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246B1 -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246B1
KR101734246B1 KR1020150162759A KR20150162759A KR101734246B1 KR 101734246 B1 KR101734246 B1 KR 101734246B1 KR 1020150162759 A KR1020150162759 A KR 1020150162759A KR 20150162759 A KR20150162759 A KR 20150162759A KR 101734246 B1 KR101734246 B1 KR 10173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oling water
passage
holder plat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F16K31/524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with a valve member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2Inter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4Lubricant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8Cabin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은, 밸브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제1냉각수통로가 형성된 통로형성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상기 제1냉각수통로를 개폐하도록 배치되고, 제1밸브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외주면 일측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제2냉각수통로가 형성되고, 이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2밸브부재,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1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1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1밸브부재가 상기 제1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부분에 고정되고, 그 일면은 상기 제2밸브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홀더플레이트,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2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2밸브부재가 상기 제2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1,2밸브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2탄성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밸브부재에서 각각 연장된 로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를 움직여서 상기 로드를 통해서 상기 제1,2밸브부재를 상기 제1,2탄성부재가 배치된 방향으로 누르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ENGINE SYSTEM HAVING COOLANT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밸브부재가 높이차이를 가지고 배치되어, 전체적인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줄이고, 보다 유연한 밸브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열에너지로 배출된다. 특히, 냉각수는 엔진, 히터, 및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방출한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오일의 점성이 높아져서 마찰력이 증가하고, 연료소모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배기가스의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여 촉매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배기가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의 기능이 정상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과도하면, 노킹이 발생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윤활유의 온도가 과도하면 윤활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특정부위는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 다른 부위는 낮게 유지하는 등 하나의 밸브를 통해서 여러 개의 냉각요소를 제어하는 하나의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하나의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히터, 오일쿨러 등으로 분배되는 냉각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하나의 밸브하우징 내부에 여러 개의 밸브부재를 평면상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전체적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사이즈가 증가하여, 중량이 증가하고, 설계 및 배치의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부재의 배치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전체적인 밸브유닛의 사이즈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설계 및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은, 밸브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제1냉각수통로가 형성된 통로형성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상기 제1냉각수통로를 개폐하도록 배치되고, 제1밸브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외주면 일측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제2냉각수통로가 형성되고, 이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2밸브부재,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1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1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1밸브부재가 상기 제1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부분에 고정되고, 그 일면은 상기 제2밸브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홀더플레이트,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2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2밸브부재가 상기 제2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1,2밸브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2탄성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밸브부재에서 각각 연장된 로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를 움직여서 상기 로드를 통해서 상기 제1,2밸브부재를 상기 제1,2탄성부재가 배치된 방향으로 누르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설정거리 리프트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2밸브부재의 형상을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2밸브부재가 형성하는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서 겹침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2냉각수통로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의 위치보다 상기 제2밸브부재의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외주면 타측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제3냉각수통로가 형되고, 이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3밸브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타측면에서 연장된 부분에 고정되고, 그 일면은 상기 제3밸브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3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3밸브부재가 상기 제3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설정거리 리프트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2,3밸브부재의 형상을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2밸브부재가 형성하는 영역과 상기 제2,3밸브부재가 형성하는 영역은 일부가 각각 겹쳐져서 겹침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2,3냉각수통로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의 위치보다 상기 제2밸브부재 및 제3밸브부재의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캠부재에는 상기 제1,2밸브부재에서 각각 연장되는 로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프로파일면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구동부는 전동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시스템은 실린더블록 위에 설치되는 실린더헤드, 상기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헤드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이를 각 냉각요소에 분배하는 제1항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요소는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라디에이터, 및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데우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상기 제1냉각수통로는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2냉각수통로는 상기 히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설정거리 리프트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2밸브부재의 형상을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2밸브부재가 형성하는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겹쳐져서 겹침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2냉각수통로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의 위치보다 상기 제2밸브부재의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냉각수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하고, 평면상 보았을 때 서로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를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함으로써, 배치관계에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이즈 축로로 인하여 중량을 감소시키고, 설치 레이아웃이 심플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시스템에서 냉각수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개략적인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에서 밸브유닛의 겹침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일부 분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시스템에서 냉각수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시스템은 실린더헤드(100), 실린더블럭(110), 냉각수 제어밸브(120), 이지알쿨러(130), 히터코어(140), 라디에이터(150), 오일쿨러(160), 냉각수펌프(18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120)는 상기 실린더헤드(100)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이지알쿨러(130)와 상기 히터코어(14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어하고, 상기 라디에이터(15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어하고, 상기 오일쿨러(16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120)를 제어하여, 상기 히터코어(140), 상기 이지알쿨러(130), 상기 라디에이터(150), 및 상기 오일쿨러(160)로 분배되는 냉각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펌프(180)는 상기 히터코어(140), 상기 이지알쿨러(130), 상기 라디에이터(150), 및 상기 오일쿨러(160)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흡입하고, 상기 실린더블럭(110)의 일측으로 냉각수를 펌핑한다.
