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04B1 -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 Google Patents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04B1
KR101733604B1 KR1020160043971A KR20160043971A KR101733604B1 KR 101733604 B1 KR101733604 B1 KR 101733604B1 KR 1020160043971 A KR1020160043971 A KR 1020160043971A KR 20160043971 A KR20160043971 A KR 20160043971A KR 101733604 B1 KR101733604 B1 KR 10173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solution
keyboard
uni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주
이동희
임규환
김수진
명흥석
사영두
Original Assignee
(주)테크온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온비젼 filed Critical (주)테크온비젼
Priority to KR102016004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604B1/ko
Priority to PCT/KR2017/003914 priority patent/WO20171798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에 내장 설치되어 내부망과 연결되는 내부망 PC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 영상입력부와, 외부망과 연결되는 외부망 PC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영상입력부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를 통해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화면영역을 선택하는 영상셀렉터와,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입력받는 화면선택 입력부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에서 화면영역 및 해상도의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셀렉터의 화면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에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모니터제어부와, 상기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분리된 내부망 및 외부망 PC가 연결되는 하나의 모니터에서 사용자가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을 선택하면 직전에 사용하던 최적의 해상도를 화면설정용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다른 해상도로 언제든지 임의적으로 변경 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언제든지 사용자가 분할된 2개 화면의 해상도를 사용자가 서로 다른 해상도로 조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Screen Division Monitor For Dividing Physical Network}
본 발명은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 업무망(Intranet) 및 외부망(Internet)으로 각기 연결되는 내부망 및 외부망 PC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모니터에서 입력받아 전체화면에 어느 하나의 PC의 영상신호를 최적의 해상도로 출력하거나 또는 분할화면에서 내부망 및 외부망 PC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최적의 해상도로 출력시켜 하나의 모니터에서 내부망과 외부망 업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이용시에 많은 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해 다수의 컴퓨터가 내부망(intranet)과 외부망(internet)으로 복잡하게 연결되며, 최근에는 인터넷 접속을 통한 자료 검색 등이 보편화되어 있어 보안상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망분리 시스템의 일 예로 2대의 컴퓨터를 이용한 물리적 망 분리 방법을 사용하지만, 2대의 컴퓨터를 통한 물리적 망 분리 방법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2대의 컴퓨터를 설치해야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을 받고, 이 같은 2대의 컴퓨터를 통한 물리적 망 분리 방법은 2대의 컴퓨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업무의 효율성 역시 낮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382407호에서와 같이 모니터 1대를 이용해 2대의 컴퓨터 화면 즉 동시에 내부망 화면(업무용 화면)과 외부망 화면(인터넷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물리적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기존의 다수의 컴퓨터를 한 화면에 출력하는 공유 장치가 아니라 각각의 컴퓨터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화면을 1대의 모니터에 화면을 물리적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의 독립된 영상 신호를 모니터 전체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내부망 및 외부망 분리 모니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분할된 내부망 화면(업무용 화면)과 외부망 화면(인터넷 화면)의 해상도 조절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조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컴퓨터 해상도 조절에 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대다수의 사용자에게는 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내부망과 외부망의 물리적인 분리를 통해 내부망 및 외부망 상호간의 네트워크가 완전차단됨에 따라 예를 들어 외부망의 인터넷 창에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복사하여 내부망의 데이터에 붙여넣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 역시 차단되어 내외부망을 넘나들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 업무망(Intranet) 및 외부망(Internet)으로 각기 연결되는 2대의 내부망 및 외부망 PC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모니터에서 선택하여 출력시 모니터 전체화면으로 사용시 최적화된 해상도와 분할화면으로 사용시 최적화된 해상도를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조정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의 사용시 변경한 화면 해상도를 저장하여 이후 전체화면 또는 화면분할 선택시 저장된 화면의 해상도로 자동 조정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망과 외부망의 물리적인 분리를 통해 해킹 등으로 인한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내부망 및 외부망 PC간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의 데이터 복사 및 붙여넣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을 갖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니터에 내장 설치되어 내부망과 연결되는 내부망 PC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 영상입력부와, 외부망과 연결되는 외부망 PC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영상입력부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를 통해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화면영역을 선택하는 영상셀렉터와,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입력받는 화면선택 입력부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에서 화면영역 및 해상도의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셀렉터의 화면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에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모니터제어부와, 상기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에는 화면영역을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으로 나누어 각 화면영역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제어부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영상셀렉터를 제어하여 화면영역을 선택하고 영상표시부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는 모니터의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에 따른 최적화된 해상도를 기본값으로 저장하며,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를 통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최적화된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제어부는 화면선택 입력부를 통해 화면영역 및 해상도가 입력되면 화면설정용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내부에는 내부망 PC로부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내부망 PC 또는 외부망 PC의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부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외부망 PC의 데이터이면 외부망 PC로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는 USB포트로 구성되어 USB케이블을 통해 상기 내부망 PC 및 외부망 PC와 연결되며,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는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의 복사요청시 임시저장되는 클립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분리된 내부망 및 외부망 PC가 연결되는 하나의 모니터에서 사용자가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을 선택하면 직전에 사용하던 최적의 해상도를 화면설정용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다른 해상도로 언제든지 임의적으로 변경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언제든지 사용자가 분할된 2개 화면의 해상도를 사용자가 서로 다른 해상도로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망과 외부망의 물리적인 분리를 통해 내부망 및 외부망 상호간의 네트워크가 완전차단하면서도 외부망의 인터넷 창에서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 등을 임시로 복사하여 내외부망을 넘나들며 임시로 데이터를 전송가능한 클립보드 기능을 사용하여 망분리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을 통한 내부망 및 외부망 분리 모니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을 통한 내부망 및 외부망 분리 모니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는 내부 업무망(Intranet) 및 외부망(Internet)으로 각기 연결되는 2대의 PC인 내부망 및 외부망 PC(10,2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1대의 모니터(100)를 이용해 내부망 화면 또는 외부망 화면을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하드웨어적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이를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을 