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828B1 -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828B1
KR101731828B1 KR1020150173248A KR20150173248A KR101731828B1 KR 101731828 B1 KR101731828 B1 KR 101731828B1 KR 1020150173248 A KR1020150173248 A KR 1020150173248A KR 20150173248 A KR20150173248 A KR 20150173248A KR 101731828 B1 KR101731828 B1 KR 10173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ain injection
dredging
dredging modu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명수
김형주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5Floating installations self propelled, e.g. 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06Digging devices using blowing effect only, like jets or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토와 보강재의 혼합이 용이하며 간척작업 및 튜브체 주입에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준설모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돌출된 형태로 두 개 이상 보조주입부가 상측에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주입부를 포함하는 준설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Dredging module and method for injection dredge soils in tub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준설토를 주입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튜브체 내 준설토를 주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준설토와 보강재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준설이란 하천이나 해안의 바닥에 쌓인 흙이나 암석 따위를 긁어내어 바닥을 깊게 하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준설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흙을 준설토라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준설작업에 의한 준설토를 이용하여 간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준설작업은 먼저, 호수나 해안에 준설선(10)을 띄우고, 상기 준설선(10)에는 별도로 해안이나 호수의 바닥면으로부터 펌핑 등의 작업을 통하여 준설토를 흡입하는 흡입호스(20)와, 상기 흡입호스(20)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토를 인근 해안가 간척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공급하는 공급호스(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호스(30)에는 상황에 따라서 별도의 연결호스(80)을 연결하여 준설토를 공급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준설 작업에 의하여 얻어진 준설토는 많은 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준설토만을 이용하여 지반을 형성 시에는 연약지반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서, 자연적, 인공적인 배수를 통하여 연약지반의 성질이 개량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시간 동안에는 장비가 지반에 투입되지 못하여 추가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별도의 모래나 시멘트 또는 개량된 고화제 등 보강재를 사용하여 연약지반을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기술도 제시되고는 있으나, 준설토와 보강재의 혼합 등에는 이를 위한 별도의 장비와 숙련된 인력이 투여되어야 하여 전체 공사 비용이 증대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종래와 동일한 작업방식으로 준설토와 모래, 시멘트나 고화제 등과 같은 보강재를 혼합 교반하여 간척작업 등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공급할 수 있는 준설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체에 준설토 등을 주입 시 튜브체 내부에 걸리는 초기 과도한 주입 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준설모듈과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된 형태로 두 개 이상 보조주입부가 상측에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주입부를 포함하는 준설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주입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주입부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케이싱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주입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메인주입부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케이싱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주입부는 하부가 종단면상 상기 개방부 측으로 만곡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주입부는 외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상기 케이싱 내측을 따라서 나선형태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보조주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선에 소정 각도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내측에 삽입되는 메인주입부는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나선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도록 내면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부나선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주입부는 상기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나선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도록 외부면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부나선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주입부와 상기 보조주입부를 동시에 연결시키어 서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메인주입부의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로 기 설정 폭을 가지는 관통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슬릿은 나선 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메인주입부의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로 기 설정 폭을 가지는 관통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슬릿은 나선 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돌출된 형태로 두 개 이상 보조주입부가 상측에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주입부를 포함하는 준설모듈을 이용하여 튜브체 내 준설토를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보조주입부 중 적어도 일측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메인주입부를 통하여 준설토를 주입하도록 하는 준설모듈을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케이싱에 동시에 구비된 메인주입부와 보조주입부에 외부호스를 연결하는 방법만으로 준설토와 모래나 시멘트 또는 고화제 등의 두 개 이상의 보강재를 혼합 교반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형태의 작업으로 토양 개량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 내부 또는 메인주입부 외부에 별도의 나선리브를 적용하거나 또는 메인주입부에 나선슬릿 등을 적용함으로써 케이싱 내부에서 두 개 이상의 토사가 보다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체에 준설토 등을 주입 시에 보조주입부를 개방된 상태로 하여 메인주입부 등을 통하여 준설토가 주입 시 초기 과도한 준설토 주입압에 따라서 튜브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준설작업에 의한 준설토를 이용하여 간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에 호스가 연결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해안 주변 간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는 해안 주변 간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케이싱 내 메인주입부의 길이가 변형된 형태의 준설모듈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준설모듈의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보강재가 공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튜브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적용하여 준설토와 보강재를 