상기 실린더블럭(110)으로 공급된 냉각수의 일부는 상기 실린더헤드(100)의 하부 일측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상기 실린더블럭(110)의 내부 냉각수자켓을 흐른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100)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실린더헤드(100)의 내부 냉각수자켓을 흐른다.
상기 실린더헤드(100)를 지나는 냉각수와 상기 실린더블럭(110)을 지나는 냉각수는 합쳐저서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120)의 입구측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코어(140)는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데우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이지알쿨러(130)는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배기라인에서 흡기라인으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오일쿨러(160)는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엔진 또는 변속기를 순환하는 오일의 온도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라디에이터(150)는 공급되는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개략적인 내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20)은 밸브하우징(250), 제1홀더플레이트(241), 제1탄성부재(261), 제1밸브부재(201), 제1냉각수통로(231), 통로형성부재(220), 제2냉각수통로(232), 제2밸브부재(202), 제2탄성부재(262), 제2홀더플레이트(242), 제3냉각수통로(233), 제3밸브부재(203), 제3탄성부재(263), 제3홀더플레이트(243), 로드(280), 캠부재(210), 및 바닥면(27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하우징(250)의 내부에는 바닥면(27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270)의 중심부에 상기 제1홀더플레이트(241)가 배치된다. 상기 제1홀더플레이트(241)와 대응하여 제1탄성부재(261) 및 상기 제1밸브부재(201)가 배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밸브부재(201)의 하부면과 상기 제1홀더플레이트(241)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261)가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고, 상기 제1밸브부재(201)는 상기 제1냉각수통로(231)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261)는 상기 제1밸브부재(201)를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201)가 상기 제1냉각수통로(231)를 폐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냉각수통로(231)는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상기 통로형성부재(220)를 통해서 냉각수가 상기 라디에이터(150)로 분배된다.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의 외주면 일측(도면에서 왼쪽)에는 제2홀더플레이트(242)가 연장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242)는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에서 연장된 부분에 체결되거나,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242)와 대응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262), 및 상기 제2밸브부재(202)가 배치되며, 상기 제2밸브부재(202)의 하부면과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242)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262)가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202)는 상기 제2냉각수통로(232)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262)는 상기 제2밸브부재(202)를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2밸브부재(202)가 상기 제2냉각수통로(232)를 폐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냉각수통로(232)를 통해서 냉각수가 상기 히터(140) 또는 상기 이지알쿨러(130)로 분배된다.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의 외주면 타측(도면에서 오른쪽)에는 제3홀더플레이트(243)가 연장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243)는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에서 연장된 부분에 체결되거나, 상기 통로형성부재(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243)와 대응하여 상기 제3탄성부재(263), 및 상기 제3밸브부재(203)가 배치되며, 상기 제3밸브부재(203)의 하부면과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243)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제3탄성부재(263)가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고, 상기 제3밸브부재(203)는 상기 제3냉각수통로(233)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탄성부재(263)는 상기 제3밸브부재(203)를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3밸브부재(203)가 상기 제3냉각수통로(233)를 폐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냉각수통로(233)를 통해서 냉각수가 상기 오일쿨러(160)로 분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3밸브부재(201, 202, 203)는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그 외경이 작아지는 삿갓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2,3밸브부재(201, 202, 203)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각각 로드(28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280)는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는 상기 캠부재(210)의 하부면에 각각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170)는 모터(420)를 통해서 상기 캠부재(21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캠부재(210)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각 로드(280)를 하부로 밀어서, 상기 제1,2,3밸브부재(201, 202, 203)가 상기 제1,2,3냉각수통로(231, 232, 233)를 개폐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에서 밸브유닛의 겹침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120)을 상부측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상기 제1,2밸브부재(201, 202) 사이에 겹침영역(300)이 