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817B1 -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817B1
KR101733817B1 KR1020120113140A KR20120113140A KR101733817B1 KR 101733817 B1 KR101733817 B1 KR 101733817B1 KR 1020120113140 A KR1020120113140 A KR 1020120113140A KR 20120113140 A KR20120113140 A KR 20120113140A KR 101733817 B1 KR101733817 B1 KR 10173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output
contac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917A (ko
Inventor
심수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8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Abstract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입출력접점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설정단자,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접점 또는 상기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상기 입출력접점을 연결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출력접점을 통하여 수신하는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

Description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PLC SYSTEM FOR CHOOSING BETWEEN INPUT OR OUTPUT CONTACT}
본 발명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LC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적인 컨트롤러이다. PLC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기계 등의 설비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서 내부에 프로그램된 내용대로 처리한 이후에 처리된 신호를 설비로 출력한다.
PLC는 릴레이, 타이머 및 카운터 등과 같은 제어장치의 기능을 집적소자 및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로 대체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시퀀스(Sequence) 제어 기능에 수치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고, 내부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로직을 수행한다. PLC는 장치제어, 장치 수치세팅, 시간제어, 실시간감시, 실시간 데이터수집, 및 안전장치 가동 등 다양한 작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계 등의 설비의 추가 및 변경에도 손쉽게 대처 가능하다.
외부기기와 입출력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PLC 시스템은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각각 연결된 입력접점과 출력접점을 구비하고 있고, 각 접점은 내부 회로를 통해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PLC 시스템의 접점 구조는, 각 단자의 기능이 입력기능 또는 출력기능으로 고정되어 있어, 입출력단자를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입출력접점을 이용하여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를 선택할 수 있는 PLC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입출력접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를 선택할 수 있는 PLC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입출력접점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설정단자;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입출력접점을 연결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연결에 따라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및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입출력접점을 통하여 수신하는 외부 신호로부터 제어부,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복수의 입력단자 및 복수의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스위칭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이 입력단자접점, 출력단자접점 및 입출력접점을 구비하고, 각각의 입력단자접점이 입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며, 각각의 출력단자접점이 출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고, 설정단자는 각각의 스위칭부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는 입출력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송신하는 설정입력부;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입출력접점과 연결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연결에 따라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및 선택신호를 설정단자를 통하여 수신하고, 입출력접점이 연결된 단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복수의 입력단자 및 복수의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스위칭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이 입력단자접점, 출력단자접점 및 입출력접점을 구비하고, 각각의 입력단자접점이 입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며, 각각의 출력단자접점이 출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고, 설정입력부는 각각의 스위칭부에 대응하여 선택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는 입출력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상기 설정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점선택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출력접점을 통하여 수신하는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입출력단자를 이용하여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PLC 시스템과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단자의 수를 줄일 수 있어, PLC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PLC 시스템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수를 줄일 수 있어, PLC 시스템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PLC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듈형 PLC 시스템의 입력 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3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4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종래의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LC 시스템(1)은 CPU(11), 입력단자(12), 출력단자(13), 보호회로(14), 입력접점(15) 및 출력접점(16)으로 구성된다. 입력단자(12), 츨력단자(13), 보호회로(14), 입력접점(15) 및 출력접점(16)의 개수는 PLC 시스템(1)의 운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입력단자(12), 출력단자(13), 보호회로(14), 입력접점(15) 및 출력접점(16)은 도면상 복수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입력단자(12), 출력단자(13), 보호회로(14), 입력접점(15) 및 출력접점(16)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CPU(11)는 입력단자(12) 및 츨력단자(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단자(12) 및 출력단자(13)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PLC 시스템(1)의 운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접점(15) 및 출력접점(16)은 보호회로(14)를 통해 PLC 시스템(1)의 CPU(11)의 입력단자(12) 및 출력단자(13)와 연결되어 있고, PLC 시스템(1)은 입력접점(15) 및 출력접점(16)을 통하여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입력단자(12)와 입력접점(15)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13)와 출력접점(16)이 연결되어 있어, 외부 기기에서 송신한 신호를 CPU(11)가 수신할 수 있다.
