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561B1 -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61B1
KR101731561B1 KR1020150069740A KR20150069740A KR101731561B1 KR 101731561 B1 KR101731561 B1 KR 101731561B1 KR 1020150069740 A KR1020150069740 A KR 1020150069740A KR 20150069740 A KR20150069740 A KR 20150069740A KR 101731561 B1 KR101731561 B1 KR 10173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personality
words
stimulus
tes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055A (ko
Inventor
김건오
Original Assignee
트윈워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윈워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윈워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61B1/ko
Priority to PCT/KR2016/004891 priority patent/WO2016186363A1/ko
Priority to US15/575,196 priority patent/US20180146905A1/en
Publication of KR2016013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7/07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questions simultaneous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를 획득하는 입출력부와,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추출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워드 그래프를 이용해 반응어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ersonality tes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리를 검사하여 파악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심리 검사(Psychological Test)란 인간의 지능이나 적성, 성격 등을 검사하여 검사결과를 체계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측정방법을 의미한다. 심리 검사는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능 검사(Intelligence Test), 적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성 검사(Aptitude Test), 학업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학력 검사(Achievement Test),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 또는 기질 등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성격 검사(Personality Test) 등의 검사 목적에 따른 다양한 심리 검사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심리 검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개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정보는 그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고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 중 성격 검사는 일정한 원리에 의거하여 조직적으로 전형적인 성격 유형을 결정하고, 그에 의하여 다양한 개인의 성격을 분류, 정리하여, 성격의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쉽고 간단하며 재미있게 피검사자의 성격을 판별할 수 있는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를 획득하는 입출력부와,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추출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워드 그래프를 이용해 반응어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워드 그래프는 성격 타입을 대표하는 핵심어 별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의미 거리를 가진 단어들끼리를 그룹화하여 분류한 자료이고, 의미 거리는 단어들 간의 의미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이를 물리적인 거리로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자극어를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가장 먼저 연상되는 단어를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로 슬라이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슬라이드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자극어와 함께 자극어와 관련된 단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자극어와 함께 자극어와 관련된 단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로 슬라이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슬라이드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워드 그래프를 참조하여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의미 거리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을 판별한다. 또는 제어부는 자극어에 대한 반응어를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 투영시켜 워드 그래프 내 투영된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분류된 핵심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어를 추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피검사자가 자극어를 대상으로 무의식에 의해 연상되는 반응어를 응답하도록 하는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을 사용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자극어에 대한 피검사자의 반응어를 반영하여 다음 차례의 자극어를 워드 그래프에서 추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검사 문항 및 시간이 서로 상이한 다수의 검사 타입을 제공하여 피검사자가 검사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문가 없이도 피검사자가 스스로 쉽고 간단하며 재미있게 자신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검사 방식이 단순하고 검사 문항 수도 많지 않으므로 피검사자는 짧은 시간에 손쉽게 자신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자유 연상 방식, 단어 선택 방식, 슬라이더 방식 등의 검사 방식을 통해 재미있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피검사자의 콤플렉스 파악뿐만 아니라 성격 판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를 이용하여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를 분석하거나 워드 그래프 내에 투영된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함에 따라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을 통해 피검사자의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더 잘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결과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드 그래프의 일부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1)는 피검사자에게 자극어(stimulus word)를 제시하고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응어(response word)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personality type)을 판별한다. 이때, 반응어는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에 의해 연상(association)되는 단어이다. 성격 검사 장치(1)가 피검사자에게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제시하면, 피검사자는 자극어에 대해 반응어로 응답하고, 성격 검사 장치(1)는 반응어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성격 검사 장치(1)가 제공하는 검사는 심리 상담사 등과 같은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고, 많은 시간이나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도 쉽고 간단하게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파악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1)는 워드 그래프(word graph)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예를 들어,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를 분석하거나, 워드 그래프에 투영된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 워드 그래프는 핵심어(key word) 별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의미 거리를 가진 단어들끼리를 그룹화하여 분류한 자료이다. 성격 타입의 핵심어는 외향성(extraversion), 내향성(introversion), 감각형(sensing), 직관형(intuition), 사고형(thinking), 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 인식형(perceiving) 8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워드 그래프는 8개의 핵심어 별로 각각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의미 거리를 가진 단어들로 구성된다. 의미 거리는 단어들 간의 의미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이를 물리적인 거리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어들을 가깝거나 멀리 배치하여 워드 그래프를 구성하며, 단어들은 여러 단어들과 의미의 유사성을 가질 수 있다.
