)를 통해 가입자 A가 신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는 전화국사(400)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와 함께 MDF(주배선반)(500)로 전송되고, MDF(주배선반)(500)로 전송된 신호(데이터 신호와 음성 신호)는 MDF(주배선반)(500)의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A의 단말(600)로 전송된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장치(100)와 제2 네트워크 장치(300)는 서로 다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장치(100)는 초당 100메가비트(Mbps) 속도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되며, 제2 네트워크 장치(200)는 초당 기가 비트 속도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도 2에서 가입자 단말(6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MDF(주배선반)(500)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와 제2 네트워크 장치(300)가 선로 연결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네트워크 장치(100) 및 제2 네트워크 장치(300)와 다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선로 연결 장치에 더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선로 연결 장치(200)는 제1 포트(210), 제2 포트(220), 제3 포트(230), 제4 포트(240), 제어부(250), 그리고 선로 선택부(260)를 포함한다.
제1 포트(210)는 복수의 제1 포트(L1, L2, L3, … , Ln)를 포함하며, 제1 네트워크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선로 선택부(260)로 전송한다.
제2 포트(220)는 복수의 제2 포트(N1, N2, N3, … , Nn)를 포함하며, 제2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선로 선택부(260)로 전송한다.
제3 포트(230)는 복수의 제3 포트(P1, P2, P3, … , Pn)를 포함하며, 전화국사(4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선로 선택부(260)로 전송한다. 이때, 제3 포트(230)는 서지 프로텍터(Surge protector)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낙뢰 발생시 제3 포트(230)를 통해 과도한 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포트(240)는 복수의 제4 포트(C1, C2, C3, … , Cn)를 포함하며, 선로 선택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MDF(주배선반)(500)의 단자를 통해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
제어부(250)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에 기초하여 선로 선택부(260)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기 신호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동기 신호 또는 제어부(260)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이하 '클럭 신호(Clock signal)'라고 함)를 포함한다.
선로 선택부(260)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20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와 전화국사(4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통합 신호를 생성한다. 통합 신호는 제4 포트(240)를 통해 MDF(주배선반)(500)로 전송되며, MDF(주배선반)(500)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600)로 전송된다. 또한, 선로 선택부(260)는 서로 다른 제1 포트(210), 제2 포트(220), 제3 포트(230), 그리고 제4 포트(240)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선로 선택부(LS1, LS2, LS3, … ,LSn)를 포함한다.
도 3의 선로 연결 장치에 따르면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선로 선택부(260)의 신호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MDF(주배선반)(500) 및 가입자 단말(600)로 전송되는 통합 신호를 동기화하여 근단 누화 간섭(Near-End Crosstalk)을 완화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선택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선로 선택부(250-1)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 및 제2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며, 데이터 신호 선택부(251-1)와 통합 신호 생성부(252-1)를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 선택부(251-1)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250)에서 전송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신호 선택부(251-1)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와 제2 네트워크 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제1 네트워크 장치(100)와 제2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동시에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거나 데이터 신호가 하나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선택부(251-1)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exclusive OR gate)를 포함한다.
통합 신호 생성부(252-1)는 전화국사(4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 선택부(251-1)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결합하여 통합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통합 신호는 MDF(주배선반)(500)을 거쳐 가입자 단말(600)로 전송되며, 가입자 단말(600)에 설치되어 있는 스플리터(splitter)를 통해 데이터 신호와 음성 신호로 분리되어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통합 신호 생성부(252-2)는 다중화기(multiplexer, MUX)를 포함한다.
도 5의 선로 선택부(250-2)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 제2 네트워크 장치(300), 그리고 제3 네트워크 장치(7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며, 제1 데이터 신호 선택부(251-2), 제2 데이터 신호 선택부(252-2), 그리고 통합 신호 생성부(253-2)를 포함한다.
도 5의 선로 선택부(250-2)는 도 4의 선로 선택부(250-1)와 비교하여 제3 네트워크 장치(100)와 더 연결되어 있을 뿐, 각 구성은 도 4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선로 선택부(250-3)는 가입자 단말(600)로부터 MDF(주배선반)(500)을 거쳐 전송되는 통합 신호를 수신하며, 신호 분리부(251-3)와 데이터 신호 전달부(252-3)를 포함한다.
신호 분리부(251-3)는 수신된 통합 신호를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음성 신호를 전화국사(400)로 전송한다. 또한, 분리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신호 전달부(252-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 분리부(251-3)는 스플리터(splitter)를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 전달부(252-3)는 신호 분리부(251-3)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장치(100)와 제2 네트워크 장치(300)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 전달부(252-3)는 버퍼(buffer)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 칩(one chip) 형태의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복수의 선로 선택부(LS1, LS2, LS3, … ,LSn)를 하나로 통합한 원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래 설치되어 있던 제1 네트워크 장치와 MDF(주배선반)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와 MDF(주배선반)를 연결하고,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새로 추가되는 제2 네트워크 장치를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 추가시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장치, 제2 네트워크 장치,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및 MDF(주배선반)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는 데이터 신호 선택부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칭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의 회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1 네트워크 장치 200 : 선로 연결 장치
210 : 제1 포트 220 : 제2 포트
230 : 제3 포트 240 : 제4 포트
250 : 제어부 260 : 선로 선택부
300 : 제2 네트워크 장치 400 : 전화국사
500 : MDF(주배선반) 600 : 가입자 단말

