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389B1 - 계란 지단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계란 지단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389B1
KR101733389B1 KR1020150153338A KR20150153338A KR101733389B1 KR 101733389 B1 KR101733389 B1 KR 101733389B1 KR 1020150153338 A KR1020150153338 A KR 1020150153338A KR 20150153338 A KR20150153338 A KR 20150153338A KR 101733389 B1 KR101733389 B1 KR 10173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riven roller
egg
bel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현
권태성
신기섭
김진태
현주용
Original Assignee
(주)풍림푸드
권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림푸드, 권태성 filed Critical (주)풍림푸드
Priority to KR102015015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 지단을 자동으로 연속적이면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란 지단의 활용도 및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란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과, 액란공급수단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액란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을 가진다. 이때 지단 형성수단은, 액란공급수단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종동롤러; 종동롤러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롤러;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된 금속박판으로 제조되는 소성벨트; 종동롤러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와 함께 액란을 공급받는 액란 소성공간부를 형성하는 냉각자켓; 및 액란 소성공간부 측으로 공급된 액란이 이송되는 소성벨트에 의해 부쳐지도록 소성벨트를 가열하는 가열버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란 지단 제조장치{FRIED-EGG DISH FABR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계란 지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 지단을 자동으로 연속적이면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란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나트륨이 적으며, 비타민과 무기질 등 우리 몸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질 좋은 단백질을 공급하는 매우 좋은 식품이다.
계란은 음식과 요리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계란을 얇게 부쳐 낸 '계란지단(이하 '지단'이라 한다)은 원형김밥, 오므라이스, 샌드위치 속 재료, 또는 국수 및 우동 등의 고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단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단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공개특허 제 1996-154629 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334989 호',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418936 호'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 1996-154629 호'에는 점도가 낮은 반고형 또는 액체형 식품재료를 띠 형태로 가열 가공할 수 있게 하는 띠 형상 식품의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 제 1996-154629 호'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롤러에 전극을 형성하고 전극으로부터 투수성 필름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여 투수성 필름에 공급되는 식품재료를 가열하기 때문에 롤러를 별도로 제작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장치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334989 호'에는 단위몰드를 이용한 김밥용 지단 제조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여러 개의 단위몰드를 이용해 지단을 굽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지단을 연속적인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418936 호'에는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가열원통체를 이용한 계란 지단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418936 호'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열원통체 내부에 전열선 및 예열히터 등을 장착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계란 지단을 자동으로 연속적이면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량생산을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란 지단의 활용도 및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란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과, 액란공급수단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액란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을 가지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단 형성수단은, 액란공급수단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종동롤러; 종동롤러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롤러;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된 금속박판으로 제조되는 소성벨트; 종동롤러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와 함께 액란을 공급받는 오목하면서 종동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액란 소성공간부를 형성하는 냉각자켓; 및 액란 소성공간부를 형성하는 냉각자켓; 및 액란 소성공간부 측으로 공급된 액란이 이송되는 상기 소성벨트에 의해 부쳐지도록 소성벨트를 가열하는 가열버너;를 포함하며, 냉각자켓은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액란 소성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소성벨트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소성벨트에 접하게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냉각자켓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순환라인이 장착되어 냉각자켓의 표면온도를 0~40℃로 유지시키되, 액란 소성공간부에 공급된 액란은 액란 소성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면서 가열버너에 의해 가열된 소성벨트의 표면과 접촉해 지단 형태로 부쳐지면서 이송되는 소성벨트를 따라 종동롤러를 지나 구동롤러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동롤러와 구동롤러는 각각 프레임 사이에 게재되며 양단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의 양단이 끼워진 프레임에는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의 위치를 조정해 소성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배치되며, 구동롤러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인접한 프레임에는 