성격 검사 장치(1)가 제공하는 성격 검사는 자극어에 대해 연상되는 반응어를 이용하는 단어 연상 검사 방식을 이용한다. 분석 심리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어 연상 검사 중 하나는 칼 융(C. G. Jung)이 1908년 F. W. Kaeding의 빈도 사전에 의거하여 최다빈도의 단어 100개의 자극어를 선택하여 만든 것인데, 명사와 형용사 또는 부사를 번갈아 무작위로 나열한 것이다. 흔하게 쓰이는 검사는 아니지만 최근 들어 심신 상호관계의 연구라는 차원에서 관심이 높다. 이 검사는 통계적 연구의 대상이거나 진단용 심리검사가 아니고, 검사자의 분석과정에서 피검사자의 무의식적인 콤플렉스(complex)를 환기시켜 이를 의식화시키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이하, 칼 융의 단어 연상 기반 심리 검사와 차별화되는 본 발명의 성격 검사의 특장점에 대해 후술한다.
칼 융의 단어 연상 기반 심리 검사는 자극어 대비 반응어를 이끌기까지의 응답 속도를 중심으로 피검사자가 어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검사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이때, 피검사자의 콤플렉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검사자가 동일한 자극어로 여러 번 검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칼 융의 심리 검사는 피검사자의 콤플렉스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지, 피검사자의 성격을 판별해 주는 검사가 아니다.
본 발명의 단어 연상 기반 성격 검사는 칼 융의 심리 검사와는 다르게 전문가 없이도 피검사자가 스스로 쉽고 간단하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고, 피검사자의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성격 검사를 이용하면 특별히 훈련받은 전문가 없이도 피검사자 스스로 자신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자극어를 제시하고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해보라고 하거나, 슬라이드로 그 정도를 표현해 보라고 하는 것과 같이, 검사 방식이 쉽고 단순하다. 또한, 검사 문항 수도 많지 않으므로 피검사자는 짧은 시간에 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칼 융의 단어 연상 검사 방식이 피검사자의 콤플렉스를 파악하기 위한 것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피검사자의 콤플렉스 파악뿐만 아니라 성격 판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성격 검사 방식 중 하나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에 비해, 피검사자의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더 잘 해석할 수 있고 전문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검사 방식이 단순하며 재미있다.
구체적으로, MBTI의 경우 검사 문항이 미리 정해져 있으나,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무작위로 검사 문항이 결정된다. 또한, MBTI의 경우 검사 문항 수가 90개 이상으로, 많은 검사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문항 수가 매우 적다. 가령, 성격 검사 장치(1)는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분류된 8개의 핵심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어를 추출하여 문항을 구성한다. 이 경우 검사 문항은 최소 8개가 된다. 검사 정확도를 감안하여 핵심어 당 3개의 문항을 제시한다고 가정한 경우, 총 문항 수는 24개(8×3)로서, MBTI의 90개 이상의 문항보다 매우 적다. 나아가, 성격 검사 장치(1)는 검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피검사자의 반응어를 보고 다음 제시할 자극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문항, 예를 들어 8개 정도의 문항이 추가되어 총 32개의 문항이 되고, 총 32개의 문항 수만으로도 성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전히 MBTI의 90개 이상의 문항보다 매우 적다. 검사 문항 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피검사자의 검사 소요 시간은 단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1)가 제공하는 성격 검사는 검사 문항 및 시간이 서로 상이한 다수의 검사 타입을 제공하여, 피검사자가 검사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간단하게는 3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타입을 기본형으로 제공하고, 피검사자가 보다 더 정밀하게 자신의 성격을 알고 싶다면 더 많은 문항 수로 구성된 검사 타입을 선택하면 되고, 이에 비해 더 짧은 시간에 자신의 성격을 알고 싶다면 더 간단한 문항 수로 구성된 검사 타입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을 통해 피검사자의 내면의 세계를 파악하는 검사이다.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은 피검사자가 자극어를 대상으로 무의식에 의해 연상되는 반응어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성격 검사는 가수(singer)에 대해 피검사자에게 가장 먼저 생각나는 단어를 응답하도록 요청한다. 이 경우, 피검사자는 검사자의 의도를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응답하게 된다. 피검사자가 검사자의 의도를 알아챈 경우 피검사자가 왜곡되게 검사에 응할 수 있으므로 검사의 신뢰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은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1)는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 판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성격을 분석해 주고 심리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심리 상태 분석을 통해 피검사자는 자아를 파악할 수 있고, 심리 상태에 따른 단기적, 장기적 심리 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에 따라 피검사자 맞춤형 추천 정보나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피검사자의 성격에 맞추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격 검사 장치(1)는 광고 서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시스템은 성격 검사 장치(1)와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한다.
