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15B1 -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15B1
KR101535415B1 KR1020140116878A KR20140116878A KR101535415B1 KR 101535415 B1 KR101535415 B1 KR 101535415B1 KR 1020140116878 A KR1020140116878 A KR 1020140116878A KR 20140116878 A KR20140116878 A KR 20140116878A KR 101535415 B1 KR101535415 B1 KR 101535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computer
unit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872A (ko
Inventor
마정환
채기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4011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듀얼 퍼스널컴퓨터(PC)의 화면을 하나의 모니터에 서로 겹치지 않게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은, 듀얼 컴퓨터를 구현하는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와;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 선택적으로 연결해주는 컴퓨터 선택장치와; 사용자의 화면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거나,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할한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시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Display control system of dual computer}
본 발명은 듀얼 컴퓨터(Dual computer)의 디스플레이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듀얼 퍼스널컴퓨터(PC)의 화면을 하나의 모니터에 서로 겹치지 않게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 컴퓨터를 사용한 통신환경이 급격히 신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 환경 중 내부 시스템 구축용 자체 네트워킹 망을 설치하여 네트워킹으로 상호 결제 및 자료를 이송하고 있는 통신 환경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킹이 국가 보안을 요하는 군부대나 원자력 발전소 등의 네트워킹일 경우, 해커의 침입으로 인한 우려가 염려되며, 해커가 국방 전산망에 침입하여 미사일 제어 등의 에러나 오작동을 유발한다면 이는 국가국방에 치명적인 손상을 의미한다. 또한, 해커가 금융기관에 침입하는 경우에도 고객들의 예금 등을 부당하게 인출하여 가는 사태가 발생하면, 이 역시 컴퓨터 시스템의 치명적인 손상과 고객에게 신뢰성 저하를 초래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손상과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여 등장한 것이, 외부 망과 내부 망을 분리하고 각각의 분리된 컴퓨터를 2대 구비하여(이하, "듀얼 컴퓨터"라 약칭함) 내부 망과 외부 망 용도로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니터, 제1키보드, 제1본체, 내부 망(LAN망)을 연결 사용하는 랜카드를 포함하는 제1컴퓨터와; 제2모니터, 제2키보드, 제2본체, 외부 망(인터넷망)을 연결 사용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제2컴퓨터를 구비하고, 원하는 망에 따라 해당하는 컴퓨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2개의 키보드와 2개의 모니터와 같이 키보드와 모니터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하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근래에 제안된 것이 하나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2대의 컴퓨터를 조작하고, 하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2대의 컴퓨터의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특히, 근래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은 대부분 PIP(Picture in Picture)나 PBP(Picture by Picture) 등의 다중화면 분할기능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2대의 컴퓨터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PIP는 대화면 속에 작은 화면을 겹치게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며, PBP는 두 개 이상의 화면을 서로 겹치지 않게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통상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PC와 TV를 연결하여, 두 가지 화면을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PBP에 대한 종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22297호(2009.03.04. 공개)(발명의 명칭: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개시된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다중화면 분할모드(PBP모드)로의 변경 명령을 검출하여, 상기 변경 명령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의 분할화면의 크기에 따라 해상도가 변경된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화면의 크기에 따라서 최적의 해상도로 자동 변경해주어,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예를 들어, PBP모드 --> 일반 모드, 일반 모드 --> PBP모드) 사용자가 일일이 해상도를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22297호(2009.03.04. 공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PC와 TV같은 2가지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화면분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가능하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듀얼 컴퓨터에서 입출력 장치의 화면 전환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기술로는 입출력 장치를 제1컴퓨터와 제2컴퓨터가 함께 공유하고, 화면은 같이 또는 따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기술 및 일반적인 듀얼 컴퓨터 시스템은 2개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화면분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화면 비를 가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듀얼 컴퓨터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듀얼 퍼스널컴퓨터(PC)의 화면을 하나의 모니터에 서로 겹치지 않게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 컴퓨터의 화면을 하나의 모니터에 화면 분할방식으로 동시에 구현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 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은,
제1컴퓨터 및 제2 컴퓨터;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 선택적으로 연결해주는 컴퓨터 선택장치;