장력조절수단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롤러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 열버너는 종동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종동롤러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소성벨트의 내측에 배치되되, 가열버너는 종동롤러를 측면에서 봤을 때 3시 방향과 6시 방향 사이에 배치되면서 화구는 종동롤러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버너는 소성벨트의 표면온도를 120~180℃가 유지되도록 가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버너의 양단은 화구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프레임에 연결되며, 가열버너에는 산소 공급라인, 가스 공급라인, 및 점화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단 형성수단은,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사이의 프레임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타공판;을 더 포함하며, 타공판은 종동롤러를 지나 구동롤러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함과 아울러 소성벨트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지단이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란공급수단은, 종동롤러의 상부 측에 배치되게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액란공급호퍼; 외부에서부터 액란공급호퍼 내부로 액란을 공급하는 액란공급관; 액란공급호퍼의 내부에는 충전되는 액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액란공급호퍼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액란공급호퍼의 내부에 충전된 액란을 연속적으로 액란 소성공간부 측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액란배출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단 제조 원료인 액란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과, 액란공급수단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액란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계란 지단을 자동으로 연속적이면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을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계란 지단의 활용도 및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지단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란 지단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지단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지단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지단 제조장치(100)는 지단(D) 제조 원료인 액란(E)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110)과, 액란공급수단(11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액란(E)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120)을 포함한다.
액란공급수단(110)은 내부에 액란(E)이 충전되는 액란공급호퍼(112)를 포함한다.
액란공급호퍼(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프레임(F)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프레임(F)의 상부 일측에 고정 장착된 액란공급호퍼(112)에는 외부에서부터 액란공급호퍼(112) 내부로 액란(E)을 공급하는 액란공급관(114)이 연결되고, 액란공급호퍼(112)의 내부에는 충전되는 액란(E)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그리고 액란공급호퍼(112)의 하부 측에는 내부 충전된 액란(E)을 연속적으로 후술하는 지단 형성수단(120)의 액란 소성공간부(134) 측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액란배출노즐(116)이 장착된다.
여기서, 액란(E)은 계란의 노른자 또는 흰자만을 풀어 낸 것일 수 있으며, 액란(E)은 계란의 노른자와 함께 흰자를 풀어 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액란공급수단(110)의 하부 측에는 지단 형성수단(120)이 배치된다.
지단 형성수단(120)은 액란공급호퍼(112)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종동롤러(122)와, 종동롤러(122)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롤러(124)와,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소성벨트(130),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와 함께 액란(E)을 공급받는 냉각자켓(132), 및 공급된 액란(E)이 부쳐지도록 소성벨트(130)를 가열하는 가열버너(138)를 포함한다.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프레임(F) 사이에 게재되고 양단이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종동롤러(122) 및 구동롤러(124)의 양단이 끼워진 프레임(F) 상에는 통상의 장력조절수단(126)이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롤러(124)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인접한 프레임(F) 상에는 장력조절수단(126)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롤러(124)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수단(128)이 배치된다.
여기서 구동수단(128)은 통상의 모터(moto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수단(128)과 구동롤러(124)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장력조절수단(126)은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의 위치를 조정해 소성벨트(1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소성벨트(13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된 금속박판으로 제조된다.
냉각자켓(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종동롤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냉각자켓(132)은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와 함께 액란(E)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소성벨트(13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소성벨트(130)에 접하게 양단이 프레임(F) 상에 고정 장착된다.
즉,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와 냉각자켓(132)은 오목하면서 냉각자켓(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액란 소성공간부(134)를 형성하는데, 액란 소성공간부(134) 측으로 공급된 액란(E)은 액란 소성공간부(134)에 수용되면서 액란 소성공간부(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고, 이렇게 펼쳐진 액란(E)는 가열버너(138)에 의해 가열된 소성벨트(130)의 표면과 접촉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지단(D)의 형태로 부쳐지면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따라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냉각자켓(132)은 액란(E)이 액란 소성공간부(134)에 눌러 붙지 않고 지단(D)의 형태로 소성되게 함과 동시에 가열된 소성벨트(13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표면이 차갑게 제공되는데, 이를 위해서 냉각자켓(132)에는 냉각수 순환라인(136)이 장착된다.