피검사자는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성격 검사 장치(1)에 접속하여 성격 검사 장치(1)가 제공하는 검사를 사용자 단말(2) 상에서 실행한다. 검사를 위해 사용자 단말(2)에는 검사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인터넷 등을 통해 성격 검사 장치(1)에 접속하여 성격 검사 장치(1)가 제공하는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격 검사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이 접속 가능한 웹 페이지를 직접 제공하거나 별도의 웹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2)에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성격 검사 장치(1)가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면, 사용자 단말(2)은 성격 검사 장치(1)로부터 판별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2)은 검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개인용 컴퓨터(PC), 핸드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IPTV, PMP, 내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이동방송 수신기,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성격 검사 장치(1)는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 판별에 필요한 워드 그래프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성격 검사 장치(1)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된 워드 그래프를 이용할 수 있고, 성격 검사 장치(1) 내에 워드 그래프가 저장된 워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시스템은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장치들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과 성격 검사 장치(1) 사이의 정보교환은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과 성격 검사 장치(1)의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성격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과 성격 검사 장치(1)가 일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 내부에 성격 검사 장치(1)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성격 검사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 자체가 성격 검사 장치(1)로 대체될 수 있다.
성격 검사 장치(1)는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고 사용자 단말(2)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성격 타입 판별 결과를 표시한다. 성격 검사 장치(1)는 성격 타입 판별을 위해 필요한 워드 그래프를 별도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할 수 있다. 워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가 성격 검사 장치(1)에 저장된 경우는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성격 검사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과 분리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에 일체화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성격 검사 장치(1)는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는 사용자 단말(2)에 포함되고, 다른 일부 구성 요소는 사용자 단말(2)과 분리된 별도의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성격 검사 장치(1)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성격 검사 장치(1)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일부만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그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구성요소들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성격 검사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1)는 입출력부(10) 및 제어부(12)를 포함하며, 저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는 성격 검사 장치(1)가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동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입력을 받거나, 데이터를 출력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성격 검사 장치(1)에 피검사자의 성격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요청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2)에 전달하고, 제어부(12)를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이 판별되면 제어부(12)로부터 판별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제어부(12)는 일종의 프로세서로서, 성격 검사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2)는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추출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워드 그래프를 이용하여 반응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제어부(12)는 다양한 검사 방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자유 연상(free association), 단어 선택(word selection), 슬라이더(slider) 방식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제시한다. 이때. 제어부(12)는 분류된 핵심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향성(extraversion), 내향성(introversion), 감각형(sensing), 직관형(intuition), 사고형(thinking), 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 인식형(perceiving) 8개의 핵심어 별로 자극어를 추출하여 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워드 그래프를 이용하여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예로, 워드 그래프를 참조하여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의미 거리에 따라 정답률 또는 오답률을 추출하며 추출된 정답률 또는 오답률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을 판별한다. 의미 거리에 따라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자극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의미 거리 내의 반응어를 응답한 경우는 정답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의미 거리를 벗어난 반응어를 응답한 경우는 오답으로 결정한다. 오답인 경우, 오답을 일으킨 자극어가 추출된 성격 타입의 워드 그래프에서 다른 자극어를 추출하여 이를 피검사자에 제시하고 피검사자의 반응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는 자극어에 대한 반응어를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 투영시켜 워드 그래프 내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일 예로, 서로 상이한 핵심어를 중심으로 분류된 각 워드 그래프, 가령, 외향성(extraversion), 내향성(introversion), 감각형(sensing), 직관형(intuition), 사고형(thinking), 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 인식형(perceiving) 8개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각각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선택되는 반응어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예를 들어, 외향성과 관련된 워드 그래프에서 추출된 자극어와 내향성과 관련된 워드 그래프에서 추출된 자극어를 함께 제시하고, 이때 피검사자가 내향성과 관련된 워드 그래프에서 추출된 자극어를 선택한 경우 피검사자는 내향성이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는 8개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반응어가 어느 워드 그래프에 집중되었는지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저장부(16)는 성격 검사 장치(1)가 성격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16)는 저장된 정보들을 제어부(12)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6)에는 워드 그래프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6)는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는 추출부(120), 분석부(122) 및 판별부(124)를 포함한다.