사용자의 화면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거나,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할한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모니터는 분할 화면 중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모니터는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 화면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출력장치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출력장치 선택부는 상기 입력장치 전환을 위해 설치된 프로그램의 조작시 입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PC신호 입력부;
표시부의 기능 설정을 위해 구비된 OSD를 실행하여 입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OSD 실행부;
입력장치 전환을 위해 구비된 버튼의 조작시 입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모니터는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각각 입력받기 위한 제1영상 입력부 및 제2영상 입력부;
상기 제1영상 입력부 및 제2영상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입출력장치 선택부를 통해 출력 화면 영상이 선택되면, 그 화면 선택에 대응하게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거나 겹치지 않게 합하여 화면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는 입력장치 선택신호와 구성화면 선택신호 및 화면 비 가변신호를 포함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모니터 입력부;
상기 모니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모니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분할화면에서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을 인식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화면의 크기 조절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크기 조절신호에 대응하게 화면 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모니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경로선택신호와 화면 비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거나, 분할화면으로 구현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영상 처리부는 영상의 경로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영상 경로 선택부;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분할화면에 서로 겹치지 않게 구현하는 분할화면 처리부;
상기 분할화면 처리부에서 처리된 분할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하는 화면 비 가변부;
상기 영상 처리부 또는 상기 화면 비 가변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퍼스널컴퓨터(PC)의 화면을 하나의 모니터에 서로 겹치지 않게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컴퓨터의 화면을 하나의 모니터에 화면 분할방식으로 동시에 구현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 비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듀얼 컴퓨터에서 입출력 장치의 화면 전환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영상 처리부의 실시 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컴퓨터에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100)가 컴퓨터 선택장치(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컴퓨터 선택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를 상기 입력장치(100)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하나의 모니터(400)가 상기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에 연결된다. 여기서 모니터(400)는 사용자의 화면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거나,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영상은 제1컴퓨터(310)의 출력 영상이고, 제2영상은 제2컴퓨터(320)의 출력 영상이다.
이러한 모니터(4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할한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은, 먼저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입력장치(100)를 컴퓨터 선택장치(200)에 연결하고,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의 입력장치를 상기 컴퓨터 선택장치(200)에 연결한다. 아울러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의 출력장치를 상기 모니터(40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구비된 컴퓨터 선택 버튼을 통해 특정의 컴퓨터를 선택하면, 컴퓨터 선택장치(200)에서 제1컴퓨터(310) 또는 제2컴퓨터(320)를 상기 입력장치(100)에 연결한다.
이후 입력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특정의 컴퓨터는 동작을 하게 되고, 그 결과를 모니터(400)에 표시해주게 되는 데, 이때 모니터(40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특정의 컴퓨터의 출력 영상만을 표시하거나, 상기 특정의 컴퓨터의 출력 영상과 선택되지 않은 컴퓨터의 영상을 다중화면 분할방식(PBP)으로 화면에 표시해주게 된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다중화면 분할방식은 전체 화면을 1/2로 분할하고, 하나의 분할 면에는 제1컴퓨터(310)의 출력 영상을 표시하며, 다른 하나의 분할 면에는 제2컴퓨터(320)의 출력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모니터(4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모니터(400)에 다중화면 분할방식으로 영상이 구현된 경우에는 어느 특정의 화면의 화면 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에 의해 모니터(400)는 하나의 영상만을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두 개의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화면분할을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되고, 아울러 화면분할시에는 특정 화면의 화면 비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니터(400)에서 화면에 단일 영상을 구현하는 것, 화면 분할을 통해 분할 영상을 구현하는 것, 그리고 분할 영상 중 특정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입력장치(100), 컴퓨터 선택장치(200),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 모니터(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컴퓨터 선택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 선택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100)의 입력을 상기 제1컴퓨터(310) 또는 제2컴퓨터(320)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 제어부(210)를 구비한다.