여기서, 액란(E)이 접촉되는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는 0~40℃, 바람직하게는 10~30℃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가 0℃ 미만이면 냉각수가 냉각자켓(132) 내부에서 얼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못하게 되고,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가 40℃를 초과하게 되면 소성벨트(130)에 접촉되는 액란(E)의 일측부분 뿐만 아니라 냉각자켓(132)에 접촉되는 액란(E)의 타측부분도 익어지기 때문에 냉각자켓(132)에 달라붙거나 탄화될 뿐만 아니라 지단(D)이 일정한 두께로 소성되지 못하고 울퉁불퉁해지거나 찢어지게 된다.
가열버너(138)는 종동롤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 뿐만 아니라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가열버너(138)는 액란 소성공간부(134)에 수용된 액란(E)이 지단(D)의 형태로 부쳐질 수 있도록 종동롤러(122)를 직접 가열하는데, 이때 종동롤러(122)를 지나는 소성벨트(130)는 종동롤러(122)로부터 열기가 전도되어 가열되며, 종동롤러(122)에 부딪힌 열기는 상부 측으로 안내되면서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직, 간접적으로 가열시킨다.
이를 위해서 가열버너(1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롤러(122)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소성벨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되 종동롤러(122)를 측면에서 봤을 때 3시 방향과 6시 방향 사이에 배치되면서 화구(140)는 종동롤러(122)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가열버너(138)는 액란(E)이 지단(D) 형태로 소성될 수 있도록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를 120~180℃, 바람직하게는 140~160℃가 되도록 가열시키는데,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가 120℃ 미만이면 소성(가열)온도가 약하게 되어 지단(D)이 완전히 익지 않게 되며,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가 180℃을 초과하면 지단(D)이 소성벨트(130)에 눌러 붙게 되거나 탄화된다.
그리고 가열버너(138)의 양단은 화구(140)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프레임(F) 상에 연결되는데, 가열버너(138)의 양단과 프레임(F)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가열버너(138)의 양단과 프레임(F)의 연결 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가열버너(138)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라인(도시되지 않음),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라인(도시되지 않음), 산소를 이용해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는데, 가열버너(138)와 산소 공급라인, 가스 공급라인 및 점화수단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단 형성수단(120)은 종동롤러(122)와 구동롤러(124) 사이의 프레임(F)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타공판(142)을 더 포함한다.
타공판(142)에는 다수의 타공(14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타공판(142)은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함과 아울러 지단(D) 소성 시 소성벨트(130)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지단(D)이 골고루 익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계란 지단 제조장치(100)를 이용한 지단(D)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지단 제조장치(100)를 이용해 계란 지단(D)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성벨트(130)를 구동시키면서 가열버너(138)를 작동시켜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가 적정온도, 즉 120~180℃가 되도록 유지시킨다. 그리고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를 적정온도, 즉 0~40℃를 유지하도록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이때 액란공급관(114)을 통해 액란(E)을 액란공급호퍼(112)에 충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란공급호퍼(112)에 액란(E)이 충전되고,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가 120~180℃를 유지하면서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가 0~40℃를 유지하면, 다음으로 액란공급호퍼(112)에 충전된 액란(E)이 냉각자켓(132)과 종동롤러(122)를 감싸면서 지나는 소성벨트(130) 사이, 즉 액란 소성공간부(134)측으로 공급되게 액란배출노즐(116)을 개방시킨다(도 3 참조).
이때, 액란배출노즐(114)을 통해 액란 소성공간부(134) 측으로 공급된 액란(E)은 액란 소성공간부(134)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펼쳐지고, 펼쳐진 액란(E)은 가열된 소성벨트(130)에 의해 지단(D)의 형태로 부쳐지면서 이송되는 소성벨트(130)를 따라 종동롤러(122)를 지나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된다(도 4 참조).