형성되고, 상기 제2,3밸브부재(202, 203) 사이에 겹침영역(3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2,3밸브부재(201, 202, 203)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겹침영역(300)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밸브하우징(25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설계 및 설치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일부 분해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캠부재(210)의 상부에 모터(420)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420)가 상기 캠부재(210)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캠부재(210)의 하부면에는 제1,2밸브부재(201, 020)에 대응하는 캠부재프로파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210)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캠부재(210)가 상기 제1,2밸브부재(201, 202)를 각각 하부로 밀어내는 구조로 냉각수통로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1,2밸브부재(201, 202)의 외주면에는 냉각수통로(410)의 내주면과 실링구조를 형성하는 실링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실린더헤드 110: 실린더블럭
120: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130: 이지알쿨러
140: 히터코어 150: 라디에이터
160: 오일쿨러 170: 제어부
180: 냉각수펌프 250: 밸브하우징
280: 로드 210: 캠부재
270: 바닥면 220: 통로형성부재
241: 제1홀더플레이트 242: 제2홀더플레이트
243: 제3홀더플레이트 261: 제1탄성부재
262: 제2탄성부재 263: 제3탄성부재
231: 제1냉각수통로 232: 제2냉각수통로
233: 제3냉각수통로 201: 제1밸브부재
202: 제2밸브부재 203: 제3밸브부재

Claims (14)

  1. 밸브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제1냉각수통로가 형성된 통로형성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상기 제1냉각수통로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1밸브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외주면 일측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제2냉각수통로가 형성되고, 이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2밸브부재;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1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1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1밸브부재가 상기 제1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부분에 고정되고, 그 일면은 상기 제2밸브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홀더플레이트;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2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2밸브부재가 상기 제2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1,2밸브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2탄성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2밸브부재에서 각각 연장된 로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를 움직여서 상기 로드를 통해서 상기 제1,2밸브부재를 상기 제1,2탄성부재가 배치된 방향으로 누르는 밸브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설정거리 리프트된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제1,2밸브부재의 형상을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1,2밸브부재가 형성하는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서 겹침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1,2냉각수통로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의 위치보다 상기 제2밸브부재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5. 제1항에서,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외주면 타측에서 설정된 거리를 두고 제3냉각수통로가 형되고, 이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3밸브부재;
    상기 통로형성부재의 타측면에서 연장된 부분에 고정되고, 그 일면은 상기 제3밸브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홀더플레이트; 및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와 상기 제3밸브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제3밸브부재가 상기 제3냉각수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제3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6. 제5항에서,
    상기 제3홀더플레이트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설정거리 리프트된 높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7. 제6항에서,
    상기 제2,3밸브부재의 형상을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제2,3밸브부재가 형성하는 영역은 일부가 각각 겹쳐져서 겹침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8. 제6항에서,
    상기 제1,3냉각수통로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의 위치보다 제3밸브부재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9. 제1항에서,
    상기 캠부재에는 상기 제1,2밸브부재에서 각각 연장되는 로드의 단부와 접촉하는 프로파일면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구동부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10. 실린더블록 위에 설치되는 실린더헤드;
    상기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헤드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공급받고, 이를 각 냉각요소에 분배하는 제1항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냉각요소는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라디에이터; 및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데우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의 상기 제1냉각수통로는 상기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2냉각수통로는 상기 히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시스템.