주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1)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112), 보조주입부(116) 및 메인주입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2)은 하부에 개구부(111)가 구비되며, 상부 중앙부에 상기 케이싱(112)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중앙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주입부(116)는 상기 케이싱(112)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주입부(116)는 케이싱(112)의 중앙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에서는 일 형태로서 두 개의 보조주입부(116)가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메인주입부(120)는 상기 케이싱(112)의 중앙부 즉, 상기 보조주입부(116) 사이에 위치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또한 상기 메인주입부(1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주입부(120)의 상부가 외부로 일부 돌출된 형태로 상기 케이싱(112)의 중앙홀(11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메인주입부(120)와 상기 케이싱(112)은 용접 결합될 수 있으며,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싱(112)의 중앙홀(114) 부위에 상기 메인주입부(120)가 회전방식에 의하여 나사체결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주입부(120)와 상기 보조주입부(116)를 동시에 연결시키어 상기 각 주입부끼리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고정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메인주입부(120)와 상기 보조주입부(116)의 외주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131)와 상기 삽입부(131)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리브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에 호스가 연결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1)은 상기 메인주입부(120)와 양측 보조주입부(116) 각각에 외부로부터 준설토 또는 보강재가 주입되는 호스(80)가 별도의 연결클램프(90)를 이용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주입부(120)를 통하여는 준설토가, 상기 보조주입부(116)를 통하여는 모래, 시멘트나 고화제 등의 보강재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보조주입부(116)를 통하여는 서로 다른 보강재가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해안 주변 간척사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는 해안 주변 간척사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1)의 메인주입부(120)에는 준설선(10)과 연결되는 호스(80)를 연결하고, 양측 보조주입부(116)에는 각각 별도의 보강재가 공급되는 공급장치(90) 등이 연결되는 호스(80)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케이싱(112)의 하부 개구부(111)로는 준설토와 보강재가 동시에 혼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되어, 기존 준설토만을 공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간척사업용 토사재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준설토와 보강재의 혼합을 위하여 별도의 숙련된 인력이나 장비가 없이 종래 준설토 공급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되어 작업상의 편리함과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싱(112) 내측에 삽입되는 메인주입부(120)는 단부가, 상기 케이싱(112)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L) 상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준설토와 보강재 등이 케이싱(112) 내측 하부에서 보다 원활하게 혼합 교반된 상태로 케이싱(112)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준설모듈을 설명하며, 이하 각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2)은 상기 메인주입부(140)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142)가 두 개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주입부(140)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케이싱(112)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됨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2)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입부(140)는 하부가 종단면상 상기 개방부(142) 측으로 만곡진 형태를 이루어, 상기 메인주입부(140)를 통하여 배출되는 보강재 등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측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142)로 준설토가 배출되므로, 상기 메인주입부(140)와 케이싱(112) 내부 사이로 공급되는 보강재와 준설토의 혼합 교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3)은 상기 보조주입부(118)를 통하여 주입되는 보강재가 상기 케이싱(112) 내측을 따라서 나선형태로 유동되도록, 상기 보조주입부(118)는 상기 케이싱(112)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선에 소정 각도(θ) 경사져 배치된다. 즉, 상기 보조주입부(118)가 상기 케이싱(112)에 소정 스크류 형태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준설모듈의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보강재가 공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3)의 경우 상기 보조주입부(118)를 통하여 주입되는 보강재가 상기 보조주입부(118)의 경사각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12)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케이싱(112)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메인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준설토와의 혼합 및 교반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4)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2)은 상기 보조주입부(116)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나선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도록 내면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부나선리브(113)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대로 상기 메인주입부(120)에 준설재료가 나선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도록 메인주입부(120)의 외부면을 따라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부나선리브(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내부나선리브와 외부나선리브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5)은 상기 케이싱(112)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메인주입부(180)의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로 기 설정 폭을 가지는 관통슬릿(18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슬릿(1800)은 상기 메인주입부(18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메인주입부(180)의 외주 둘레를 따라서 소정간격마다 나선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주입부(180)로 주입되는 준설토 등의 주입 속도를 상기 메인주입부(180)와 케이싱(112) 사이로 주입되는 보강재의 주입 속도보다 크게 하는 경우, 베르누이원리에 의하여 상기 메인주입부(180) 내부와 외부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메인주입부(180) 외부의 보강재가 상기 메인주입부(180)의 관통슬릿(188) 내측으로 이동 및 관통슬릿(188) 방향으로 회전 움직임을 가져오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슬릿(188)이 나선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메인주입부(180) 내외부 준설토와 보강토가 모두 점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나선형태로 이동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내부나선리브와 외부나선리브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 및 도 16는 간척사업용 등으로 적용되는 튜브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을 적용하여 준설토와 보강재를 주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튜브체의 주입부(1)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101)의 케이싱(112) 하부를 설치한 후에, 상기 메인주입부(120)만을 통하여, 또는 메인주입부(120)와 한 개의 보조주입부(116)만을 이용하여 준설토나 보강재를 튜브체 내측으로 주입한다.