나누어 분할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100)는 통상의 LCD 모니터를 사용함도 가능하지만, 화면 분할시 충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와이드 모니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100)는 모니터 본체에 내장 설치되어 내부망(인트라넷)(1)과 연결되는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 영상입력부(110)와, 외부망(인터넷)(2)과 연결되는 외부망 PC(20)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영상입력부(120)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110,120)를 통해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화면영역을 선택하는 영상셀렉터(130)와,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입력받는 화면선택 입력부(140)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에서 화면영역 및 해상도의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셀렉터(130)의 화면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모니터제어부(160)와, 상기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17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영상입력부(110)는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 영상입력부(120)는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상기 제1 영상입력부(110)는 아날로그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제2 영상입력부(120)는 디지털 영상을 입력받는다. 일 예로 상기 제1 영상입력부(110)는 D-SUB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상입력부(120)는 DVI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어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와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를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셀렉터(130)는 모니터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110,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선택한다.
즉, 모니터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110,120)를 통해 입력되는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와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 중에 어느 하나를 전체화면으로 출력하도록 선택하거나,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와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를 분할화면으로 동시에 출력하도록 선택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영상셀렉터(130)를 제어하여 화면영역을 선택하고 영상표시부(170)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는 화면영역을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으로 나누어 각 화면영역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저장한다. 따라서,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에 따른 최적의 해상도를 저장한다. 이때, 분할화면은 비율에 따라 사이즈와 해상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화면은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의 비율을 1:1로 설정하면서도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의 해상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할화면은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의 비율을 1:2 또는 2:1 등과 같이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의 화면 비율을 비대칭되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내부망 화면과 외부망 화면의 해상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는 모니터의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에 따른 최적화된 해상도를 기본값으로 저장한다. 이는 추후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최적화된 해상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새로운 화면영역 및 해상도가 입력되면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는 모니터의 환경설정을 위한 OSD(On Screen Display) 버튼을 통해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입력받거나 내부망 또는 외부망 PC(10,2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니터 일측의 OSD용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면영역인 전체화면이나 분할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선택버튼과, 해상도 선택을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망 또는 외부망 PC(10,20)를 통해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입력받는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설정하거나 운영체제 구동시 자동으로 설정한 해상도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해상도 조절시 전체화면으로 사용하는 일반 모드에서 분할 화면으로 사용자가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변경시에는 직전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해상도를 모니터(1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분할화면 명령이 들어오면 기억하고 있던 사용자 해상도를 로딩하여 분할 화면의 해상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른 해상도로 변경을 요구할 경우 언제든지 임의적으로 해상도를 변경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의 설정 예를 설명한다.
내부망 또는 외부망 PC(10,20)가 연결된 모니터(100)를 켜면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110,120)를 통해 내부망 및 외부망 PC(10,2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S1)
이 경우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화면영역이 전체화면인지 분할화면인지 여부에 따라 영상셀렉터(130)를 제어하여 화면영역을 선택하고 영상표시부(170)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영상을 출력한다.
즉, 상기 단계(S1) 후,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분할화면에 관한 것인지를 비교한다.(S2)
그리고 상기 단계(S2)를 통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분할화면이면 영상셀렉터(130)를 제어하여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와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를 분할화면으로 동시에 출력하도록 선택한다.(S3)
상기 단계(S3) 후,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분할화면의 해상도를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참고하여 자동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
상기 단계(S4)를 통해 분할화면의 해상도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최적화된 해상도를 매칭하여 해상도를 설정하고(S5),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조장하여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수동으로 분할화면의 해상도를 설정한다.(S6) 이때 상기 단계(S6)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해상도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S5) 또는 단계(S6)를 수행한 후 영상표시부(170)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분할화면으로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와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7)
한편, 상기 단계(S2)를 통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전체화면이면(S8),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전체화면이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인지 아니면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인지를 판단한다.(S9)
상기 단계(S9)를 통해 선택된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 또는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는 영상표시부(170)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분할화면으로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와 외부망 PC(20)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S10)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모니터(100) 내부에는 내부망 PC(10)로부터 마우스와 키보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180)와,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내부망 PC(10) 또는 외부망 PC(20)의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부(182)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외부망 PC(20)의 데이터이면 외부망 PC(20)로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184)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18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180)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186)는 USB포트로 구성되어 USB케이블을 통해 상기 내부망 PC(10) 및 외부망 PC(2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부(182)는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되는 내부망 PC(10)의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내부망 화면 영역의 신호인지 또는 외부망 화면 영역의 신호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외부망 화면 영역의 신호로 선택되면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외부망 PC(20)로 전송한다. 이는 내부망 PC(10)에만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연결되고, 외부망 PC(20)에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제어가 가능하다.