보호회로(14)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로부터 PLC 시스템(1)의 내부의 CPU(11), 입력단자(12) 및 출력단자(13)를 보호한다.
도 2는 종래의 모듈형 PLC 시스템의 입력 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모듈형 PLC 시스템(2)은 CPU모듈(21), 입출력 모듈(22), 보호회로(25), 입력접점(26) 및 출력접점(27)으로 구성된다.
입출력모듈(22)은 입력단자(23)와 출력단자(24)로 구성된다.
입력단자(23), 출력단자(24), 보호회로(25), 입력접점(26) 및 출력접점(27)은 도면상 복수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입력단자(23), 출력단자(24), 보호회로(25), 입력접점(26) 및 출력접점(2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입출력 모듈(22)은 입력단자(23)와 출력단자(24)를 구비하고 있으며, CPU 모듈(21)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CPU 모듈(21)도 입출력 모듈(22)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따라서, 입출력 모듈(22)은 CPU모듈(21)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따라 입력단자(23) 및 출력단자(24)를 제어할 수 있다.
CPU 모듈(21)은 입력단자(23) 및 출력단자(2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입출력 모듈(22)을 통하여 제어하고, PLC 시스템(2)의 운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단자(23)와 입력접점(26)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24)와 출력접점(27)이 연결되어 있어,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송신한 신호를 CPU 모듈(21)이 수신할 수 있다.
보호회로(25)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로부터 PLC 시스템(2)의 내부의 CPU 모듈(21), 입출력 모듈(22), 입력단자(23) 및 출력단자(24)를 보호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와 같은 PLC 시스템은,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출력단자의 선택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3)은 제어부(31),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설정단자(34), 보호회로(35), 스위칭부(36) 및 입출력접점(37)으로 구성된다.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보호회로(35), 설정단자(34), 스위칭부(36) 및 입출력접점(37)은 도면상 복수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설정단자(34), 스위칭부(36) 및 입출력접점(3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설정단자(34)를 포함한다.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는 입출력접점(37)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송신한 신호를 제어부(31)가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PLC 시스템(3)의 운용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신호(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설정단자(34)는 제어부(3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37)로 송신한다.
스위칭부(36)는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을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한다. 입출력접점(37)을 통하여, PLC 시스템(3)은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PLC 시스템(3)의 프로그램 작성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입출력접점(37)은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와의 연결에 의하여, 입력접점 및 출력접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접점(37)을 통하여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는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접점(37)이 입력, 출력기능을 모두 구비하기 때문에, PLC 시스템(3)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PLC 시스템(3)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회로(35)는, 외부 기기의 신호로부터 PLC 시스템(3)의 제어부(31),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보호하며,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와 스위칭부(36) 사이에 배치된다. 포토커플러(Photo-Coupler) 등이 보호회로(35)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3)은 제어부(31),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설정단자(34), 보호회로(35), 스위칭부(36), 입출력접점(37) 및 설정입력부(38)로 구성된다.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구비한다.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는 입출력접점(37)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송신한 신호를 제어부(31)가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PLC 시스템(3)의 운용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사용자는 PLC 시스템(3)의 운용상황에 따라, 설정입력부(38)를 통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입력부(38)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가 접점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설정입력부(38)는 사용자로부터 접점선택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설정입력부(38)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신호(선택신호)를 스위칭부(36) 및 제어부(31)로 송신한다.
스위칭부(36)는 설정입력부(38)를 통하여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을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한다. 따라서, PLC 시스템(3)은 입출력접점(37)을 통하여,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접점에 대한 선택신호를 설정입력부(38)가 스위칭부(36)로 직접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1)의 설정단자(34) 통하여 선택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비하여, 선택신호 송신 시간을 줄일 수 있고, PLC 시스템(3)의 운용에 대한 상황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1)를 통하지 않고서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PLC 시스템(3)을 운용하기에 편리하다.
제어부(31)는 수신한 선택신호를 통하여, 스위칭부(36)가 선택한 단자가 입력단자(32)인지 또는 출력단자(33)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를 제어한다.