  12. 제10항에서,
    상기 제2홀더플레이트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설정거리 리프트된 높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62759A 2015-11-19 2015-11-19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KR101734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59A KR101734246B1 (ko) 2015-11-19 2015-11-19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59A KR101734246B1 (ko) 2015-11-19 2015-11-19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246B1 true KR101734246B1 (ko) 2017-05-11

Family

ID=5874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59A KR101734246B1 (ko) 2015-11-19 2015-11-19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24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18A (ko) * 2016-07-22 2018-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KR20190033296A (ko) * 2017-09-21 2019-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 유닛
KR20190033295A (ko) * 2017-09-21 2019-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밀 유량 제어 밸브유닛
EP3480501A1 (en) * 2017-11-01 2019-05-08 Hyundai Motor Company Coolant control valve unit
KR20190053353A (ko) * 2017-11-10 201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190073184A (ko) * 2017-12-18 2019-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200031906A (ko) * 2018-09-17 2020-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 유닛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00047156A (ko) * 2018-10-26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유량 제어 밸브 및 통합 유량 제어 밸브를 갖는 엔진 시스템
KR20210045814A (ko) * 2019-10-17 2021-04-27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주식회사 수온조절기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CN113738916A (zh) * 2020-05-29 2021-1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换向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7416A (ja) * 2010-01-14 2013-05-16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体回路のための制御バルブ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7416A (ja) * 2010-01-14 2013-05-16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体回路のための制御バルブユニット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818A (ko) * 2016-07-22 2018-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KR102383219B1 (ko) 2016-07-22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KR102359945B1 (ko) 2017-09-21 2022-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 유닛
KR20190033296A (ko) * 2017-09-21 2019-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 유닛
KR20190033295A (ko) * 2017-09-21 2019-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밀 유량 제어 밸브유닛
KR102359942B1 (ko) 2017-09-21 2022-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정밀 유량 제어 밸브유닛
EP3480501A1 (en) * 2017-11-01 2019-05-08 Hyundai Motor Company Coolant control valve unit
US10627008B2 (en) 2017-11-01 2020-04-21 Hyundai Motor Company Coolant control valve unit
KR20190053353A (ko) * 2017-11-10 201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102394584B1 (ko) 2017-11-10 2022-05-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190073184A (ko) * 2017-12-18 2019-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102429023B1 (ko) 2017-12-18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200031906A (ko) * 2018-09-17 2020-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 유닛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06939B1 (ko) 2018-09-17 2023-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 밸브 유닛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00047156A (ko) * 2018-10-26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유량 제어 밸브 및 통합 유량 제어 밸브를 갖는 엔진 시스템
KR102552090B1 (ko) 2018-10-26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유량 제어 밸브 및 통합 유량 제어 밸브를 갖는 엔진 시스템
KR20210045814A (ko) * 2019-10-17 2021-04-27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주식회사 수온조절기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372104B1 (ko) * 2019-10-17 2022-03-07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수온조절기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CN113738916A (zh) * 2020-05-29 2021-1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换向阀
CN113738916B (zh) * 2020-05-29 2022-07-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换向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246B1 (ko) 냉각수 제어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KR101619278B1 (ko) 냉각수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US5337704A (en) Engine cooling system with thermostat coolant flow control between head and block
KR101703615B1 (ko) 인서트를 구비한 실린더블록 워터자켓 구조
KR101744834B1 (ko)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KR101575338B1 (ko) 엔진의 냉각수 제어밸브
CN102135048A (zh) 包括冷却回路的内燃机的气缸盖
CN101315042B (zh) 一种v型发动机及其冷却系统
US10024219B2 (en) Engine system having coolant control valve
KR102371257B1 (ko)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을 구비한 엔진 냉각시스템
US10890100B2 (en) Integrated flow control valve and eng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2061974A (zh) 强制风冷发动机
CN102639835A (zh) 发动机的冷却装置
CN102337957A (zh) 一种新型液冷摩托车冷却器
US20200049057A1 (en) Coolant control valve, cool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791999A (zh) 发动机的冷却装置
EP3480501B1 (en) Coolant control valve unit
KR102371258B1 (ko)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각시스템
CN202187819U (zh) 一种新型液冷摩托车冷却器
KR101703627B1 (ko)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KR102394544B1 (ko)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을 갖는 엔진
CN107013356A (zh) 发动机及具有其的车辆
JP6011123B2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2014070562A (ja) 内燃機関
JP5994665B2 (ja) 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