Claims (8)

  1.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전화국사, 그리고 MDF(주배선반)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선택부, 그리고
    상기 전화국사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음성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 선택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통합 신호를 생성하는 통합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합 신호는 상기 MDF(주배선반)를 통해 가입자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데이터 신호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복수의 제1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통합 신호를 제2 음성 신호와 제2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신호 분리부는 스플리터(splitter)를 포함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전송한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 전달부는 버퍼(buffer)를 포함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6. 제1항에서,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선택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신호 선택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 선택부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exclusive OR gate)를 포함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통합 신호 생성부는 다중화기(multiplexer, MUX)를 포함하는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KR1020150110251A 2015-08-04 2015-08-04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KR10173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51A KR101734483B1 (ko) 2015-08-04 2015-08-04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51A KR101734483B1 (ko) 2015-08-04 2015-08-04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59A KR20170016759A (ko) 2017-02-14
KR101734483B1 true KR101734483B1 (ko) 2017-05-11

Family

ID=5812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51A KR101734483B1 (ko) 2015-08-04 2015-08-04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4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047A2 (ko) * 2010-05-03 2011-11-10 주식회사 케이티 다양한 유형의 통신 신호를 통합 중계하는 통합 중계기 및 통합 중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047A2 (ko) * 2010-05-03 2011-11-10 주식회사 케이티 다양한 유형의 통신 신호를 통합 중계하는 통합 중계기 및 통합 중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59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5534B1 (en) Commmunications network
EP1883267A2 (en) PON system, station side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1799771B2 (en) Circuitry for demarcation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JP5375453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
KR101734483B1 (ko) 가입자 선로 연결 장치
US95850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data plane redundancy
CN104918024A (zh) 交叉点矩阵系统及其数据处理方法
CN110719422A (zh) 一种高清晰度多媒体接口hdmi信号的传输方法和系统
KR20140035397A (ko) Dsl 백채널 통신 방법 및 장치
EP1135923B1 (en) A method for the distribution and transfer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ignals, as well as a signal distribution arrangement for the transfer of the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ignals
KR101803420B1 (ko) TDX의 가입자 보드를 이용한 VoIP 액세스 게이트웨이
KR100288743B1 (ko) 링네트워크로구성된광전송시스템에서오더와이어를이용한경로절체장치및방법
AU68354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over an HDSL transmission link
US20240053556A1 (en) Olts with meshed interconnection
KR102061970B1 (ko) 증설용 분기기
US8427937B1 (en) Bridging for SONET/SDH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EP24425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service of optical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network
JP2022060955A (ja) 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構築方法
NL1025305C2 (nl) Digitaletransmissiesysteem met multiplexer in distributie-inrichting.
JP6065660B2 (ja) 環線系統保護継電器システム
US2006003939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ommodating subscriber line
KR100425587B1 (ko) 전주형 오앤유 시스템에서의 스플리터 내장형 단자반
KR20040108256A (ko) 방송/통신 신호 융합용 전송 시스템
CN116112834A (zh) 中间件系统及网关装置
WO2001050775A2 (en) Method for increasing data transfer capacity of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such as a cable televis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