설정입력부(38)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격에서 무선단말기 등을 통하여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에서 PLC 시스템(3)을 운용할 수 있다.
입출력접점(37)은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와의 연결에 의하여, 입력접점 및 출력접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PLC 시스템(3)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PLC 시스템(3)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회로(35)는, 외부 기기의 신호로부터 PLC 시스템(3)의 제어부(31),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보호하며,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와 스위칭부(36) 사이에 배치된다. 포토커플러(Photo-Coupler) 등이 보호회로(35)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3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3)은 제어부(31), 입출력 모듈(39), 보호회로(35), 스위칭부(36) 및 입출력접점(37)으로 구성된다.
입출력 모듈(39)은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31)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제어부(31)도 입출력 모듈(39)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따라서, 입출력 모듈(39)은 제어부(31)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따라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는 입출력접점(37)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송신한 신호를 제어부(31)가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고, PLC 시스템(3)의 운용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신호(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설정단자(34)는 제어부(31)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37)로 송신한다.
스위칭부(36)는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을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한다. 입출력접점(37)을 통하여, PLC 시스템(3)은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PLC 시스템(3)의 프로그램 작성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입출력접점(37)은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와의 연결에 의하여, 입력접점 및 출력접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접점(37)을 통하여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는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접점(37)이 입력, 출력기능을 모두 구비하기 때문에, PLC 시스템(3)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PLC 시스템(3)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회로(35)는, 외부 기기의 신호로부터 PLC 시스템(3)의 제어부(31),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보호하며,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와 스위칭부(36) 사이에 배치된다. 포토커플러(Photo-Coupler) 등이 보호회로(35)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4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3)은 제어부(31), 입출력 모듈(39), 보호회로(35), 스위칭부(36) 및 입출력접점(37)으로 구성된다.
입출력 모듈(39)은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31)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제어부(31)도 입출력 처리부(39)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따라서, 입출력 모듈(39)은 제어부(31)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따라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는 입출력접점(37)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송신한 신호를 제어부(31)가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송신,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고, PLC 시스템(3)의 운용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사용자는 PLC 시스템(3)의 운용상황에 따라, 설정입력부(38)를 통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입력부(38)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가 접점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설정입력부(38)는 사용자로부터 접점선택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설정입력부(38)는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하여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하는 신호(선택신호)를 스위칭부(36) 및 제어부(31)로 송신한다.
스위칭부(36)는 설정입력부(38)를 통하여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을 입출력접점(37)과 연결한다. 따라서, PLC 시스템(3)은 입출력접점(37)을 통하여,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접점에 대한 선택신호를 설정입력부(38)가 스위칭부(36)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모듈(39)의 설정단자(34)를 통하여 선택신호를 송신하는 것보다, 선택신호 송신 시간을 줄일 수 있어, PLC 시스템(3)의 운용에 대한 상황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1)를 통하지 않고서 입력단자접점(A) 또는 출력단자접점(B)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PLC 시스템(3)을 운용하기에 편리하다.
제어부(31)는 수신한 선택신호를 통하여, 스위칭부(36)가 선택한 단자가 입력단자(32)인지 또는 출력단자(33)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31)는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를 제어한다.
설정입력부(38)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격에서 무선단말기 등을 통하여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에서 PLC 시스템(3)을 운용할 수 있다.
입출력접점(37)은 입력단자(32) 또는 출력단자(33)와의 연결에 의하여, 입력접점 및 출력접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PLC 시스템(3)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PLC 시스템(3)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회로(35)는, 외부 기기의 신호로부터 PLC 시스템(3)의 제어부(31), 입력단자(32), 출력단자(33) 및 설정단자(34)를 보호하며, 입력단자(32) 및 출력단자(33)와 스위칭부(36) 사이에 배치된다. 포토커플러(Photo-Coupler) 등이 보호회로(35)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1 : 제어부 32 : 입력단자
33 : 출력단자 34 : 설정단자
35 : 보호회로 36 : 스위칭부
37 : 입출력접점 38 : 설정입력부
39 : 입출력 모듈

Claims (8)

  1.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입출력접점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설정단자;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접점 또는 상기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상기 입출력접점을 연결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출력접점을 통하여 수신하는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입력단자 및 복수의 상기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이 상기 입력단자접점, 상기 출력단자접점 및 상기 입출력접점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입력단자접점이 상기 입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출력단자접점이 상기 출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고,
    상기 설정단자는 각각의 상기 스위칭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PLC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는, 입출력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PLC 시스템.