추출부(120)는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추출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한다. 추출부(120)는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분류된 핵심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120)는 피검사자가 자극어를 대상으로 무의식에 의해 연상되는 반응어를 응답하도록 하는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을 사용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추출부(120)는 자극어에 대한 피검사자의 반응어를 반영하여 다음 차례의 자극어를 워드 그래프에서 추출할 수 있다.
분석부(122)는 워드 그래프를 이용하여 반응어를 분석하고, 판별부(124)는 분석부(122)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
판별부(124)의 성격 타입 판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성격 타입에 대해 설명하면, 성격 타입은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외향-내향(E-I) 지표, 정보 수집을 포함한 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감각-직관(S-N) 지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사고-감정(T-F) 지표,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이 실생활에서 드러난 생활 양식을 보여 주는 판단-인식(J-P) 지표일 수 있다. 이 8가지 선호 지표가 조합된 양식을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향성(extraversion)과 내향성(introversion) 지표는 심리적 에너지와 관심의 방향이 자신의 내부와 외부 중 주로 어느 쪽으로 향하느냐를 보여 주는 지표이다. 감각형(sensing)과 직관형(intuition) 지표는 사람이나 사물 등의 대상을 인식하고 지각하는 방식에서 감각과 직관 중 어느 쪽을 주로 더 사용하는지에 관한 지표이다. 사고형(thinking)과 감정형(feeling) 지표는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하고 결정을 내릴 때 사고와 감정 중 어떤 것을 더 선호하는지 알려 준다. 판단형(judging)과 인식형(perceiving) 지표는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을 바탕으로 실생활에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 판단과 인식 중 어느 쪽을 주로 선호하는지에 관한 경향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전술한 8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피검사자의 성격을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또는 융의 성격 타입(Jung Personality Type)에서 사용하는 16가지 성격 유형(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16가지 성격 유형에서 인식 기능(S 혹은 N)과 판단 기능(T 혹은 F)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기능을 주 기능이라고 일컬으며, 주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부 기능이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주 기능이 사고형(T)이면, 부 기능은 자연히 인식 기능(S 혹은 N) 가운데 하나가 된다. 즉, 16가지 성격 유형 각각에서 서로 다른 주 기능과 부 기능을 가지며, 이는 다시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이 내향이냐 외향이냐에 따라 분화되어 각기 다른 특성을 띠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세부적으로,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유 연상(free association) 검사 방식에서의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500)를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500)에 대해 피검사자가 가장 먼저 연상되는 단어를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요청(510)하는 검사 문항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 피검사자는 가장 먼저 연상되는 반응어(520)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각 문항 당 입력 제한 시간, 예를 들어 40초를 부여하고 잔여 시간(53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문항이 몇 번째 문항인지에 대한 정보(Responed)(540)와, 총 문항 수 정보(in total)(55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선택(word selection) 검사 방식에서의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들(600, 610)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600, 610)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620)하는 검사 문항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 피검사자는 자극어들(600, 61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각 문항 당 입력 제한 시간, 예를 들어 40초를 부여하고 잔여 시간(63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문항이 몇 번째 문항인지에 대한 정보(Responed)(640)와, 총 문항 수 정보(in total)(65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slider) 검사 방식에서의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들(700, 710)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700, 710)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로 슬라이드(720)를 표시하도록 요청(730)하는 검사 문항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 피검사자는 자극어들(700, 710) 중에서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로 슬라이드 표시하게 된다. 슬라이드 방식은 도 6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선택 방식에 비하여 그 선호도 정도를 함께 알 수 있는 방식이다. 이때, 각 문항 당 입력 제한 시간, 예를 들어 40초를 부여하고 잔여 시간(74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문항이 몇 번째 문항인지에 대한 정보(Responed)(750)와, 총 문항 수 정보(in total)(76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어 선택(word selection) 검사 방식에서의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800)와 함께 자극어(800)와 관련된 단어들(810, 820)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810, 820) 중에서 자극어(800)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830)하는 검사 문항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 피검사자는 제시된 단어들(810, 82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각 문항 당 입력 제한 시간, 예를 들어 40초를 부여하고 잔여 시간(84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문항이 몇 번째 문항인지에 대한 정보(Responed)(850)와, 총 문항 수 정보(in total)(86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slider) 검사 방식에서의 성격 검사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900)와 함께 자극어(900)와 관련된 단어들(910, 920)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910, 920) 중에서 자극어(900)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로 슬라이드(930)를 표시하도록 요청(940)하는 검사 문항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 피검사자는 제시된 단어들(910, 920) 중에서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로 슬라이드 표시하게 된다. 