제1컴퓨터(3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메모리부(311), PC입력부(312), PC제어부(313), 영상 출력부(314)를 구비하며, 제2컴퓨터(320) 역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메모리부(321), PC입력부(322), PC제어부(323), 영상 출력부(32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과 동일하며, 작용 역시 일반적인 컴퓨터의 작용과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컴퓨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니터(400)는 상기 입력장치(100) 및 출력 화면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출력장치 선택부(410)와, 상기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각각 입력받기 위한 제1영상 입력부(421) 및 제2영상 입력부(422)와, 상기 제1영상 입력부(421) 및 제2영상 입력부(422)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30)와, 상기 입출력장치 선택부(410)를 통해 출력 화면 영상이 선택되면, 그 화면 선택에 대응하게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거나 겹치지 않게 합하여 화면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와,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따라 LCD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4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장치 선택부(410)는 입출력장치 전환을 위해 설치된 프로그램의 조작시 입출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PC신호 입력부(411)와; 표시부의 기능 설정을 위해 구비된 OSD를 실행하여 입출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OSD 실행부(412)와; 입출력장치 전환을 위해 구비된 버튼의 조작시 입출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버튼 입력부(41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 선택신호와 구성화면 선택신호 및 화면 비 가변신호를 포함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모니터 입력부(441)와; 상기 모니터 입력부(441)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430)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443)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 제어부(443)는 모니터 메모리부(442)에 저장된 화면 처리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 제어부(443)는 사용자가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분할화면에서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을 인식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화면의 크기 조절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크기 조절신호에 대응하게 화면 비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는 상기 모니터 제어부(443)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경로 선택신호와 화면 비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거나, 분할화면으로 구현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445)와; OSD 영상 처리를 하는 OSD 처리부(444)와; 화면 표시부(45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예를 들어, LCD, 터치 스크린, 기타)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LCD 구동부(44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스크린일 경우에는 상기 LCD 구동부(446)는 터치스크린 구동부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445)는 영상의 경로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영상 경로 선택부(445a)와;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445a)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는 영상 처리부(445b)와;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445a)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분할화면에 서로 겹치지 않게 구현하는 분할화면 처리부(445c)와; 상기 분할화면 처리부(445c)에서 처리된 분할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하는 화면 비 가변부(445d)와; 상기 영상 처리부(445b) 또는 상기 화면 비 가변부(445d)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445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은, 먼저, 사용자가 듀얼 컴퓨터 중 사용할 컴퓨터를 선택하고자 하여 입출력 장치 선택부(410)를 통해 특정의 컴퓨터를 선택하면,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내의 모니터 입력부(441)에서 컴퓨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 제어부(443)에 전달한다.
여기서 듀얼 컴퓨터는 서로 다른 망에 연결된 2대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듀얼 컴퓨터를 이루는 제1컴퓨터(310)는 인터넷망과 연결되고, 제2컴퓨터(320)는 인트라망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선택신호는 입력장치(100)에 입출력 장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단축 키를 누르거나, 모니터(4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에 컴퓨터 전환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의 모니터 제어부(443)에서 이를 인식하고, 컴퓨터 선택장치(200)에 입력장치 전환명령을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장치 전환명령은 하이신호(5V)와 로우신호(0V)와 같은 상이한 2가지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 이외에 2가지 이상을 구분할 수 있는 신호이면 어떠한 신호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입력장치 전환명령을 수신한 컴퓨터 선택장치(200)의 입력 제어부(210)는 수신한 입력장치 전환명령 즉, 컴퓨터 선택명령에 따라 입력장치(100)를 제1컴퓨터(310) 또는 제2컴퓨터(320)에 연결해주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컴퓨터(310)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을 하고 설명한다.
제1컴퓨터가(310)가 선택된 경우, 입력장치(100)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명령에 따라 제1컴퓨터(310)는 영상을 출력하여 모니터(4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2컴퓨터(320) 또한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하였다고 가정을 하며, 사용자가 조작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여 모니터(400)에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어느 특정의 컴퓨터가 선택되어도, 듀얼 컴퓨터를 이루는 제1컴퓨터(310) 및 제2컴퓨터(320)의 출력 영상이 동시에 모니터(400)에 전달된다.