물론 외부망 PC(20)에만 키보드 및 마우스가 연결되고, 내부망 PC(10)에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186)를 통해 내부망 PC(10)와 외부망 PC(20) 간의 데이터의 복사가 가능하다. 이는 모니터(100)를 통해 망연계 솔루션까지 가능한 것으로, 제한적 권한을 갖는 관리자 모드로서만 해당 기능이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분할화면 중 외부망의 인터넷창에서의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를 "Ctrl + C" 조작을 통해 복사 요청을 하는 경우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186)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분할화면 중 내부망의 문서창에서 "Ctrl + V" 조작을 통해 붙여넣기 등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물리적인 망분리 상황에서 일시적인 클립보드 기능을 사용하여 망분리로 인한 작업 능률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내부망 2: 외부망
10: 내부망 PC 20: 외부망 PC
100: 모니터 110: 제1 영상입력부
120: 제2 영상입력부 130: 영상셀렉터
140: 화면선택 입력부 150: 화면설정용 메모리부
160: 모니터제어부 170: 영상표시부
180: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 182: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부
184: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 186: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

Claims (6)

  1. 모니터(100) 본체에 내장 설치되어 내부망(1)과 연결되는 내부망 PC(10)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 영상입력부(110)와, 외부망(2)과 연결되는 외부망 PC(20)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영상입력부(120)와, 상기 제1 및 제2 영상입력부(110,120)를 통해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화면영역을 선택하는 영상셀렉터(130)와,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입력받는 화면선택 입력부(140)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와,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에서 화면영역 및 해상도의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셀렉터(130)의 화면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저장하는 모니터제어부(160)와, 상기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170)로 구성되되;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는 화면영역을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으로 나누어 각 화면영역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영상셀렉터(130)를 제어하여 화면영역을 선택하고 영상표시부(170)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는 모니터의 전체화면과 분할화면에 따른 최적화된 해상도를 기본값으로 저장하며, 상기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화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를 참조하여 최적화된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제어부(160)는 화면선택 입력부(140)를 통해 화면영역 및 해상도가 입력되면 화면설정용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화면영역 및 해상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100) 내부에는 내부망 PC(10)로부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180)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신호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내부망 PC(10) 또는 외부망 PC(20)의 데이터인지를 판별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부(182)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가 외부망 PC(20)의 데이터이면 외부망 PC(20)로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184)와,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18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180)와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출력부(186)는 USB포트로 구성되어 USB케이블을 통해 상기 내부망 PC(10) 및 외부망 PC(20)와 연결되며,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메모리부(186)는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 데이터 입력부(180)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의 복사요청시 임시저장되는 클립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분할 모니터.
  6. 삭제
KR1020160043971A 2016-04-11 2016-04-11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KR10173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71A KR101733604B1 (ko) 2016-04-11 2016-04-11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PCT/KR2017/003914 WO2017179889A1 (ko) 2016-04-11 2017-04-11 화면 분할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71A KR101733604B1 (ko) 2016-04-11 2016-04-11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04B1 true KR101733604B1 (ko) 2017-05-10

Family

ID=5874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971A KR101733604B1 (ko) 2016-04-11 2016-04-11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874A (ko) * 2017-12-12 2019-06-20 (주)테크온비젼 가변식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874A (ko) * 2017-12-12 2019-06-20 (주)테크온비젼 가변식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모니터
KR102077373B1 (ko) * 2017-12-12 2020-02-13 (주)테크온비젼 가변식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587B2 (en) Method for parallel image processing and routing
ES2243272T3 (es) Sistema y metodo de presentacion de multimedia.
KR101145936B1 (ko) 모바일 제어기를 이용한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150015583A1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GB23165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b monitors in a video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02838A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14030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employing method
KR101382407B1 (ko) 화면분할을 통한 내부망 및 외부망 분리 모니터
US20170318334A1 (en) Image Display Method, User Terminal, and Video Receiving Device
KR101733604B1 (ko)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JP2016031468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3003471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481505B1 (ko)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20230262244A1 (en) Method for parallel image processing and routing
EP3574638B1 (en) Dynamically gamut adjustable displays
WO2016135881A1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5060021A (ja) 表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69661A (ko)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44794A1 (en) Routing input to on-screen display
KR102077373B1 (ko) 가변식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모니터
KR10036982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287169A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230077194A (ko) 화면 분할기능을 갖는 셋탑박스
KR101535415B1 (ko)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KR20180114720A (ko) 화면 분할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