이때, 각 문항 당 입력 제한 시간, 예를 들어 40초를 부여하고 잔여 시간(95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문항이 몇 번째 문항인지에 대한 정보(Responed)(960)와, 총 문항 수 정보(in total)(97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결과 화면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성격 검사 결과(1000)를 표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성(extraversion), 내향성(introversion), 감각형(sensing), 직관형(intuition), 사고형(thinking), 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 인식형(perceiving) 8개 지표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을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에서 사용하는 16가지 성격 유형(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 중 하나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성격을 분류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성격 검사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화면(1010)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는 성격 검사 결과를 메일, 트위터, 페이스북 등에 올릴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로부터 성격 검사 결과에 대해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가 성격 검사 결과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피검사자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화면(102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격 검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성격 검사 장치는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추출(1100)하고, 추출된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구성하여 제공한다(1110). 이어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를 수신(1120)하고, 수신된 워드 그래프를 이용해 반응어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한다(1130).
워드 그래프는 성격 타입을 대표하는 핵심어 별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의미 거리를 가진 단어들끼리를 그룹화하여 분류한 자료이고, 의미 거리는 단어들 간의 의미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이를 물리적인 거리로 나타낸 것이다.
자극어를 추출하는 단계(1100)에서, 성격 검사 장치는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분류된 핵심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자극어를 추출하는 단계(1100)에서, 자극어에 대한 피검사자의 반응어를 반영하여 다음 차례의 자극어를 워드 그래프에서 추출할 수 있다.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1110)에서, 성격 검사 장치는 자극어를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가장 먼저 연상되는 단어를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로 슬라이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자극어와 함께 자극어와 관련된 단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자극어와 함께 자극어와 관련된 단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로 슬라이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1110)에서, 성격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가 자극어를 대상으로 무의식에 의해 연상되는 반응어를 응답하도록 하는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을 사용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단계(1130)에서, 성격 검사 장치는 워드 그래프를 참조하여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의미 거리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을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연산된 의미 거리에 따라 정답률 또는 오답률을 추출하며 추출된 정답률 또는 오답률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성격을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극어에 대한 반응어를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 투영시켜 워드 그래프 내 투영된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드 그래프의 일부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워드 그래프는 단어 간의 의미 네트워크로서, 의미 거리를 기반으로 의미 거리에 따라 워드 그래프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배치되거나 서로 가까운 곳에 배치된다. 검사 장치는 워드 그래프의 의미 관계 및 의미 거리를 식별하여 글에 반영된 피검사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한다. 도 12에는 극히 일부의 워드 그래프를 도시하였지만, 워드 그래프는 수많은 단어들로 이루어진 방대한 사이즈의 지도 또는 그래프 형태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성격 검사 장치 2: 사용자 단말
10: 입출력부 12: 제어부
14: 저장부 120: 추출부
122: 분석부 124: 판별부

Claims (11)

  1. 자극어를 포함한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를 획득하는 입출력부; 및
    자유 연상, 단어 선택 및 슬라이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무의식 심리 검사 방식을 제공하고, 검사 문항 및 시간을 피검사자가 선택하도록 하며, 성격 타입을 대표하는 핵심어 별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의미 거리를 가진 단어들끼리를 그룹화하여 분류한 워드 그래프를 구성하여 성격 타입 별로 분류된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에 따라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결정하고 오답이 발생하면 오답을 일으킨 자극어가 추출된 성격 타입의 워드 그래프에서 다른 자극어를 추출하여 이를 검사 중에 피검사자에 제시하고 피검사자의 반응을 추가로 확인하며,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와 반응어 간의 의미 거리 및 워드 그래프에 투영된 반응어의 분포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 거리는 단어들 간의 의미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이를 물리적인 거리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극어를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가장 먼저 연상되는 단어를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응답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검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거나,
    자극어와 함께 자극어와 관련된 단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극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자극어들 중에서 피검사자가 자신을 더 잘 표현하는 단어로 슬라이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슬라이드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거나,