모니터(400)의 제1영상 입력부(421)는 상기 제1컴퓨터(310)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을 입력받게 되고, 제2영상 입력부(422)는 상기 제2컴퓨터(320)에서 출력되는 제2영상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제1영상 입력부(421) 및 제2영상 입력부(422)에 입력받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은 멀티플렉서(430)에 각각 입력되며, 상기 멀티플렉서(430)는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선택 신호에 따라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거나, 두 개의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멀티플렉서(430)는 통상 선택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두 개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2개의 입력을 서로 다른 경로에 각각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멀티플렉서(43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은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440)의 모니터 제어부(443)는 모니터 메모리부(442)에 구비된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화면 구성 및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영상 또는 제2영상만을 선택한 경우에는 모니터 제어부(443)에서 제1영상 또는 제2영상만을 영상 처리부(445)에 전달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다중화면 분할방식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모두 선택하여 영상 처리부(445)에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구현 방식 즉, 단일 화면 방식 또는 다중화면 분할방식에 따라 영상의 경로 선택신호를 영상 처리부(445)에 전달한다.
또한, 다중화면 분할방식으로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화면 비 가변을 요청하는지를 검출하여, 화면 비 가변이 요청되면 실시간으로 영상 처리부(445)에 화면 비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다중화면 분할방식으로 영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때, 마우스를 이용하여 특정 화면을 선택하고(지시자를 해당 화면에 위치시키고 클릭하는 것),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커서 이동 버튼 중 좌우 이동 버튼을 눌러 화면 비 조절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모니터의 임의 위치에 화면 비 조절을 위한 버튼을 구비시키고, 이러한 화면 비 조절을 위한 버튼을 눌러서 화면 비 조절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화면 비 조절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공지된 모든 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는 특정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 크기 만큼 드래그를 하는 것으로서, 화면 비 조절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영상 처리부(445)의 영상 경로 선택부(445a)는 입력되는 영상의 경로 선택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게 되는 데, 이때 화면 구현 방식이 단일 화면 구현방식일 경우에는 상기 경로 선택신호에 따라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 처리부(445b)에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445b)는 통상의 화면 전체에 단일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입력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여 영상 출력부(445e)에 전달하게 되고, 영상 출력부(445e)는 그 전달되는 영상을 LCD 구동부(446)에 전달한다.
이로써 모니터(400)의 화면에는 제1영상 또는 제2영상만이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는 달리 화면 구현 방식이 다중화면 분할 방식일 경우,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445a)는 상기 경로 선택신호에 따라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여 동시에 분할화면 처리부(445c)에 전달한다.
상기 분할화면 처리부(445c)는 그 전달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다중화면 분할방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에는 제1영상을 구현하고, 분할된 다른 화면에는 제2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다중화면 분할방식은 전체 화면을 반으로 분할하여 영상을 구현한다(도 1의 모니터 화면 참조).
이렇게 구현된 분할화면 영상은 화면 비 가변부(445d)에 전달되고, 상기 화면 비 가변부(445d)는 화면 비 제어신호에 따라 다중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의 크기를 확장 또는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화면 비를 가변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 비란 분할된 다중화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예컨대, 초기의 다중화면 화면 비는 5:5이고, 그 중 제1영상에 대한 화면 크기를 7로 조절한 경우, 다중화면 화면 비는 7:3이 된다. 이때 화면의 확장은 현재 선택된 컴퓨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화면만 가능하다. 이것은 커서나 마우스 포인터가 현재 선택된 컴퓨터의 영상 화면에서만 디스플레이 및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화면 비 가변부(445d)에서의 화면 비 가변 방식은, 통상의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줄이거나 확장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화면 비를 조절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특정 화면의 화면을 확장하게 되면 다른 화면은 줄어들게 되는 데, 이때 최대 확장 폭 또는 최소 감소 폭을 설정하여, 하나의 화면을 최대로 확장하여도 다른 화면이 일부의 화면으로는 존재하도록 한다. 만약, 하나의 화면을 최대로 확장한 크기가 화면 전체를 차지할 경우, 때로는 사용자가 현재 단일 화면 구현모드인지 아니면 다중화면 분할모드인지를 착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화면 비가 조절된 다중화면 영상신호는 영상 출력부(445e)를 통해 LCD 구동부(446)에 입력되며, 이후 화면에는 화면 비가 조절된 다중화면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되는 다중화면 영상은 사용 도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술한 화면 비 조절 방식에 의해 실시간으로 화면 비가 조절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2개의 영상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되는 PBP모드에서,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사이즈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줄이도록 하여, 모니터 사용에 더욱 편리함을 추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입력장치.