소성벨트(130)를 따라 종동롤러(122) 측에서 구동롤러(124) 측으로 이송되는 지단(D)은 타공판(142) 및 타공판(142)에 형성된 타공(144)을 거쳐 안내되는 가열버너(138)의 열기에 의해 서서히 익혀지면서 구동롤러(124)의 외부 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익혀지는 지단(D)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액란배출노즐(116)에 장착되는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소성공간부(134)로 공급되는 액란(E)의 양을 조절한다.
여기서,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를 120~180℃로 유지시키고,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를 0~40℃로 유지시킨 상태 하에서 액란(E)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면서 스소성벨트(130)의 이송속도를 늦추면 제조되는 지단(D)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소성벨트(130)의 표면온도를 120~180℃로 유지시키고, 냉각자켓(132)의 표면온도를 0~40℃로 유지시킨 상태 하에서 액란(E)의 공급량을 낮추면서 소성벨트(130)의 이송속도를 높이면 제조되는 지단(D)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지단 제조장치(100)는 지단(D) 제조 원료인 액란(E)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110)과, 액란공급수단(11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액란(E)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120)을 구비함으로써, 계란 지단을 자동으로 연속적이면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을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계란 지단의 활용도 및 수요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계란 지단 제조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계란 지단 제조장치 110 : 액란공급수단
112 : 액란공급호퍼 114 : 액란공급관
116 : 액란배출노즐 120 : 지단 형성수단
122 : 종동롤러 124 : 구동롤러
126 : 장력조절수단 128 : 구동수단
130 : 소성벨트 132 : 냉각자켓
134 : 액란 소성공간부 136 : 냉각수 순환라인
138 : 가열버너 140 : 화구
142 : 타공판 144 : 타공

Claims (9)

  1. 액란이 충전되는 액란공급수단과, 상기 액란공급수단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액란을 이송 및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얇게 부쳐내는 지단 형성수단을 가지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단 형성수단은,
    상기 액란공급수단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종동롤러;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롤러;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된 금속박판으로 제조되는 소성벨트;
    상기 종동롤러를 감싸면서 지나는 상기 소성벨트와 함께 상기 액란을 공급받는 오목하면서 상기 종동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액란 소성공간부를 형성하는 냉각자켓; 및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 측으로 공급된 상기 액란이 이송되는 상기 소성벨트에 의해 부쳐지도록 상기 소성벨트를 가열하는 가열버너;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자켓은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소성벨트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소성벨트에 접하게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냉각자켓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순환라인이 장착되어 상기 냉각자켓의 표면온도를 0~40℃로 유지시키되,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에 공급된 액란은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면서 상기 가열버너에 의해 가열된 상기 소성벨트의 표면과 접촉해 상기 지단 형태로 부쳐지면서 이송되는 상기 소성벨트를 따라 상기 종동롤러를 지나 상기 구동롤러 측으로 이송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는 각각 상기 프레임 사이에 게재되며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양단이 끼워진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위치를 조정해 상기 소성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장력조절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구동롤러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장력조절수단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구동롤러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동수단이 배치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버너는 상기 종동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종동롤러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상기 소성벨트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버너는 상기 종동롤러를 측면에서 봤을 때 3시 방향과 6시 방향 사이에 배치되면서 화구는 상기 종동롤러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버너는 상기 소성벨트의 표면온도를 120~180℃가 유지되도록 가열시키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열버너의 양단은 상기 화구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버너에는 산소 공급라인, 가스 공급라인, 및 점화수단이 장착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단 형성수단은,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의 상기 프레임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타공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타공판은 상기 종동롤러를 지나 상기 구동롤러 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소성벨트가 균일하게 가열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소성벨트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상기 지단이 골고루 익게 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란공급수단은,