즉, 상기 두 개 이상의 보조주입부(116) 중 적어도 일측은 개방된 상태로 준설토 등을 주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튜브체 내 초기 주입과정 시 발생하는 과도한 주입압에도, 상기 개방된 보조주입부(116)를 통하여 튜브체 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주입압이 경감될 수 있게 되고 결국 튜브체의 주입부나 주입부 주변에 과도한 준설토 주입압에 따른 튜브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 이상의 보조주입부(116) 중 일부 보조주입부(116)를 이용 준설토 주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튜브체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5 및 도 16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준설모듈이 설치 적용된 형태만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준설모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1, 102, 103, 104, 105: 준설모듈
111: 개구부
112: 케이싱
114: 중앙홀
116: 보조주입부
120, 140, 180: 메인주입부
113: 내부나선리브
188: 관통슬릿

Claims (15)

  1. 외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두 개 이상 보조주입부가 상측에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상기 케이싱 내측을 따라서 나선형태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보조주입부는 상기 케이싱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선에 소정 각도 경사져 배치되는,
    준설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입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주입부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케이싱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준설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입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메인주입부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케이싱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준설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입부는,
    하부가 종단면상 상기 개방부 측으로 만곡진 형태를 이루는,
    준설모듈.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측에 삽입되는 메인주입부는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상부에 위치되는,
    준설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나선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도록 내면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부나선리브가 구비되는,
    준설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입부는,
    상기 보조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되는 준설재료가 나선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되도록 외부면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부나선리브가 구비되는,
    준설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주입부와 상기 보조주입부를 동시에 연결시키어 서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준설모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메인주입부의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로 기 설정 폭을 가지는 관통슬릿이 구비되는,
    준설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릿은,
    나선 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지는,
    준설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메인주입부의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로 기 설정 폭을 가지는 관통슬릿이 구비되는,
    준설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릿은,
    나선 형태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지는,
    준설모듈.
  15. 돌출된 형태로 두 개 이상 보조주입부가 상측에 구비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메인주입부을 포함하는 준설모듈을 이용하여 튜브체 내 준설토를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보조주입부 중 적어도 일측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메인주입부를 통하여 준설토를 주입하도록 하는 준설모듈을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KR1020150173248A 2015-12-07 2015-12-07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KR10173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248A KR101731828B1 (ko) 2015-12-07 2015-12-07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248A KR101731828B1 (ko) 2015-12-07 2015-12-07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28B1 true KR101731828B1 (ko) 2017-05-02

Family

ID=5874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248A KR101731828B1 (ko) 2015-12-07 2015-12-07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00B1 (ko) * 2006-03-30 2007-03-20 오성훈 지오텍스타일튜브 및 지오텍스타일튜브내의 채움재 채움방법
KR101372236B1 (ko) * 2013-07-04 2014-03-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 및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을 구비한 준설토주입모듈
KR101457309B1 (ko) * 2013-12-16 2014-11-03 이형호 탠션백을 이용한 몰탈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00B1 (ko) * 2006-03-30 2007-03-20 오성훈 지오텍스타일튜브 및 지오텍스타일튜브내의 채움재 채움방법
KR101372236B1 (ko) * 2013-07-04 2014-03-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 및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을 구비한 준설토주입모듈
KR101457309B1 (ko) * 2013-12-16 2014-11-03 이형호 탠션백을 이용한 몰탈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929B1 (ko) 복합 파일을 형성하는 기초 공법
KR101731828B1 (ko) 준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튜브체 내 준설토 주입 방법
JP2018076663A (ja) 変位低減型締固め砂杭造成用中空管及び締固め砂杭造成方法
KR101095390B1 (ko) 시멘트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 개량 강화 공법
KR101855413B1 (ko) 심층혼합처리공법의 경화재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2009174179A (ja) シールド掘削機受口の構築方法およびシールド掘削機の到達方法
KR102071767B1 (ko) 혼합처리장비에 설치되어 연약지반개량용 분체 고화제를 1.5 shot 방식으로 공급하여 교반하는 교반축을 이용한 혼합처리장치
CN205421371U (zh) 码头地区珊瑚礁回填造地用填充装置
KR101702180B1 (ko) 차수기능의 분리형 선단슈를 이용한 비배토 현장타설말뚝 시공 공법
JP6218180B2 (ja) 矩形断面推進工法
KR840000824B1 (ko) 지반주입재(地盤注入材)의 주입방법과 그 장치
JP4328187B2 (ja) トンネル背面側空洞充填方法
JPH07138938A (ja) 地下構築物の造成方法
JP2016217066A (ja) 掘削撹拌装置
JPS5939039B2 (ja) シ−ルド掘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733561B2 (ja) 曲率のある地中連壁工法
JP2014163218A (ja) シールド掘削機、及びシールド工法
JPH0387413A (ja) 地盤改良における柱状固結体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303071B1 (ja) シールド掘削機、及びシールド工法
JPH11241593A (ja) 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地盤崩壊防止方法
JP2009138332A (ja) 透水層の造成方法
JP6162292B2 (ja) 裏込材注入装置
JP4015658B2 (ja) 既設水路の取壊し方法
JPH06228946A (ja) 鋼製矢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鋼製矢板壁の止水工法
JP2016056579A (ja) 掘削装置および掘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