  4.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접점 또는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송신하는 설정입력부;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접점 또는 상기 출력단자접점을 선택하여 상기 입출력접점과 연결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연결에 따라 상기 입출력접점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및
    상기 선택신호를 설정단자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입출력접점이 연결된 단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입력단자 및 복수의 상기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이 상기 입력단자접점, 상기 출력단자접점 및 상기 입출력접점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입력단자접점이 상기 입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출력단자접점이 상기 출력단자에 일대일로 연결되고,
    상기 설정입력부는 각각의 상기 스위칭부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신호를 송신하는 PLC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설정단자는, 입출력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PLC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접점선택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는 PLC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스위칭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출력접점을 통하여 수신하는 외부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부,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더 포함하는 PLC 시스템.
KR1020120113140A 2012-10-11 2012-10-11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KR10173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40A KR101733817B1 (ko) 2012-10-11 2012-10-11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40A KR101733817B1 (ko) 2012-10-11 2012-10-11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917A KR20140046917A (ko) 2014-04-21
KR101733817B1 true KR101733817B1 (ko) 2017-05-08

Family

ID=5065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140A KR101733817B1 (ko) 2012-10-11 2012-10-11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8963B (zh) * 2016-09-12 2018-10-26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多控制台电控系统的急停保护控制方法
US11266019B2 (en) * 2019-10-22 2022-03-01 Hayward Industries, Inc. Modular wiring system for actuators
CN116300673A (zh) * 2023-01-11 2023-06-23 广东鸿业管桩有限公司 基于中间继电器的plc数字量输入模块内部电路保护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034B1 (ko) * 1999-01-21 2001-11-05 위성동 프로그램가능 논리 제어기 출력 구동을 위한 실험실습 키트
KR100316580B1 (ko) * 1999-09-30 2001-12-12 이익재 메모리 포트 연결방식을 이용한 입/출력부 자동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034B1 (ko) * 1999-01-21 2001-11-05 위성동 프로그램가능 논리 제어기 출력 구동을 위한 실험실습 키트
KR100316580B1 (ko) * 1999-09-30 2001-12-12 이익재 메모리 포트 연결방식을 이용한 입/출력부 자동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917A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956B1 (ko) 아날로그 입력모듈
US9300144B2 (en) Integrated drive motor power interface
JP5384600B2 (ja) Plcシステム
KR101733817B1 (ko) 입출력단자를 선택하는 plc 시스템
JP2015176191A (ja) コントローラ
CN103270771A (zh) 显示器集成控制系统和显示器集成输入装置
JP5525065B2 (ja) 安全増設ベース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192244A (ja) 安全スイッチ
US2019026830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CN104181836A (zh) 信号切换装置
US10520910B2 (en) I/O expansion for safety controller
CN207424602U (zh) 应用于多电机监控的有线与无线监控系统
KR101593835B1 (ko) Plc 시스템
JP2017175278A (ja) シリアル通信分岐機器およびシリアル通信システム
CN109696877A (zh) 输出单元、输入单元及输入输出系统
KR101713353B1 (ko)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
CN104698916A (zh) 用于操作自动化装置的方法
US10209699B2 (en) Machine control panel
KR101308807B1 (ko)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
CN105068516A (zh) 集散控制设备冗余总线管理系统
JP2012129862A (ja) 通信モジュール
KR20190050385A (ko) 입출력장치를 구비하는 공정 시스템
CN106647445A (zh) 基于modbus‑rtu协议的现场总线控制模块
CN210744828U (zh) 通信装置及配电终端远程运维系统
KR101996898B1 (ko)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