    상기 종동롤러의 상부 측에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액란공급호퍼;
    외부에서부터 상기 액란공급호퍼 내부로 상기 액란을 공급하는 액란공급관;
    상기 액란공급호퍼의 내부에는 충전되는 상기 액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액란공급호퍼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란공급호퍼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액란을 연속적으로 상기 액란 소성공간부 측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액란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20150153338A 2015-11-02 2015-11-02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173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38A KR101733389B1 (ko) 2015-11-02 2015-11-02 계란 지단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38A KR101733389B1 (ko) 2015-11-02 2015-11-02 계란 지단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389B1 true KR101733389B1 (ko) 2017-05-08

Family

ID=6016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338A KR101733389B1 (ko) 2015-11-02 2015-11-02 계란 지단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3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326A1 (ko) *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대한기계 스프링 롤 제조장치
KR102198804B1 (ko) * 2020-08-05 2021-01-05 김정학 지단제조방법
KR20210088889A (ko) * 2020-01-07 2021-07-15 장활석 스틸벨트형 이송컨베이어
KR20220145513A (ko) 2021-04-22 2022-10-31 양건태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20230001959A (ko) * 2021-06-29 2023-01-05 이근흥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20230005683A (ko) 2021-07-01 2023-01-10 이근흥 계란지단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347A (ja) 2001-04-11 2002-10-22 Shinagawa Kogyosho:Kk たまごシートの製造装置
KR101528560B1 (ko) * 2014-10-27 2015-06-12 (주)로뎀푸드 계란말이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6347A (ja) 2001-04-11 2002-10-22 Shinagawa Kogyosho:Kk たまごシートの製造装置
KR101528560B1 (ko) * 2014-10-27 2015-06-12 (주)로뎀푸드 계란말이 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326A1 (ko) *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대한기계 스프링 롤 제조장치
US12108767B2 (en) 2018-07-04 2024-10-08 Daehan Food Machine Co., Ltd. Spring roll making apparatus
KR20210088889A (ko) * 2020-01-07 2021-07-15 장활석 스틸벨트형 이송컨베이어
KR102400252B1 (ko) * 2020-01-07 2022-05-19 장활석 스틸벨트형 이송컨베이어
KR102198804B1 (ko) * 2020-08-05 2021-01-05 김정학 지단제조방법
KR20220145513A (ko) 2021-04-22 2022-10-31 양건태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20230001959A (ko) * 2021-06-29 2023-01-05 이근흥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2694035B1 (ko) * 2021-06-29 2024-08-12 이근흥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20230005683A (ko) 2021-07-01 2023-01-10 이근흥 계란지단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389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CN203969102U (zh) 一种茶叶杀青装置
KR20110111990A (ko) 도넛츠 제조장치
JP2008136485A (ja) 火入れ機
KR102656654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1862557B1 (ko) 누룽지 제조기
CN201085035Y (zh) 干果炒制机
CN206534038U (zh) 一种滚筒茶叶杀青机
KR101455384B1 (ko) 자동 덖음기
JP4667294B2 (ja) 生茶葉の茹で処理装置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0192885B1 (ko) 냉면 자동 압출장치
CN209219049U (zh) 一种太谷饼自动烫面机组
KR20140096496A (ko) 국수 제조장치
CN105028851B (zh) 一种超低温健康糖果连续熬制设备
JP2002291410A (ja) 熱風の加湿装置、及び茶葉蒸機
CN103720007B (zh) 栗子脱壳设备及脱壳方法
KR20190081356A (ko) 냉면 및 떡볶이 반죽물 증숙기
KR100935807B1 (ko) 떡 제조장치
CN104605415B (zh) 一种用于炒制瓜子的自动配料机
CN208064443U (zh) 一种肉骨粉饲料生产用预处理循环蒸煮器
KR810000160B1 (ko) 현미 가공장치
SU16537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KR20230005683A (ko) 계란지단 제조장치
CN219396202U (zh) 一种食品面糊熟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