    자극어와 함께 자극어와 관련된 단어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단어들 중에서 자극어에 대해 피검사자가 연상되는 단어로 슬라이드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검사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로부터 슬라이드 선택받은 반응어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타입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검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워드 그래프에서 자극어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분류된 핵심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검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69740A 2015-05-19 2015-05-19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40A KR101731561B1 (ko) 2015-05-19 2015-05-19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6/004891 WO2016186363A1 (ko) 2015-05-19 2016-05-10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15/575,196 US20180146905A1 (en) 2015-05-19 2016-05-10 Personality test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40A KR101731561B1 (ko) 2015-05-19 2015-05-19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55A KR20160136055A (ko) 2016-11-29
KR101731561B1 true KR101731561B1 (ko) 2017-05-02

Family

ID=5732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40A KR101731561B1 (ko) 2015-05-19 2015-05-19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46905A1 (ko)
KR (1) KR101731561B1 (ko)
WO (1) WO20161863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812A (ko) 2020-04-21 2021-10-29 (주)피플벤처스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1374A1 (en) * 2016-01-31 2017-08-03 John van der Steur Method for Analyzing Typological Polarities in the Personality
US20190365305A1 (en) * 2018-05-30 2019-12-05 Digi-Psy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igital psychometry
KR102085977B1 (ko) * 2019-11-25 2020-03-06 최경준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에니어그램 시스템과 그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심리상태 표시장치
KR102441591B1 (ko) 2020-07-09 2022-09-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생각의 흐름의 시각화 및 감정-예측 모델링
KR102446514B1 (ko) * 2020-12-03 2022-09-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미 점화 메커니즘을 통한 의미 정보망 측정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96B1 (ko) * 2012-11-29 2013-07-15 김건오 워드그래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2753B2 (en) * 2005-06-17 2019-03-26 University Of Washington Method for measuring strength of associations of multidimensional traits
US20120071785A1 (en) * 2009-02-27 2012-03-22 Forbes David L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KR101258978B1 (ko) *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심리치유를 위하여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40002238A (ko) * 2012-06-28 2014-01-08 (주)다음소프트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한 감성 측정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40053426A (ko) * 2012-10-25 2014-05-08 (주)휴노 3차원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10679185B2 (en) * 2013-08-23 2020-06-09 Synabee, Inc. Personal attribute cartography with analysis feedb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96B1 (ko) * 2012-11-29 2013-07-15 김건오 워드그래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812A (ko) 2020-04-21 2021-10-29 (주)피플벤처스 성격 유형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6905A1 (en) 2018-05-31
WO2016186363A1 (ko) 2016-11-24
KR20160136055A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561B1 (ko) 성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ienes How do I know what my theory predicts?
Bombari et al. Emotion recognition: The role of featural and configural face information
US107497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e calibration
Schmukle et al. A latent state-trait analysis of implicit and explicit personality measures
Mazzola et al. Examining stress in graduate assistants: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urvey methods
KR101982193B1 (ko)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570941B (zh) 一种基于文本语义向量模型评估心理状态的系统和装置
JP2009530071A (ja) 視覚的注意および感情反応の検出表示システム
JP6146760B2 (ja) 序列化装置、序列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Hahn et al. Rapid communication: personality and attention: levels of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can predict attentional performance during a change detection task
JP2014186289A (ja) 知的生産性分析装置、プログラム
CN104823210A (zh) 用于回答校准的系统和方法
US20130262182A1 (en) Predicting purchase intent based on affect
CN110391013A (zh) 一种基于语义向量构建神经网络预测心理健康的系统和装置
CN112614583A (zh) 抑郁等级测试系统
Pentland Human-Analytics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nd Applications in Personnel Selection
KR20150108719A (ko) 사용자 독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irardi et al. The way it makes you feel predicting users’ engagement during interviews with biofeedback and supervised learning
EP3664101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use in detecting malingering by a first subject in one or more physical and/or mental function tests
US202203926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virtual reality psychological test service
US201502089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ypes and behavior
Marovac et al. Automation of psychological testing of stressful situations in the Serbian
Rivero et al. Using a study to assess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rs
KR101758198B1 (ko) 다중 지능 검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