200… 컴퓨터 선택장치
310… 제1컴퓨터
320… 제2컴퓨터
400… 모니터
410… 입출력장치 선택부
430… 멀티플렉서
440…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
441… 모니터 입력부
442… 모니터 메모리부
443… 모니터 제어부
445… 영상 처리부
445a… 영상 경로 선택부
445b… 영상 처리부
445c… 분할화면 처리부
445d… 화면 비 가변부
445e… 영상 출력부

Claims (3)

  1. 듀얼 컴퓨터를 구현하는 제1컴퓨터 및 제2 컴퓨터;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 선택적으로 연결해주는 컴퓨터 선택장치;
    사용자의 화면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하나의 화면에 분할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할한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모니터는 화면 선택에 대응하게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거나 겹치지 않게 합하여 화면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 보드는 화면 비 가변신호를 포함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모니터 입력부; 상기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 상기 모니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경로선택신호와 화면 비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거나, 분할화면으로 구현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분할화면에서 가변하고자 하는 화면을 인식하고, 화면 인식 후 사용자가 상기 화면의 크기 조절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크기 조절신호에 대응하게 화면 비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모니터는 분할 화면 중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시키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영상의 경로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영상 경로 선택부;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경로 선택부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분할화면에 서로 겹치지 않게 구현하는 분할화면 처리부; 상기 분할화면 처리부에서 처리된 분할화면의 화면 비를 가변하는 화면 비 가변부; 상기 영상 처리부 또는 상기 화면 비 가변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 화면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출력장치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 선택부는 입력장치 전환을 위해 설치된 프로그램의 조작시 입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PC신호 입력부;
    표시부의 기능 설정을 위해 구비된 OSD를 실행하여 입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OSD 실행부;
    입력장치 전환을 위해 구비된 버튼의 조작시 입력장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제1컴퓨터 및 제2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각각 입력받기 위한 제1영상 입력부 및 제2영상 입력부;
    상기 제1영상 입력부 및 제2영상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KR1020140116878A 2014-09-03 2014-09-03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KR101535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78A KR101535415B1 (ko) 2014-09-03 2014-09-03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78A KR101535415B1 (ko) 2014-09-03 2014-09-03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211A Division KR20140069661A (ko) 2012-11-29 2012-11-29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72A KR20140120872A (ko) 2014-10-14
KR101535415B1 true KR101535415B1 (ko) 2015-07-09

Family

ID=5199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878A KR101535415B1 (ko) 2014-09-03 2014-09-03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051B1 (ko) * 2018-02-08 2019-01-30 이창현 다기능 모니터 컨버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107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비율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7224A (ko) * 2007-10-11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107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비율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7224A (ko) * 2007-10-11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72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222B2 (en) Simultaneous input system for web browsers and other applications
KR101430887B1 (ko) 제스처 인식을 위한 환경-의존 동적 범위 컨트롤
US7565628B2 (en)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US10582252B2 (en)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W201500982A (zh) 具有隨螢幕尺寸調整dpi之滑鼠裝置之電腦系統及其操作方法
JP589212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766941B2 (en) Display device with on-screen display menu function
US20100013759A1 (en) Kvm switch with separate on-screen display and control channels
US200902880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computers
KR102426034B1 (ko)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영 시스템
KR101715380B1 (ko)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33175A1 (en) Portable device
KR20140001725A (ko) 화면 동기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3801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0379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cursors from other sites in dedicated windows
US20160142624A1 (en) Video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783610B2 (ja) 入力表示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69661A (ko)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5415B1 (ko) 듀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CN108509138B (zh) 一种任务栏按钮显示的方法及其终端
KR101908365B1 (ko) 스플릿 기능을 구비한 kvm 스위칭 장치
JP2006079413A (ja) コンピュータ切替装置
EP19612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in picture function
JP2004287169A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733604B1 (ko) 물리적 망분리 전용 화면 분할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